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0838B1 -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838B1
KR101660838B1 KR1020090028133A KR20090028133A KR101660838B1 KR 101660838 B1 KR101660838 B1 KR 101660838B1 KR 1020090028133 A KR1020090028133 A KR 1020090028133A KR 20090028133 A KR20090028133 A KR 20090028133A KR 101660838 B1 KR101660838 B1 KR 10166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photographed
image
recognized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723A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83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device, e.g. in a memory or on a display separate from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mage modifying data, e.g. handwritten addenda, highlights 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촬영된 영상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촬영된 영상들 및 라이브 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얼굴로부터 상기 인물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와, 상기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계산하는 계산부와, 라이브 뷰 영상과 상기 얼굴 인식부가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서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하여 인물에 따라서 촬영 횟수의 편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사람이 같이 모임을 하거나 여행을 가는 경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를 함께 소지하여 많은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기기 마련이다. 더욱이 저장매체에 관한 기술의 발달로 메모리 등의 저장 용량은 비약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용량에 신경쓰지 않고 마음껏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촬영을 하다가 보면 개인적으로 호감을 가지는 인물의 영상은 많이 촬영하게 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의 수가 적게 되기 마련이다. 또한 가능한 공평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촬영 매수가 늘어날수록 인물별로 촬영된 횟수를 정확하게 기억하기 힘들어 결국에는 인물별로 촬영 횟수에 편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으며, 촬영된 영상이 적은 당사자는 기분이 상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물에 따라서 촬영 횟수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촬영된 영상들 및 라이브 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얼굴로부터 상기 인물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와, 상기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계산하는 계산부와, 라이브 뷰 영상과 상기 얼굴 인식부가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서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계산부로부터 상기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인가받고,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서 인식한 인물에 상기 촬영된 횟수를 표시하는 GUI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촬영된 영상들에서 인식한 인물 및 상기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계산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인물의 인식을 수행할 대상이 되는 영상의 조건을 설정하고, 상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영상들에 대하여 인물의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촬영된 영상들 및 라이브 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얼굴로부터 상기 인물을 인식하는 단계와, b) 상기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c)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서 인식한 인물에 상기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인물의 인식을 수행할 대상이 되는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영상에 대하여 인물의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인물에 따라서 촬영 횟수의 편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100)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상장치(100)는 결상 광학계(101), 촬상소자(107),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 DSP/CPU(120), 조작부(130), 드라이버(140), 모터(141), 영상 신호 처리부(150), 압축 처리부(15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2), 디스플레이부(153), RAM(160), 메모리 콘트롤러(161), 및 메모리(16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상 광학계(101)는, 예를 들면 줌 렌즈(102), 조리개(103), 포커스 렌즈(104) 등으로 이루어진다. 결상 광학계(101)는 외부의 광정보를 촬상소자(107)에 결상시키는 광학계 시스템으로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소자(107)까지 투과시킨다. 줌 렌즈(102)는 초점 거리를 변화시켜 화각을 바꾸는 렌즈이다. 조리개(103)는, 투과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기구로서 모터(141)에 의해 구동된다. 포커스 렌즈(104)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촬상소자(107)의 촬상면에 피사체 상의 초점을 맞춘다. 조리개(103) 및 포커스 렌즈(104)는 모터(141)에 의해 구동된다. 도 1에서는 드라이버(140) 및 모터(141)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조리개(103) 및 포커스 렌즈(104)가 각각 한 쌍의 드라이버와 모터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모터(141)는 드라이버(140)로부터 구동 신호를 받아 구동한다.
촬상소자(107)는 광전 변환 소자의 일례로서, 결상 광학계(101)를 투과하여 입사된 광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이 가능한 복수의 소자로 구성된다. 각 소자는 수광한 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촬상소자(107)는 CCD(choarge coupled device) 센서, COM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촬상소자(107)의 노광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비촬영시에 광을 차단하고 촬영시에만 광이 닿도록 메커니컬 셔터(미도시)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셔터(미도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메커니컬 셔터 또는 전자 셔터의 동작은 DSP/CPU(120)에 접속된 셔터 버튼(조작부(130))의 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촬상소자(107)는 또한 CDS/AMP부(108), A/D 변환부(ADC: analog digital converter)(109)를 포함할 수 있다. CDS/AMP부(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증폭기(amplifier))(108)는, 촬상소자(107)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를 임의의 레벨까지 증폭시킨다. A/D 변환부(109)는, CDS/AMP부(108)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A/D 변환부(109)는, 생성한 디지털 신호를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로 출력한다.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는 A/D 변환부(109)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처리를 하여 영상 처리가 가능해지는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는, 생성한 영상신호를 예를 들면 영상신호 처리부(150)로 출력한다. 또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는, RAM(160)으로의 영상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를 제어한다.
DSP/CPU(120)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촬상장치(100) 내에 설치된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DSP/CPU(120)는, 예를 들면 포커스 제어나 노출 제어에 기초하여 드라이버(140)로 신호를 출력하여 결상 광학계(101)를 구동시킨다. 또 DSP/CPU(120)는 조작부(13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DSP/CPU(120)가 하나로만 이루어진 구성이지만,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별도의 CPU에서 수행하는 등 여러 개의 CPU로 구성되어도 좋다.
DSP/CPU(1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타이밍 제너레이터(TG: timing generator)(121)와, 얼굴 인식부(122)와, 계산부(123)와, GUI 생성부(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너레이터(121)는, 촬상소자(107)나 CDS/AMP부(108)에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고 촬상소자(107)를 구성하고 있는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이나 전하의 독출을 제어한다.
얼굴 인식부(122)는 촬영된 영상들 및 라이브 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얼굴로부터 상기 얼굴의 인물을 인식한다. 상기 인물의 얼굴 인식은 기존에 공지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산부(123)는 상기 얼굴 인식부(122)에서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계산한다. 상기 계산부(123)는 메모리(162)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영상들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메모리(162)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인물의 얼굴 인식을 수행할 대상이 되는 영상의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영상에 대하여만 인물의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날짜를 조건으로 하는 경우 2009년 3월 1일 ~ 2009년 3월 5일 사이에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만 인물의 얼굴 인식 및 촬영된 횟수 계산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상기 조건으로 최근에 촬영된 영상 100매, 또는 특정 폴더에 저장된 영상 등 다양한 방법으로 얼굴 인식을 수행할 대상이 되는 영상의 조건 설정 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조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조건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GUI 생성부(124)는 상기 계산부로부터 상기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인가받고, 라이브 뷰 영상에서 인식한 인물에 상기 촬영된 횟수를 표시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계산부(123)에서 인물 a가 촬영된 횟수가 5라고 판단한 경우, GUI 생성부(124)는 숫자 5를 GUI로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53)로 보내어 표시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DSP/CPU(120)는 자동 초점 조절을 위한 AF 제어부, 자동 노광을 제어하기 위한 AE 제어부, 조리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예를 들면 촬상장치(100)에 설치된 방향키, 전원 스위치, 모드 다이얼, 셔터 버튼 등이다. 조작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 신호를 DSP/CPU(120) 등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셔터 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반누름, 완전누름, 해제가 가능하다. 셔터 버튼은 반누름(S1 조작) 되었을 대 AF를 위한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반누름 해제로 포커스 제어가 종료된다. 또 셔터 버튼은 완전누름(S2 조작) 되었을 때 촬영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영상신호 처리부(150)는,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로부터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WB 제어값, γ값, 윤곽 강조 제어값 등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압축 처리부(151)는 압축 처리 전의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예를 들면 JPEG 압축 형식 또는 LZW 압축 형식 등의 압축 형식으로 영상신호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압축 처리부(151)는, 압축 처리로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예를 들면 메모리 콘트롤러(161)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2)는, 예를 들면 RAM(160)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부(153)에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3)가 표시하는 영상은, 예를 들면 RAM(160)으로부터 독출된 촬영 전의 영상(라이브 뷰 영상), 촬상장치(100)의 각종 설정 화면이나 촬상하여 기록된 영상 등이다. 또한 GUI 생성부(124)에서 생성한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GUI는 얼굴 인식부(122)가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서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나타내는 GUI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3) 및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화면) 및 LCD 드라이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표시 구동부 등이어도 좋다.
RAM(160)은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RAM(16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VRAM(video RAM)과 SDRAM(synchronous DRAM)을 포함할 수 있다.
VRAM은 영상 표시용 메모리로서 여러 개의 채널을 가진다. VRAM은 SDRAM으로부터의 영상 표시용 영상 데이터의 입력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2)로의 영상 데이터의 출력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3)의 해상도나 최대 발색수는 VRAM의 용량에 의존할 수 있다.
SDRAM은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SDRAM은 여러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용량을 가지고 있다. 또한 SDRAM은 DSP/CPU(120)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SDRAM으로의 영상의 읽기 및 쓰기 동작은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161)는 메모리(162)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입, 또는 상기 메모리(162)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메모리(162)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 매체 등으로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압축 처리부(151)에서 생성된 영상 파일일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161) 및 메모리(162)는 촬상장치(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161)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례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촬영된 영상들에서 인식한 인물 및 상기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정리한 것이다. 상기 인식한 인물 및 상기 촬영된 횟수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얼굴 인식부(122) 및 상기 계산부(123)로부터 인가받을 수 있다.
촬상장치(100)에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로 처리할 수도 있으며,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로 실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00)로서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 즉 렌즈가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예를 들면 정지 영상 을 촬영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200, 300)이다.
촬상장치(100)는 촬영 모드에서 촬상소자(107)를 제어하여 일정 간격으로 노광시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 일정 간격은, 예를 들면 1/30초, 1/60초와 같은 단위로서, 일정 간격으로 독출된 영상을 1 프레임이라고 한다. 상기 1 프레임마다의 영상은, 예를 들면 촬상장치(100)의 배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53)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라이브 뷰 영상).
촬상장치(100)가 재생 모드로 진입하면(S210),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인물의 인식을 수행할 대상이 되는 조건을 설정한다. 즉, 인물의 촬영 횟수를 계산할 대상이 되는 영상의 조건을 설정한다(S220). 예를 들면 날짜, 파일 번호, 폴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인물의 촬영 횟수를 계산할 대상이 되는 영상의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조건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한 조건에 해당하는 영상들로부터 얼굴을 추출하고(S230), 상기 추출한 얼굴들로부터 상기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을 인식하며(S240), 상기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계산한다(S250).
상기 계산된 촬영 횟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S260).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인식한 인물, 상기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음 표 1과 같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인물 촬영 횟수
1 a 5
2 b 4
3 c 2
4 d 1
상기 표 1에서는 얼굴 인식 및 촬영 횟수의 계산 결과, 인물 a는 5번, 인물 b는 4번, 인물 c는 2번, 인물 d는 1번 촬영된 것으로 나타나있으며, 상기 수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촬상장치(100)가 촬영 모드로 진입하면(S310), 디스플레이부(153)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라이브 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S320).
촬상장치(100)는 라이브 뷰 영상에 얼굴이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S330), 얼굴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에 얼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얼굴 인식 동작을 수행한다(S340). 즉,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얼굴의 인물을 인식하며, 상기 인식한 인물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인물인지를 판단한다(S35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인식한 인물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인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인물을 등록한다(S351). 이 때, 상기 새로운 인물은 기존에 촬영된 영상이 없으므로 촬영 횟수가 0으로 설정될 것이다.
상기 인식한 인물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타나내는 GUI를 생성하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촬영된 횟수를 0으로 하여 GUI를 생성할 것이다(S360).
상기 생성된 GUI는 라이브 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S370). 상기 GUI는 인식한 인물 위 또는 근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GUI는 OSD(On screen display)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촬상장치(100)에서 라이브 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의 인물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인물로서 촬영횟수가 0으로 설정되어 표시되었다. 반면에 중앙의 인물은, 예를 들면 상기 표 1의 인물 a에 해당하고, 좌측의 인물은 인물 b에 해당할 수 있다. 얼굴 인식 결과 라이브 뷰 영상에 인물 a 및 b가 포함되어 있음을 판단하였으면, 상기 인물 a 및 b의 촬영 횟수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촬영 횟수를 GUI로 각각 5, 4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건 설정을 재생 모드에 진입할 때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상장치(100)의 초기 셋팅시 등 임의의 시기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인식을 먼저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라이브 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을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결과를 사용하여 GUI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영된 영상들에 포함된 인물을 인식하는 동작과 라이브 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을 인식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촬영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촬영 횟수를 라이브 뷰 영상에 표시하여줌으로 인하여 인물에 따라서 촬영 횟수의 편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촬상장치에서 라이브 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6)

  1. 촬영된 영상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촬영된 영상들 및 라이브 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얼굴들로부터 상기 인물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라이브 뷰 영상과 상기 얼굴 인식부가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서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인물의 인식을 수행할 대상이 되는 영상의 조건 - 상기 조건은 상기 촬영된 영상들의 날짜, 촬영된 영상들의 촬영 매수, 및 촬영된 영상들이 저장된 폴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영상에 대하여 인물의 인식을 수행하고,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라이브 뷰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 인물의 얼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이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인물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인물인 경우 상기 촬영 횟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인물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로부터 상기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인가받고,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서 인식한 인물에 상기 촬영된 횟수를 표시하는 GUI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들에서 인식한 인물 및 상기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
  4. 삭제
  5. a) 촬영된 영상들 및 라이브 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얼굴로부터 상기 인물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인식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서 인식한 인물에 상기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인물의 인식을 수행할 대상이 되는 조건 - 상기 조건은 상기 촬영된 영상들의 날짜, 촬영된 영상들의 촬영 매수, 및 촬영된 영상들이 저장된 폴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영상에 대하여 인물의 인식을 수행하고,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라이브 뷰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 인물의 얼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이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인물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인물인 경우 상기 촬영 횟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인물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6. 삭제
KR1020090028133A 2009-04-01 2009-04-01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60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33A KR101660838B1 (ko) 2009-04-01 2009-04-01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33A KR101660838B1 (ko) 2009-04-01 2009-04-01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23A KR20100109723A (ko) 2010-10-11
KR101660838B1 true KR101660838B1 (ko) 2016-09-28

Family

ID=4313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133A KR101660838B1 (ko) 2009-04-01 2009-04-01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0217A1 (zh) * 2015-06-30 2017-01-05 北京旷视科技有限公司 活体检测方法及设备、计算机程序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010A (ja) 2004-12-15 2006-06-29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2007202104A (ja) 2006-01-24 2007-08-09 Lingsen Precision Industries Ltd マイクロホンのパッケージ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010A (ja) 2004-12-15 2006-06-29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2007202104A (ja) 2006-01-24 2007-08-09 Lingsen Precision Industries Ltd マイクロホンのパッケージ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23A (ko) 201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6615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20776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144422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4645685B2 (ja) カメラ、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影方法
KR10175683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10122294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JP4732303B2 (ja) 撮像装置
KR20110015309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8139683A (ja) 撮像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US8681235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signal that obtains still image at desired point in ti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KR20120081517A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60838B1 (ko)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039365A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208355A (ja)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66120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7166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170217B2 (ja) カメラ、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影方法
JP2008028956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における対象物検出用画像信号の生成方法
JP201113912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257097B2 (ja) 撮像装置
JP4727526B2 (ja) 撮像装置
JP2009212867A (ja) 撮影画像処理装置、撮影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影制御方法
JP6278688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1177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KR20100114420A (ko)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