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14420A -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420A
KR20100114420A KR1020090032947A KR20090032947A KR20100114420A KR 20100114420 A KR20100114420 A KR 20100114420A KR 1020090032947 A KR1020090032947 A KR 1020090032947A KR 20090032947 A KR20090032947 A KR 20090032947A KR 20100114420 A KR20100114420 A KR 20100114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cus
failed
resul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420A/ko
Publication of KR2010011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42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AF 제어부와, 상기 조절된 초점에 따라서 상기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피사체 영상에서 초점 조절의 실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들을 재생모드에서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영상 재생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하여 초점 조절이 실패한 촬영 영상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Im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초점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는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라이브 뷰 영상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하고 있는 영상이 노출이나 초점등이 적절한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초점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AF(Auto Focus) 기능을 탑재한 촬상장치들이 제공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처럼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돕기 위한 기능들이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상기 기능들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거나, 혹은 주변 환경의 영향 등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한편, 촬영된 영상이 초점이 맞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재생 모드로 들어가 각 영상을 확대해서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했다. 촬상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크기에 맞추어 재생된 영상으로는 초점이 맞았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촬영된 영상이 초점이 맞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재생 모드로 전환하는 버튼, 디지털 줌을 실행하는 버튼 등을 조작하여야 하므로 많은 수고가 들어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점 조절이 실패한 촬영 영상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AF 제어부와, 상기 조절된 초점에 따라서 상기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피사체 영상에서 초점 조절의 실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들을 재생모드에서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영상 재생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촬영된 피사체 영상의 콘트라스트 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초점 조절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초점 조절의 실패 여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를 Exif 헤더에 포함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영상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영상 재생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파일의 Exif 헤더에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고, 초점 조절을 실패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들을 사용하여 재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 b) 상기 조절된 초점에 따라서 상기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초점 조절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단 결과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들을 재생모드에서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피사체 영상의 콘트라스트 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초점 조절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c-1) 상기 c)단계 다음에 상기 초점 조절의 실패 여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를 Exif 헤더에 포함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c-2) 상기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는, 상기 저장된 영상 파일의 Exif 헤더에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고, 초점 조절을 실패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들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초점 조절을 실패한 촬영 영상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및 삭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100)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상장치(100)는 결상 광학계(101), 촬상소자(107),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 DSP/CPU(120), 조작부(130), 드라이버(140), 모터(141), 영상신호 처리회로(150), 압축 처리회로(151), RAM(160), 디스플레이부(170),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71), 메모리 콘트롤러(180), 및 메모리(18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상 광학계(101)는, 예를 들면 줌 렌즈(102), 조리개(103), 포커스 렌즈(104) 등으로 이루어진다. 결상 광학계(101)는 외부의 광정보를 촬상소자(107)에 결상시키는 광학계 시스템으로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소자(107)까지 투과시킨다. 줌 렌즈(102)는 초점 거리를 변화시켜 화각을 바꾸는 렌즈이다. 조리개(103)는, 투과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기구로서 모터(141)에 의해 구동된다. 포커스 렌즈(104)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촬상소자(107)의 촬상면에 피사체 상의 초점을 맞춘다. 조리개(103) 및 포커스 렌즈(104)는 모터(141)에 의해 구동된다. 도 1에서는 드라이버(140) 및 모터(141)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조리개(103) 및 포커스 렌즈(104)가 각각 한 쌍의 드라이버와 모터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모터(141)는 드라이버(140)로부터 구동 신호를 받아 구동한다.
촬상소자(107)는 광전 변환 소자의 일례로서, 결상 광학계(101)를 투과하여 입사된 광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이 가능한 복수의 소자로 구성된다. 각 소자는 수광한 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촬상소자(107)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촬상소자(107)의 노광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비촬영시에 광을 차단하고 촬영시에만 광이 닿도록 메카니칼 셔터(미도시)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셔터(미도시)를 적용해도 좋다. 메카니칼 셔터 또는 전자 셔터의 동작은, DSP/CPU(120)에 접속된 셔터 버튼(조작부(130))의 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촬상소자(107)는 또한 CDS/AMP부(108), A/D 변환부(ADC: analog digital converter)(109)를 포함할 수 있다. CDS/AMP부(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증폭기(amplifier))(108)는, 촬상소자(107)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를 임의의 레벨까지 증폭시킨다. A/D 변환부(109)는, CDS/AMP부(108)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A/D 변환부(109)는, 생성한 디지털 신호를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로 출력한다.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는 A/D 변환부(109)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처리를 하여 영상상 처리가 가능해지는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는, 생성한 영상신호를 예를 들면 영상신호 처리회로(150)로 출력한다. 또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는, RAM(160)으로의 영상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광학 결상계(101), 촬상소자(107),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 등은 촬영부의 일례일 수 있다. 촬영부는 후술할 AF 제어부(122) 등에 의하여 조절된 초점에 따라서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부분이다.
DSP/CPU(120)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촬상장치(100) 내에 설치된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DSP/CPU(120)는, 예를 들면 포커스 제어나 노출 제어에 기초하여 드라이버(140)로 신호를 출력하여 결상 광학계(101)를 구동시킨다. 또 DSP/CPU(120)는 조작부(13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DSP/CPU(120)가 하나로만 이루어진 구성이지만,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별도의 CPU에서 수행하는 등 여러 개의 CPU로 구성되어도 좋다.
DSP/CPU(1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타이밍 제너레이터(TG: timing generator)(121)와, AF 제어부(122)와, 포커스 제어부(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너레이터(121)는, 촬상소자(107)나 CDS/AMP부(108)에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고 촬상소자(107)를 구성하고 있는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이나 전하의 독출을 제어한다.
AF 제어부(122)는 영상신호 처리회로(150)에서 산출된 AF(auto focus: 자동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104)의 합초(合焦) 위치를 산출한다. 합초 위치란 피사체 상의 초점이 촬상소자의 촬상면에 맞도록 하는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를 말한다. 즉, AF 제어부(122)는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한다. 여기서 AF 평가값은, 영상신호의 휘도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 처리회로(150)에서 산출된 것이다. AF 평가값은, 예를 들면 영상의 콘트라스트값으로서, 콘트라스트값이 피크가 되었을 때 피사체상이 촬상소자(107)의 촬상면에서 합초되어 있다고 판단한다(콘트라스트 검출 방식).
포커스 제어부(123)는, AF를 위한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받으면 포커스 렌즈(104)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140)로 출력한다. 드라이버(140)는 포커스 제어부(123)로부터 받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드라이버(140)는 생성한 구동 신호를 모터(141)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DSP/CPU(120)는 촬영된 피사체 영상에서 초점 조절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의 일례일수 있다. 상기 판단부로서 DSP/CPU(120)는 영상신호 처리회로(150)에서 산출한 AF 평가값에 기초하여 초점 조절의 실패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AF 평가값은 콘트라스트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단부는 촬영된 영상의 콘트라스트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이하일 때 초점 조절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SP/CPU(120)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일괄적으로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는 영상 재생부의 일례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DSP/CPU(120)는 자동 노광을 제어하기 위한 AE 베어부, 조리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30)로부터 인가된 조작 신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영상의 썸네일 화면이나, 촬상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메뉴 화면 등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관리하는 GUI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조작부(130)는, 예를 들면 촬상장치(100)에 설치된 상하좌우 키, 전원 스위치, 모드 다이얼, 셔터 버튼 등이다. 조작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 신호를 DSP/CPU(120) 등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셔터 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반누름, 완전누름, 해제가 가능하다. 셔터 버튼은 반누름(S1 조작)되었을 때 AF를 위한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반누름 해제로 포커스 제어가 종료된다. 또 셔터 버튼은 완전누름(S2 조작)되었을 때 촬영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영상신호 처리회로(150)는,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WB 제어값, γ값, 윤곽 강조 제어값 등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영상신호 처리회로(150)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고, 상기 AF 평가값을 DSP/CPU(120)로 전송한다.
압축 처리회로(151)는 압축 처리 전의 영상신호를 받아, 예를 들면 JPEG 압축 형식 또는 LZW 압축 형식 등의 압축 형식으로 영상신호를 압축 처리한다. 압축 처리회로(151)는, 압축 처리로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메모리 콘트롤러(18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 처리회로(151)는 영상 파일 생성부의 일례일 수 있으며, 상기 압축 처리 수행시 판단부에서 판단한 초점 조절의 실패 여부의 결과를 Exif 헤더에 포함시켜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를 Exif 헤더에 포함시키는 경우, 상기 영상 재생부로서의 DSP/CPU(120)는 메모리(181)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판단 결과 데이터를 추 출하고, 초점 조절이 실패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들을 사용하여 재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71)는, 예를 들면 RAM(160)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부(170)에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70)가 표시하는 영상은, 예를 들면 RAM(160)으로부터 독출된 촬영 전의 영상(라이브 뷰 영상), 촬상장치(100)의 각종 설정 화면이나 촬상하여 기록된 영상 등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 및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7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화면) 및 LCD 드라이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기 EL 디스플레이, 그 표시 구동부 등이어도 좋다.
RAM(160)은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RAM(16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VRAM(video RAM)과 SDRAM(synchronous DRAM)을 포함할 수 있다.
VRAM(video RAM)은 영상 표시용 메모리로서 여러 개의 채널을 가진다. VRAM은 SDRAM으로부터의 영상 표시용 영상 데이터의 입력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71)로의 영상 데이터의 출력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의 해상도나 최대 발색수는 VRAM의 용량에 의존할 수 있다.
SDRAM(synchronous DRAM)은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SDRAM은 여러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용량을 가지고 있다. 또 SDRAM은 포커스 제어시의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유지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또 SDRAM은 DSP/CPU(120)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SDRAM으로의 영상의 읽 고 쓰기는 영상 입력 콘트롤러(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180)는 메모리(181)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입, 또는 상기 메모리(181)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메모리(181)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 매체 등으로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압축 처리회로(151), 즉 영상 파일 생성부에서 생성된 영상 파일일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180), 메모리(181)는 촬상장치(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촬상장치(100)에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로 처리해도 좋고, 컴퓨터상의 프로그램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로 실현해도 좋다.
한편, 도 1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00)로서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 즉 렌즈가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는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예를 들면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200, 300)이다.
촬상장치(100)는 촬영 모드에서 촬상소자(107)를 제어하여 일정 간격으로 노 광시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 일정 간격은, 예를 들면 1/30초 단위로서, 일정 간격으로 독출된 영상을 1 프레임이라고 한다. 상기 1프레임마다의 영상은, 예를 들면 촬상장치(100)의 배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70)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상의 휘도값을 산출한다. 휘도값의 산출 방법은 종래에 개시된 일반적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하여 셔터 버튼이 반셔터 누름(S1 조작)이 됨으로써(S210)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한다(S220). 즉, AF 제어를 위한 포커스 제어 동작이 개시된다. 상기 포커스 제어 동작의 개시에 의하여 포커스 렌즈(104)를 무한 촬영 거리와 최단 촬영 거리의 위치 사이를 왕복으로 구동시켜 AF 평가값을 산출한다. 상기 AF 평가값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계산한 콘트라스트 값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셔터 버튼이 완전 셔터 누름(S2 조작)이 됨으로써(S230) 피사체의 영상이 조절된 초점에 따라서 촬영되며, 상기 셔터 버튼이 완전 셔터 누름이 된 순간의 AF 결과를 판단한다(S240). 즉, 촬영된 영상에서 AF 평가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촬영시의 초점 조절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상기 AF 평가값은 피사체 영상의 콘트라스값일 수 있으며, 상기 콘트라스트값이 문턱값 이하인 경우에 초점 조절을 실패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가 Exif에 포함되고 영상신호 처리 및 압축 처리가 수행된 영상 파일을 생성하며(S250), 상기 생성된 영상 파일은 메모리(181)에 저장된다(S260).
이와 같이 생성된 영상 파일은 재생 모드에서 재생 영상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100)는 재생 모드에 진입하면 저장된 영상 파일들의 Exif를 검색한다(S310). 상기 검색한 Exif 에서 AF 제어 실패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독출하여 AF 제어를 실패한 영상 파일들을 추출한다(S320).
상기 추출된 영상 파일들을 사용하여 재생 영상이 생성되며, 상기 재생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다(S330).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이 많은 경우 상기 재생 영상은 썸네일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들을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340), 사용자로부터 영상 파일들을 삭제하지 않는다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재생 모드를 실행한다.
한편, 영상 파일들을 삭제한다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된 영상들 전부를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하고(S350),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파일들만을 삭제하거나(S361) AF 제어를 실패한 영상들을 전부 삭제할 수 있다(S360).
영상 파일의 삭제 동작이 완료되면 일반적인 재생 모드로서 재생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한다(S370).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들에 대하여 초점 조절 결과를 영상 파일의 Exif에 삽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재생 모드에서 일괄적으로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초점 조절을 실패한 촬영 영상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및 삭제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촬상장치에서 초점이 맞지 않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상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에 복수의 영상들이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썸네일 영상들은 촬영시 AF 제어, 즉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들이며, 사용자는 상기 화면에서 버튼 조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별도로 재생 모드에서 초점 조절을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없이 도 4와 같이 일괄적으로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줌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초점 조절을 실패한 촬영 영상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및 삭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촬상장치에서 초점이 맞지 않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8)

  1.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AF 제어부;
    상기 조절된 초점에 따라서 상기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피사체 영상에서 초점 조절의 실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들을 재생모드에서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영상 재생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촬영된 피사체 영상의 콘트라스트 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초점 조절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하는 촬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의 실패 여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를 Exif 헤더에 포함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영상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파일의 Exif 헤더에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고, 초점 조절을 실패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들 을 사용하여 재생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장치.
  5. a)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단계;
    b) 상기 조절된 초점에 따라서 상기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초점 조절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단 결과 초점 조절을 실패한 영상들을 재생모드에서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피사체 영상의 콘트라스트 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초점 조절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하는 촬상장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c-1) 상기 c)단계 다음에 상기 초점 조절의 실패 여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를 Exif 헤더에 포함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c-2) 상기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저장된 영상 파일의 Exif 헤더에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고, 초점 조절을 실패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제어방법.
KR1020090032947A 2009-04-15 2009-04-15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 Ceased KR20100114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947A KR20100114420A (ko) 2009-04-15 2009-04-15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947A KR20100114420A (ko) 2009-04-15 2009-04-15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420A true KR20100114420A (ko) 2010-10-25

Family

ID=4313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947A Ceased KR20100114420A (ko) 2009-04-15 2009-04-15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4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776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1090459B (zh) 拍摄设备和拍摄方法
US9398230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JP4727534B2 (ja) 撮像装置
JP3778163B2 (ja) 撮像装置
KR101009345B1 (ko) 합초 위치 검출 장치, 촬상 장치 및 합초 위치 검출 방법
CN102739961B (zh) 能够生成广角图像的图像处理装置
JP2013123210A (ja) 撮像装置
CN101998060B (zh) 通过使用自动聚焦确定抖动图像的方法和设备
KR101630287B1 (ko) 손 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70298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819811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US8681235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signal that obtains still image at desired point in ti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JP2009284136A (ja) 電子カメラ
JP200801509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31007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0199884A (ja) 撮像装置
JP4445662B2 (ja) 電子カメラ
JP2006303961A (ja) 撮像装置
JP2007133810A (ja) 画像処理装置
KR101660838B1 (ko)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14420A (ko)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
JP564856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16244A (ja) 撮像装置
JP2011249923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