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3305B1 - 치즐 홀더, 및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치즐 홀더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즐 홀더, 및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치즐 홀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305B1
KR101753305B1 KR1020137013629A KR20137013629A KR101753305B1 KR 101753305 B1 KR101753305 B1 KR 101753305B1 KR 1020137013629 A KR1020137013629 A KR 1020137013629A KR 20137013629 A KR20137013629 A KR 20137013629A KR 101753305 B1 KR101753305 B1 KR 10175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hank
longitudinal axis
fastening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134A (ko
Inventor
토마스 레네르트
카르스텐 부르
마르틴 렌츠
키루스 바리마니
귄터 핸
카를 캄메러
베른하르트 디스너
마르쿠스 로쓰
Original Assignee
비르트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0631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5330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0061019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0061019A1/de
Priority claimed from EP11172527.1A external-priority patent/EP2543815B1/de
Application filed by 비르트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르트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5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3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machines for slitting or completely freeing the mineral from the seam, not provided for in groups E21C25/00 - E21C33/00, E21C37/00 or E21C39/00
    • E21C35/18Mining picks; Hold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machines for slitting or completely freeing the mineral from the seam, not provided for in groups E21C25/00 - E21C33/00, E21C37/00 or E21C39/00
    • E21C35/18Mining picks; Holders therefor
    • E21C35/183Mining picks; Holders therefor with inserts or layers of wear-resisting material
    • E21C35/1831Fixing method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machines for slitting or completely freeing the mineral from the seam, not provided for in groups E21C25/00 - E21C33/00, E21C37/00 or E21C39/00
    • E21C35/18Mining picks; Holders therefor
    • E21C35/19Means for fixing picks or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machines for slitting or completely freeing the mineral from the seam, not provided for in groups E21C25/00 - E21C33/00, E21C37/00 or E21C39/00
    • E21C35/18Mining picks; Holders therefor
    • E21C35/19Means for fixing picks or holders
    • E21C35/191Means for fixing picks or holders for fixing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machines for slitting or completely freeing the mineral from the seam, not provided for in groups E21C25/00 - E21C33/00, E21C37/00 or E21C39/00
    • E21C35/18Mining picks; Holders therefor
    • E21C35/19Means for fixing picks or holders
    • E21C35/193Means for fixing picks or holders using bolts as main fixing elements
    • E21C35/1933Means for fixing picks or holders using bolts as main fixing elements the picks having a cylindrical sh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 Knive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치즐 홀더는 적어도 치즐 삽입 단부(14) 방향에서 오픈된 치즐 수용 개구(18)를 갖는 바디존(12)과, 비다존(12)의 지지단부(20)로부터 연장되며 샤프트 종축(LB)을 갖는 체결 샤프트(26)를 구비한다. 체결요소 영향 존(affecting zone)이 체결 샤프트(26)의 일측에 형성되고, 샤프트 종축 방향으로 연장된 전이 존(92)에서 상호 인접하여 상호 경사진 지지면영역들(88,90)을 갖는 지지 존(78)이 체결 샤프트(26)의 제2측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2측은 샤프트 종축에 대해 제1측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상기 치즐 홀더는, 전이 존(92)이 캐비티처럼 디자인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88,90)의 적어도 몇몇 부분들이 샤프트 종축에 대해 체결 샤프트(26)의 기본적인 외측 주변면(94, peripheral surface)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즐 홀더, 및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치즐 홀더 시스템{Chisel holder, and chisel holder system comprising a chisel holder and a base part}
본 발명은 치즐 홀더에 관한 것으로, 치즐 홀더는 치즐 수용 개구를 갖는 바디부와 체결 샹크(fastening shank)를 구비하고, 치즐 수용 개구는 적어도 바디부의 치즐 삽입측 방향으로 오픈되어 있으며, 체결 샹크는 바디부의 지지측(supporting side)으로부터 연장되며 샹크 장축을 갖고, 체결 샹크 상에서 제1측에 체결요소 로딩영역이 형성되고 샹크 종축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한 제2측에 지지면영역들을 갖는 지지영역이 형성되며, 이때 지지면영역들이 샹크 종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전이영역에서 상호 인접하며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치즐 홀더가 DE 10 2004 057 302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공지의 치즐 홀더의 체결 샹크는 평탄화된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된다. 협측(narrow side)으로 형성된 제1측에는 샹크 종축에 대해 기울어진 면으로서 체결요소 로딩영역의 체결요소 로딩면을 제공하는 오목한 곳이 형성된다. 반대쪽인 제2측, 즉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협측인 곳에는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지지면영역들이 제공되는데, 이 지지면영역들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즉 휘어지지 않은 전이면에서 상호 인접하고, 샹크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쐐기 모양의 방식으로 상호 수렴할 수 있다. 상기 두 지지면영역들은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체결요소 로딩면 상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치즐 홀더의 상대지지면영역들 또는 상호 보완적인 상대센터링면들(counterpart centering surfaces)에 프레싱되는 각각의 중심잡기면들(centering surfaces)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체결 샹크에서 발생하는 하중이 감소되거나 최적으로 베이스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치즐 홀더, 및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치즐 홀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즐 수용 개구를 갖는 바디부와 체결 샹크(fastening shank)를 구비하고, 치즐 수용 개구는 적어도 바디부의 치즐 삽입측 방향으로 오픈되어 있으며, 체결 샹크는 바디부의 지지측(supporting side)으로부터 연장되고 샹크 장축을 갖고, 체결 샹크에서 제1측에는 체결요소 로딩영역이 위치하고 샹크 종축에 대해 반대쪽의 제2측에는 샹크 종축 방향으로 연장된 전이영역에서 상호 인접하며 상호 기울어진 지지면영역들을 갖는 지지영역이 위치한다.
전이영역은 오목한 곳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며, 이와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이 형성되는데, 체결 샹크의 메인 외측 원주면 외측으로 샹크 종축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외측인 영역들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공지기술에서 알려진 것과 같은 두 지지면영역들 사이의 제1전이영역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실시예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의 치즐 홀더의 일 관점에 따르면, 움푹한 곳과 같은, 즉 내측으로 오목한 전이영역이 형성된다. 이러한 것이 체결요소에 의해 다른측으로부터 체결요소 로딩영역에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체결 샹크에서의 하중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된 분포에 이르게 한다는 것이, 그리고 밀링 공정 중 체결 샹크에 인접한 바디영역으로부터 체결 샹크에 도입되어 그것의 지지면영역들을 통해 베이스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선택적인 또는 부가적인 본 발명의 치즐 홀더의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이 적어도 영역들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영역의 구성이 체결 샹크 그 자체의 기하학적 구성과 실질적으로 관련 없이 실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또한, 발생하는 하중에 최적화된 조정(optimized adaptation)을 실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지지면영역의 요구되는 정밀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영역에서 치즐 홀더를 기계가공하는 것이 상당히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전이영역은 예컨대 오목한 움푹한 곳으로, 즉 휘어진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스트레스 조건에 대해 최적화된 움푹한 곳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효과가 있는 디자인 변형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이, 그것의 전이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주단 영역으로부터 그것의 전이영역에 인접한 원주단 영역 방향에 있어서, 메인 외측 원주면의 방사방향 레벨(radial level)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을 통해, 기본적으로 상호 기울어진 지지면영역들의 과도한 쐐기작용(wedging action)을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의 그것의 전이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주단 영역으로부터 체결 샹크의 메인 외측 원주면으로의 전이는, 계단과 같은 형상 및/또는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이, 그것의 바디영역에 인접한 축방향 단부영역에서 및/또는 그것의 바디영역에서 먼 축방향 단부영역에서, 메인 외측 원주면으로 계단모양으로 및/또는 휘어진 방식으로 합쳐지도록 함으로써, 치즐 홀더의 단순화된 절삭성(machinability)을 유지하면서도 이 목적을 위해 정의된 방식으로 제공된 영역에 체결 하중이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요소 로딩의 경우 또는 밀링 공정 중 발생하는 힘이 인가되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치즐 홀더 및 체결 샹크의 균일한 하중이, 지지면영역들 및/또는 전이영역이 홀더 중심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 중심 평면은 실질적으로 홀더의 기하학적 중심에 위치한 평면일 수도 있고, 치즐 수용 개구의 종축과 샹크 종축으로 스패닝(spanning)한 것일 수도 있다.
균일한 힘의 분포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이 샹크 종축 주위에서 휘어지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균일한, 즉 실질적으로 원형의 곡률이 제공될 수 있는데, 제조상의 이유로 두 지지면영역들이 동일한 곡률반경 및/또는 곡률중심점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변하는 곡률반경을 가진 곡률이 제공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제1전이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곡률반경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도 있다.
치즐 홀더의 단순한 제조 공정을 담보하기 위하여, 체결 샹크가 그것의 메인 외측 원주면의 영역에 있어서, 둥근, 바람직하게는 원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의 외측 원주 윤곽(outer circumferential contour)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 샹크의 샹크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체결 샹크에 작용하여 바디부에 인접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샹크에 전단하중 및 토션 하중(tortion load)을 인가하는 힘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하여, 치즐 수용 개구의 중심 종축과 샹크 종축이 6° 내지 24°, 바람직하게는 대략 12°의 각도로 상호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밀링 공정 중 치즐에 작용하는 힘이 일반적으로 그것의 종축에 평행하게 오리엔팅되지 않고 따라서 치즐 수용 개구의 종축의 방향으로 오리엔팅되지 않고 오히려 그것에 대해 살짝 기울어진 상태라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상기 각도는 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상기 기울어짐은 치즐 수용 개구의 종축에 대한 샹크 종축의 각이 진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효과적인 측면에 따르면, 체결 샹크가 체결요소 로딩면(80)을 갖는 체결요소 로딩영역(76)을 구비하고, 체결요소 로딩면(80)의 표면 수선(FN)과 샹크 종축(LB)이 5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대략 62.5°의 각도로 상호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샹크 종축에 대한 체결요소 로딩면의 표면 수선의 상기와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각이진 구성의 결과로부터, 체결요소를 통해 체결요소 로딩면 상의 상기 표면 수선의 방향으로 대략적으로 인가된 힘이 샹크 종축에 대해 가능한 한 적게 기울어지도록, 즉 상기 샹크에 대한 하중이 그것의 종축 방향으로 샹크에 가능한 가장 많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샹크에서의 횡방향 하중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한데, 예컨대 스터드 볼트(stud bolt)로 형성된 체결요소의 그러한 오리엔테이션은, 치즐 홀더가 베이스부에 삽입될 시 생성되는 체결 요소와의 맞물림에 의해 담보할 수 있다.
다른 목적에 의하면, 서두에 언급된 목적이 치즐 홀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치즐 홀더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치즐 홀더와, 적어도 상대지지측을 향해 오픈된 체결 샹크 수용 개구와 체결 샹크 수용 개구를 향해 오픈된 체결요소 수용 개구를 가지며 체결요소 로딩영역 상에 하중을 인가하도록 움직여질 수 있는 체결요소가 체결요소 수용 개구에 수용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며, 이때 체결 샹크 수용 개구에, 체결 샹크 수용 개구 종축의 방향으로 연장된 추가 전이영역에서 상호 인접하는 상대지지면영역들을 갖는 상대지지영역이 형성된다.
치즐 홀더와의 힘 전달 상호작용의 최적화는 추가 전이영역(100)이 돌출부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전이영역이 움푹한 곳 예컨대 오목한 윤곽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전이영역에 상호 보완적인 예컨대 볼록한 돌출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 샹크 수용 개구의 영역에서 체결 샹크의 기하학적 구조에 상호 보완적인 표면 디자인을 얻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지지면영역이 적어도 영역들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영역들은 체결 샹크 수용 개구의 메인 내측 원주면 위쪽에서 체결 샹크 수용 개구 종축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내측이다.
치즐 홀더 그 자체의 경우로서, 따라서 베이스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오직 제한된 표면 영역들, 구체적으로 상대지지면영역들이 지지면영역과 상대지지면영역 사이의 매우 정확한 면접촉 피팅(areal fitting)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정밀하게 기계가공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지지면영역이, 적어도 그것의 제2전이영역에 인접한 원주단 영역에서 메인 내측 원주면 위쪽에서 돌출되도록 하고, 그것의 추가 전이영역으로부터 먼 원주단 영역에서 메인 외측 원주면의 방사상의 레벨(radial level)에 접근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대지지면영역이, 그것의 상대지지면측에 인접한 축방향 단부영역에 있어서 및/또는 그것의 상대지지측으로부터 먼 축방향 단부영역에 있어서 계단 형상 및/또는 휘어진 방식으로 메인 내측 원주면으로 합쳐지도록 할 수 있다.
체결 샹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베이스부에, 메인 내측 원주면의 영역 및/또는 상대지지면영역들의 영역에서 체결 샹크 수용 개구가 원형 내측 원주 윤곽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원형인 내측 원주 윤곽의 존재에 기인하여, 체결 샹크 수용 개구가 일반적으로 단주품으로 제조되는 베이스부에 드릴링이나 밀링 프로세스에 의해 상대적으로 쉬운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요소 수용 개구 내부의 평평한 즉 휘어지지 않은 표면 영역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체결 샹크 수용 개구 종축와 체결요소 수용 개구 종축이 5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대략 62.5°의 각도로 상호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체결 샹크에 가해지는 샹크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당히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 샹크에서 발생하는 하중이 감소되거나 최적으로 베이스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치즐 홀더, 및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치즐 홀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도 2의 I 방향에서 바라본 치즐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방향에서 바라본 치즐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 방향에서 바라본 치즐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홀더 중심 평면에서의 치즐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치즐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취한 체결 샹크 영역에서의 치즐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 선을 따라 취한 체결 샹크 영역에서의 치즐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치즐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 방향에서 바라본 치즐 홀더이다.
도 11은 치즐과 치즐 홀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홀더 중심 평면에서의 도 11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로드 밀링 기계의 밀링 롤러용의 치즐 홀더(10)를 도시하고 있다. 치즐 홀더(10)는 바디영역(12)을 구비하는데, 바디영역(12)은 치즐 삽입측(14)에서 바디영역(12)으로부터 연장되는 대략 실린더 형상인 돌출부(16)를 갖는다. 실린더형 돌출부(16)에는 치즐 수용 개구(18)가 형성되는데, 이는 실린더형 돌출부(16)와 전체 바디영역(12)을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치즐 수용 개구는 치즐 삽입측(14)에서 오픈되어 교환가능한 치즐을 수용할 수 있는데, 교환가능한 치즐은 그 내부에서 마찰력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치즐 수용 개구는, 바디영역(12)의 치즐 삽입측(14)의 실질적으로 반대측에 위치한 지지측(20)에서 오픈된다. 상기 지지측으로부터, 마모된 치즐을 치즐 수용 개구(18)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툴(tool)이 삽입되어 이에 따라 치즐을 치즐 개구(18)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바디영역(12)에서는, 지지측(20) 상에 제1지지면영역(22)과 이 제1지지면영역에 대해 각이 진 제2지지면영역(24)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치즐 수용 개구(18)가 제1지지면영역(22)의 영역에서 지지측(20)을 향해 오픈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긴 체결 샹크(26)는 바디영역(1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지지면영역(24)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돌출된다. 체결 샹크(26)는 일반적으로 둥근 형상의, 예컨대 원형 또는 계란형 또는 타원형의 외측 원주 윤곽(outer circumferential contour)을 갖도록 형성된다. 체결 샹크(26)의 구조적인 디자인에 대해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지지면영역(22)은 제1지지면(28)과 제2지지면(30)을 구비한다. 제1지지면영역(22)의 상기 두 지지면들(28,30)은 상호 각이지도록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대칭이도록, 또는 도 4에 도시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홀더 중심 평면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홀더 중심 평면은 예컨대 치즐 수용 개구(18)의 종축(LM)과 체결 샹크(26)의 샹크 종축(LB)으로 스패닝(spanning)한 것일 수도 있다.
제2지지면영역(24) 또한 제1지지면(32)과 제2지지면(34)을 구비한다. 두 지지면들(32,34)은 상호 각이지도록 형성되기에 홀더 중심 평면에 대해 각이지도록 형성되는데, 여기서 홀더 중심 평면에 대한 구성은 제1지지면영역(22)의 두 지지면들(28,30)의 구성에 대응하여 대칭일 수 있다.
선형(linear)이며 바람직하게는 똑바른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전이영역들(36,38)이 제1지지면영역(22)의 제1지지면(28)과 제2지지면영역(24)의 제1지지면(32) 사이와 제1지지면영역(22)의 제2지지면(30)과 제2지지면영역(24)의 제2지지면(34) 사이에 형성되는데, 제1전이영역들은 제1지지면영역(22)과 제2지지면영역(24) 사이의 전이(transition)를 정의한다. 도 1 및 도 2에 명확하고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제1전이영역들(36,38)은 각각의 지지면들의 (가장자리와 같은 형상을 갖는) 맞다음 영역(region of adjoinment)에 형성된다. 지지면들(28,30,32,34)이 바람직하게는 모두 평평하기 때문에, 즉 휘어진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선형 형상인 상기 제1전이영역들(36,38) 또한 휘어진 형상이 아니다.
제2지지면영역(24)의 제1지지면(32)과 제2지지면(34) 사이에 형성된 제2전이영역(40)은 실질적으로 똑바른 형상으로 연장된 전이면(4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이면은 홀더 중심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두 지지면들(32,34)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기 때문에, 즉 휘어진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제2전이영역(40) 또한 실질적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두 지지면영역들(22,24) 또는 그것들의 지지면들(28,30 및 32,34)이 상호 인접한 곳(맞닿는 곳), 즉 제1전이영역들(36,38)에서는, 대략 137°의 범위인 각도(W1)가 형성된다. 대략 130°인 각도(W2)가 제1지지면영역(22)의 두 지지면들(28,3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면들(28,30) 각각이 홀더 중심 평면에 대해 대략 65°의 경사각을 갖도록 한다. 대략 110°의 각도(W3)가 제2지지면영역(24)의 두 지지면들(32,3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면들(32,34) 각각이 홀더중심 평면에 대해 대략 55°의 경사각을 갖도록 한다. 이는 제1지지면영역(22)의 두 지지면들(28,30)이 정렬되어 그것들 사이에 제2지지면영역(24)의 두 지지면들(32,34) 사이의 각도보다 더 큰 각도가 형성되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체결 샹크(26)가 제1지지면영역(22) 및 제2지지면영역(24)에 대해 상대적으로 각각 각도(W4)와 각도(W5)로 기울어지도록 샹크 종축(LB)이 바디영역(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리엔팅되도록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각도는 각각 대략 65°일 수 있다. 예컨대 각도(W4)는 67°의 영역 내일 수 있고, 각도(W5)는 대략 64°일 수 있다. 상기 각도들(W4, W5)의 결정을 위해 각 지지면들(28,30)의 가상의 연장된 곳에서 그것들을 연결하는 라인과 각 지지면들(32,34)의 가상의 연장된 곳에서 그것들을 연결하는 라인을 고려할 수도 있고, 지지면들(32,34)의 경우에는 제2전이영역(40)의 전이면(42)에 대해 상대적으로 각도(W5)가 결정될 수도 있으며, 지지면들(28,30)의 경우에는 치즐 홀더(10) 상의 다른 전이영역(41)의 전이면(43)에 대해 상대적으로 각도(W4)가 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각도(W4)와 각도(W5)의 합에 의해 형성되는 총 각도는 따라서 대략 131°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두 개의 각기둥 형상 구성들의 경사각을 정의하는데, 여기서 두 개의 각기둥 형상 구성들 중 하나는 제1지지면영역(22)의 두 지지면들(28,30)에 의해 정의되고 다른 하나는 제2지지면영역(24)의 두 지지면들(32,34)에 의해 정의된다. 총 각도, 즉 각도(W4)와 각도(W5)의 합을 변경함으로써, 예컨대 동일한 각도들(W2, W3)를 유지하면서 네 지지면들(28,30,32,34)에 의해 형성되는 피라미드와 같은 배열의 기하학적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데, 특히 가상의 피라미드 피크(peak)의 방향으로의 힘의 집중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지지면영역들(22,24) 또는 그것들의 지지면들(28,30,32,34)의 상기와 같은 각이 진 방향 때문에, 그리고 바디영역(12)에 대한 체결 샹크(26)의 방향 때문에, 바디영역(12)과 체결 샹크(26) 사이의 전이부에 전단하중이 인가되도록 하는 횡방향 힘이 상당히 줄어들도록 하는 방식으로, 밀링 공정 중 바디영역(12)에 인가되는 힘들의 집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샹크 종축(LB)과 치즐 수용 개구(18)의 종축(LM) 사이에 형성된 (즉, 결과적으로 샹크 종축(LB)과 치즐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W6)가 12.5°의 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에 기인하기도 한다.
도 9와 도 10은 상술한 것과 같은 치즐 홀더(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베이스부(44)를 도시한다. 도 11과 도 12는 치즐 홀더(10)와 결합된 상태에서의 상기 베이스부(44)를 도시한다.
베이스부(44)에는, 도 9의 상부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부(44)의 상대지지측(48)에서도 오픈되고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부(44)의 연결측(50)에서도 오픈된,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가 형성된다. 연결측(50)의 영역에서, 베이스부(44)는 밀링 롤러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상대지지측(48)에서, 제1상대지지면영역(52)이 제1지지면영역(22)에 할당되도록 형성된다. 제2상대지지면영역(54)이 제2지지면영역(24)에 할당되도록 형성된다. 제1상대지지면영역(52)은, 제1지지면영역(22)의 제1지지면(28)에 할당되는 제1상대지지면(56)과, 제1지지면영역(22)의 제2지지면(30)에 할당된 제2상대지지면(58)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상대지지면영역(54)은, 제2지지면영역(24)의 제1지지면(32)에 할당되는 제1상대지지면(60)과, 제2지지면영역(24)의 제2지지면(34)에 할당된 제2상대지지면(62)을 구비한다. 각각의 상대지지면들(56,58,60,62)은 치즐 홀더(10)의 지지면들(28,30,32,34)의 각 각도에 대응하여 상호 각이지도록 형성되며 평평한 형상을 가져, 상호 할당된 지지면들과 상대지지면들이 면적에 있어서(areally) 상호 품을 수 있다(bear against).
각각의 경우에 오목한 것과 같은 제3전이영역(64,66)이 첫 번째로 제1상대지지면(56)과 제2상대지지면(58) 사이에 형성되고, 그리고 두 번째로 제1상대지지면(60)과 제2상대지지면(62) 사이에 형성된다. 오목한 것과 같은 제4전이영역(68,70)이 마찬가지로 두 상대지지면영역들(52,54), 즉 제1상대지지면(56)과 제1상대지지면(60) 사이와 제2상대지지면(58)과 제2상대지지면(62) 사이에 형성된다.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둥근 윤곽을 갖는 상기 오목한 것과 같은 전이영역들(64,66,68,70)은 첫 번째로 밀링 힘 인가 중의 노치 스트레스(notch stress)의 발생을 방지한다. 두 번째로, 도 11 및 도 12에 명확하게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경우에 치즐 홀더(10)의 다양한 전이영역들을 위해 오목한 것과 같은 전이영역들(64,66,68,70)에 공간이 생성되어, 지지면들이 상호 합쳐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호 맞닿는 지지면들과 상대지지면들의 영역에서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제1,2전이영역들이 위치조정하는 것을 가능케 하여, 따라서 제3,4전이영역들로 더 깊이 관통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치즐 홀더(10)에 형성된 지지측(20)과 베이스부(44)에 형성된 상대지지측(48)이 상호 컨택하게 되는 지지면들 및 상대지지면들과 특히 상호 보완적인 형태를 갖는다는 것은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 각기둥 형상으로 상호 맞닿는 복수개의 지지면들과 상대지지면들은 따라서 깔때기와 같은 구성을 형성하는데, 이는 치즐 홀더(10)와 베이스부(44)의 샹크 종축(LB) 또는 체결 샹크(26)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담보할 수 있다. 이는 체결 샹크(26)에 있어서 하중이 저감되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특히 횡방향에 있어서의 하중이 저감되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이에 따라 체결 샹크의 파손 위험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지지측(20)과 상대지지측(48)의 영역에서의 치즐 홀더(10)와 베이스부(44) 사이의 지지 상호작용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치즐 홀더 시스템의 경우 체결 샹크(26)에 인가되는 하중을 더 경감시킬 수 있는데, 이는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의 영역에서 베이스부(44)와 체결 샹크(26)의 인접한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상술한 것과 같은 지지 특성이나 이러한 특성을 통해 각각 하중의 상당한 경감 및 더욱 균일한 힘의 분포를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치즐 홀더 시스템 등과 결합될 시에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치즐 홀더(10)의 체결 샹크(26)는, 제1지지면영역(22)의 대략 하부에 위치한 제1측(first side) 상의 체결요소 로딩영역(76)과, 샹크 종축(LB)과의 관계에서 반대쪽에 위치한 제2측(second side) 상의 지지영역(78)을 갖는다. 체결요소 로딩영역은 체결요소 로딩면(80)을 갖는 노치(notch)의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체결요소 로딩면(80)의 표면수선(FN, surface normal)은 샹크 종축(LB)에 대해 대략 62.5°의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W7)만큼 기울어져 있다. 이는,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며 그 중심 종축이 표면수선(FN)에 대략 평행한 즉 체결요소 로딩면(80)에 대략 수직인체결요소(82)가, 체결 샹크(26)에 하중이 인가될 시, 샹크 종축(LB) 방향으로의 상대적으로 큰 힘 성분을 생성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체결요소(82)는 베이스부(44)의 체결요소 수용 개구(84)에 수용되며, 체결요소 수용 개구에는 적어도 영역들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적어도 영역들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요소(82)가 체결요소 로딩면(80)의 방향으로 또는 그것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의 방식에 의해, 즉 체결요소 수용 개구 종축(Lo)의 방향으로 나사운동의 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하학적 구조 관계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요소 수용 개구 종축(Lo)은 체결 샹크 수용 개구 종축(LA)에 대해 대략 62.5°의 각도(W7)를 이루며, 또한 적어도 그 방향에 있어서 샹크 종축(LB)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만일 체결요소(82)가 나사운동에 의해 체결요소 수용 개구(84) 내로 이동하여 체결요소 로딩면(80)에 프레싱되면, 체결 샹크(26)는 그 지지영역(78)이 베이스부(44)의 상대지지영역(86)에 프레싱된다. 지지영역(78)은, 상호 경사지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샹크 종축(LB)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원형으로 휘어진 프로파일을 갖는 두 지지면영역들(88,90)로 형성된다. 지지영역(78)의 중심영역에서, 상기 두 지지면영역들(88,90)은 제5전이영역(92)에 상호 맞닿는다. 상기 제5전이영역(92)은 오목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샹크 종축(LB)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된다.
지지영역(78)의 지지면영역들(88,90)이, 체결 샹크(26)의 적어도 메인 외측 원주면(94, mai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의 영역들에서 체결 샹크 종축(LB)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디자인을 통해 상기 방사방향 돌출 길이가 지지영역(78)의 중심영역 즉 제5전이영역(92)이 형성된 곳에서 가장 작아, 거기에서는 예컨대 가상적으로 방사방향 돌출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고, 반면 상기 방사방향 돌출 길이가 원주방향에 있어서 그리고 제5전이영역(9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는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경우 스텝과 같은, 만일 적절하다면 체결 샹크(26)의 메인 외측 외측 원주면(94)으로의 살짝 휜 전이(transition)가, 지지면영역들(88,90)의 축방향 단부영역들(axial end regions) 모두에,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제5전이영역(92)으로부터 먼 단부영역들에도 형성될 수 있다.
체결 샹크(26)가 상술한 방식과 같이 디자인된 결과, 로딩요소(82)에 의한 하중이 인가될 시 상기 체결 샹크는 홀더 중심 평면에 대해 병렬적으로 위치한 두 면영역들에 의해 지지되는데, 구체적으로 베이스부(44) 상의 지지면영역들(88,90)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지된다. 이는 압력 분포의 결과를 가져오며, 또한 지지영역(78)의 원주 중심에서의 선형 지지 컨택을 방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 오목한 것과 같은 형상의 제5전이영역(92) 덕분에, 지지영역(78)의 상기 중심에서 체결 샹크(26)와 베이스부(44) 사이에 힘이 전혀 전달되지 않거나 오직 작은 힘만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담보할 수 있다.
메인 외측 원주면(94) 외측으로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면영역들(88,90)의 다른 중요한 장점은, 국지적으로 범위가 정해진 면영역들(surface regions)이 체결 샹크(26) 즉 치즐 홀더(10)와 베이스부(44)가 인접하여 컨택하도록 하기 위해 이용된다는 것이다. 치즐 홀더(10)와 베이스부(44) 모두가 일반적으로 단조 부품들로서 제공되며, 따라서 요구되는 정밀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호 지지가 이루어지는 면들이 기계가공되어야만 하거나 재작업되어야만 하기에, 상기 작업 단계는, 이 목적을 위해 실제로 제공되는 면영역들, 구체적으로 지지면영역들(88,90)이 형성되는 위치들에 한정될 수 있다.
상대지지영역(86)은 체결 샹크(26) 상의 지지영역(78)에 대응하는 베이스부(44) 상에 형성된다. 상대지지영역(86)은 지지면영역들(88,90)에 할당된 상대지지면영역들(96,98)을 갖는다. 상기 상대지지면영역들은 제6전이영역(100)에서 상호 맞닿는데, 제6전이영역(100)은 돌출부 같은 형상을, 바람직하게는 체결 샹크 수용 개구 종축(LA)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며 연장된 돌출부(102)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는 제조상의 이유로, 예컨대 끼워맞춤에 의해 베이스부의 상대 개구(106)에 삽입되는 삽입부(104)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삽입부(104)는 돌출부(102)를 제공하기 위해 그 원주영역이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두 상대지지면영역들(96,98) 상부에서 안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대지지면영역들(96,98)은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 내에서,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의 메인 내측 원주면(108) 위쪽에서(beyond main inner circumferntial surface) 체결 샹크 수용 개구 종축(LA)에 대해 적어도 영역들 내에서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자인은, 상기 방사방향 돌출부가 제6전이영역(100)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하고 제6전이영역(10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감소하여, 상대지지면들(96,98)이 점진적으로 메인 내측 원주면(108)으로 합쳐지도록 하는 디자인일 수 있다. 체결 샹크(100)의 실시예 또는 지지영역(78)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렇듯이, 정밀한 인접 컨택(abutting contact)을 달성하기 위해 기계가공될 면영역들은 상대지지면영역들(96,98)로 한정되는데, 상대지지면영역들(96,98)은 특히 그것들의 두 축방향 단부영역들에서 베이스부(44)의 내측 원주면(108)으로 계단모양으로 또는 휘어진 방식으로 합쳐질 수 있다.
휘어진 프로파일의 결과로서 이루어진 두 지지면영역들(88,90)의 서로에 대한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두 상대지지면영역들(96,98) 또한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는데, 즉 두 상대지지면영역들(96,98)이 휘어진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넓은 면적에 걸친 인접 컨택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곡률은 두 지지면영역들(88,90)의 곡률에 대응할 수 있다. 지지면영역들(88,90) 그리고 또한 상대지지면영역들(96,98)이 각각의 경우 오직 원주 영역에 있어서 메인 외측 원주면(94) 또는 메인 내측 원주면(108)을 벗어나도록 돌출되기 때문에, 체결 샹크(26)는 기본적으로 측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해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 내로 삽입될 수 있는데, 지지면영역들(88,90)과 상대지지면영역들(96,98) 사이의 확실한 인접 컨택은 오직 체결요소(82)의 체결요소 로딩면(80) 방향으로의 움직임의 결과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더욱 강한 컨택 압력에 이르게 하는 두 전이영역들(92,100)의 컨택은 방지된다. 상기 전이영역들의 기능은 실질적으로, 심지어 상대지지측(48)과 지지측(20)의 중심으로 되돌아가는 움직임(centering action)이 발생하기 전에, 치즐 홀더(10)의 베이스부(44)로의 삽입 움직임 과정에서 베이스부(44)에 대한 치즐 홀더(10)의 정의된 오리엔테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대지지영역(94) 상에서의 체결 샹크(26)의 지지 중의 고도로 균일한 힘 분포 역시, 홀더 중심 평면에 대해 또는 상기 평면에 대응하는 베이스부(44)의 대칭 평면에 대해 지지영역(78)과 상대지지영역(86) 모두가 대칭이 되도록, 특히 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는 것에 기인한다.
물론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되며 지지영역(78) 및 상대지지영역(86)에 대해 매우 단순한 방식으로 구조화되어 실현될 수 있는 솔루션이, 지지영역(78)이 기본적으로 체결 샹크(26)의 외측 원주면 상에 형성되되 그 메인 외측 원주면(94), 즉 예컨대 대략 원형의 원주 윤곽을 갖는 메인 외측 원주면(94) 너머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역시 오목한 것과 같은 형상을갖는 전이영역(92)의 양측에 지지면영역들(88,90)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그러나 물론 메인 외측 원주면(94)과의 관계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면영역들(88,90)을 갖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오목한 것 같은 전이영역(92)은 예컨대 원주 방향에 있어서 그 양측의 지지면영역들 사이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전이면, 즉 체결 샹크(26)의 외측 원주에 의해 정의되는 원주 윤곽과 관련하여 방사방향으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물질 제거 기계가공 또는 다른 캐스팅 프로세스 등의 수단을 통해 얻어지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태는 그 단순한 생산성 때문에 특히 효과적이다. 하지만 체결 샹크(26)의 곡률에 대해 살짝 평탄화된 휘어진 전이면이 전이영역(92)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 또한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베이스부(44)의 상대지지영역(86) 상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구조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대지지면영역들(96,98) 또한 메인 내측 원주면(108)으로 일체화될 수 있는데, 즉 그것에 상대적으로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되어야만 할 필요는 없다. 지지영역(78)의 지지면영역들(88,90) 사이의 전이영역(92)의 실시예에 따라, 두 상대지지면영들(96,98) 사이의 전이영역(100) 역시 예컨대 실질적으로 평평한 전이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실질적으로 평탄한 전이면은 대응하도록 형성된 전이영역(92)의 전이면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의 경우,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지지영역(78)이 체결 샹크(26)의 축방향 자유단 영역(axial free end region)에 형성되어, 지지면영역들(88,90)을 역시 제공하며 메인 외측 원주면(94)의 실질적으로 원형인 원주 윤곽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본적으로 형성된 원형 원주 윤곽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곳이 되도록 오목한 실질적으로 평평한 전이영역(92)이 예컨대 체결 샹크(26)의 축방향 자유단 영역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특히 체결 상크(26)의 축방향 자유단 영역에서의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결과, 즉 체결요소(82)의 하중 인가 작용에 의해 체결 샹크(26)가 베이스부(44)에 대해 더욱 강하게 프레싱될 시, 체결 샹크(26)와 베이스부(44) 사이의 선형이며 따라서 매우 큰 하중의 인접 컨택을 방지함으로써 상술한 것과 같은 하중 경감을 달성할 수 있다.
지지영역과 상대지지영역 및 지지측과 상대지지측 상의 다양한 지지면영역들과 상대지지면영역들을 갖는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를 형성함에 따라, 치즐 홀더가 특히 체결 샹크의 영역에서 하중이 경감되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치즐 홀더의 정확한 위치선정(positioning)이 가능해진다. 이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배열되며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가 상호 직접 품도록 하는 복수개의 지지면영역들과 지지면들 및 상대지지면영역들과 상대지지면들 사이의 하중 분배에 기인한다.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지지면영역 또는 상대지지면영역이 상호 지지를 위한 각각의 면들로 형성되거나 기계가공되어 직접적인 금속-금속 컨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부와 치즐 홀더 모두가 일반적으로 단조품으로 생산되기에,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지지면영역들 및 상대지지면영역들의 역할을 하는 면들이 기본적으로 물질 제거 프로세스에서 재작업되거나 및/또는 생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중의 상당한 경감과 정확한 포지셔닝을 위해 요구되는 고정밀의 상기와 같은 면들이 담보될 수 있으며, 이는 오직 단조 프로세스를 통해 기계가공되는 면들을 갖는 방식으로는 구현될 수 없다.
상술한 것과 같은 시스템의 어셈블리를 위해, 차례로 세팅될 수 있는 밀링 드럼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베이스부의 경우, 치즐 홀더(10)의 두 지지면영역들(22,24)이 베이스부의 각각 관련된 상대지지면영역들(52,54)과 컨택할 때까지 베이스부(44)에 형성된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 속에 체결 샹크(26)가 위치하도록 치즐 홀더(10)가 삽입된다. 예컨대 나사와 같은 형태인 체결요소(82)는 단단히 조여져서 체결요소 수용 개구(84) 내로 더 이동하며 체결 샹크(26) 상의 체결요소 로딩면(80)에 프레싱된다. 이는 첫 번째로 지지면영역들(22,24)과 상대지지면영역들(52,54) 사이의 안정적인 인접 상호작용에 기여한다. 두 번째로, 상대지지영역(86)에 대해 또는 두 상대지지면영역들(96,98)에 대해 지지영역(78)또는 두 지지면영역들(88,90)이 안정적으로 인접하도록 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밀링 기계가공 작업 중, 치즐 홀더(10)에 홀딩되는 치즐이 마모될 뿐만 아니라 치즐 홀더(10) 그 자체의 영역에서도 마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프로세스를 반대로 하여, 즉 체결요소(82)를 체결 샹크(26)로부터 제거하고 치즐 홀더(10) 또는 그것의 체결 샹크(26)를 베이스부(44)로부터 빼냄으로써, 마모된 치즐 홀더(10)를 제거하고 새 치즐 홀더 또는 덜 마모된 치즐 홀더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치즐 홀더는 그 체결 샹크(26)가 베이스부(44)의 관련된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 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며, 체결요소(82)에 의해 상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된다. 마모가 반복하여 발생할 경우,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가 밀링 드럼에 고정된 동일한 베이스부에 대해 복수회 반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만일 베이스부의 영역에서도 마모가 발생하면, 상기 베이스부 역시 그것을 홀딩하는 용접부를 절단함으로써 밀링 드럼으로부터 제거되어 새 베이스부로 교체될 수 있다.
12: 바디영역 18: 치즐 수용 개구
20: 지지측 22: 제1지지면영역
24: 제2지지면영역 26: 체결 샹크
28,32: 제1지지면 30,34: 제2지지면
36,38: 제1전이영역 40: 제2전이영역
LB: 샹크 종축 LM: 치즐 수용 개구(18)의 중심 종축

Claims (22)

  1. 바디영역(12)으로서, 바디영역(12)의 적어도 치즐 삽입측을 향해 오픈된 치즐 수용 개구(18)를 갖는, 바디영역(12); 및
    바디영역(12)의 지지측(20)으로부터 연장되며 샹크 종축(LB)을 갖고, 제1측에 체결요소 로딩영역(76)이 위치하며, 샹크 종축(LB)에 대해서 반대쪽에 위치한 제2측에 샹크 종축(LB)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이영역(92)에서 상호 인접하여 상호 기울어진 지지면영역들(88,90)을 갖는 지지영역(78)이 위치하는, 체결 샹크(26);
    를 구비하고,
    전이영역(92)이 오목한 곳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88,90)이, 체결 샹크(26)의 메인 외측 원주면(94, mai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에서 샹크 종축(LB)에 대해 적어도 방사방향으로 외측인 영역들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치즐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전이영역(92)이 적어도 영역들에 있어서 오목한 움푹한 곳으로 형성된, 치즐 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이, 그것의 전이영역(92)으로부터 먼 원주단 영역(circumferential end region)으로부터 그것의 전이영역에 인접한 원주단 영역으로의 방향에 있어서, 메인 외측 원주면(94)의 방사상의 레벨(radial level)에 접근하는, 치즐 홀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88,90)이, 그것의 전이영역(92)으로부터 먼 원주단 영역에서, 메인 외측 원주면(94)으로 계단모양으로 또는 휘어진 방식으로 합쳐지거나,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88,90)이, 그것의 바디영역(12)에 인접한 축방향 단부영역에서 또는 그것의 바디영역(12)에서 먼 축방향 단부영역에서, 메인 외측 원주면(94)으로 계단모양으로 또는 휘어진 방식으로 합쳐지는, 치즐 홀더.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면영역들(88,90) 또는 전이영역(92)이 홀더 중심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 치즐 홀더.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영역(88,90)이 샹크 종축(LB) 주위에서 휘어지도록 형성된, 치즐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지지면영역들(88,90) 모두 동일한 곡률반경 또는 곡률 중심점을 갖는, 치즐 홀더.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결 샹크(26)가, 메인 외측 원주면(94)의 영역에 있어서, 둥근 외측 원주 윤곽(outer circumferential contour)을 갖도록 형성된, 치즐 홀더.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치즐 수용 개구(18)의 중심 종축(LM)과 샹크 종축(LB)이 6° 내지 24°의 각도로 상호 기울어진, 치즐 홀더.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결요소 로딩영역(76)이 체결요소 로딩면(80)을 구비하고, 체결요소 로딩면(80)의 표면 수선(FN)과 샹크 종축(LB)이 50° 내지 65°의 각도로 상호 기울어진, 치즐 홀더.
  11. 제1항의 치즐 홀더(10); 및
    적어도 상대지지측(48)을 향해 오픈된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와,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를 향해 오픈된 체결요소 수용 개구(84)를 가지며, 체결요소 로딩영역(76) 상에 하중을 인가하도록 움직여질 수 있는 체결요소(82)가 체결요소 수용 개구(84)에 수용되는, 베이스부(44)
    를 구비하며,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에, 체결 샹크 수용 개구 종축(LA)의 방향으로 연장된 추가 전이영역(100)에서 상호 인접하는 상대지지면영역들(96,98)을 갖는 상대지지영역(86)이 형성된, 치즐 홀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추가 전이영역(100)은 돌출부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치즐 홀더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추가 전이영역(100)은 적어도 영역들에 있어서 볼록한 돌출부로 형성된, 치즐 홀더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추가 전이영역(100)은 전이영역(92)에 대해 상호 보완적인 디자인을 갖는, 치즐 홀더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지지면영역(96,98)이 적어도 영역들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영역들은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의 메인 내측 원주면(108) 위쪽에서 체결 샹크 수용 개구 종축(LA)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내측인, 치즐 홀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지지면영역(96,98)이, 적어도 그것의 추가 전이영역(100)에 인접한 원주단 영역에서 메인 내측 원주면(108) 위쪽에서 돌출된, 치즐 홀더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지지면영역(96,98)이, 적어도 그것의 상대지지측(48)에 인접한 축방향 단부영역 또는 그것의 상대지지측(48)에서 먼 축방향 단부영역에서, 메인 내측 원주면(108)으로 계단모양으로 또는 휘어진 방식으로 합쳐지는, 치즐 홀더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체결 샹크 수용 개구(46)가 그것의 메인 내측 원주면(108)의 영역 또는 그것의 상대지지면영역들(96,98)의 영역에서 원형 내측 원주 윤곽으로 형성된, 치즐 홀더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체결 샹크 수용 개구 종축(LA)와 체결요소 수용 개구 종축(LO)이 50° 내지 65°의 각도로 상호 기울어진, 치즐 홀더 시스템.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원주 윤곽은 원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된, 치즐 홀더.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 수용 개구(18)의 상기 중심 종축(LM)과 상기 샹크 종축(LB)이 12°의 각도로 상호 기울어진, 치즐 홀더.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요소 로딩면(80)의 표면 수선(FN)과 상기 샹크 종축(LB)이 62.5°의 각도로 상호 기울어진, 치즐 홀더.
KR1020137013629A 2010-12-03 2011-12-02 치즐 홀더, 및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치즐 홀더 시스템 Active KR101753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1019.4 2010-12-03
DE102010061019A DE102010061019A1 (de) 2010-12-03 2010-12-03 Meißelhalter und Werkzeugunterteil für einen Meißelhalter
EP11172527.1A EP2543815B1 (de) 2011-07-04 2011-07-04 Meißelhalter und Meißelhaltersystem mit einem Meißelhalter und einem Basisteil
EP11172527.1 2011-07-04
PCT/EP2011/071642 WO2012072802A2 (de) 2010-12-03 2011-12-02 MEIßELHALTER UND MEIßELHALTERSYSTEM MIT EINEM MEIßELHALTER UND EINEM BASIS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134A KR20140056134A (ko) 2014-05-09
KR101753305B1 true KR101753305B1 (ko) 2017-07-03

Family

ID=4506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629A Active KR101753305B1 (ko) 2010-12-03 2011-12-02 치즐 홀더, 및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치즐 홀더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63502B2 (ko)
JP (1) JP5822940B2 (ko)
KR (1) KR101753305B1 (ko)
CN (2) CN102486022B (ko)
AU (1) AU2011334855B2 (ko)
BR (1) BR112013012781B8 (ko)
RU (1) RU2563008C2 (ko)
SG (1) SG190927A1 (ko)
TW (1) TWI468253B (ko)
WO (1) WO20120728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1019A1 (de) 2010-12-03 2012-06-06 Betek Gmbh & Co. Kg Meißelhalter und Werkzeugunterteil für einen Meißelhalter
TWI568919B (zh) 2010-12-03 2017-02-01 Wirtgen Gmbh Turret (a)
AU2011334855B2 (en) * 2010-12-03 2016-06-23 Wirtgen Gmbh Chisel holder, and chisel holder system comprising a chisel holder and a base part
AU2011334838B2 (en) 2010-12-03 2016-05-19 Wirtgen Gmbh Chisel holder
TWI483798B (zh) 2010-12-03 2015-05-11 Wirtgen Gmbh 刀架以及具有刀架和基礎部件的刀架系統
DE102011051525A1 (de) 2011-07-04 2013-01-10 Wirtgen Gmbh Meißelhalter für eine Bodenbearbeitungsmaschine
DE102013110676A1 (de) * 2013-09-26 2015-03-26 Betek Gmbh & Co. Kg Meißel
EP3116769A4 (en) 2014-03-07 2017-12-27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Replaceable mounting apparatus for reducing elements
USD746878S1 (en) 2014-04-11 2016-01-05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Mounting block for reducing elements
USD746340S1 (en) 2014-04-11 2015-12-29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Mounting block for reducing elements
USD778702S1 (en) * 2016-01-11 2017-02-14 Supplier Of Solutions, Llc Tool support adapter block
US10113424B2 (en) 2016-01-13 2018-10-30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Milling tool holder
US10184336B2 (en) 2016-01-13 2019-01-22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Milling tool holder
US10167720B2 (en) 2016-01-13 2019-01-01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Milling tool holder
JP1572681S (ko) * 2016-02-22 2017-03-27
DE102016108808A1 (de) 2016-05-12 2017-11-16 Betek Gmbh & Co. Kg Meißel mit einem Stützelement mit einem Zentrieransatz
USD817140S1 (en) * 2017-03-24 2018-05-08 Supplier Of Solutions, Llc Tool support adapter block
US10233751B2 (en) 2017-04-18 2019-03-19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Tool adapter for a rotary tool
USD967209S1 (en) 2019-05-17 2022-10-18 Wirtgen Gmbh Chisel holder
USD906385S1 (en) * 2020-01-21 2020-12-29 Wirtgen Gmbh Chisel holder
DE102021112757A1 (de) * 2021-05-17 2022-11-17 Bomag Gmbh WECHSELHALTER, MEIßELWECHSELHALTERSYSTEM, FRÄSWALZE FÜR EINE STRAßENFRÄSMASCHINE UND STRAßENFRÄSMASCHINE
JP3244397U (ja) * 2022-09-15 2023-11-01 エヴァーパッ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刃具保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0238A1 (en) * 2007-12-21 2009-06-25 Hall David R Retention for Holder Shank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2081A (en) 1944-07-10 1948-10-26 Joy Mfg Co Cutter chain
US3498677A (en) 1968-10-30 1970-03-03 Bowdil Co Cutting apparatus
US3992061A (en) 1975-04-07 1976-11-16 Joy Manufacturing Company Mining cutter bit assembly
DE2807654A1 (de) * 1977-03-03 1978-09-07 Sandvik Ab Gesteinsfraeser
US4302055A (en) 1978-02-27 1981-11-24 Sandvik Aktiebolag Wedgingly mounted tool holder or adapter for a cutting head
US4275929A (en) 1978-08-25 1981-06-30 The Cincinnati Mine Machinery Company Means for removably affixing a cutter bit mounting lug to a base member on the driven element of a mining machine or the like
US4240669A (en) 1978-10-02 1980-12-23 Joy Manufacturing Company Mining cutter bit holder and mounting assemblies
US4693518A (en) 1981-01-08 1987-09-15 Kennametal, Inc. Means for holding cutter bits
US4415208A (en) 1981-07-31 1983-11-15 Ingersoll-Rand Company Cutter bit assembly
US4542943A (en) 1982-04-08 1985-09-24 Kennametal Inc. Earthworking tool for protecting from abnormally high cutting loads
DE3411602A1 (de) 1982-11-13 1985-10-03 Peters, Albert, 4000 Düsseldorf Gewinnungseinrichtung mit dreh-kippmeissel und abgedichteter meisseltasche
US4828327A (en) 1987-03-19 1989-05-09 Joy Technologies Inc. Bit holder for miner
US4915455A (en) 1988-11-09 1990-04-10 Joy Technologies Inc. Miner cutting bit holding apparatus
DE4022034C2 (de) 1990-07-12 1999-04-15 Wirtgen Gmbh Fräsvorrichtung zum Abfräsen von Straßenbelägen
DE9211739U1 (de) 1992-09-01 1992-11-05 Betek Bergbau- und Hartmetalltechnik Karl-Heinz Simon GmbH & Co KG, 7234 Aichhalden Walzenförmiger Schneidkörper für eine Schrämmaschine
US5322351A (en) 1993-05-24 1994-06-21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Rotary cutter and mounting arrangement for cutting tools
DE4322402C2 (de) 1993-07-06 1996-06-20 Wirtgen Gmbh Schneidkörper für eine Schrämmaschine
DE4322401C2 (de) 1993-07-06 1996-06-20 Betek Bergbau & Hartmetall Befestigung eines Schrämwerkzeugs an einem Schrämkörper
US5529384A (en) 1994-08-25 1996-06-25 Rogers Tool Works, Inc. Bit holder block and cutter bit therefor
ES2162965T3 (es) 1995-10-31 2002-01-16 Bitelli Spa Elemento activo para el soporte de, como minimo, una herramienta de fresado, adecuado para su aplicacion a los tambores de fresado de maquinas para el levantamiento de suelos.
TW407538U (en) 1998-09-11 2000-10-01 Luo Kuen Chi Carriage positioning structure of hole boring cutter
DE997610T1 (de) 1998-10-28 2000-10-05 Kennametal Inc., Latrobe Abwerfbarer Halter für einen Schneidmeissel und Schneidmeisselanlage
DE19856916C1 (de) 1998-12-10 2000-08-31 Betek Bergbau & Hartmetall Befestigung für einen Rundschaftmeißel
DE19902766C2 (de) 1999-01-25 2002-03-21 Betek Bergbau & Hartmetall Werkzeug für eine Straßenfräs-, Schräm-, Bergbaumaschine oder dgl.
US6244665B1 (en) 1999-02-17 2001-06-12 Kennametal Pc Inc. Cutting toolholder with recessed groove for cutting tool removal
DE19908656C1 (de) 1999-02-27 2000-08-31 Wirtgen Gmbh Meißelhalterwechselsystem
US6371567B1 (en) 1999-03-22 2002-04-16 The Sollami Company Bit holders and bit blocks for road milling, mining and trenching equipment
US6234579B1 (en) 1999-04-07 2001-05-22 Kennametal Pc Inc. Cutting tool holder retention assembly
AUPQ042699A0 (en) 1999-05-18 1999-06-10 Road Services Of Australia Pty Ltd A cutting apparatus
US6685273B1 (en) * 2000-02-15 2004-02-03 The Sollami Company Streamlining bit assemblies for road milling, mining and trenching equipment
DE10161009C2 (de) 2000-12-20 2003-09-18 Kennametal Inc Schrämwerkzeug mit Verschleißschutzhülse
US6854810B2 (en) * 2000-12-20 2005-02-15 Kennametal Inc. T-shaped cutter tool assembly with wear sleeve
DE10161713B4 (de) 2001-12-15 2004-02-05 Wirtgen Gmbh Meißelhalterwechselsystem
US6764140B2 (en) 2002-04-01 2004-07-20 Kennametal Inc. Drum mounting plate for cutting tool holder block
DE10221764C1 (de) 2002-05-15 2003-11-27 Wirtgen Gmbh Halterung für einen Schaftmeißel
DE20221925U1 (de) 2002-12-27 2009-05-20 Wirtgen Gmbh Schrämwerkzeug
US7376152B2 (en) 2004-03-30 2008-05-20 Via Telecom Co., Ltd. Method and/or architecture implemented in hardware for the adjustment of messages with indeterministic length
DE102004019383B4 (de) 2004-04-19 2008-06-12 Wirtgen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s Schaftmeißels
DE102004030691B4 (de) 2004-06-24 2008-12-18 Wirtgen Gmbh Werkzeug-Haltevorrichtung
DE102004057302B4 (de) 2004-11-26 2011-01-13 Wirtgen Gmbh Meißelhalter
DE102005003734B3 (de) 2005-01-26 2006-02-16 Wirtgen Gmbh Meißelhaltersystem
DE202005001311U1 (de) 2005-01-26 2005-03-31 Wirtgen Gmbh Meißelhaltersystem
DE102005010678B4 (de) 2005-03-09 2006-12-14 Gerd Elfgen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Rundschaftmeißels
DE102005017760B4 (de) 2005-04-18 2011-02-03 Richter, Angelica Schnellwechselhaltersystem
CN101018927A (zh) * 2005-05-13 2007-08-15 格朗奥索特工具有限公司 切削工具夹持装置及使用方法
TWI265836B (en) * 2005-09-29 2006-11-11 Hsin-Tien Chang Accurately fine-tuned boring cutter
JP4527043B2 (ja) 2005-10-25 2010-08-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の潤滑装置
DE102005051449B3 (de) 2005-10-27 2007-03-01 Betek Bergbau- Und Hartmetalltechnik Karl-Heinz Simon Gmbh & Co. Kg Rundschaftmeißel mit Meißelhalter
DE102005051450B4 (de) 2005-10-27 2010-08-05 Betek Bergbau- Und Hartmetalltechnik Karl-Heinz Simon Gmbh & Co. Kg Rundschaftmeißel und Meißelhalter
DE102005055544A1 (de) 2005-11-18 2007-05-24 Gerd Elfgen Halterungseinrichtung zum Haltern von Meißeln
USD575610S1 (en) 2006-03-10 2008-08-26 Wirtgen Gmbh Chisel holder
USD585259S1 (en) 2006-03-10 2009-01-27 Wirtgen Bmbh Chisel holder
USD574689S1 (en) 2006-03-10 2008-08-12 Wirtgen Gmbh Chisel holder
US20070257545A1 (en) 2006-05-08 2007-11-08 Sandvik Intelectual Property Ab Cutting tool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cutting tool
US7475949B2 (en) 2006-11-13 2009-01-13 Kennametal Inc. Edge cutter assembly for use with a rotatable drum
TWM326448U (en) 2007-05-19 2008-02-01 Mei-Jiau Chen Cutter base of turning and milling compound machine
DE202007013350U1 (de) 2007-09-24 2008-02-14 BE ONE TECHNOLOGY CO., LTD., Sanchong City Messerhalter für Grabmaschine
US7537288B2 (en) 2007-09-27 2009-05-26 Everpads Co., Ltd. Tool holding device
USD567270S1 (en) 2007-11-04 2008-04-22 Everpads Co., Ltd. Chisel holder
DE102008025071A1 (de) 2008-05-26 2009-12-03 Wirtgen Gmbh Werkzeug zur Demontage eines Meißels
US8061783B2 (en) 2008-08-14 2011-11-22 Kennametal Inc. Bit holder block with non-rotating wear sleeve
US7789468B2 (en) 2008-08-19 2010-09-07 The Sollami Company Bit holder usable in bit blocks having either of a cylindrical or non-locking taper bore
DE102008045470A1 (de) * 2008-09-03 2010-03-04 Wirtgen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Verschleißzustandes
WO2010051593A1 (en) * 2008-11-07 2010-05-14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Mounting for a replaceable tool
JP4855488B2 (ja) 2009-03-05 2012-01-18 エヴァーパッ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ツール保持装置
TWM364551U (en) 2009-05-12 2009-09-11 Hon Jan Cutting Tools Co Ltd Improved lathe tool holder
GB0912022D0 (en) 2009-07-10 2009-08-19 Element Six Holding Gmbh Attack tool assembly
US8414084B2 (en) 2009-07-13 2013-04-0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daptive sleeve retainer for tool pick
DE202009014077U1 (de) 2009-10-19 2010-03-25 Betek Bergbau- Und Hartmetalltechnik Karl-Heinz Simon Gmbh & Co. Kg Meißel, insbesondere Rundschaftmeißel
TWM378059U (en) * 2009-11-11 2010-04-11 Syntec Machinery Co Ltd Precision boring knife set capable of extending process diameter
DE102009059188A1 (de) 2009-12-17 2011-06-22 Wirtgen GmbH, 53578 Meißelhalter und Basisteil
DE102009059189A1 (de) 2009-12-17 2011-06-22 Wirtgen GmbH, 53578 Meißelhalter und Basisteil zur Aufnahme eines Meißelhalters
USD657648S1 (en) 2010-04-07 2012-04-17 Bomag Gmbh Chisel holder
USD638453S1 (en) 2010-11-10 2011-05-24 Wirtgen Gmbh Bit holder
TWI483798B (zh) 2010-12-03 2015-05-11 Wirtgen Gmbh 刀架以及具有刀架和基礎部件的刀架系統
AU2011334855B2 (en) * 2010-12-03 2016-06-23 Wirtgen Gmbh Chisel holder, and chisel holder system comprising a chisel holder and a base part
USD671578S1 (en) 2011-07-04 2012-11-27 Wirtgen Gmbh Chisel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0238A1 (en) * 2007-12-21 2009-06-25 Hall David R Retention for Holder Sh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3494A (en) 2012-08-16
RU2013130261A (ru) 2015-01-10
JP2014503718A (ja) 2014-02-13
KR20140056134A (ko) 2014-05-09
BR112013012781B8 (pt) 2022-06-14
RU2563008C2 (ru) 2015-09-10
AU2011334855A1 (en) 2013-05-30
WO2012072802A3 (de) 2012-11-22
TWI468253B (zh) 2015-01-11
BR112013012781A2 (pt) 2016-09-13
BR112013012781B1 (pt) 2020-10-27
WO2012072802A2 (de) 2012-06-07
CN102486022B (zh) 2014-09-17
SG190927A1 (en) 2013-07-31
US9163502B2 (en) 2015-10-20
US20130241265A1 (en) 2013-09-19
CN102486022A (zh) 2012-06-06
AU2011334855B2 (en) 2016-06-23
CN202788849U (zh) 2013-03-13
JP5822940B2 (ja)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305B1 (ko) 치즐 홀더, 및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치즐 홀더 시스템
KR101753303B1 (ko) 치즐 홀더, 및 치즐 홀더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치즐 홀더 시스템
RU2698003C1 (ru) Режущая вставка, державка инструмента и инструмент
TWI480447B (zh) Turret (b)
EP2178667B1 (en) Clamping tool holder
JP5839435B2 (ja) コレットホルダを有する工具ホルダおよび工具ホルダで用いる工具挿入体
EP2291258B1 (en) Cutting tool and cartridge for the same
US8727674B2 (en) Tool holder with nubs for clamping a cutting insert with notches
US20130169023A1 (en) Bit Sleeve with Compression Band Retainers
KR101839648B1 (ko) 툴 홀더 및 컷팅 삽입체를 툴 홀더 내에 클램핑하기 위한 방법
KR101520974B1 (ko) 인서트 클램프용 쐐기 및 인서트 착탈식 커터
JP6703536B2 (ja) 切りくず除去式機械加工用工具および切削インサート
JP2007502719A (ja) ツールホルダとの係合を改良すべく構成されたカッティングツール
KR20100120840A (ko) 절삭 공구 및 절삭 공구용 인서트
JP2012519087A (ja) 切削インサート用ツールホルダークランプアセンブリ及びその圧力板{Toolholderclampassemblyforcuttinginsertsanditspressingplate}
US10086424B2 (en) Helix tool locking system
US20140178137A1 (en) Tool holder with nubs for clamping a cutting insert with notches
US20240091986A1 (en) Cutting tool holding device
JPS5920918Y2 (ja) クイツクチエンジ式工具保持装置
EP1554436B1 (en) Anchoring of a wear element to a bucket front
JP2013082047A (ja) 切削インサートクランプ用クサビ部材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H09103586A (ja) 握りばさみ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製造方法より製造された握りばさ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7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