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095B1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5095B1 KR101735095B1 KR1020160020844A KR20160020844A KR101735095B1 KR 101735095 B1 KR101735095 B1 KR 101735095B1 KR 1020160020844 A KR1020160020844 A KR 1020160020844A KR 20160020844 A KR20160020844 A KR 20160020844A KR 101735095 B1 KR101735095 B1 KR 1017350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powder
- solidifying agent
- slu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 B09B3/0041—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2—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 C09K17/44—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the inorganic compound being ce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분 | 혼합직후(%) | 3시간 양생 후(%) | 1일 양생 후(%) | 3일 양생 후(%) |
실시예 1 | 62.3 | 53 | 46.7 | 43.6 |
실시예 2 | 63.2 | 53.7 | 47.4 | 44.2 |
실시예 3 | 62.1 | 52.8 | 46.6 | 43.5 |
실시예 4 | 56.3 | 47.9 | 42.2 | 39.4 |
실시예 5 | 55.7 | 47.3 | 41.8 | 39 |
실시예 6 | 55.1 | 46.8 | 41.3 | 38.6 |
실시예 7 | 56.2 | 47.8 | 42.1 | 39.3 |
실시예 8 | 53.2 | 42.2 | 40 | 37.2 |
실시예 9 | 52 | 44.2 | 39 | 36.4 |
비교예 1 | 64.5 | 54.8 | 50.3 | 47.1 |
비교예 2 | 63.5 | 54 | 49.5 | 46.4 |
비교예 3 | 62.8 | 53.4 | 49 | 45.8 |
비교예 4 | 59.2 | 50.6 | 46.6 | 43.7 |
비교예 5 | 70.2 | 59.9 | 55.1 | 51.7 |
비교예 6 | 60.2 | 52.3 | 47.8 | 44.5 |
비교예 7 | 60.1 | 51.1 | 46.9 | 43.9 |
비교예 8 | 59.4 | 50.5 | 46.3 | 43.4 |
비교예 9 | 70.3 | 59.8 | 54.8 | 51.3 |
비교예 10 | 48.3 | 41.1 | 36.2 | 33.8 |
구분 | 3시간 양생 후 (kgf/cm2) | 1일 양생 후 (kgf/cm2) | 3일 양생 후 (kgf/cm2) |
실시예 1 | 0.75 | 0.98 | 1.20 |
실시예 2 | 0.84 | 1.09 | 1.34 |
실시예 3 | 0.86 | 0.12 | 1.37 |
비교예 1 | 0.28 | 0.36 | 0.45 |
비교예 2 | 0.32 | 0.42 | 0.51 |
비교예 3 | 0.86 | 1.12 | 1.38 |
비교예 4 | 0.41 | 0.52 | 0.62 |
비교예 5 | 0.99 | 1.28 | 1.56 |
암모니아 발생량(ppm) | |
실시예 1 | 3 |
실시예 4 | 5 |
비교예 6 | 80 |
비교예 7 | 10 |
비교예 8 | 6 |
Claims (24)
-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 바인더 400 중량부 ~ 500 중량부, pH 10 ~ 11인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재 400 중량부 ~ 500 중량부 및 유연탄 연소재 100 중량부 ~ 5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산화칼슘 함량이 30 중량% ~ 85 중량%이며,
상기 시멘트 바인더는 폐콘크리트로부터 유래된 것으로서, a) 폐콘크리트를 분쇄하여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세척된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열처리 후 폐콘크리트 미분말로부터 시멘트 바인더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의 세척 전 폐콘크리트 미분말에 응집제 및 소포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것이고,
상기 시멘트 바인더는 밀도가 2.0 g/cm3 ~ 2.5 g/cm3이고, 공극률이 30% ~ 50%이며,
상기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재는 팜껍질 연소재, 야자껍질 연소재, 톱밥 연소재, 볏짚 연소재, 옥수수숫대 연소재, 참나무가지 연소재 및 왕겨 연소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고화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재와 유연탄 연소재는 5 ~ 8: 2 ~ 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재는 야자껍질의 연소재인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제지 연소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지 연소재는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100 중량부 ~ 5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플라이 애쉬, 규사분말 및 석회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말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 5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플라이 애쉬, 규사분말 및 석회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플라이 애쉬, 규사분말 및 석회분말은 1 : 1 ~ 2 : 1 ~ 2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플라이 애쉬, 규사분말 및 석회분말은 서로 독립적으로 0.1 ㎛ ~ 10 ㎛의 평균입도를 갖는 슬러지 고화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응집제 및 소포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비표면적이 1,000 cm2/g ~ 5,000 cm2/g 인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삭제
- 삭제
- 1) 슬러지 100 중량부에 슬러지 고화제 20 중량부 ~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을 상온양생 또는 가열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시멘트 100 중량부, 시멘트 바인더 400 중량부 ~ 500 중량부, 바이오매스 연소재 400 중량부 ~ 500 중량부 및 유연탄 연소재 100 중량부 ~ 5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시멘트 바인더는 a) 폐콘크리트를 분쇄하여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세척된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열처리 후 폐콘크리트 미분말로부터 시멘트 바인더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의 세척 전 폐콘크리트 미분말에 응집제 및 소포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분쇄는 폐콘크리트의 분말도가 3,000 cm2/g ~ 5,000 cm2/g가 되도록 하는 것인 고화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세척은 살수 스크린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살수는 2 kg/cm2 ~ 4 kg/cm2의 압력조건으로 고압살수하는 것인 고화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열처리는 회전식 건조기를 이용하여 400℃ ~ 800℃의 온도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고화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제지 연소재, 플라이 애쉬, 규사분말, 석회분말, 응집제 및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혼합하여 제조된 것인 고화물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15항 내지 19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고화물로서,
상기 고화물은 KS F 2343에 의거하여 측정한 24시간 양생 후 압축강도가 0.9 kgf/cm2 ~ 1.2 kgf/cm2이고, 72시간 양생 후 압축강도가 1.2 kgf/cm2 ~ 1.5 kgf/cm2이고,
KS F 2306에 의거하여 측정한 3시간 양생 후 함수율이 44% 내지 54%이고, 72시간 양생 후 함수율이 35%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물.
- 삭제
- 청구항 22항의 고화물을 포함하는 복토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0844A KR101735095B1 (ko) | 2016-02-22 | 2016-02-22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CN201710097119.9A CN107098549B (zh) | 2016-02-22 | 2017-02-22 | 污泥固化剂及利用其的固化物制备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0844A KR101735095B1 (ko) | 2016-02-22 | 2016-02-22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5095B1 true KR101735095B1 (ko) | 2017-05-24 |
Family
ID=5905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0844A Active KR101735095B1 (ko) | 2016-02-22 | 2016-02-22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5095B1 (ko) |
CN (1) | CN107098549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55857A (zh) * | 2019-05-28 | 2019-09-20 | 路德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建筑泥浆深度脱水的低碱调理剂及脱水方法 |
CN110372175A (zh) * | 2019-08-30 | 2019-10-25 | 重庆艾克洛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污泥调理剂及污泥干化处理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07994A (zh) * | 2018-12-08 | 2019-04-12 | 南京泽生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底泥改良剂配方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407B1 (ko) * | 2007-06-11 | 2008-06-09 | (주) 대동종합건설 | 폐콘크리트 슬러지를 활용한 고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101190195B1 (ko) | 2010-11-03 | 2012-10-12 |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 고함수 슬러지 고화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고화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83638B2 (ja) * | 2005-12-13 | 2011-05-18 | 達利 小松 | 高含水比濃縮汚泥の処理を対象とした急速脱水固化剤 |
CN101885575A (zh) * | 2010-07-02 | 2010-11-17 | 广东工业大学 | 一种造纸污泥固化/稳定化处理方法 |
US9382143B2 (en) * | 2011-11-02 | 2016-07-05 |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 Solidifying sludge |
CN104891777B (zh) * | 2015-06-17 | 2017-03-01 | 东华大学 | 一种适应剩余污泥生产建材工艺的污泥脱水复合调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5152519B (zh) * | 2015-08-24 | 2017-06-30 | 长安大学 | 一种无机淤泥固化剂、筑路材料及其制备方法 |
-
2016
- 2016-02-22 KR KR1020160020844A patent/KR101735095B1/ko active Active
-
2017
- 2017-02-22 CN CN201710097119.9A patent/CN10709854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407B1 (ko) * | 2007-06-11 | 2008-06-09 | (주) 대동종합건설 | 폐콘크리트 슬러지를 활용한 고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101190195B1 (ko) | 2010-11-03 | 2012-10-12 |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 고함수 슬러지 고화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고화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55857A (zh) * | 2019-05-28 | 2019-09-20 | 路德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建筑泥浆深度脱水的低碱调理剂及脱水方法 |
CN110255857B (zh) * | 2019-05-28 | 2021-12-14 | 路德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建筑泥浆深度脱水的低碱调理剂及脱水方法 |
CN110372175A (zh) * | 2019-08-30 | 2019-10-25 | 重庆艾克洛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污泥调理剂及污泥干化处理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098549A (zh) | 2017-08-29 |
CN107098549B (zh) | 2020-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5096B1 (ko)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
WO2007082505A2 (de) | Co2 nutzung, bindung, verbrauch | |
KR101735095B1 (ko)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
KR20140092699A (ko) | 페트로 코크스 탈황석고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토 제조방법 | |
JP3706618B2 (ja) | 土壌、焼却灰、石炭灰、及び石膏ボードくず用固化・不溶化剤及び固化・不溶化方法 | |
JP4191199B2 (ja) | 廃棄物焼却灰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方法によって得た砂代替材並びに砕石代替材 | |
KR101525034B1 (ko) | 순환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공유수면 매립토 조성물 | |
JP2008126185A (ja) | 焼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0584219B1 (ko) | 폐기물을 이용한 고화제 제조방법 및 고화제를 이용한유기성 오니의 고화처리 방법 | |
KR101735094B1 (ko) | 폐콘크리트로부터 시멘트 바인더를 제조하는 방법 | |
JP2013247860A (ja) | リサイクル土壌 | |
KR101836823B1 (ko) | 낙엽을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고화 방법 | |
KR101708399B1 (ko) | 고화토 및 그 제조 방법 | |
JP2007225166A (ja) | 建設・土木材料の製造方法 | |
KR101567759B1 (ko) | 유기성 또는 무기성 오니의 처리 방법 | |
JP2022045008A (ja) | セメント又はセメント硬化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システム | |
KR101170908B1 (ko) | 하수슬러지용 분말 고화제 및 그 제조방법 | |
KR20060073599A (ko) | 물질, 복합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저장하는 폐기물 처분장, 이들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 목적에 대응하는 장치 | |
JP7643904B2 (ja) | 硫黄含有組成物、セメント組成物及び地盤改良材の製造方法 | |
JP4139371B2 (ja) | 管工事布設用埋戻材の製造方法及び管工事布設用埋戻材 | |
JP6289407B2 (ja) | 灰造粒固化体 | |
CN110914203A (zh) | 生产用于调理污泥、含水土壤以及用于中和酸的结合剂的方法 | |
JPH078997A (ja) | 泥水・泥土類の廃棄処理装置 | |
KR20230013730A (ko) | 화학비료 제조 시 발생하는 잔류물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 |
JP2010201333A (ja) | コンクリート再生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再生材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