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5356B1 -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356B1
KR101985356B1 KR1020120085102A KR20120085102A KR101985356B1 KR 101985356 B1 KR101985356 B1 KR 101985356B1 KR 1020120085102 A KR1020120085102 A KR 1020120085102A KR 20120085102 A KR20120085102 A KR 20120085102A KR 101985356 B1 KR101985356 B1 KR 101985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extract
composition
fermented soybean
hair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666A (ko
Inventor
심진섭
박준성
강영규
황경환
박준호
염명훈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85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3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3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따르면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세포 재생 촉진 효과, 상처 치유 효과,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 효과, 탈모 예방 효과, 비듬 방지 효과, 모발의 광택 및 부드러움의 개선 효과, 육모 효과 및 백모 방지 효과 등을 제공하여 다양한 용도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모발용 조성물을 화장품 내지 의약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FERMENTED SOYBEAN EXTRACT}
본 발명은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세포 재생 촉진, 상처 치유 촉진, 아토피 개선, 탈모 예방, 비듬 방지, 모발의 광택 및 부드러움의 개선, 육모 및 백모 방지 효능의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 체내의 제 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과도한 물리적·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영양결핍 등은 피부의 정상적인 기능을 저하시키고, 탄력 손실, 각질화, 주름생성 등의 피부노화 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종래 각종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활성물질들이 강화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효능이 미진하거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근 미용을 중시하는 경향이 높아짐에 따라 개성 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한 많은 사람들이 염모제, 퍼머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민감성 두피의 경우 이러한 염색,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로 인해 두피의 가려움이나 따가움과 같은 자극 및 염증이 유발되기도 하며, 이러한 자극과 염증은 환경적 탈모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모발과 두피는 신체의 일부분으로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처럼 노화가 진행되며, 그에 따른 다양한 변화와 문제점들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효능이 우수하고 피부 안정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다양한 염모제, 퍼머제 등의 사용으로 인한 두피 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고 유해 환경 등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며 모근을 강화하고 탈모를 방지하며 두피의 노화를 막고 모발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11751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을 발효시킨 후 추출한 것, 콩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발효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함으로써 피부, 두피, 모발 개선 효과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효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콩 추출물은 콩을 발효시킨 후 추출한 것, 콩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콩 추출물의 발효는 자연발효, 균발효 및 염장발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콩 추출물은 물,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서 10 내지 90℃ 하 4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 재생 촉진, 상처 치유 촉진, 아토피 개선, 탈모 예방, 비듬 방지, 모발의 광택 및 부드러움의 개선, 육모 및 백모 방지의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게나제 생성 억제에 의한 피부 세포 재생 촉진의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증식 촉진에 의한 피부 세포 재생 촉진, 비듬 방지 및 육모의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촉진에 의한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ITF 및 티로시나제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따르면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세포 재생 촉진 효과, 상처 치유 효과,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 효과, 탈모 예방 효과, 비듬 방지 효과, 모발의 광택 및 부드러움의 개선 효과, 육모 효과 및 백모 방지 효과 등을 제공하여 다양한 용도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모발용 조성물을 화장품 내지 의약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발효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콩 추출물은 콩을 발효시킨 후 추출한 것, 콩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효라 함은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 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는 통상적인 발효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연발효, 균발효 및 염장발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발효에 이용되는 미생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비병원성 미생물, 효모 또는 건조효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콩을 발효시킨 후 추출한 발효콩 추출물은 예를 들어, 콩을 자연발효, 균발효 또는 염장발효시킨 후 발효콩으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것이다. 추출물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물 또는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10 내지 90℃에서 4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콩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콩 추출물은 예를 들어,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콩 추출물을 추출하고 추출한 콩 추출물을 자연발효, 균발효 또는 염장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콩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물 또는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10 내지 90℃에서 4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형성분을 잘게 세절한 다음 물,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거나 건조, 감압증류 및 동결건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용매를 제거한 건조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 과정 중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정제방법, 예를 들면, 여과, 재결정 및 다양한 종류의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을 통하여 정제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발효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발효콩 추출물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피부 세포 재생 촉진 효과, 상처 치유 효과,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 효과, 탈모 예방 효과, 비듬 방지 효과, 모발의 광택 및 부드러움의 개선 효과, 육모 효과 및 백모 방지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99중량% 초과이면 피부 및 모발에 도포하기 위한 외용제를 만들기 위해서 포함되는 제형원료의 함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도포의 용이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발효콩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고, 피부, 두피, 및 모발에 다양하고 우수한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세포 재생 촉진, 상처 치유 촉진, 아토피 개선, 탈모 예방, 비듬 방지, 모발의 광택 및 부드러움의 개선, 육모 및 백모 방지의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콜라게나제 생성 억제에 의한 피부 세포 재생 촉진의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시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세포 증식 촉진에 의한 피부 세포 재생 촉진, 비듬 방지 및 육모의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한 시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상 섬유아세포의 세포증식에 의하여 피부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 DPC)의 세포증식에 의하여 육모를 촉진시킬 수 있다. 모유두 세포는 모낭의 기저부에 존재하는 세포로, 모낭을 구성하는 세포들에게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의 성장과 모낭 주기 조절을 담당한다. 따라서 모유두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면 모발이 건강해지고 모발 성장이 촉진되며 탈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섬유아세포의 세포증식에 의하여 비듬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촉진에 의한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MITF 및 티로시나제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한 시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외부, 예를 들어 피부, 두피, 모발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이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및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에멀젼, 연고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과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형태로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미만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는 상기 조성물 1㎍/kg 내지 200mg/kg, 바람직하게는 50㎍/kg 내지 50 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및 밀크로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젤,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이 상기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부작용 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될 때 분포되기 용이하도록, 희석제, 분산제 또는 담체로서 작용하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수중유형(oil-in-water, O/W) 유화액이고, 유화액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부형제의 80 중량% 이상으로 함유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화장 보조제들, 이를테면 지방물질, 유기용매, 규소, 농후제, 연화제, 보충적인 태양광선 차단제, 발포억제제, 보습제, 향료, 보존제, 표면활성제, 총전재, 봉쇄제,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혹은 양쪽성 중합체들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 추진제, 염기화 작용제 또는 산성화 작용제, 염료, 안료 혹은 나노안료(nanopigment) (특히, 자외선조사를 물리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광보호 효과를 보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 또는 화장품에서 통상 사용되는, 특히 태양 광선 차단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타 여러 가지 성분들을 포함할 수가 있다.
유기용매들 중에서는, 저급알코올 및 폴리올, 이를테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및 솔비톨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지방물질은 오일이나 왁스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 지방산,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알코올, 페트롤라텀, 파라핀, 라놀린, 수소화라놀린 또는 아세틸화라놀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일은 동물성, 식물성, 광물성 또는 합성오일로, 특히 수소화팜유, 수소화피마자유, 액체페트롤라텀, 액체파라핀, 푸르셀린유(purcellin oil),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유 그리고 이소파라핀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 중 모발용 조성물은, 머리감기 전후, 염색 혹은 탈색(bleaching)전후, 웨이브퍼머 혹은 스트레이트 퍼머 동안이나 전후에 사용될 수 있고, 스타일링 혹은 트리트먼트용 로션이나 겔, 드라이어용 혹은 모발세터용 로션이나 겔, 헤어래커(hair lacquer)나 또는 모발의 웨이브 혹은 스트레이트퍼머용 조성물, 모발의 염색 혹은 탈색용 조성물의 형태를 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또는 두피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즉, 기존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일, 향료, 점증제, 분산제, 가용화제,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용도에 따라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효콩 추출물 제조
콩 1.5 kg을 물 2 ℓ에 넣고 중불(60~80℃)에서 1시간 동안 삶았다. 삶은 콩을 건져낸 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식혀주고 식은 콩을 옹기에 넣어 음지에서 상온조건으로 3일간 보관하였다. 이후 콩을 믹서기로 분쇄한 뒤 80% 에탄올 수용액 7 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발효콩 추출물 421 g을 얻었다.
[비교예 1] 콩 추출물 제조
콩 1.5 kg을 믹서기로 분쇄한 뒤 80% 에탄올 수용액 7 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콩 추출물 343 g을 얻었다.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2]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조성물을 화장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발효콩 추출물 및 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명시된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제형예1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발효콩 추출물 0.1 - -
콩 추출물 - 0.1 -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 올레이트 & 프로필렌 글리콜 1.50 1.50 1.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시험예 1] 인체에서 아토피 증상 개선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1 및 비교제형예 1, 2에서 제조된 크림을 패널들에게 적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정도를 평가하였다. 비슷한 정도의 증상을 나타내는 피부염 증상이 있다고 생각하는 패널 15명에 대하여, 각 조 5명씩 3개조로 나누어, 온도 24~26℃, 습도 75% 조건에서 하기 표 2의 각 조성물을 매일 2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을 "소양감", "건조함", "각질 발생", "비듬", "홍반", "부어오름", "피부균열", "진물과 습진" 및 "태선화"로 나누고, 상기 증상이 있는 경우 각각의 증상에 대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한 후 이를 평균 하여 아토피 증상 개선효과를 개인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도포군(응답자수-명) 제형예1 비교제형예1 비교제형예2
현저히 개선 4 1
개선 1 2
변화없음 2 5
악화
상기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비교제형예2에 비해 기존의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더욱 개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발효콩 추출물은 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보다 기존의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이 더욱 개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콜라게나제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콩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collagenase) 생성 억제능을 콩추출물(비교예1), 토코페롤(비교예 2) 및 EGCG(비교예 3)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토코페롤 및 EGCG는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웰(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의 발효콩 추출물 100ug/ml농도, 비교예1의 콩 추출물 100ug/ml농도, 토코페롤 및 EGCG 각각을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콜라게나제 측정기구 (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의 콜라게나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웰 플레이트 (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 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 (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띠게 되는데, 반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노란색을 띠는 96-웰 플레이트 (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처리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콜라게나아제 발현 정도(%)= A/B × 100
A: 상기 시험물질 처리 세포군의 흡광도
B: 대조군의 흡광도
시험물질 콜라게나제 발현 정도(%)
비처리군 100
콩 추출물 (비교예 1) 86
토코페롤(비교예 2) 76
EGCG(비교예 3) 59
발효콩 추출물 61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콩 추출물은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보다도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발효콩 추출물은 콩추출물에 비하여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세포 증식 증가 효과
피부 재생 효과로써 피부세포(Skin cell) 증식효과를 보기 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디엠이엠(DMEM :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발효콩 추출물 및 콩추출물을 최종농도 100 μg/ml이 되도록 조정한, 혈청이 없는 디엠이엠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3-(4,5-디메틸씨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MTT: (3-(4,5-dimdimeth-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 5mg/ml) 10㎕씩 첨가하고 4시간 방치 후, 배지 부분을 버렸다. 각 웰당 100㎕의 디메틸 설폭사이드 용액을 가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의 시험을 실시하여 하기 수학식 2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구해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세포증식 효과(%) =
Figure 112012062168640-pat00001
세포 재생 효과
시험물질 흡광도(570nm) 세포증식효과(%)
대조군 (μg/ml) 0.300 -
발효콩 추출물 (100 μg/ml) 0.475 58.3
콩 추출물 (100 μg/ml) 0.321 7.0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콩 추출물은 정상 섬유아세포의 세포증식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효콩 추출물은 콩 추출물에 비하여 세포 증식 효과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3, 4]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와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를 정제수에 첨가하여 80℃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교반하에 40℃까지 서서히 냉각시키고, 상기 혼합물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과 방부제, 점도조절제, 향료, 모발 컨디셔닝제를 투입하여 혼합한 후, 교반하에 실온까지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성분 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라우릴황산암모늄 10 10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5 5 5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2 2 2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5 1.5 1.5
코코일 모노에탄올아미드 0.8 0.8 0.8
발효콩 추출물 5.0 - -
콩 추출물 - 5.0 -
폴리쿼터늄-10 0.2 0.2 0.2
청색1호 0.0002 0.0002 0.0002
황색4호 0.0001 0.0001 0.0001
메틸파라벤 0.1 0.1 0.1
향료 0.8 0.8 0.8
구연산 0.1 0.1 0.1
디메치콘 1.0 1.0 1.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4] 항비듬력 평가
상기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3, 4의 항비듬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시험 균주로는 비듬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ae (ATCC 12078))를 사용하였다. 항균력 측정방법은 피부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였다. 피부 디스크 확산법(skin disc diffusion method; SDDM)은 소비자의 사용습관에 가장 근접한 방법으로, 사람 피부와 유사한 기니픽(guinea pig)의 피부를 대상으로 항균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기니픽 피부(guinea pig skin)를 벗긴 후 70% 에탄올을 처리하여 균일하게 펴 말린 후, 일정 크기로 절단된 피부 디스크를 사용하였다. 멸균 처리된 피부 디스크를 샴푸 희석용액에 3분 동안 담궈 두었다가, 흐르는 물로 세정하였다. 그런 다음, 피부 디스크를 시험균이 접종된 고체배지 위에 올려놓은 후 시험균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균의 증식이 억제된 투명대(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치는 3회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으로 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항비듬력 평가
구분 억제대 크기(mm)
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비듬균 억제환 크기 3.2 0.5 0
상기 표 6를 보면, 발효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4의 경우에는 비듬균 감소 효과가 없으나,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2의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비듬균을 감소시켰다. 또한 콩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3의 경우보다 비듬균 감소효과가 뛰어났으므로 우수한 항비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비듬감소 효과 시험
비듬이 비교적 많은 19~35세의 남성 36명을 선정하여 각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3, 4의 샴푸에 대하여 12명씩 3개 그룹으로 1개월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게 한 후 비듬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보통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세발 후 2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각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3, 4의 샴푸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종료 후 2일간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 장치로써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하여, 하기 수학식 3에 의거하여 비듬 감소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3]
Figure 112012062168640-pat00002
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비듬감소율(%) 88.87 31.99 0.7
93.02 33.48 -0.5
73.21 26.35 -1.1
98.00 35.28 1.5
94.68 34.08 2.2
85.07 30.62 1.3
78.30 28.18 6.3
75.22 27.07 3.6
89.22 32.11 3.3
93.25 33.57 4.6
88.27 31.77 3.7
79.25 28.53 4.2
비듬감소율(%, 평균값) 86.4 31.09 2.5
SD 8.14 2.93 2.2
상기한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2의 경우 우수한 비듬방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콩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3에 비하여 더 우수한 비듬방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두피 가려움증 방지 효과 시험
비교적 두피 가려움을 심하게 느끼는 25세~45세의 남녀 24명을 선정하여 8명씩 3개 그룹으로 나누어 각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3, 4의 샴푸를 3일에 1회씩 2주간 사용하게 한 후 두피 가려움 방지 효과를 하기 평가기준을 통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매우 우수하다 - 5점
우수하다 - 4점
보통이다 - 3점
불량하다 - 2점
매우 불량하다 - 1점
구분 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두피의 가려움증 제거효과 4.4 2.8 2.3
상기한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콩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2의 경우가 두피 가려움증을 방지하는데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콩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3 보다 발효콩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이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모낭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 단백질은 모근부 케라틴형성세포 (keratinocyte)에서 생성되며, 이 케라틴형성세포는 모유두 세포로부터 분화된다. 본 조성물의 모유두 세포를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DP6(rat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 세포주를 사용하였다(Wendy Filsell, Journal of Cell Science 107, 1761-1772 (1994)). 본 모유두 세포주는 수컷 PVG 래트 수염의 모근에서 현미해부(microdissection) 방법으로 분리하여 배양한 세포주이며, 10%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에서 5% CO2, 37℃가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P6을 96 웰 플레이트에 넣고 24시간 동안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본 발효콩 추출물을 각각 10ppm, 50ppm및 100pp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약물 처리 24시간 경과 후에 WST-1 키트(Roche)를 사용하여 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세포 증식능(%)
무처리 대조군(Control) 100
발효콩 추출물(10ppm) 112
발효콩 추출물(50ppm) 127
발효콩 추출물(100ppm) 148
콩 추출물(10ppm) 101
콩 추출물(50ppm) 103
콩 추출물(100ppm) 111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모유두 세포의 증식이 증가하며, 이는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차있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콩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발효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가 더 뛰어난 모유두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8] 칼륨 이온 채널 활성 증가 효과 평가
탈모 치료제인 미녹시딜은 잠재적인 미토콘드리아 칼륨 이온 채널 오프너(KATP channel opener)로 알려져 있으며, 안드로겐성 탈모의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이다. 이러한 미녹시딜의 기작을 평가하기 위해서 두피의 진피를 구성하는 섬유아 세포에서 KATP 채널을 막는 톨부타미드(SIGMA AlDRICH, T0891)를 처리하여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다시 칼륨 이온 채널을 열어 세포증식이 회복되는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본 조성물의 KATP 채널 오프너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섬유아세포주인 NIH3T3(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line)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본 세포주는 NIH 스위스 마우스 배아(Swiss mouse embryo)에서 분리한 섬유아 세포주를 3T3 프로토콜로 자연 불멸화시킨 세포주이다. 상기 세포주는 10% FBS가 함유된 DMEM(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에서 5% CO2, 37℃가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NIH3T3을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24시간 동안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2.5mM 톨부타미드를 처리하고, 10분 뒤에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 10μM과 발효콩 추출물 및 콩 추출물을 각각 10ppm, 50ppm 및 100ppm의 농도로 처리하며, 약물 처리 48시간 경과 후에 WST-1 키트(Roche)를 사용하여 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세포 증식능(%)
무처리 대조군(Control) 100
미녹시딜 133
발효콩 추출물(10ppm) 114
발효콩 추출물(50ppm) 123
발효콩 추출물(100ppm) 135
콩 추출물(10ppm) 102
콩 추출물(50ppm) 105
콩 추출물(100ppm) 115
상기 표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섬유아 세포의 증식이 회복되고, 세포 증식능이 처리한 발효콩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삼으로 알 수 있으며, 발효콩 추출물을 100ppm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미녹시딜 수준으로 섬유아 세포의 증식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콩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발효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가 더 뛰어난 섬유아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형예 3 및 비교제형예 5, 6]
하기 표 11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크림기재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배합성분 제형예 3 비교제형예 5 비교제형예 6
Labrafac 23 23 23
Tween 80 10.5 10.5 10.5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4.0 4.0 4.0
스테아르산 7.0 7.0 7.0
세틸 알코올 2.0 2.0 2.0
프로필렌 글리콜 9.0 9.0 9.0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 3.5 3.5 3.5
발효콩 추출물 1 - -
콩 추출물 - 1 -
40 41 41
[시험예 9] 발효콩 추출물의 양모 효과
ICR 마우스의 등의 털을 제모기로 제모한 후, 제모크림(비트크림)을 사용하여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대조군(normal군)을 제외한 다른 3개 군에 대해 1% DNCB로 200㎕씩 피부에 1일1회 도포하여 피부 염증을 3일간 유도 시켰다. 이 방법으로 피부염증을 유발함으로써 피부내 스트레스 조건을 설정하여 털의 생장을 최대로 저하시키고, 본 발명 조성물의 모발 재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발효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기 제형예 3 및 비교제형예 5, 6의 크림을 처치하며, 처치일수에 따른 발모된 털의 길이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처치일수(일) 털 길이(cm)
제형예 3 처치 비교제형예 5 처치 비교제형예 6 처치
0 0.1 0.1 0.1
6 0.2 0.1 0.1
9 0.5 0.2 0.1
12 0.9 0.3 0.1
상기 표 12를 보면, 제형예 3의 크림기재를 처치한 군의 털의 길이는 비교제형예 6의 크림기재를 처치한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고, 처치 일수에 따라 길이가 증가하여 제12일째 되는 날의 경우 약 0.9cm 정도가 되어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6의 크림기재를 처치한 군에 비하여 제형예 3의 크림기재를 처치한 군의 털의 길이가 더 길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콩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5의 크림 기재를 처치한 군에 비하여 털의 길이가 더 길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발효콩 추출물이 피부 스트레스 하에 형성된 모발 재생억제 조건하에서도 모발 재생을 촉진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발효콩 추출물은 스트레스 하에서 탈모된 모발에 대한 재생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0] 발효콩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 시험
RPMI 배지에 5%의 우태아혈청, 100IU의 페니시린G 및 0.2μM의 TPA를 첨가한 배지에 멜라닌 세포(melan-a)를 24웰플레이트(24-well microtiter plate)에 50,000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다음날 분주된 세포에 시험 물질로서 발효콩 추출물 또는 콩 추출물을 최종농도 10ppm 또는 50ppm으로 처리하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0.1% DMSO를, 양성 대조군으로는 100μM IBMX를 처리한 후에 37℃ 온도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PBS로 웰을 씻어주고 1N NaOH를 100㎕씩 넣은 후 세포 안의 멜라닌을 용해시켰다. 용해된 멜라닌의 흡광도를 평판배양측정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다. 발효콩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는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시료 멜라닌 합성양(%)
DMSO(0.1%) 100
IBMX(100μM) 120
발효콩 추출물(10ppm) 110
발효콩 추출물(50ppm) 123
콩 추출물(10ppm) 101
콩 추출물(50ppm) 109
상기 표 13을 보면, 발효콩 추출물이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합성을 촉진시켜 멜라닌 생성이 늘어나, 우수한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콩 추출물 보다 발효콩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가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1] 발효콩 추출물의 멜라노사이트에서의 MITF 및 티로시나제(tyrosinase) 발현 촉진 효과
501mel 세포주를 이용하여 6웰플레이트(6-well microtiter plate)에 500,000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고, 각공에 음성 대조군으로는 DMSO 0.1%, 양성 대조군으로는 IBMX 100μM, 그리고 시험군으로는 발효콩 추출물 또는 콩 추출물을 10ppm으로 처리하여, 37℃ 온도에서 24시간, 48시간,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단백질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단백질에 대하여 MITF 및 티로시나제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랏을 하였다. 단백질 추출과 웨스턴 블랏은 통상적으로 당업자가 사용하는 표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웨스턴 블랏 후 그 결과를 음성 대조군을 100으로 하고 이 값과 비교하여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MITF 티로시나제
IBMX 발효콩 추출물 콩 추출물 IBMX 발효콩 추출물 콩 추출물
24hr 98 99 99 160 149 101
48hr 121 110 103 149 157 106
72hr 224 123 109 298 191 110
상기 표 14을 보면, 발효콩 추출물은 멜라노사이트에서 MITF와 티로시나제 단백질 발현을 상승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콩 추출물은 콩 추출물에 비하여 MITF와 티로시나제 단백질 발현 효과가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2] 백모 발생이 촉진된 백반증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 내 발효콩 추출물의 백모 방지 및 흑모 유발 효능 평가
백반증 마우스(C57bl/6-Mitfmi-vit)는 미국의 The Jackson Lab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백모발생이 촉진된 마우스를 이용한 백모 방지 물질 효과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12주령된 마우스의 등쪽 털을 털뽑기(depilation)로 제거하였다. 단, 털을 제거하는 부위의 넓이는 각 개체마다 동일하게 조절하였다. 털을 뽑은 다음날부터 하루에 두 번씩 백모 방지 물질들을 털을 뽑은 부위에 발라주었다. 백모 방지 물질의 운반체(vehicle)로는 EtOH:1,3-BG:DW = 3:2:5(부피비)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상기 운반체를 음성 대조군으로, 여기에 IBMX 50mM를 첨가한 액을 양성 대조군으로, 그리고 발효콩 추출물 또는 콩 추출물을 2.5% 첨가한 액을 시험군으로 사용하였다. 약 3주가 지난 후 각 물질들 간의 백모 방지 효능 차이가 육안으로 식별되면, 새로 자라난 털들을 수집하고 모발 내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다. 모발 내 멜라닌 양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에스페라제(Esperase, Novozym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버퍼(50mM Tris-HCl, 5mM DTT, pH 9.3)에 에스페라제를 1NPU/ml의 농도가 되게 녹여서 반응버퍼를 제조하였다. 반응버퍼 1ml에 마우스 모발 5mg을 넣고 37℃에서 1,000rpm의 속도로 흔들어 주면서 1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순간적인 원심 분리로 모발과 반응액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반응액을 96 웰플레이트에 담고, 40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면 반응액 내의 멜라닌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백모 박생이 촉진된 백반증 마우스 모델에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시험군 물질을 처리하였을 경우, 그 효능을 육안 관찰 및 모발 내 멜라닌 정량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음성 대조군 IMBX 발효콩 추출물 콩 추출물
대조군에 대한 % 100 105.9 108.2 102.4
상기 표 15에 의하면, 발효콩 추출물은 백모 발생이 촉진된 마우스 생체 내에서 백모를 억제해주고 모발 내 멜라닌 양을 증가시켜 흑모 유발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콩 추출물에 비하여 발효콩 추출물의 흑모 유발 촉진 효능이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발효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탈모 예방, 비듬 방지, 모발의 광택 및 부드러움의 개선, 육모 및 백모 방지 중 하나 이상을 용도를 갖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콩 추출물은 콩을 발효시킨 후 추출한 것, 콩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콩 추출물의 발효는 자연발효, 균발효 및 염장발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콩 추출물은 물,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서 10 내지 90℃ 하 4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증식 촉진에 의한 비듬 방지 및 육모의 효능을 가지는 것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촉진에 의한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능을 가지는 것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및 티로시나제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인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85102A 2012-08-03 2012-08-03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ctive KR101985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102A KR101985356B1 (ko) 2012-08-03 2012-08-03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102A KR101985356B1 (ko) 2012-08-03 2012-08-03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666A KR20140018666A (ko) 2014-02-13
KR101985356B1 true KR101985356B1 (ko) 2019-06-04

Family

ID=5026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102A Active KR101985356B1 (ko) 2012-08-03 2012-08-03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643B1 (ko) 2017-04-28 2019-04-24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손상 모발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8954B1 (ko) 2017-11-17 2019-11-08 (주)제니트리 피부미용제용 피부 세포 활성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제
KR102117218B1 (ko) * 2018-01-18 2020-06-01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CN110755472A (zh) * 2019-09-24 2020-02-07 萧敬皇 用于皮肤伤口愈合之大豆酦酵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95754B1 (ko) * 2020-04-06 2021-08-31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콩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근강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90B1 (ko) 2009-04-24 2012-11-28 (주)아모레퍼시픽 발효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
KR101205031B1 (ko) * 2010-01-04 2012-11-26 김영철 대두 메탄올을 이용한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제재
CN105362151A (zh) * 2010-03-31 2016-03-0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香豆雌酚或包含香豆雌酚的豆提取物的、用于皮肤护理的化妆品组合物
KR101790185B1 (ko) * 2010-09-13 2017-10-26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콩 추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666A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93527B (zh) 含有来自水耕栽培人参的人参皂苷f2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101928797B1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3010168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1985356B1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75966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137328A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2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0095A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230201097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ir graying, and use thereof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7898656B (zh) 含有人参皂苷rf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102789350B1 (ko) 종지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모근개선과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외용제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5927A (ko)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9113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1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77803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7500B1 (ko) 육모용 조성물
JP3542700B2 (ja) 頭部用組成物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7845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6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