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6320B1 -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320B1
KR101566320B1 KR1020150121238A KR20150121238A KR101566320B1 KR 101566320 B1 KR101566320 B1 KR 101566320B1 KR 1020150121238 A KR1020150121238 A KR 1020150121238A KR 20150121238 A KR20150121238 A KR 20150121238A KR 101566320 B1 KR101566320 B1 KR 101566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extract
maca
leaf
fermen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문
임성현
안영훈
장현준
장수경
박근동
이대우
Original Assignee
정용문
주식회사 더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문, 주식회사 더마랩 filed Critical 정용문
Priority to KR102015012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3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재생, 피부 진정 및 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의 복합발효추출물은 천연 식물소재를 사용하고 발효공정을 통하여 그 활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피부재생,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를 나타내므로 천연화장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Impatiens balsamina L, Maca, Rosa multiflora Thunberg, Eryobotrya japonica and Pachyrrhizus erosus Complex-fermented extract}
본 발명은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흑효모균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재생, 피부 진정 및 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웰빙 트랜드가 사회 전반에 뿌리내리고 있으며, 이는 식품, 화장품, 주거 환경 등의 모든 분야에서 천연 식물성 소재 및 전통적인 민간요법으로 전래되는 한약재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다. 상대적으로 천연 식물소재의 제품화가 용이한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 오래전부터 이를 원료로 사용한 시도들이 있어 왔으며, 기능성 식품 및 예방의학, 치료의학의 분야에서도 동양의 식물성 약재(Herbal medicine)가 미국 및 유럽에서까지 허가 및 제품화되기 시작하면서,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인체 유용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항노화, 항암, 항염, 면역기능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보이지만, 추출된 이후에는 불안정하고 때론 자극적이어서, 인체에 독성을 띄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 추출물을 안정화시키거나, 독성을 줄이거나, 안정한 유도체로 전환시켜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전환(Biological transformation)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 방법으로 발효를 예로 들 수 있다. 발효는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켜서 인간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인체에 유용한 물질을 만들어내는 대표적인 발효 미생물로는 홍국균, 효모 등이 있고, 다양한 식품들이 발효 과정에 의해서 생산된다. 또한, 발효는 유용 물질을 만들어 내는 것 이외에도 발효에 관여하는 홍국균이 장 내에서 면역 및 독소제거(Detoxification)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장내 미생물에 의한 발효를 통해 섭취된 성분은 분해되어 인체 세포에 흡수가 용이한 저분자 물질로 전환되거나, 불안정하거나 불활성인 형태에서 활성 형태로 전환되어 흡수되기도 하며, 이러한 결과는 장내 미생물에 의한 생물전환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홍국균 및 효모 등의 미생물 발효에 의해서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거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다양한 식품, 화장품, 약품 등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특히, 우수한 항암 효과, 항염증 효과, 항노화 효과, 면역력 증강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는 김치나 된장 등의 한국전통식품에서 번식하는 미생물은 생물학적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전통 발효 식품에서 분리한 미생물을 이용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위로서,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 물질 등에 노출되면 홍반, 부종, 뾰루지, 따끔거림, 가려움 등의 피부 자극 및 염증 반응이 유발된다. 이러한 원인들에 의해 생성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의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를 보호하고 미화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피부 외용 제품들에 있어서, 피부 보호 목적과는 관련이 없는 성분들, 예컨대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 기능성 원료 등의 사용이 불가피하지만, 이들 성분들은 피부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미백, 주름 개선, 각질제거 등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제품에 함유되는AHA(알파 하이드록시산), 레티놀, 알부틴 등의 성분들은,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작용으로 인해 이들 물질은 최대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농도로 사용하기 어렵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피부 자극 및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 P(Substance P) 등의 신경 펩타이드에 의해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kinins), 또는 COX 경로에 의해 형성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이나, PGE 2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과 통증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디키닌 길항제, COX 억제제 등이 피부 염증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로 제시되어 왔으나, 기존의 항염증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또는 제품 함유시 안정성에 있어 문제점이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안전한 천연물을 이용한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13112호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90중량%의 자일리톨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시원함 및 청량감을 주고 피부탄력증진, 피부자극진정과 같은 미용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15881호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항자극,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Pyrus Communis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의 복합발효추출물이 우수한 피부진정과 자극완화 효과를 가지며, 콜라겐 생합성 효과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특정한 효모균을 사용하여 발효시키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더욱 우수하여 천연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재생,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과 탄소수 1~4의 알코올의 혼합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것이다.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의 복합추출물은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건조 중량비가 1~5:1~5:1~5:1~5:1~5인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건조 중량비가 1:1:2:1:1인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이다.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은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3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영양세럼, 엔센스 또는 팩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건조중량비로 1~5:1~5:1~5:1~5:1~5의 비율로 혼합하여 용매로 추출하여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복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을 배양하여 MEA배지(Malt Extract Medium)에 접종하고 23~28℃ 진탕 배양기에서 16~20시간 동안 배양한 후 계대 배양하고 상기 배양된 균주를 멸균수로 세척하고 초기 균수를 105 ~ 108cfu/㎖로 조절하여 흑효모 스타터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흑효모 스타터를 총 중량의 3%가 되도록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에 접종한 후 24~26℃에서 60~80시간 호기성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 완료 후 65~80℃에서 8~15분간 가열하여 실화를 유도한 후 발효액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의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의 복합발효추출물은 천연 식물소재를 사용하고 발효공정을 통하여 그 활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피부재생,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를 나타내므로 천연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는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이 원산이며 지금은 전세계에 널리 재배되는 원예식물이다. 봉숭아라고도 한다. 봉선화는 줄기가 다육질(多肉質)이고 높이가 60㎝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곧추 자라고 밑부분의 마디가 특히 두드러진다. 잎은 어긋나며 자루가 있고 피침형으로 양끝이 점차 좁아진다. 꽃은 7∼8월에 홍색, 백색, 자색 등 여러가지로 피며 2, 3개씩 잎짬(葉腋)에 달리고 화축(花軸)이 있어 밑으로 처지며 좌우로 넓은 꽃잎이 퍼지고 뒤에서 통모양으로 된 거(距)가 밑으로 굽는다. 과실은 삭과로 타원형이며 익으면 탄력 있게 터지면서 황갈색 종자가 튀어나오는 자동산포(自動散布)를 한다. 민간에서는 봉선화가 활혈, 진통,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습관성 관절통, 월경통, 임파선염, 사교상(蛇咬傷) 등에 치료제로 쓰기도 한다.
영실은 찔레꽃(Rosa multiflora Thunberg)의 열매이다. 가을에 반 정도 익었을 때 채취하여 그대로 또는 햇볕에 말린 것이다. 일명 영실자(營實子)라고 한다. 위과(僞果)로 구형, 타원형이고 길이 0.5~1cm, 지름 0.3~0.7cm이다. 바깥 면은 황갈색~어두운 적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열매의 끝에는 오각형의 암술머리의 잔기가 남아 있다. 가로로 자른 내벽면에는 은백색의 털이 밀생하고 5~10개의 딱딱한 씨가 들어있다. 씨는 삼각상 달걀모양~각형이고 바깥 면은 밝은 노란색을 띠고 길이 0.4cm, 지름 약 0.2cm이다. 신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달다.
마카(Lepidium meyenii Walpers)는 십자화과(Brassic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주로 페루의 안데스 산맥 해발 4,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재배되는 다년생 식물로 감자와 비슷한 형태인 뿌리부분이 안데스 산맥 주변 토착인 들에게 주요한 식량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마카는 추위, 강풍, 가뭄 등 어려운 자연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생명력이 매우 강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가가 높고 알칼로이드, 스테로이드, 탄닌, 사포닌 등의 다양한 생리기능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마카에 대한 생리기능성 이외에 새로운 효능을 찾기 위한 마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LINDL.)는 높이가 5m 내외로 자라는 나무로 어린 가지는 굵으며 연한 갈색 밀모(密毛)로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상 긴 난형이며 길이 15∼25㎝, 너비 3∼5㎝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뒷면에 연한 갈색 밀모가 덮여 있다. 가장자리에는 치아상의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꽃은 10∼11월에 백색으로 피는데 향기가 좋다. 열매는 이듬해 6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원산지는 중국과 일본의 남쪽 지방으로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는 약 60년이 된다. 현재 제주도, 경상남도, 전라남도에서 야외 재배하고 있으며 중부 지방에서는 온실 재배하고 있다. 겨울 기온이 따뜻하고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이면 어디서나 재배할 수 있는 나무로 열매가 달콤하고 감미로워 과실수로 유망하다. 열매에는 10%의 당분과 0.6%의 능금산 및 0.3%의 펩신이 들어 있으며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도 많이 들어 있다. 잎에는 청폐(淸肺), 진해, 거담, 건위, 이수(利水)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폐열해소(肺熱咳嗽), 기관지염, 구역(嘔逆), 애기, 딸꾹질, 부종 등에 잎을 달여 마시기도 한다.
얌빈(Pachyrrhizus erosus)은 열대 아프리카의 가장 중요한 덩굴성 콩과작물의 하나이다. 보통 가나와 나이지리아에서 얌과 함께 부작물로 경작된다. 6월이나 7월에 심으며 노쇠한 얌을 지주로 삼아 자란다. 9월 말에서 10월부터 열매가 달리기 시작한다. 크고 밝은 자줏빛 꽃이 20개의 알이 들어찰 수 있는 기다란 꼬투리가 된다. 알곡과 덩이줄기는 아프리카인의 식량으로 엄청난 경제적 중요성을 지닌 두 가지의 주요한 기관이다. 아프리카 얌빈의 44가지 유전자형의 영양학적 평가를 한 연구자들(Uguru and madukaife 2001)은 그 작물이 필수 아미노산이 잘 균형 잡혀 있고, 비둘기콩과 동부 bambara 땅콩보다 더 많은 아미노산이 함유 되어 있다고 보고했다. 아프리카 얌빈의 알곡에 함유된 단백질은 21~29% 정도의 범위이고, 덩이줄기에는 감자의 약 2~3배 정도의 양이 함유되어 있다.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은 β-Glucan을 생산하는 미생물로 알려져 있다. β-Glucan은 지질대사 개선작용, 정장작용, 혈당치 상승 억제효과, 항종양 효과, 면역 증강 효과 등과 같은 우수한 생체 조절 기능성이 밝혀짐에 따라 의약품 산업, 건강보조식품, 화장품 산업 등에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의 복합추출물을 제조한 후, 다시 이를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발효시키는 경우 피부재생,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효과가 상승하여 더욱 우수해 진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복합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추출용매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예를 들어, 함수알코올, 함수글리세린, 함수에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 부틸렌글리콜)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고,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알코올 또는 함수알코올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iso-부탄올, tert-부탄올일 수 있으며,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함수 알코올은 물을 0.3 내지 90(wt/wt)%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의 복합추출물은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건조 중량비가 1~5:1~5:1~5:1~5:1~5인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이다. 이때, 봉선화 전초, 영실(찔레꽃 열매), 마카뿌리,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사용한다.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건조 중량비 1:1:2:1:1로 혼합추출하고, 이를 흑효모균으로 발효하는 경우에 그 수율이나 피부재생,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 활성면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의 복합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먼저,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건조물을 세절하고, 혼합 건조 중량의 1~5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함수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부가하여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건조물을 분쇄하여 혼합하고, 이들의 혼합 건조 중량의 1~3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하여,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130℃에서 1∼48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5∼30℃에서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열거한 추출용매에 공지된 초음파 추출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발효시켜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흑효모균(KTCT 26755 Aureobasidium pullulans)을 배양하여 Malt Extract Agar배지(Malt Extract Medium)에 접종하고 23~28℃ 진탕 배양기에서 16~20시간 동안 배양한 후 계대 배양하고 상기 배양된 균주를 멸균수로 세척하고 초기 균수를 105 ~ 108cfu/㎖로 조절하여 흑효모 스타터를 제조하여 사용한다. 접종 초기 균수가 105cfu/g 또는 105cfu/㎖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108cfu/g 또는 108cfu/㎖를 초과하는 때에는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음에도 접종량이 과도한 문제가 있다.
상기 흑효모 스타터를 총 중량의 3%가 되도록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에 접종한 후 24~26℃에서 60~80시간 호기성 발효시킨다. 발효가 완료되면 65~80℃에서 8~15분간 가열하여 실화를 유도한다. 발효액은 종이 여과지로 1차 여과하고, 여액을 1.0㎛ 기공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2차 여과한 후 0.45㎛ 기공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마지막 여과한다. 여과 후 저온 숙성 또는 고온 숙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하여 발효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은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켜 피부재생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HaCaT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서 IL-1α 분비를 억제하여 피부 진정효과 및 자극완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영양세럼, 에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흑효모 발효를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착색제(색소), 착향제(향료), 현탁화제, 유화제, 용해보조제, 안정제, 등장제, pH조절제, 점도조절제, 용제,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흑효모 발효를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 외에 피부 재생 및 진정 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유효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매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분말을 각각 40g, 40g, 40g, 40g, 40g을 정제수로 세척, 건조시킨 후 멸균기 121℃, 1.5기압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정제수 200g을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10 ~ 130℃에서 1 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흑효모(KTCT 26755 Aureobasidium pullulans)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 받아 Malt Extract Agar 배지(Malt Extract Agar Medium)에 접종하고 25℃ 진탕 배양기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계대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균주를 멸균수로 2회 세척하고 초기 균수를 108CFU/㎖로 조절된 흑효모 스타터를 제조하였다. 흑효모 스타터를 총 중량의 3%가 되도록 접종한 후 25℃에서 72시간 호기성 발효시켰다. 발효가 완료되면 8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실화를 유도한 후 발효액을 여과하였다. 종이 여과지로 1차 여과하고, 여액을 1.0㎛ 기공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2차 여과한 후 0.45㎛ 기공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마지막 여과하여 추출공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제품명: Coolace CCA-1100, 제조사: EYELA)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한 후, 건조기(모델명: B-290, BUCHI사 제품)를 다음조건으로 이용하여 건조시킨 표제의 추출 분말 90g을 얻었다.
Inlet 온도 180 ℃, Aspirator 효율 100%(35㎤/hour), Pump 효율 25% (7.5㎖/min), Nozzle Cleaner 4, Rotameter 30㎜(357 Liter/hour)
실시예 2~10: 추출 비율에 따른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 제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의 중량비를 하기 표와 같이 조절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 분 혼합 비율 수득률(%)
실시예 2 1:2:1:1:1 81
실시예 3 1:1:2:1:1 100
실시예 4 1:1:1:2:1 80
실시예 5 2:1:1:1:1 70
실시예 6 2:2:1:1:1 60
실시예 7 2:3:2:1:1 50
실시예 8 3:1:1:2:1 48
실시예 9 3:2:1:1:1 42
실시예 10 4:1:1:1:1 40
비교예 1: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중탕 추출물의 분말제조
경동시장에서 구매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정제수로 세척, 건조시킨 후 멸균기 121℃ 1.5기압에서 15분간 멸균 후 정제수 1Kg을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2시간 동안 90 ~ 100℃에서 끓여서 추출하였다. 흑효모로 발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중탕 추출물 분말 82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효모발효복합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3의 방법에서, 흑효모 대신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 분말을 80g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락토바실러스 발효 복합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3의 방법에서, 흑효모 대신에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plantarum)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락토바실러스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 분말을 85g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녹차 추출물의 분말제조
경동시장에서 구매한, 녹차 잎을 정제수로 세척, 건조시킨 녹차 잎만 20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녹차 추출물 분말 60g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복합추출물 함유 화장수 제조
흑효모 발효를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스킨로션)를 하기의 표 2의 조성에 따라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실시예 3)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프로필렌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상기 표 2에서 일정량의 11번 물질에 2, 3, 4, 8번 물질을 순서대로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 물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 후, 10번 물질을 반응용기에 투입하여 용해한 후 잔량의 11번 물질을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 물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시킨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 함유 영양로션 제조
흑효모 발효를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실시예 3)을 함유한 영양로션을 하기의 표 3의 조성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실시예 3) 1.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상기 표 3에서 10, 11, 13, 16번 물질을 혼합 교반 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번 물질을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 물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 물질을 투입하고 35℃에서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 함유 영양세럼 제조
흑효모 발효를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영양세럼을 하기의 표 4의 조성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실시예 3) 1.0
2 잔탄검 0.02
3 부틸렌글리콜 10.0
4 소이빈포스포리피드 10.0
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1
6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5.0
7 정제수 잔량
상기 표 4에서 2, 3, 5번 물질을 혼합 교반 하면서 40 ~ 4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4, 6, 7번 물질을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 세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4: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복합추출물 함유 에센스 제조
흑효모 발효를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복합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를 하기의 표 5의 조성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실시예 3) 1.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에칠렌 글리콜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르산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상기 표에서 2, 3, 4, 5 및 6번 물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하였다. 이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번 물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시키고 이어 9번 물질을 50 ~ 60℃로 가온하여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 후, 10, 11, 12, 13번 물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세포 무독성 및 세포 증식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최종 농도를 0.1, 0.5, 1.0, 2.0, 5.0%로 하여 혈청이 2.5% 함유되어 있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MTT(시그마, 미합중국) 솔루션(3mg/ml)을 첨가하여 세포 생존율을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인 위와 같은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률을 계산하였다.
2) 실험결과
세포증식률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83478842-pat00001
농도(%) 세포 증식률(%)
대조군 0.1 0.5 1.0 2.0 5.0
실시예 1 100 102.9 102.0 101.5 99.9 100.2
실시예 2 100 101.6 101.8 100.9 100.4 99.6
실시예 3 100 105.8 103.9 102.1 103.7 101.0
실시예 4 100 101.7 100.4 99.7 101.0 99.6
실시예 5 100 100.9 101.5 100.8 99.9 98.9
실시예 6 100 101.7 100.4 99.7 101.0 99.6
실시예 7 100 100.9 101.5 100.8 99.9 98.9
실시예 8 100 101.6 101.0 100.8 99.4 98.6
실시예 9 100 101.2 100.7 100.5 100.8 97.8
실시예 10 100 102.9 101.4 100.1 99.5 99.8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측정 오차범위를 고려하면 흑효모 발효를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은 모두 세포 무독성이며,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2: 제형 안정도 확인
흑효모 발효를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제형에 대하여 실온(25℃), 4℃ 및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내, 냉장고 및 항온수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 후 육안으로 변색, 및 분리를 관찰하고, 후각으로 변취를 확인하여 이들 제형의 안정성을 확인 하였다.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온도
조건
안정성 확인 (변색, 변취 및 분리)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실온 0 0 0 0
4℃ 0 0 0 0
45℃ 0 0 0 0
<제형 안정 등급>
0 : 변화 없음, 1 : 미세한 변화, 2 : 변화, 3: 극심한 변화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형예 1 내지 4 제형 모두 실온, 4℃ 및 45℃ 온도 조건하에서 변색, 변취 및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안정하였다.
시험예 3: DPPH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녹차추출물과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 샘플로 하여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DPPH)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며, 피검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Aldrich Chem. Co., MW=394.32g/mol) 0.1Mm 용액으로서 61.88mg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00ml로 하며,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96-웰 플레이트에 0.1mM DPPH 용액 0.15ml에 0.01(wt/v)% 농도의 정제수로 용해시킨 시료용액 0.15ml를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② 그 후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③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④ 역시, 시료용액의 플랭크(Blank)는 0.1mM DPPH 용액 대신에 메탄올을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하기의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8과 같다.
항산화효과(%) = 〔1-(St-So)/(Bt-Bo)〕× 100
St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시료명 처리 농도(%) 항산화효과(%)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복합추출물(실시예 3) 0.01 93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중탕 추출물(비교예1) 0.01 78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뿌리 효모 발효복합추출물(비교예2) 0.01 75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뿌리 락토바실러스 발효 복합추출물(비교예3) 0.01 73
녹차 추출물(비교예 4) 0.01 50
비타민 E(SIGMA, USA) 0.01 53
상기 표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은 0.01% 농도에서, 비교예 1, 2, 3 복합추출물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동일농도의 효모 발효 복합추출물, 락토바실러스 복합발효추출물도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녹차추출물, 비타민 E 보다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 HaCaT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서 IL- 분비억제 효과
24 웰 플레이트에 HaCaT 케라티노사이트(German Cancer Research Institute, Germany)를 2×105 cells/well의 밀도로 10% FBS가 첨가된 DMEM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으로 접종하여 가습화된 37℃, 5% CO2 배양기에서 1일 배양하였다. 무혈청(Serum-free) DMEM으로 교환 후, 비교예 1 ~ 4와, 실시예 3의 시료를 모두 100ppm으로 처리하여 1일 배양하고 SDS(sodium dodecyl sulfate, Sigma)를 처리하여 4시간 더 배양하였다. 4시간 후 배양액 일부를 취해서 IL-1α 정량과 단백질 정량에 사용하였다. IL-1α 정량은 엔도젠사의 human IL-1α kit를 사용하여 kit의 IL-1α 정량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시그마사의 BCA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kit로 정량한 IL-1α를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여 단위 단백질당 IL-1α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피부자극완화 물질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Ketopropen을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인 IL-1α생성율(%)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하여 구하였다. 결과는 하기의 표 9에 나타내었다.
IL-1α생성율(%) = (A/B) × 100
A : 시료의 IL-1α생성량
B : SDS만 처리한 시료의IL-1α생성량
시료명 IL-1α생성율(%)
대조군 33.41 ± 1.67
SDS만 처리 100.00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중탕 추출물(비교예 1) 90.18 ± 4.80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발효 추출물(비교예 2) 82.12 ± 3.41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발효 추출물(비교예 3) 85.23 ± 3.21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흑효모 복합발효추출물(실시예 3) 68.33 ± 3.06
Ketopropen 63.15 ± 4.96
SDS 처리후의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IL-1α분비량이 타 시료들보다 상당량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SDS처리를 통하여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홍반을 일으킬 수 있는 IL-1α의 생합성을 본 것으로서 피부 세포에 SDS만 처리했을 때의 IL-1α의 양을 100으로 정하였을 때의 각 시료들의 IL-1α의 생성량을 구한 후 이것을 백분율화 한 것이다.
즉 이 결과를 통하여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흑효모 발효복합 추출물 시료에서의 IL-1α의 생성량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홍반 등의 트러블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은 피부진정 및 피부자극완화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사람 섬유아세포 종인 CCD-986sk cell은 37℃, 5% CO2의 조건하에서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Co), 100 ug/ml streptomycin, 100U/ml penicillin 이 첨가된 DMEM 배지가 사용되었다. CCD-986sk cell은 75cm2 flask(Falcon, USA)에서 충분히 증식시킨 후 배양 2~3일 간격으로 배양세포 표면을 phosphate buffer saline(PBS) 용액으로 씻어 준 후 0.25% trypsin-EDTA 용액을 넣고 incubator에서 1~2분 처리하여 세포를 탈착시켰다. 탈착된 세포는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 15ml을 새로운 배양용기에 옮겨 1:20 split ratio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콜라겐 합성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CD-986sk 세포를 24 well plate에 5×104cell/well의 밀도로 분주한 뒤, 10% FBS/DMEM 배지로 24시간 배양시킨 다음 serum free 배지로 단계적으로 희석한 시료를 가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을 가지고 Procollagen Type C-peptide EIA kit(Takara, Japan)를 이용하여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먼저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 100 μl를 각 well에 첨가하고, Sample이나 standard를 20 μl씩 넣은 뒤 잘 섞은 후 37℃ 3시간 반응시킨 후 반응이 끝나면 내용물 내용물을 제거한 뒤 PBS 400 μl로 4번 세척하였다. 제거 후 기질용액 100 μl를 넣고 20~30℃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1N H2SO4 100μl를 첨가하여 발색을 중지시킨 후 shaking하였다.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농도곡선을 작성하여 콜라겐 양을 산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비율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RCB(%) = (A/B) × 100
A : 콜라겐cpm
B : (전체콜라겐cpm - 콜라겐cpm) × 5.4 + 콜라겐cpm
시료명 콜라겐 생합성 비율(RCB)(%)
무처리 대조군 100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중탕추출물
(비교예 1)
110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발효추출물
(비교예 2)
135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발효추출물
(비교예 3)
131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흑효모 복합발효추출물
(실시예 3)
150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크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흑효모 발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은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진피층의 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주름을 예방하며 피부재생을 촉진시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발효시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은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건조 중량비가 1~5:1~5:1~5:1~5:1~5인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발효시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은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30중량%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5.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발효시킨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은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건조 중량비 1:1:2:1:1로 혼합하여 물과 탄소수 1~4의 알코올의 혼합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조성물.
  7.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건조중량비 1~5:1~5:1~5:1~5:1~5로 혼합하고 용매로 추출하여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을 배양하여 MEA배지(Malt Extract Medium)에 접종하고 23~28℃ 진탕 배양기에서 16~20시간 동안 배양한 후 계대 배양하고 상기 배양된 균주를 멸균수로 세척하고 초기 균수를 105 ~ 108cfu/㎖로 조절하여 흑효모 스타터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흑효모 스타터를 총 중량의 3%가 되도록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추출물에 접종한 후 24~26℃에서 60~80시간 호기성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 완료 후 65~80℃에서 8~15분간 가열하여 실화를 유도하고 발효액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효모균을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를 건조중량비 1:1:2:1:1로 혼합하고 용매로 추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흑효모균을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여과 후 저온 숙성 또는 고온 숙성하는 공정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효모균을 이용한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21238A 2015-08-27 2015-08-27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Active KR101566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38A KR101566320B1 (ko) 2015-08-27 2015-08-27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38A KR101566320B1 (ko) 2015-08-27 2015-08-27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320B1 true KR101566320B1 (ko) 2015-11-05

Family

ID=5460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238A Active KR101566320B1 (ko) 2015-08-27 2015-08-27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32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01B1 (ko) 2016-06-08 2017-02-10 주식회사 차밍코스메틱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058066A1 (fr) * 2016-11-03 2018-05-04 Mayor In-Vivo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a base de eriobotrya japonica fermente ayant une action anti-age global de prevention de la sarcopenie et du vieillissement de la peau
CN111012700A (zh) * 2018-10-09 2020-04-17 百岳特生物技术(上海)有限公司 凉薯发酵物及其用于制备提升基因表现量、以及降低皮肤黑色素含量的组合物的用途
JP2020200255A (ja) * 2019-06-07 2020-12-17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皮膚化粧料
KR20210013501A (ko) 2019-07-26 2021-02-04 주식회사 크릴랜드 피부 보호효과를 갖는 비파나무 잎 미네랄당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708590A (zh) * 2019-10-24 2021-04-27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促进艾克曼嗜黏蛋白菌生长的组合物及其用途
KR20220068350A (ko) 2020-11-19 2022-05-26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파나무 잎 및 녹차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a 차단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7097A (ko)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크릴랜드 비파엽 및 가지의 혼합숙성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37801A (ko) 2021-09-10 2023-03-17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887B1 (ko) 2014-07-09 2014-11-12 씨앤텍 주식회사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887B1 (ko) 2014-07-09 2014-11-12 씨앤텍 주식회사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01B1 (ko) 2016-06-08 2017-02-10 주식회사 차밍코스메틱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058066A1 (fr) * 2016-11-03 2018-05-04 Mayor In-Vivo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a base de eriobotrya japonica fermente ayant une action anti-age global de prevention de la sarcopenie et du vieillissement de la peau
CN111012700A (zh) * 2018-10-09 2020-04-17 百岳特生物技术(上海)有限公司 凉薯发酵物及其用于制备提升基因表现量、以及降低皮肤黑色素含量的组合物的用途
CN111012700B (zh) * 2018-10-09 2023-02-17 百岳特生物技术(上海)有限公司 凉薯发酵物及其用于制备提升基因表现量、以及降低皮肤黑色素含量的组合物的用途
JP2020200255A (ja) * 2019-06-07 2020-12-17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皮膚化粧料
KR20210013501A (ko) 2019-07-26 2021-02-04 주식회사 크릴랜드 피부 보호효과를 갖는 비파나무 잎 미네랄당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708590A (zh) * 2019-10-24 2021-04-27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促进艾克曼嗜黏蛋白菌生长的组合物及其用途
CN112708590B (zh) * 2019-10-24 2024-05-10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促进艾克曼嗜黏蛋白菌生长的组合物及其用途
KR20220068350A (ko) 2020-11-19 2022-05-26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파나무 잎 및 녹차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a 차단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7097A (ko)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크릴랜드 비파엽 및 가지의 혼합숙성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37801A (ko) 2021-09-10 2023-03-17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나무 잎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723526B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KR101319990B1 (ko) 천문동 및 마카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4412B1 (ko) 혼합 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6043A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B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CN115137673A (zh) 一种发酵类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14344B1 (ko) 발효보리, 발효배즙, 발효콩 및 발효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0376A (ko) 꽃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7A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90071883A (ko) 빌베리열매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4951A (ko)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326102B1 (ko) 홍국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4428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67287A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4621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29585B1 (ko)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9520A (ko) 대나무수액의 균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