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096B1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5096B1 KR101735096B1 KR1020160020843A KR20160020843A KR101735096B1 KR 101735096 B1 KR101735096 B1 KR 101735096B1 KR 1020160020843 A KR1020160020843 A KR 1020160020843A KR 20160020843 A KR20160020843 A KR 20160020843A KR 101735096 B1 KR101735096 B1 KR 1017350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sludge
- waste concrete
- solidifying ag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 B09B3/0041—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pyroly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2—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 C09K17/44—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the inorganic compound being ce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분 | 혼합직후(%) | 3시간 양생 후(%) | 1일 양생 후(%) | 3일 양생 후(%) |
실시예 1 | 60.5 | 51.4 | 45.4 | 42.4 |
실시예 2 | 59.8 | 50.8 | 44.9 | 41.9 |
실시예 3 | 61.2 | 52.0 | 45.9 | 42.8 |
실시예 4 | 57.5 | 48.9 | 43.1 | 40.3 |
실시예 5 | 56.4 | 47.9 | 42.3 | 39.5 |
실시예 6 | 55.9 | 47.5 | 41.9 | 39.1 |
실시예 7 | 54.3 | 46.2 | 40.7 | 38.0 |
비교예 1 | 63.2 | 53.7 | 49.3 | 46.1 |
비교예 2 | 62.1 | 52.8 | 48.4 | 45.3 |
비교예 3 | 61.2 | 51.3 | 47.2 | 44.2 |
비교예 4 | 57.5 | 48.9 | 44.9 | 42.0 |
비교예 5 | 68.5 | 58.2 | 53.4 | 50.0 |
비교예 6 | 61.5 | 52.4 | 46.4 | 43.4 |
비교예 7 | 67.9 | 57.7 | 53.0 | 49.6 |
비교예 8 | 49.2 | 41.8 | 38.4 | 35.9 |
구분 | 3시간 양생 후 (kgf/cm2) | 1일 양생 후 (kgf/cm2) | 3일 양생 후 (kgf/cm2) |
실시예 1 | 0.76 | 0.99 | 1.22 |
실시예 2 | 0.79 | 1.02 | 1.26 |
실시예 3 | 0.85 | 1.11 | 1.36 |
비교예 1 | 0.31 | 0.40 | 0.50 |
비교예 2 | 0.45 | 0.59 | 0.72 |
비교예 3 | 0.80 | 1.04 | 1.28 |
비교예 4 | 0.35 | 0.46 | 0.56 |
비교예 5 | 0.95 | 1.24 | 1.52 |
암모니아 발생량(ppm) | |
실시예 1 | 3 |
실시예 4 | 5 |
비교예 6 | 80 |
Claims (27)
- 경소 백운석, 생석회 및 페트롤 코크스 소각재 연소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알칼리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제 100 중량부 ~ 500 중량부, 시멘트 100 중량부 ~ 500 중량부, 시멘트 바인더 400 중량부 ~ 500 중량부, 제지 연소재 100 중량부 ~ 300 중량부, 비표면적이 4,000 cm2/g ~ 6000 cm2/g인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재 400 중량부 ~ 500 중량부 및 유연탄 연소재 100 중량부 ~ 5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산화칼슘(CaO) 함량이 30 중량% ~ 85 중량%이며,
상기 시멘트 바인더는 폐콘크리트로부터 유래된 것으로서, a) 폐콘크리트를 분쇄하여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세척된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열처리 후 폐콘크리트 미분말로부터 시멘트 바인더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의 세척 전 폐콘크리트 미분말에 응집제 및 소포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것이고,
상기 시멘트 바인더는 밀도가 2.0 g/cm3 ~ 2.5 g/cm3이고, 공극률이 30% ~ 50%이며,
상기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재는 pH 10 ~ 11이고,
상기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재는 팜껍질 연소재, 야자껍질 연소재, 톱밥 연소재, 목질펠렛 연소재, 볏짚 연소재, 옥수수숫대 연소재, 참나무가지 연소재 및 왕겨 연소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산화제는 나트륨 명반, 칼륨 명반 및 황산반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고화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재는 팜껍질 연소재, 야자껍질 연소재 및 톱밥 연소재의 혼합 연소재이고,
상기 혼합 연소재는 팜껍질 연소재, 야자껍질 연소재 및 톱밥 연소재를 1:3 ~ 5:4 ~ 7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재 및 유연탄 연소재는 5 ~ 8:2 ~ 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플라이 애쉬, 규사분말 및 석회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알칼리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 5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플라이 애쉬, 규사분말 및 석회분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라이 애쉬, 규사분말 및 석회분말은 1:1 ~ 2:1 ~ 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애쉬, 규사분말 및 석회분말은 서로 독립적으로 평균 입도가 0.1 ㎛ ~ 10 ㎛인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응집제 및 소포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비표면적이 1,000 cm2/g ~ 5,000 cm2/g인 것인 슬러지 고화제.
- 삭제
- 삭제
- 1) 슬러지 100 중량부에 청구항 1의 슬러지 고화제 20 중량부 ~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알칼리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제 100 중량부 ~ 500 중량부, 시멘트 100 중량부 ~ 500 중량부, 시멘트 바인더 400 중량부 ~ 500 중량부, 제지 연소재 100 중량부 ~ 300 중량부,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소재 400 중량부 ~ 500 중량부 및 유연탄 연소재 100 중량부 ~ 5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시멘트 바인더는
a) 폐콘크리트를 분쇄하여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세척된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열처리 후 폐콘크리트 미분말로부터 시멘트 바인더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의 세척 전 폐콘크리트 미분말에 응집제 및 소포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것인 고화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분쇄는 폐콘크리트의 분말도가 3,000 cm2/g ~ 5,000 cm2/g가 되도록 하는 것인 고화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세척은 살수 스크린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살수는 2 kg/cm2 ~ 4 kg/cm2의 압력조건으로 고압살수하는 것인 고화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열처리는 회전식 건조기를 이용하여 400℃ ~ 800℃의 온도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고화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고화제는 제지 연소재, 플라이 애쉬, 규사분말, 석회분말, 응집제 및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혼합하여 제조된 것인 고화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양생은 상온양생 또는 가열양생인 것인 고화물의 제조방법.
- 슬러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항, 제5항, 제7항, 제9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및 제1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슬러지 고화제 20 중량부 ~ 70 중량부로 혼합 및 양생시킨 것으로서,
KS F 2343에 의거하여 측정한 24시간 양생 후 압축강도가 0.9 kgf/cm2 ~ 1.2 kgf/cm2이고, 72시간 양생 후 압축강도가 1.2 kgf/cm2 ~ 1.5 kgf/cm2인 것인 고화물.
- 삭제
-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고화물은 KS F 2306에 의거하여 측정한 3시간 양생 후 함수율이 45% 내지 55%이고, 72시간 양생 후 함수율이 35% ~ 42.8%인 것인 고화물.
- 제24항의 고화물을 이용한 복토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0843A KR101735096B1 (ko) | 2016-02-22 | 2016-02-22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CN201710097462.3A CN107098550B (zh) | 2016-02-22 | 2017-02-22 | 污泥固化剂及利用其的固化物制备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0843A KR101735096B1 (ko) | 2016-02-22 | 2016-02-22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5096B1 true KR101735096B1 (ko) | 2017-05-12 |
Family
ID=5873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0843A Active KR101735096B1 (ko) | 2016-02-22 | 2016-02-22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5096B1 (ko) |
CN (1) | CN107098550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6823B1 (ko) * | 2017-07-05 | 2018-04-20 | 그린에너지개발주식회사 | 낙엽을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고화 방법 |
KR20230129087A (ko) * | 2022-02-28 | 2023-09-06 | 윤준태 |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혼화재용 필렛회분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
KR20230129088A (ko) * | 2022-02-28 | 2023-09-06 | 윤준태 | 바이오매스와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혼화재용 펠릿회분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과 펠릿회분의 용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09817A (zh) * | 2018-04-19 | 2018-10-02 | 广州市永蓝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河道污泥的固化方法 |
CN110152591B (zh) * | 2019-06-06 | 2022-09-30 | 华侨大学 | 一种城市河道污染底泥活性覆盖板的制备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407B1 (ko) * | 2007-06-11 | 2008-06-09 | (주) 대동종합건설 | 폐콘크리트 슬러지를 활용한 고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101190195B1 (ko) | 2010-11-03 | 2012-10-12 |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 고함수 슬러지 고화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고화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41282B2 (en) * | 2006-09-21 | 2010-11-30 | John Kimberli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combustor for ground or particulate biomass |
CN100497217C (zh) * | 2007-01-26 | 2009-06-10 | 广州普得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污泥脱水的方法 |
CN101062824A (zh) * | 2007-04-17 | 2007-10-31 | 同济大学 | 一种污泥胶凝固化剂及其应用 |
CN101050045B (zh) * | 2007-05-10 | 2010-05-19 | 上海交通大学 | 河流底泥的固化处理方法 |
JP5683066B2 (ja) * | 2008-02-15 | 2015-03-11 | 宇部興産株式会社 | スラッジ乾燥粉を用いたセメント系固化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DE102012102473A1 (de) * | 2012-03-22 | 2013-09-26 | Xtract Gmbh |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Klärschlamm |
CN103910503B (zh) * | 2014-02-18 | 2016-04-13 | 祝建中 | 一种淤泥固化免烧造粒处理方法 |
-
2016
- 2016-02-22 KR KR1020160020843A patent/KR101735096B1/ko active Active
-
2017
- 2017-02-22 CN CN201710097462.3A patent/CN10709855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407B1 (ko) * | 2007-06-11 | 2008-06-09 | (주) 대동종합건설 | 폐콘크리트 슬러지를 활용한 고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101190195B1 (ko) | 2010-11-03 | 2012-10-12 |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 고함수 슬러지 고화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고화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6823B1 (ko) * | 2017-07-05 | 2018-04-20 | 그린에너지개발주식회사 | 낙엽을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고화 방법 |
KR20230129087A (ko) * | 2022-02-28 | 2023-09-06 | 윤준태 |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혼화재용 필렛회분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
KR20230129088A (ko) * | 2022-02-28 | 2023-09-06 | 윤준태 | 바이오매스와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혼화재용 펠릿회분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과 펠릿회분의 용도 |
KR102652824B1 (ko) * | 2022-02-28 | 2024-04-02 | 윤준태 | 바이오매스와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혼화재용 펠릿회분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과 펠릿회분의 용도 |
KR102652825B1 (ko) * | 2022-02-28 | 2024-04-02 | 윤준태 |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혼화재용 필렛회분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098550B (zh) | 2020-08-18 |
CN107098550A (zh) | 2017-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5096B1 (ko)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
WO2007082505A2 (de) | Co2 nutzung, bindung, verbrauch | |
JP7383545B2 (ja) | セメント製造方法 | |
US4397801A (en) |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and aggregate derivatives from said compositions, and cementitious compositions and aggregates produced thereby | |
KR20140092699A (ko) | 페트로 코크스 탈황석고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토 제조방법 | |
KR101735095B1 (ko) |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물의 제조방법 | |
KR101640160B1 (ko) | 심층혼합공법용 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심층혼합공법용 고화 조성물 | |
WO2021193668A1 (ja) | バイオマス灰の改質方法、バイオマス灰のセメント原料化システム、及び改質バイオマス灰 | |
KR20140147307A (ko) | 순환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공유수면 매립토 조성물 | |
JP2008126185A (ja) | 焼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4789410B2 (ja) | 廃棄物の安定化処理固化物及び処理装置 | |
KR100584219B1 (ko) | 폐기물을 이용한 고화제 제조방법 및 고화제를 이용한유기성 오니의 고화처리 방법 | |
KR101735094B1 (ko) | 폐콘크리트로부터 시멘트 바인더를 제조하는 방법 | |
KR20000036361A (ko) | 전기로·제강더스트와 소각재를 이용한 역청포장용 채움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방법 | |
KR101836823B1 (ko) | 낙엽을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고화 방법 | |
JP2001055756A (ja) | 改良土及びその製造方法 | |
JP7398349B2 (ja) | セメント又はセメント硬化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システム | |
JP2007225166A (ja) | 建設・土木材料の製造方法 | |
KR102120557B1 (ko) | 발전부산물을 이용한 오염토양의 안정화 방법 | |
KR101170908B1 (ko) | 하수슬러지용 분말 고화제 및 그 제조방법 | |
JP7643904B2 (ja) | 硫黄含有組成物、セメント組成物及び地盤改良材の製造方法 | |
KR100440212B1 (ko) | 소각 더스트를 이용한 아스콘 채움재의 제조방법 | |
WO2023027093A1 (ja) | 粘土状スラッジの処理方法 | |
KR102008106B1 (ko) | 하수슬러지 고형재 제조방법 | |
JP2012020257A (ja) | 焼結物生成方法、および、焼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