[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0185B1 -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185B1
KR101790185B1 KR1020100089363A KR20100089363A KR101790185B1 KR 101790185 B1 KR101790185 B1 KR 101790185B1 KR 1020100089363 A KR1020100089363 A KR 1020100089363A KR 20100089363 A KR20100089363 A KR 20100089363A KR 101790185 B1 KR101790185 B1 KR 101790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fermented
fermented soybean
skin
fr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654A (ko
Inventor
김동현
박준성
장희경
김덕희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8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185B1/ko
Priority to PCT/KR2011/006657 priority patent/WO2012036414A2/ko
Publication of KR2012002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1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함유함으로써 세포 증식 효과 및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ing fraction of fermented bean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함유함으로써 세포 증식 효과 및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청국장은 콩을 원료로 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간장, 된장, 고추장 등과 함께 오늘날까지 상용되어 온 전통 장류 중의 하나이며,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민족에게 결핍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 및 지방산을 공급시켜 주는 식품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청국장은 삶은 콩을 볏짚에 붙어있는 고초균(枯草菌)이라 부르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띄워 만든 것으로서, 발효과정 중에 고초균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그 특유의 맛과 냄새를 내는 동시에, 원료 콩의 당질과 단백질에서 유래된 레반형프룩탄(levan form fructan)과 폴리글루타메이트(polyglutamate)의 혼합물질인 점질물을 다량 생성하며, 이렇게 발효 제조된 청국장은 소화 작용뿐만 아니라 영양 면에서도 된장이나 고추장보다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은 양질의 콩 발효식품이다. 청국장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Lee et al.,J. Micorbiol. Biotechnol, 13, pp. 892-896, 2003), 상기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장내부패균의 활동을 약화시키고 병원균에 대한 항균 작용뿐만 아니라, 암모니아, 인돌, 아민 등 발암촉진 물질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특히,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비타민B2를 많이 분비함으로써 간의 해독 기능을 좋게 하여 술, 담배의 뛰어난 해독 효과를 보이며, 유기산의 생성을 통하여 장을 자극하는 등의 반응으로 소화활동 증진 및 면역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지금까지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이용하여 세포 재생 화장료 조성물로 개발한 어떠한 내용도 교시되거나 기재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세포 증식 및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하고, 제품으로서의 안정성도 우수한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발효콩 추출 분획물이 세포 증식 및 세포 재생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세포 증식 및 세포 재생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 증식 및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하여 상처 회복을 위한 피부 재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부 재생 능력 감퇴로 인한 피부 탄력 감소 및 피부 노화의 심화를 방지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발효콩 추출 분획물, 발효콩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발효콩 추출 분획물의 인간 섬유 아세포에서의 세포 재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발효콩 추출 분획물의 HaCaT 세포에서의 세포 재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인 추출법에 의해 추출한 뒤 여과 및 농축하여 제조되는 발효콩 추출물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발효콩 추출 분획물은 농축된 상태의 발효콩 추출물을 유기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로 한번 더 추출하여 여과한 후, 막 필터(membrane filter)를 이용한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되어 나온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콩 추출 분획물은 3kDa~10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kDa 미만의 분자량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유효성분에 의한 세포 증식 및 세포 재생 효과 등을 얻을 수 없고, 30중량% 초과이면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콩 추출 분획물은 그 사용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장료 조성물 이외에도 약제 조성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에센스, 영양크림, 팩, 피부외용연고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발효 청국장 추출물의 제조
발효 청국장 1 kg에 물 5 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발효 청국장 추출물 350g을 얻었다.
[제조예 2]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발효 청국장 추출물 100g을 EtOH 3ℓ에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UF(Ultra-Filtration) 키트에 넣은 뒤 원심분리를 통해 3kDa 이상의 분자량을 가지는 샘플로 분리한 뒤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 33g을 얻었다.
[시험예 1] 세포 독성 평가(MTT assay)
시험 물질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HaCaT 10000 세포수/웰을 96-웰 플레이트에 심었다. 24시간 배양 후 FBS가 들어있지 않은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를 100㎕씩 넣어준 후에 UVB 40mJ을 조사하였다. 이때 UVB를 조사하지 않는 실험군도 만든다. 물질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 후, MTT 용액(solution)(0.5mg/mL)을 100㎕씩 넣어주고 3시간 동안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용액을 제거하면 포르마잔(formazan)이 형성되는데 DMSO를 100㎕ 넣어 주고 녹인 후, 57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발효콩 추출 분획물은 세포 독성이 적으면서 세포 증식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발효콩 추출물은 발효콩 추출 분획물과 비교하여 세포 독성이 크며,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 독성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세포 재생 평가(Cell Proliferation assay)
시험 물질의 세포 재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aCaT 10000세포수/웰,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6000 세포수/웰로 96-웰 플레이트에 심었다. 물질을 처리하기 전에 배지를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환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FBS가 1% 함유된 배지에 상기 제조예 2의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을 0.1, 1, 5, 10, 50, 100ppm의 농도별로 녹인 후 처리하였다. 이때 10% FBS가 함유된 배지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예 2의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 처리 후 48시간 동안 배양 후, WST-1을 100㎕/웰로 처리하였다. WST-1을 처리하고 3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켰다. 3시간 동안 배양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2~3에 나타내었다.
도 2~3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발효콩 추출 분획물은 두 가지 세포 실험군에 대해 1% FBS 대비 유의적인 세포 재생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 탄력 개선 효과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화장수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발효 청국장 추출 분획물
(상기 제조예 2)
0.5 10 - -
발효 청국장 추출물
(상기 제조예 1)
- - 0.5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 1.5 1.5 1.5
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메틸파라벤 0.15 0.15 0.15 0.15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2 0.02 0.02 0.0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화장수에 대하여 피부 탄력 향상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30∼40대 여성 80명을 각각 20명씩 4개군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군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화장수를 주고 매일 1회 12주간 눈가에 일정량을 도포하게 하였다. 12주 뒤 피부탄력을 측정할 수 있는 큐토미터(cutometer; SEM474,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각 군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그 평균을 구하였다. 그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탄력향상도(%)
실시예 1 26.8
실시예 2 33.6
비교예 1 1.1
비교예 2 0.4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2)은 피부 탄력을 향상시켰으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탄력 향상도가 높아졌다. 반면, 일반적인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 및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2)는 상기 실시예 1~2와 비교하여 피부 탄력 향상 효과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30대 여성 80명을 각각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군으로 20명씩 4개군으로 나누어 매일 1회 8주간 도포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비지오미터(visiometer)로 측정하여 화상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의 결과는 도포 8주 후의 각각의 파라미터(parameter) 값에서 도포 전 파라미터 값을 뺀 것의 평균이다.
사용 8주 후 임상 결과 R1 R2 R3 R4 R5
실시예 1 -0.18 -0.14 -0.08 -0.06 -0.05
실시예 2 -0.27 -0.20 -0.10 -0.08 -0.06
비교예 1 -0.08 -0.07 -0.03 -0.02 -0.03
비교예 2 0.03 0.05 0.02 -0.01 0.01
R1: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치
R4: 주름 등고선의 baseline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주름 등고선의 baseline에서 각 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차이 값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2)은 피부 주름을 개선시켰으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높아졌다. 반면, 일반적인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 및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2)는 상기 실시예 1~2와 비교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들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성분명 함량(중량%)
발효콩 추출 분획물 0.5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
성분명 함량(중량%)
발효콩 추출 분획물 0.5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성분명 함량(중량%)
발효콩 추출 분획물 0.5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마사지크림
성분명 함량(중량%)
발효콩 추출 분획물 0.5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팩
성분명 함량(중량%)
발효콩 추출 분획물 0.5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핑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Claims (8)

  1.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발효콩 추출 분획물은 발효 청국장의 수(水) 추출물을 환류 조건 하에서 에탄올로 재추출한 다음, 한외여과(Ultra-Filtration)에 의해 원심분리한 뒤 감압 농축하여 제조한 분획물이며, 3 내지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콩 추출 분획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청국장의 수(水) 추출물은 발효 청국장을 환류 조건 하에서 물로 추출하여,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에센스, 영양크림, 팩, 피부외용연고로 제형화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발효콩 추출 분획물은 발효 청국장의 수(水) 추출물을 환류 조건 하에서 에탄올로 재추출한 다음, 한외여과(Ultra-Filtration)에 의해 원심분리한 뒤 감압 농축하여 제조한 분획물이며, 3 내지 10 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콩 추출 분획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청국장의 수(水) 추출물은 발효 청국장을 환류 조건 하에서 물로 추출하여,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5항,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에센스, 영양크림, 팩, 피부외용연고로 제형화되는 피부 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89363A 2010-09-13 2010-09-13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1790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363A KR101790185B1 (ko) 2010-09-13 2010-09-13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1/006657 WO2012036414A2 (ko) 2010-09-13 2011-09-08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363A KR101790185B1 (ko) 2010-09-13 2010-09-13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654A KR20120027654A (ko) 2012-03-22
KR101790185B1 true KR101790185B1 (ko) 2017-10-26

Family

ID=4583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363A Active KR101790185B1 (ko) 2010-09-13 2010-09-13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0185B1 (ko)
WO (1) WO20120364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356B1 (ko) * 2012-08-03 2019-06-04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17218B1 (ko) * 2018-01-18 2020-06-01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CN110755472A (zh) * 2019-09-24 2020-02-07 萧敬皇 用于皮肤伤口愈合之大豆酦酵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488533B1 (ko) * 2020-12-24 2023-01-16 에이앤펩주식회사 검은콩 발효 여과물 유래 고 기능성 항염 성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2080862A1 (ja) * 2001-04-06 2004-07-29 株式会社東洋発酵 美容化粧品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1310261A1 (de) * 2001-11-09 2003-05-14 Cognis France S.A. Verwendung eines Extraktes der Vigna aconitifolia-Pflanze in einer Kosmetischen und/oder dermopharmazeutischen Zusammensetzung
KR100640246B1 (ko) * 2004-12-27 2006-11-01 정경식 발효 제품,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화합물, 및 이들을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제품
KR100723844B1 (ko) * 2005-07-11 2007-05-31 조정일 발효콩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증진 목욕제 및 피부미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6414A2 (ko) 2012-03-22
KR20120027654A (ko) 2012-03-22
WO2012036414A3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9990B1 (ko) 천문동 및 마카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068160A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814498B1 (ko) 유칼립투스 잎과 붉은토끼풀 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0185B1 (ko)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1960810B1 (ko) 블랙커런트 열매와 아로니아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4858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2042B1 (ko) 호두 및 밤의 복합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08756B1 (ko) 귤껍질 및 칼메그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0255A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101252548B1 (ko) 해송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0628B1 (ko) 블랙베리 및 크랜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5704A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98695B1 (ko) 뽕나무뿌리와 모란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6389A (ko)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9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