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7497B1 -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497B1
KR101677497B1 KR1020150071658A KR20150071658A KR101677497B1 KR 101677497 B1 KR101677497 B1 KR 101677497B1 KR 1020150071658 A KR1020150071658 A KR 1020150071658A KR 20150071658 A KR20150071658 A KR 20150071658A KR 101677497 B1 KR101677497 B1 KR 101677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driven pulley
drive
conveying
pull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욱
나강식
이병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Priority to KR1020150071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9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대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부재, 물품의 출입을 위해 선반 쪽으로 신장가능하게 구비되고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포크조립체 및 제2포크조립체, 상기 베이스부재에 물품의 출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포크조립체를 지지하는 제1포크지지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포크조립체를 지지하는 제2포크지지부재,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와 제1포크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물품의 크기에 맞추어 포크의 폭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A loading device of a stacker crane }
본 발명은 자동창고 시스템의 스태커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태커 크레인에서 랙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출고시키는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자동창고 시스템은 하물을 보관하기 위한 랙을 가지는 랙 구조물, 하물을 자동창고 내, 외부로 선택적으로 입고 또는 출고시키는 작업대, 랙 구조물 측면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작업대의 하물을 랙 구조물의 랙에 입고시키거나 랙 구조물의 랙에 안치된 하물을 출고시키는 스태커 크레인으로 구성된다.
자동창고 시스템은 다층 다열 구조로 구획된 다수의 보관 공간을 갖는 랙(rack)과, 랙 전방의 공간을 따라 설치된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주행하면서 물품을 제어시스템에 의해 정해진 보관 공간에 로딩 및 언로딩하는 스태커크레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창고 시스템이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6-0122682,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8-0020437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커크레인은 이동레일(1)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대차(2), 주행대차(2)에 직립 상태로 설치된 마스트(3), 마스트(3)에 설치된 승강대(4), 승강대(4)에 설치되어 물품의 로딩 및 언로딩 기능을 수행하는 로딩장치(5)를 포함하고 있다.
주행대차(2)가 이동레일(1)을 따라 수평 주행하면서 마스트(3)와 함께 승강대(4) 및 로딩장치(5)를 수평이동시키게 되고, 승강대(4)가 로딩장치(5)를 마스트(3)를 따라 승하강시켜 물품 출입위치로 이동시킨다. 로딩장치(5)는 랙(선반)에 적재된 물품을 출고하거나 랙으로 물품을 입고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물품의 크기에 맞추어 포크의 폭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는, 승강대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부재, 물품의 출입을 위해 선반 쪽으로 신장가능하게 구비되고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포크조립체 및 제2포크조립체, 상기 베이스부재에 물품의 출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포크조립체를 지지하는 제1포크지지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포크조립체를 지지하는 제2포크지지부재,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와 제1포크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를 이송시키는 제1이송벨트,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와 상기 제1이송벨트를 연동시키는 제1이송부재,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벨트,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와 상기 제2이송벨트를 연동시키는 제2이송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벨트를 무한궤도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피동풀리 및 제2피동풀리, 상기 베이스부재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이송벨트를 무한궤도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피동풀리 및 제4피동풀리, 상기 제1피동풀리와 일체로 거동하는 제1구동풀리, 상기 제3피동풀리와 일체로 거동하는 제2구동풀리, 상기 제1구동풀리와 제2구동풀리에 무한궤도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구동풀리와 제2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를 이송시키는 메인구동풀리, 및 상기 메인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재는 상기 제2이송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이송벨트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에 의하면, 물품의 크기에 맞추어 포크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2개의 포크를 동시에 이동시킴으로써 신속하게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태커 크레인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는, 승강대(4)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부재(10),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물품의 출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포크지지부재(21),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와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포크지지부재(22),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에 고정결합되는 제1포크조립체(30),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22)에 고정결합되는 제2포크조립체(40), 및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와 제1포크지지부재(21)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물품의 출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1가이드(11)와 제2가이드(12)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11)와 제2가이드(12)는 LM가이드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양단에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와 제2포크지지부재(22)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는 제1가이드(11)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22)는 제2가이드(12)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는 상기 제1포크조립체(30)를 지지하고,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22)는 상기 제2포크조립체(40)를 지지한다.
상기 제1포크조립체(30)와 제2포크조립체(40)는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물품의 출입을 위해 선반 쪽으로 신장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포크조립체(30)는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에 고정결합되는 제1메인프레임(31)과, 상기 제1메인프레임(31)의 일측에 물품의 출입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1단포크(32), 상기 1단포크(32)에 대하여 물품의 출입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2단포크(33), 및 상기 2단포크(33)의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선회아암(34)을 포함한다.
상기 제2포크조립체(40)는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41)에 고정결합되는 제2메인프레임(41)을 포함한다. 상기 제2메인프레임(41)에도 1단포크(42)와 2단포크(43)가 신장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2단포크(43)의 선단에도 선회아암(44)이 선회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포크조립체(30)와 제2포크조립체(40)는 1단포크(32,42)와 2단포크(33,43)가 물품의 출입방향을 따라 신장되면서 물품을 적재하거나 출고시키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작동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제10-2014-0050239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를 이송시키는 제1이송벨트(51),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와 상기 제1이송벨트(51)를 연동시키는 제1이송부재(61),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22)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벨트(52),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22)와 상기 제2이송벨트(52)를 연동시키는 제2이송부재(62), 상기 제1이송벨트(51)를 무한궤도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피동풀리(71) 및 제2피동풀리(72), 상기 제2이송벨트를 무한궤도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피동풀리(73) 및 제4피동풀리(74), 상기 제1피동풀리(71)와 일체로 거동하는 제1구동풀리(75), 상기 제3피동풀리(73)와 일체로 거동하는 제2구동풀리(76), 상기 제1구동풀리(75)와 제2구동풀리(76)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53), 상기 구동벨트(53)를 이송시키는 메인구동풀리(77), 및 상기 메인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부재(61)는 일단이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이송벨트(51)에 고정결합되어 제1이송벨트(51)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이송부재(62)는 일단이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22)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이송벨트(52)에 고정결합되어 제2이송벨트(5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22)가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부재(61)는 상기 제2이송부재(62)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이송벨트(51)에 고정결합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부재(61)는 상기 제1이송벨트(51) 중 아래쪽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부재(62)는 상기 제2이송벨트(52) 중 위쪽에 고정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이송부재(61)가 오른쪽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이송부재(62)는 왼쪽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와 제2포크지지부재(2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포크조립체(30)와 제2포크조립체(40) 사이의 폭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포크조립체(30)와 제2포크조립체(40)도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21) 및 제2포크지지부재(22)와 함께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물품의 크기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이송벨트(51)는 제1피동풀리(71)와 제2피동풀리(72)에 양단이 지지되어 무한궤도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피동풀리(71)와 제2피동풀리(72)는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상기 제1가이드(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피동풀리(71)는 제1포크지지부재(21)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피동풀리(72)는 제2포크지지부재(22)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이송벨트(52)는 제3피동풀리(73)와 제4피동풀리(74)에 양단이 지지되어 무한궤도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피동풀리(73)와 제4피동풀리(74)는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상기 제2가이드(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3피동풀리(73)는 제1포크지지부재(21)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4피동풀리(74)는 제2포크지지부재(22)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피동풀리(71)는 제1구동풀리(75)를 통해 상기 구동벨트(5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제3피동풀리(73)는 상기 제2구동풀리(76)를 통해 상기 구동벨트(5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제1구동풀리(75)는 상기 제1피동풀리(71)와 동축상에 일체로 구비되어 제1피동풀리(71)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구동풀리(76)는 상기 제2피동풀리(72)와 동축상에 일체로 구비되어 제2피동풀리(72)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벨트(53)는 상기 제1구동풀리(75)와 제2구동풀리(76)에 무한궤도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메인구동풀리(77)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구동풀리(77)는 상기 구동모터(80)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아이들풀리(78)를 매개로 상기 구동벨트(53)를 무한궤도식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아이들풀리(78)는 상기 구동벨트(53)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일측에 위치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8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벨트(53)가 방향전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이송벨트(51)와 제2이송벨트(52)도 방향전환되면서 상기 제1포크조립체(30)와 제2포크조립체(40)의 폭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이송벨트(51)와 제2이송벨트(52)는 하나의 구동모터(80)에 의해 동시에 이동함으로써 제1포크조립체(30)와 제2포크조립체(40)가 동시에 이동할 뿐만 아니라, 제1포크조립체(30)의 이동거리와 제2포크조립체(40)의 이동거리도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제1포크조립체(30)와 제2포크조립체(40)가 물품의 양쪽에서 동시에 동일한 거리로 이동하여 물품의 크기에 맞게 신속하게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베이스부재
11 : 제1가이드
12 : 제2가이드
21 : 제1포크지지부재
22 : 제2포크지지부재
30 : 제1포크조립체
40 : 제2포크조립체
31 : 제1메인프레임
32 : 제2메인프레임
32,42 : 1단포크
33,43 : 2단포크
34,44 : 선회아암
51 : 제1이송벨트
52 : 제2이송벨트
53 : 구동벨트
61 : 제1이송부재
62 : 제2이송부재
71 : 제1피동풀리
72 : 제2피동풀리
73 : 제3피동풀리
74 : 제4피동풀리
75 : 제1구동풀리
76 : 제2구동풀리
77 : 메인구동풀리
78 : 아이들풀리
80 : 구동모터

Claims (3)

  1. 선반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선반에 적재된 물품을 출고시키는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에 있어서,
    승강대에 고정결합되는 베이스부재;
    물품의 출입을 위해 선반 쪽으로 신장가능하게 구비되고,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포크조립체 및 제2포크조립체;
    상기 베이스부재에 물품의 출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포크조립체를 지지하는 제1포크지지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포크조립체를 지지하는 제2포크지지부재;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와 제2포크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를 이송시키는 제1이송벨트;
    상기 제1포크지지부재와 상기 제1이송벨트를 연동시키는 제1이송부재;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벨트;
    상기 제2포크지지부재와 상기 제2이송벨트를 연동시키는 제2이송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벨트를 무한궤도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피동풀리 및 제2피동풀리;
    상기 베이스부재에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이송벨트를 무한궤도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피동풀리 및 제4피동풀리;
    상기 제1피동풀리와 일체로 거동하는 제1구동풀리;
    상기 제3피동풀리와 일체로 거동하는 제2구동풀리;
    상기 제1구동풀리와 제2구동풀리에 무한궤도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구동풀리와 제2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를 이송시키는 메인구동풀리; 및
    상기 메인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재는,
    상기 제2이송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이송벨트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KR1020150071658A 2015-05-22 2015-05-22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Active KR101677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658A KR101677497B1 (ko) 2015-05-22 2015-05-22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658A KR101677497B1 (ko) 2015-05-22 2015-05-22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497B1 true KR101677497B1 (ko) 2016-11-21

Family

ID=5753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658A Active KR101677497B1 (ko) 2015-05-22 2015-05-22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49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1591A (zh) * 2018-11-22 2019-10-25 天津京东深拓机器人科技有限公司 穿梭车和物流系统
CN110937386A (zh) * 2018-09-21 2020-03-31 张志峰 运输设备
CN111348362A (zh) * 2019-09-30 2020-06-30 深圳市海柔创新科技有限公司 取货控制方法、装置、搬运装置及机器人
US11655099B2 (en) 2017-11-14 2023-05-23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CN116216594A (zh) * 2021-12-03 2023-06-06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不等长叉板的伸缩勾取货叉
CN116514022A (zh) * 2023-05-23 2023-08-01 南京华瑞德物流装备有限公司 一种包括同步带的双向变幅重载货叉
US11718472B2 (en) 2017-11-14 2023-08-08 Hai Robotics Co., Ltd. Automated guided vehicle designed for warehouse
US11794995B2 (en) 2017-11-14 2023-10-24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103771B2 (en) 2017-11-14 2024-10-01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CN118953926A (zh) * 2024-09-02 2024-11-15 重庆路安运输有限公司 一种仓储货物取放方法
US12330870B2 (en) 2017-11-14 2025-06-17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365540B2 (en) 2019-09-30 2025-07-22 Hai Robotics Co., Ltd. Control method for goods retrievement and storage, apparatus, carrying apparatus, and transport robo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404A (ja) * 1999-06-16 2000-12-26 Taisei Corp 複数種類の荷姿に対応する自動倉庫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404A (ja) * 1999-06-16 2000-12-26 Taisei Corp 複数種類の荷姿に対応する自動倉庫システム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8472B2 (en) 2017-11-14 2023-08-08 Hai Robotics Co., Ltd. Automated guided vehicle designed for warehouse
US11655099B2 (en) 2017-11-14 2023-05-23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291396B2 (en) 2017-11-14 2025-05-06 Hai Robot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warehouse robot to store and fetch inventory materials
US11794995B2 (en) 2017-11-14 2023-10-24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1794996B2 (en) 2017-11-14 2023-10-24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006143B2 (en) 2017-11-14 2024-06-11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103771B2 (en) 2017-11-14 2024-10-01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139335B2 (en) 2017-11-14 2024-11-12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330870B2 (en) 2017-11-14 2025-06-17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CN110937386A (zh) * 2018-09-21 2020-03-31 张志峰 运输设备
CN110371591A (zh) * 2018-11-22 2019-10-25 天津京东深拓机器人科技有限公司 穿梭车和物流系统
CN111348362A (zh) * 2019-09-30 2020-06-30 深圳市海柔创新科技有限公司 取货控制方法、装置、搬运装置及机器人
US12365540B2 (en) 2019-09-30 2025-07-22 Hai Robotics Co., Ltd. Control method for goods retrievement and storage, apparatus, carrying apparatus, and transport robot
CN116216594A (zh) * 2021-12-03 2023-06-06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不等长叉板的伸缩勾取货叉
CN116514022A (zh) * 2023-05-23 2023-08-01 南京华瑞德物流装备有限公司 一种包括同步带的双向变幅重载货叉
CN118953926A (zh) * 2024-09-02 2024-11-15 重庆路安运输有限公司 一种仓储货物取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497B1 (ko)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KR101717447B1 (ko)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KR102502484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987163B1 (ko) 승강 반송 장치
JPH11157604A (ja) 自動倉庫
JP2016052947A5 (ko)
KR20120108962A (ko) 물품 이송탑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
JP2692414B2 (ja) トレーへの荷積み卸し設備
JP2013052938A (ja) 仕分けシステム
JP2018030680A (ja) 移載装置
JP2007126258A (ja) 物品移載装置及び物品収納設備
JP2004010304A (ja) 垂直循環型トレイ式仕分け装置
JP4666216B2 (ja) 物品収納設備
JP5267856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物品収納設備
JP2010159118A (ja) 自動倉庫
JP6536218B2 (ja) 昇降搬送装置
JP6135402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設備
JP5332191B2 (ja) 移載装置
JP6507728B2 (ja) 昇降搬送装置
JP6677096B2 (ja) 昇降搬送装置
EP4159645A1 (en) Transport conveyor and transport apparatus equipped with transport conveyor
US20250197114A1 (en) An unmanned shuttle for load handling in a warehouse
JP2002096904A (ja) 荷の移載装置
JP6705350B2 (ja) 荷積込装置
JP2002173224A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