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6449B1 - 클렌징 시트 - Google Patents

클렌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449B1
KR101786449B1 KR1020167002524A KR20167002524A KR101786449B1 KR 101786449 B1 KR101786449 B1 KR 101786449B1 KR 1020167002524 A KR1020167002524 A KR 1020167002524A KR 20167002524 A KR20167002524 A KR 20167002524A KR 101786449 B1 KR101786449 B1 KR 10178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mass
composition
emulsion
polyoxyethyle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094A (ko
Inventor
도시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16002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4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도가 비교적 낮음에도 불구하고,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뛰어나고, 또 현격히 뛰어난 클렌징력을 발휘할 수 있는 클렌징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는 시트 기재와,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구비하고,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와, 유제를 함유하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1000mPa·s 이하이다.

Description

클렌징 시트{CLEANSING SHEET}
본 발명은 시트 기재(基材)에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클렌징 시트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등을 제거하기 위해 클렌징용 조성물을 이용한 클렌징용 화장료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근년, 간편하고 또 재빨리 메이크업을 제거하기 위해 클렌징용 조성물을 시트 기재에 함침시킨 클렌징 시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 상기 클렌징용 조성물로는 유화물(乳化物)이 아닌 액상 조성물 및 유화 조성물 등이 존재한다.
상기 클렌징용 시트 화장료는,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5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수중유형(水中油型) 유화 조성물을 부직포에 함침시킨 시트상(狀) 클렌징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A) 프로필렌옥시드 부가 몰수 3 이상의 폴리옥시프로필렌 구조를 갖고, 탄소 원자수 4 이상의 알킬기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 구조를 갖지 않는 수용성 화합물 (a)를 1~25 질량% 포함하는 수상(水相)과, (B) 1013.25hPa에 있어서의 비점이 160~300℃인 유제(油劑) (b)를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유상(油相)과, (C) 소수부(疏水部)를 갖는 수계 증점제 0.01~1 질량%를 함유한다. 상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서는 (A) 수상과, (B) 유상의 질량비((A):(B))가 97:3~40:60 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25℃에서의 점도가 200~4000mPa·s 이고, 또한 50℃에서의 점도가 100~2000mPa·s인 에멀전 화장료를 시트 기재에 함침시킨 클렌징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상기 에멀전 화장료로서 유제 10~80 중량%와, 물 10~80 중량%와, 계면활성제 0.5~10 중량%를 포함하는 에멀전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실시예에서는, 점도가 비교적 높고, 25℃에서의 점도가 1100~1500mPa·s인 에멀전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비교예에서는, 점도가 비교적 낮고, 25℃에서의 점도가 150mPa·s인 에멀전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는, 25℃에서의 점도가 150mPa·s 이면, 액(液) 안정성 및 함침 시트 안정성이 나빠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25℃에서의 점도가 200mPa·s 이하인 에멀전 조성물을 시트 기재에 함침시킨 시트상 클렌징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에멀전 조성물은 (A) 인지질류 0.1~3 질량%와, (B) 액상 유분 0.1~15 질량%와, (C) 다가 알코올 1~25 질량%와, (D) 물 40~85 질량%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3의 실시예에서는, 점도가 비교적 낮은 에멀전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지만, 그 에멀전 조성물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하기의 특허문헌 4에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부직포에 함침시킨 시트상 클렌징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수계 증점제 0.01~0.5 질량%와, 비점이 160~300℃인 유제 5~30 질량%와, 물을 포함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5에는, 액상 클렌징제 조성물을 시트 기재에 함침시킨 클렌징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액상 클렌징제 조성물은 유성 성분으로서 (A)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0~50000mPa·s인 유제와, (B)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mPa·s 이하인 유제를 포함한다. 전체 유성 성분에 있어서의 (A)성분과 (B)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은 30 질량% 이상이다.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B)/(A))는 1~5 이다. 또, 특허문헌 5에서는, 상기 액상 클렌징제 조성물이 (C)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3~30 질량%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5-239561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1-302450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3-183126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5-145872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6-306780호 공보
상기 클렌징 시트에서는, 클렌징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제가 배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제를 안정적으로 배합시키기 위해 상기 클렌징 조성물을 유화 상태로 하면, 유제를 배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클렌징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 클렌징용 조성물을 유화 상태로 하면, 클렌징용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상기 시트 기재에 클렌징용 조성물을 균일하게 함침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클렌징용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면, 클렌징용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 시트 기재에 함침되는 여러 가지 클렌징용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클렌징용 조성물에서는, 균일한 함침을 달성하기 위한 낮은 점도와, 높은 보존 안정성과, 높은 클렌징력의 모든 성능을 만족시키는 것에는 이르지 못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비교적 낮음에도 불구하고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뛰어나고, 또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점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시트 기재에 균일하게 함침시킬 수 있음으로써, 현격히 뛰어난 클렌징력을 발휘할 수 있는 클렌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는 시트 기재와,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구비하고,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와, 유제를 함유하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1000mPa·s 이하인 클렌징 시트이다.
상기 유제가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이고, 상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0.01 질량% 이상, 0.2 질량% 이하이며, 상기 유제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다가 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는 시트 기재와, 해당 시트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와, 유제를 함유하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1000mPa·s 이하이기 때문에,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비교적 낮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점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상기 시트 기재에 균일하게 함침시킬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에서는 현격히 뛰어난 클렌징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는 시트 기재와, 해당 시트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에서는,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조성물은 유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와, (C) 유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에서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에서는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는 1000mPa·s 이하이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는 비교적 낮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성이 채용되어 있고,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1000mPa·s 이하이므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상기 시트 기재에 용이하게 또한 균일하게 함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1000mPa·s를 넘으면, 클렌징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기재의 부분에 따라 상기 클렌징용 조성물의 함침량이 변하기 쉽다. 이에 비해,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1000mPa·s 이하인 것에 의해, 클렌징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기재의 전체에 걸쳐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함침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상기의 특정 조성을 가지므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비교적 낮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C) 유제를 포함하는 조성에 있어서,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은 보존 안정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상기의 특정 조성을 가지므로, 클렌징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상기 시트 기재에 균일하게 함침시키는 것은 클렌징력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데에 크게 기여한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는 1000mPa·s 이하이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800mPa·s 이하이다. 상기 점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상기 클렌징용 조성물이 상기 시트 기재에 보다 더 균일하게 함침된다. 상기 점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50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mPa·s 이상이다. 상기 점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보존 안정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상기 점도는, 점도계를 이용해, 25℃에서, No.2 로터를 사용하여 회전 속도 30rpm, 회전 시간 1분간의 조건으로 측정된다. 상기 점도계로는 도키 산교사 제조의 TV-22형 점도계 등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는 화장료, 의약부외품, 또는 의약품으로서 이용되는 클렌징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은 (D)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은 (E)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클렌징 시트 및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각 성분, 그리고 시트 기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보존 안정성이 상당히 높아지고, 또한 클렌징력도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밀랍,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라놀린 및 디메틸라우릴아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본 발명에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중 적어도 1종이 이용된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미리스틴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경우에,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중 적어도 1종이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은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보존 안정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클렌징력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산화에틸렌의 부가 몰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산화에틸렌의 부가 몰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더 양호해진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의 시판품으로는, 아오키 유시 고교사 제조의 시판품인 「브라우논 RGL-5MISE」(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5), 「RGL-8MISE」(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8), 「RGL-10MISE」(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10) 및 「RGL-20MISE」(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20), 그리고 니혼 에멀전사 제조의 시판품인 「GWIS-108」(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8), 「EMALEX GWIS-120」(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20) 및 「EMALEX GWIS-160」(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60) 등을 들 수 있다.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의 시판품으로는, 니혼 에멀전사 제조의 시판품인 「GWIS-210」(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10), 「EMALEX GWIS-220」(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20), 「EMALEX GWIS-230」(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30) 및 「EMALEX GWIS-260」(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6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서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니혼 에멀전사 제조의 시판품인 「HC-20」(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20), 「HC-40」(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40) 및 「HC-100」(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10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에 있어서의 산화에틸렌의 부가 몰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상기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에 있어서의 산화에틸렌의 부가 몰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더 양호해진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에 있어서의 산화에틸렌의 부가 몰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에 있어서의 산화에틸렌의 부가 몰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더 양호해진다.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 값은 바람직하게는 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바람직하게는 1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HLB 값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보존 안정성이 보다 더 양호해진다. HLB 값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클렌징력이 보다 더 높아진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의 합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이다.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클렌징력이 보다 더 높아진다.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보존 안정성이 보다 더 양호해지고, 또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알맞게 낮추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이다.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클렌징력이 보다 더 높아진다.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보존 안정성이 보다 더 양호해지고, 또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알맞게 낮추는 것이 용이해진다.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도 보존 안정성을 높이고, 또한 상기 클렌징 시트의 클렌징력을 높일 수 있다. 즉,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사용에 의해 높은 보존 안정성과 높은 클렌징력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로서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시판품으로는, 루브리졸(LUBRIZOL)사 제조의 시판품인 「PEMULEN TR-1」, 「PEMULEN TR-2」, 「카보폴 1342」, 「카보폴 1382」 및 「ETD202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 이하이다.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보존 안정성 및 클렌징력이 보다 더 높아진다.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클렌징력이 보다 더 양호해진다.
((C) 유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C) 유제를 포함함으로써 클렌징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유제를 안정적으로 배합시키기 위해, 클렌징용 조성물은 유화 조성물이다. (C) 유제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다르고,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와 다르며, (D) 다가 알코올과도 다르다.
(C) 유제로는 탄화수소유, 실리콘유, 유지, 고급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및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C) 유제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면,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스쿠알란, 세레신, 파라핀,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분말(ポリエチレン末), 폴리에틸렌 왁스 및 바셀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유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클렌징력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탄화수소유는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및 유동 이소파라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유는, 스트레이트 실리콘이어도 되고, 변성 실리콘이어도 되며, 환상 실리콘이어도 된다. 상기 스트레이트 실리콘으로는, 예를 들면, 옥타메틸트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 실리콘으로는, 예를 들면, 알코올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및 에폭시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상 실리콘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유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클렌징력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실리콘유는 환상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로는, 예를 들면, 해바라기유, 면실유, 대두유, 올리브유, 야자유, 피마자유, 호호바유, 동백유 및 밍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베헤닌산, 운데실렌산, 라놀린산 및 이소스테아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은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면, 올레인산 에틸,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팔미틴산 세틸, 올레인산 올레일,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올레인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린산 에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 세틸, 2-에틸헥산산 세토스테아릴, 옥탄산 이소세틸, 옥탄산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 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 옥틸도데실, 디올레인산 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릴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릴 및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라놀린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옥틸데카놀 및 데실테트라데카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은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피부 자극을 억제하고, 클렌징력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C) 유제는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의 양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은 탄화수소유와 실리콘유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C) 유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C) 유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클렌징력이 보다 더 높아진다. (C) 유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보존 안정성이 보다 더 양호해진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탄화수소유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실리콘유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의 합계 함유량, 탄화수소유의 함유량, 그리고 실리콘유의 함유량이 각각 상기 하한 이상이면, 클렌징력이 보다 더 높아진다.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의 합계 함유량, 탄화수소유의 함유량 및 실리콘유의 함유량이 각각 상기 상한 이하이면, 보존 안정성이 보다 더 양호해진다.
((D) 다가 알코올)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D) 다가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자극성을 완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소르비톨, 말티톨, 만니톨, 1,2-부탄디올,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헵탄디올, 1,2-옥탄디올, 1,2-노난디올 및 1,2-데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D) 다가 알코올은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이용되어도 된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D)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미사용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D)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피부 자극성이 보다 더 완화된다. (D)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클렌징 후의 상쾌감이 보다 더 양호해진다.
((E) 에탄올)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은 (E)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E) 에탄올을 포함함으로써 방부 효과가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방부 효과를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E) 에탄올의 함유량은 많은 쪽이 좋다. 한편, 피부 자극을 보다 더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E) 에탄올의 함유량은 적은 쪽이 좋다. 특히, 클렌징 시트에서는, 피부 자극은 사용상 큰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E) 에탄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미사용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이다. (E) 에탄올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방부 효과가 보다 더 양호해진다. (E) 에탄올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피부 자극이 보다 더 억제된다.
(물)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잔부(殘部)에는 물이 이용된다. 물은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정제수, 수도수 및 이온교환수 등을 들 수 있다. 물은 정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양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방부제, 청량제, 항산화제, 금속 봉쇄제, 비타민류, 동식물 추출 엑기스, 펄화제 및 착색제 등의 기타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기타 성분은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이용되어도 된다.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아미노산형 양성 계면활성제 및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형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글리신형 양성 계면활성제 및 아미노프로피온산형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및 술포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아민염 및 지방산 아미도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아민염으로는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및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아미도아민으로는,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및 스테아린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α-올레핀술폰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술포숙신산알킬염, 술포숙신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염, 모노알킬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N-아실사르코신염, N-아실-N-메틸-β-알라닌염, N-아실글루타민산염, N-아실글리신염 및 알킬에테르글리콜아세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메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안식향산나트륨, 소르빈산칼륨 및 폴리아미노프로필비구아니드 등을 들 수 있다.
(시트 기재)
상기 시트 기재의 재료는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함침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 화장품으로서 이용되는 시트 기재를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상기 시트 기재로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반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함침성 및 사용감을 보다 더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시트 기재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섬유로는, 면, 펄프, 실크, 셀룰로오스, 마, 린터 및 케이폭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크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천연 섬유로는, 레이온 및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섬유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이용되어도 된다.
상기 시트 기재의 표면은 엠보싱 가공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시트 기재에는 필름 기재가 포함된다.
상기 시트 기재에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이 채용 가능하다.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시키는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양은, 시트 기재 1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7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질량부 이하이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함침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클렌징력이 보다 더 높아진다.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함침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상기 시트 기재에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보다 더 양호하게 함침되어 함침 상태를 보다 더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의 성분을 이용했다.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니혼 에멀전사 제조 「EMALEX GWIS-220」,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20)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니혼 에멀전사 제조 「EMALEX GWIS-230」,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30)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니혼 에멀전사 제조 「EMALEX GWIS-260」,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60)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니혼 에멀전사 제조 「EMALEX GWIS-120」,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20)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니혼 에멀전사 제조 「EMALEX GWIS-160」,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6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니혼 에멀전사 제조 「HC-40」,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니혼 에멀전사 제조 「HC-100」,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100)
((A)'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니혼 에멀전사 제조 「EMALEX GWIS-320」,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20)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니혼 에멀전사 제조 「EMALEX GWIS-108」, 산화에틸렌 부가 몰수: 8)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루브리졸사 제조 「PEMULEN TR-2」)
((B)'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에 유사한 다른 성분)
카르복시비닐폴리머(루브리졸사 제조 「카보폴 981」)
(C) 유제
탄화수소유:
유동 이소파라핀(니치유사 제조 「팔림(Parleam) EX」)
실리콘유: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신에츠 가가쿠 고교사 제조 「KF-955」)
((D) 다가 알코올)
농(濃)글리세린(사카모토 야쿠힝 고교사 제조 「화장용 농글리세린」)
((E) 에탄올)
에탄올(니혼 알코올 한바이사 제조 「95°합성 알코올」)
(기타 성분)
방부제:
메틸파라벤(우에노 세이야쿠사 제조 「멕킨스(Mekkins) M」)
페녹시에탄올(욧카이치 고우세이사 제조 「페녹시에탄올-S」)
중화제:
수산화칼륨
물:
정제수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5)
하기의 표 1, 2에 나타내는 배합 성분을 배합(배합 단위는 질량%)하고, 상법(常法)에 준하여 조제함으로써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얻었다.
시트 기재로서 펄프/레이온(산쇼 시교사 제조 「KP9340」)의 부직포를 준비했다. 상기 시트 기재에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함침시켜 클렌징 시트(시트 화장료)를 얻었다. 또한, 시트 기재 1 질량부에 대해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5 질량부를 함침시켰다.
(시험예 1: 점도 측정)
얻어진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도키 산교사 제조의 TV-22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5℃에서, No.2 로터를 사용해 회전 속도 30rpm, 회전 시간 1분간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시험예 2: 보존 안정성)
얻어진 유화 조성물을 25℃ 및 40℃의 항온항습실에 1주일 보관했다. 보관 후의 유화 조성물의 상태로부터, 보존 안정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보존 안정성의 평가 기준>
○(양호): 균일하다
△(불충분): 약간 불균일한 상태가 인지된다 
×(불량): 뚜렷한 분리가 인지된다
(시험예 3: 클렌징력의 평가)
메이크업을 실시한 여성 전문 패널 20명이, 얻어진 클렌징 시트를 이용해 메이크업을 닦아내어 제거를 실시하고, 클렌징력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클렌징력의 평가 기준>
○○(상당히 양호): 20명 중 16명 이상이 클렌징력이 높다고 회답
○(양호): 20명 중 11~15명이 클렌징력이 높다고 회답
△(불충분): 20명 중 6~10명이 클렌징력이 높다고 회답
×(불량): 20명 중 5명 이하가 클렌징력이 높다고 회답
(시험예 4: 자극 평가)
시험예 3의 클렌징 시에, 눈의 자극이 강한지 여부, 그리고 피부 자극이 강한지 여부를 평가했다. 또, 시험예 3의 클렌징 후, 피부 자극이 강한지 여부를 평가했다.
<자극 평가 기준>
○○(상당히 양호): 20명 중 16명 이상이 클렌징 시의 눈의 자극 및 피부 자극, 그리고 클렌징 후의 피부 자극 모두가 강하지 않다고 회답
○(양호): 20명 중 11~15명이 클렌징 시의 눈의 자극 및 피부 자극, 그리고 클렌징 후의 피부 자극 모두가 강하지 않다고 회답
△(불충분): 20명 중 6~10명이 클렌징 시의 눈의 자극 및 피부 자극, 그리고 클렌징 후의 피부 자극 모두가 강하지 않다고 회답
×(불량): 20명 중 5명 이하가 클렌징 시의 눈의 자극 및 피부 자극, 그리고 클렌징 후의 피부 자극 모두가 강하지 않다고 회답
조성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6009486693-pct00001
[표 2]
Figure 112016009486693-pct00002

Claims (6)

  1. 시트 기재와,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을 구비하고,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와, 유제를 함유하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이고,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1000mPa·s 이하인 클렌징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가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 중 적어도 1종인 클렌징 시트.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 100 질량% 중,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인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이고, 상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0.01 질량% 이상, 0.2 질량% 이하이며, 상기 유제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인 클렌징 시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다가 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하는 클렌징 시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용 유화 조성물이 에탄올을 추가로 함유하는 클렌징 시트.
KR1020167002524A 2014-01-23 2014-09-22 클렌징 시트 Active KR101786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10601 2014-01-23
JP2014010601 2014-01-23
PCT/JP2014/075075 WO2015111249A1 (ja) 2014-01-23 2014-09-22 クレンジング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094A KR20160027094A (ko) 2016-03-09
KR101786449B1 true KR101786449B1 (ko) 2017-10-18

Family

ID=5368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524A Active KR101786449B1 (ko) 2014-01-23 2014-09-22 클렌징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25671B2 (ko)
KR (1) KR101786449B1 (ko)
CN (1) CN105473120B (ko)
WO (1) WO2015111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441B1 (ko) * 2015-11-18 2023-03-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7359568B2 (ja) * 2019-05-16 2023-10-11 株式会社マンダム 乳化クレンジング化粧料
CN118845537A (zh) * 2021-06-07 2024-10-29 花王株式会社 片材状化妆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787A (ja) * 2001-02-27 2002-09-11 Shiseido Co Ltd 皮膚洗浄料
JP2005343943A (ja) * 2004-06-01 2005-12-15 Shiseido Co Ltd 水中油型洗浄剤組成物およびシート状洗浄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032A (ja) * 1994-09-19 1996-04-09 Shiseido Co Ltd 皮膚洗浄料
JP2001002528A (ja) * 1999-06-16 2001-01-09 Pola Chem Ind Inc ふき取りクレンジングシート
JP2001302450A (ja) 2000-04-21 2001-10-31 Kao Corp クレンジング材料
JP4054939B2 (ja) * 2000-05-08 2008-03-05 ライオン株式会社 メイクアップ又は皮脂汚れ除去用顔洗浄用シート
JP2003183126A (ja) 2001-12-20 2003-07-03 Kose Corp シート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3935421B2 (ja) * 2002-11-28 2007-06-2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3789455B2 (ja) 2004-02-24 2006-06-21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クレンジング材
JP4001858B2 (ja) 2003-11-14 2007-10-31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クレンジング材
JP2005239586A (ja) * 2004-02-25 2005-09-08 Pola Chem Ind Inc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05239587A (ja) * 2004-02-25 2005-09-08 Pola Chem Ind Inc 液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06306780A (ja) * 2005-04-28 2006-11-09 Kao Corp 液状クレンジング剤組成物
JP4901464B2 (ja) * 2006-12-28 2012-03-21 高級アルコール工業株式会社 ジエステル及びそれを含む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1173862A (ja) * 2010-02-01 2011-09-08 Lion Corp 皮膚洗浄料組成物
JP5714833B2 (ja) * 2010-03-31 2015-05-07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クレンジングクリーム
KR20140005990A (ko) * 2011-03-03 2014-01-15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6021320B2 (ja) * 2011-12-02 2016-11-09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化粧料
JP5593406B2 (ja) * 2012-02-07 2014-09-24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洗浄料
JP6006152B2 (ja) * 2012-08-24 2016-10-12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クレンジング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787A (ja) * 2001-02-27 2002-09-11 Shiseido Co Ltd 皮膚洗浄料
JP2005343943A (ja) * 2004-06-01 2005-12-15 Shiseido Co Ltd 水中油型洗浄剤組成物およびシート状洗浄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111249A1 (ja) 2017-03-23
CN105473120A (zh) 2016-04-06
WO2015111249A1 (ja) 2015-07-30
KR20160027094A (ko) 2016-03-09
JP6125671B2 (ja) 2017-05-10
CN105473120B (zh)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3252B2 (ja) クレンジングシート及び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KR102028429B1 (ko) 온감 클렌징 화장료
JP5345068B2 (ja) 編織布および紙を仕上げ処理するためのエマルション
KR101947681B1 (ko) 클렌징 화장료 및 시트 제품
JP6460873B2 (ja) 水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BR112017006123B1 (pt) Emulsoes o/a
JP5002434B2 (ja) 乳化型浴用剤組成物
KR101786449B1 (ko) 클렌징 시트
JP6773594B2 (ja) 皮膚化粧料
JP5306099B2 (ja) プレパック用組成物およびパック方法、並びにパック用化粧料セット
JP2012514614A (ja) 自由流動性エマルジョン濃縮物
US10869817B2 (en) Antiperspirant stick compositions
US10596080B2 (en) Oil blend for microemulsions
JP7526022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WO2019074643A1 (en) ANTISUDORIFIC STICK COMPOSITION
JP4045237B2 (ja) 多層化粧料
KR102170742B1 (ko) 피부 화장료
KR20220082876A (ko) 피부외용제
JP7460289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7364362B2 (ja) 毛髪洗浄用組成物、及び毛髪洗浄方法
EP3675803A1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comprising ether oil
JP2021024785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CN118541135A (zh) 用于调理角蛋白纤维的组合物
JP2023004612A (ja) O/wエマルジョン含浸型ふき取りシートクレンジング剤
JP2011207817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