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9186B1 -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Google Patents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186B1
KR101659186B1 KR1020140191165A KR20140191165A KR101659186B1 KR 101659186 B1 KR101659186 B1 KR 101659186B1 KR 1020140191165 A KR1020140191165 A KR 1020140191165A KR 20140191165 A KR20140191165 A KR 20140191165A KR 101659186 B1 KR101659186 B1 KR 101659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stenitic stainless
inventory
stainless steel
flexibility
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998A (ko
Inventor
강형구
조규진
채동철
이재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91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186B1/ko
Priority to CN201580071219.3A priority patent/CN107429367A/zh
Priority to US15/539,874 priority patent/US20170349985A1/en
Priority to JP2017530337A priority patent/JP2018502991A/ja
Priority to EP15873501.9A priority patent/EP3239341A4/en
Priority to PCT/KR2015/012973 priority patent/WO2016104974A1/ko
Publication of KR2016007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1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21D8/1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소개된다.
본 발명의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 %로, Si : 0.1~0.65%, Mn : 1.0~3.0%, Ni : 6.5~10.0%, Cr: 16.5~18.5%, Cu : 6.0%이하(0은 제외), C+N :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의 수식으로 정의된 가공경화식 H1이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H1 = -459 + 79.8Si - 10.2Mn - 8.16Ni + 48.0Cr - 13.2Cu + 623(C+N)

Description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Austenitic stainless steels with increased flexibility}
본 발명은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용 및 자동차용 에어컨 냉매 배관으로 스테인리스강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는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소재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어컨 냉매 배관 시공 시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배관을 구부리는 등의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바, 일반적인 스테인리스강은 배관 시공 시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가요성을 구비하지 못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금속재료는 인장 또는 압축 등 변형을 받으면 가공경화가 발생하여 변형을 받을수록 더욱 강해지는 특성이 있다. 배관을 구부리는 것은 인장과 압축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구부리는 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소재는 더욱 경질화된다.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304강은 가공경화의 정도가 심해 에어컨 배관 시공을 해야 하는 공간 내에서 인력으로 배관을 구부리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가공경화라 함은, 소재의 변형이 시작될 때의 강도를 가리키는 항복강도(YS)와 소재의 가공경화가 극대화되어 최대의 강도를 나타내는 인장강도(TS)의 차이인 TS-YS로써 표현한다. 즉 인력으로 구부리기 용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가공경화 현상을 억제하여 TS-YS가 최소화되는 소재가 요구된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는 Cr, Ni, Mn, Cu, C, N 원소가 주로 첨가되는데, 이러한 원소들의 함량이 다양화 되어 많은 강종이 제조되고 있지만 우수한 가요성을 위한 최적 성분제어 방법은 공개되어 있지 않은 형편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원소들의 제어를 통해 가공경화의 최소화를 구현하여 우수한 가요성을 가지는 소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0-0099726 A (2010.09.13)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공경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 원소의 함량을 제어하고, 결정립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 %로, Si : 0.1~0.65%, Mn : 1.0~3.0%, Ni : 6.5~10.0%, Cr: 16.5~18.5%, Cu : 6.0%이하(0은 제외), C+N :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의 수식으로 정의된 가공경화식 H1이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H1 = -459 + 79.8Si - 10.2Mn - 8.16Ni + 48.0Cr - 13.2Cu + 623(C+N)
본 발명의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조직 크기(D)는 2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 %로, Si : 0.1~0.65%, Mn : 1.0~3.0%, Ni : 6.5~10.0%, Cr: 16.5~18.5%, Cu : 6.0%이하(0은 제외), C+N :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의 수식으로 정의된 가공경화식 H2는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H2 = 4.27+ 0.875(-459 + 79.8Si - 10.2Mn - 8.16Ni + 48.0Cr - 13.2Cu + 623(C+N))-287D(D : 조직의 크기)
조직의 크기(D)는 2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 %로, Si : 0.1~0.65%, Mn : 1.0~3.0%, Ni : 6.5~10.0%, Cr: 16.5~18.5%, Cu : 6.0%이하(0은 제외), C+N :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의 수식으로 정의된 Md30은 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Md30 = 551-462(C+N)-9.2Si-8.1Mn-29(Ni+Cu)-13.7Cr
Md30은 -100 ~ 0 인 것이 바람직하다.
TS(인장강도)와 YS(항복강도)의 차이값은 30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소의 함량, 결정립 크기 등을 제어함으로써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가공 경화식 H1과 가공경화도 실측치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결정립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결정립 크기에 따른 가공 경화식 H1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수정 가공 경화식 H2와 가공 경화도 실측치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지수와 가공 경화도 실측치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 %로, Si: 0.1~0.65%, Mn: 1.0~3.0%, Ni: 6.5~10.0%, Cr: 16.5~18.5%, Cu: 6.0%를 함유하고 C+N은 0.13% 이하로 함유하며,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수치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C+N은 0.13 중량% 이하로 첨가되어야 한다.
C 와 N는 침입형 고용강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경질화 시킬 뿐만 아니라 그 함량이 높으면 가공 시 발생하는 변형유기 마르텐사이트를 경질화하여 소재의 가공 경화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C 및 N의 함량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C+N의 함량을 0.13% 이하로 제한한다.
Si는 0.1 ~ 0.65 중량%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Si는 탈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원소이므로, 0.1% 이상이 첨가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Si를 첨가하는 경우 소재가 경질화되며, 산소와 결합하여 개재물을 형성함으로써 내식성이 저하되므로 상한을 0.65%로 제한한다.
Mn은 1.0 ~ 3.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Mn은 탈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 될 뿐만 아니라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도를 증가시키는 원소로써 오스테나이트 밸런스 유지를 위해서는 1.0% 이상을 첨가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Mn 첨가는 소재의 내식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상한은 3.0%로 제한한다.
Ni은 6.5 ~ 10.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Ni은 Cr과 복합 첨가함으로써 내공식성과 같은 내식성의 개선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함유량이 증가하면 오스테나이트강의 연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상안정화도 개선에도 기여하는 원소에 해당하는바, 오스테나이트 밸런스 유지를 위하여 6.5% 이상을 첨가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Ni 첨가는 강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상한을 10.0%로 제한한다.
Cr은 16.5 ~ 18.5 중량%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Cr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필수적인 원소로서 범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16.5% 이상이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Cr 첨가는 오스테나이트상의 경질화를 유발하고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상한을 18.5%로 제한한다.
Cu는 6.0 중량% 이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Cu는 오스테나이트강의 연질화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Cu 첨가는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오히려 오스테나이트상을 경질화시킬 수 있으므로 그 상한을 6.0%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바를 달성하려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성분 제어 방법이 중요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소재는 150 mm 두께의 잉곳 제조하여 1250℃로 가열 후 3 mm까지 열간압연한 다음 1100℃에서 60초 이상 유지하는 열처리를 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단, 이와 같은 제조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소재의 특성을 한정짓는 것이 아니며, 통상적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중 하나를 차용한 것으로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소재를 제조하는 일례를 든 것일 뿐이다. 소재의 특성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성분 제어 방법에 의하여 변화한다. 항복강도 YS와 인장강도 TS는 소재를 1축 인장하여 얻은 값이다.
구분 Si Mn Ni Cr Cu C+N TS-YS H1
발명예1 0.4 2.7 8.0 17.3 2.7 0.019 281 292
발명예2 0.4 1.7 9.6 17.4 3.2 0.028 277 284
발명예3 0.4 1.7 9.6 17.4 3.2 0.024 273 281
발명예4 0.4 2.8 9.6 17.5 3.1 0.010 276 271
발명예5 0.4 2.7 9.6 17.4 3.2 0.011 279 267
발명예6 0.4 2.7 9.7 17.5 3.2 0.019 277 273
발명예7 0.4 2.7 9.6 17.4 3.2 0.041 280 285
발명예8 0.4 1.2 8.3 16.9 2.1 0.016 287 286
발명예9 0.4 1.2 8.4 16.9 2.2 0.033 295 294
발명예10 0.4 1.2 8.1 17.0 2.8 0.018 288 284
발명예11 0.4 1.2 8.0 17.0 2.7 0.036 293 295
발명예12 0.4 1.2 8.4 16.8 2.7 0.017 280 275
발명예13 0.4 1.2 8.4 17.0 2.7 0.036 287 293
발명예14 0.6 1.2 7.6 16.9 3.0 0.017 283 296
발명예15 0.6 1.2 7.6 16.9 4.0 0.021 286 286
발명예16 0.6 1.2 7.6 16.7 5.0 0.020 274 263
비교예1 0.6 1.2 7.6 16.9 2.1 0.056 328 329
비교예2 0.4 1.0 7.9 17.7 0.2 0.088 407 399
비교예3 0.6 1.2 7.5 16.8 2.0 0.021 309 308
표 1에 나타난 H1은 하기의 수학식으로 정의된다.
H1 = -459+79.8Si-10.2Mn-8.16Ni+48.0Cr-13.2Cu+623(C+N)
본 발명에서는 TS-YS값을 300MPa 이하로 제어하여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성분 원소를 이용하여 H1값을 정의하고, H1값과 실측된 TS-YS값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분 제어를 통하여 얻어진 H1 값과 실측된 TS-YS 값의 관계를 보여 주며 상기의 설명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점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이 사이에는 선형적으로 원활한 관계가 성립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굳이 H1 값의 하한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더욱 낮은 값의 H1 값을 갖는 소재의 제조를 통해 더욱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강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통상적인 제조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결정립 크기는 30 ± 10 μm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결정립 크기(D) 역시 30 ± 10 μm 구간에 존재하는바, 표 2의 비교예 1에서와 같이 H1이 329로 얻어지면 실제 TS-YS 값이 328로 얻어져 가요성이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30 ± 10 μm 범위의 결정립 크기에서는 H1의 값과 실제 TS-YS값이 유사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는바, 이는 도 3을 통하여도 확인된다.
그러나, 결정립의 크기가 30 ± 10 μm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비록 H1이 300MPa를 초과하더라도 실제 TS-YS값은 300MPa 보다 작음을 알 수 있는바, 이는 표 2의 발명예17, 18, 19, 20, 21 및 도 3의 타원 표시 구간에서도 확인된다.
결정립 크기가 크면 가공 시 오렌지필이라고 부르는 표면 요철 결함이 발생되지만, 표면의 매끄러움이 중요하지 않거나 연마를 통해 시정이 가능하여 이를 무시할 수 있는 정도라면 결정립 크기를 큰 경우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결정립이 크기가 통상의 경우보다 큰 경우에도 가공 경화도가 낮은 소재를 얻을 수 있도록 수정된 가공경화식 H2를 제공한다.
H2 = 4.27 + 0.875H1-0.287D
표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가공경화식 H2의 범위를 300 MPa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분 TS-YS H1 D H2
발명예1 281 292 29 289
발명예2 277 284 31 282
발명예3 273 281 33 279
발명예4 276 271 29 271
발명예5 279 267 31 268
발명예6 277 273 32 272
발명예7 280 285 35 282
발명예17 269 336 223 273
발명예18 247 316 218 256
발명예19 240 301 209 246
발명예20 267 333 284 253
발명예21 283 316 93 292
비교예1 328 329 33 321
비교예4 337 406 210 337
비교예5 371 406 990 372
비교예6 313 336 72 316
표 3은 표 2에 개시된 발명예 17 내지 발명예 21,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의 성분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Si Mn Ni Cr Cu C+N
발명예17 0.6 1.2 7.5 16.7 3.9 0.119
발명예18 0.6 1.3 7.6 17.0 5.0 0.087
발명예19 0.6 1.3 7.9 17.1 5.8 0.075
발명예20 0.5 1.1 6.9 17.1 4.4 0.091
발명예21 0.6 1.3 7.6 17.0 5.0 0.087
비교예4 0.2 1.4 8.1 18.1 0.2 0.105
비교예5 0.2 1.4 8.1 18.1 0.2 0.105
비교예6 0.6 1.2 7.5 16.7 3.9 0.119
한편, TS-YS값은 하기의 오스테나이트 안정도 Md30을 통하여 제한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d30이 0을 초과하는 경우 TS-YS값이 크게 증가하고, Md30이 0 이하인 범위에서 TS-YS값은 Md30에 민감하지 반응하지 않고, 일정하게 낮은 수준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Md30을 0 이하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요 첨가 원소인 Si, Mn, Ni, Cu, Cr을 첨가해야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TS-YS값을 300MPa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Md30 관련 성분 파라미터를 제시한다.
Md30 = 551-462(C+N)-9.2Si-8.1Mn-29(Ni+Cu)-13.7Cr
구분 TS-YS Md30
발명예1 281 -30
발명예2 277 -88
발명예3 273 -85
발명예4 276 -88
발명예5 279 -88
발명예6 277 -97
발명예7 280 -102
발명예8 287 -2
발명예9 295 -14
발명예10 288 -18
발명예11 293 -22
발명예12 280 -21
발명예13 287 -34
발명예14 283 -13
발명예15 286 -41
발명예16 274 -69
비교예1 328 -1
비교예2 407 20
비교예3 309 20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값을 0이하로 유지하는 경우 TS-YS값을 300MPa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바, 가요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Md30값을 낮추기 위해서는 성분 원소 함을 더욱 증가시켜야 하는바, 원가 절감을 위해 그 하한값은 -100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7)

  1. 중량 %로, Si : 0.1~0.65%, Mn : 1.0~3.0%, Ni : 6.5~10.0%, Cr: 16.5~18.5%, Cu : 6.0%이하(0은 제외), C+N :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의 수식으로 정의된 가공경화식 H1이 300 이하이며, 하기의 수식으로 정의된 가공경화식 H2는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H1 = -459 + 79.8Si - 10.2Mn - 8.16Ni + 48.0Cr - 13.2Cu + 623(C+N)
    H2 = 4.27+ 0.875(-459 + 79.8Si - 10.2Mn - 8.16Ni + 48.0Cr - 13.2Cu + 623(C+N))-287D
    (D : 조직의 크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직의 크기(D)는 2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의 수식으로 정의된 Md30은 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Md30 = 551-462(C+N)-9.2Si-8.1Mn-29(Ni+Cu)-13.7Cr
  6. 청구항 5에 있어서,
    Md30은 -100 ~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S(인장강도)와 YS(항복강도)의 차이값은 30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0140191165A 2014-12-26 2014-12-26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Active KR101659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165A KR101659186B1 (ko) 2014-12-26 2014-12-26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N201580071219.3A CN107429367A (zh) 2014-12-26 2015-12-01 柔韧性优异的奥氏体系不锈钢
US15/539,874 US20170349985A1 (en) 2014-12-26 2015-12-01 Austenitic stainless steels excellent in flexibility
JP2017530337A JP2018502991A (ja) 2014-12-26 2015-12-01 可撓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EP15873501.9A EP3239341A4 (en) 2014-12-26 2015-12-01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PCT/KR2015/012973 WO2016104974A1 (ko) 2014-12-26 2015-12-01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165A KR101659186B1 (ko) 2014-12-26 2014-12-26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998A KR20160079998A (ko) 2016-07-07
KR101659186B1 true KR101659186B1 (ko) 2016-09-23

Family

ID=5615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165A Active KR101659186B1 (ko) 2014-12-26 2014-12-26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49985A1 (ko)
EP (1) EP3239341A4 (ko)
JP (1) JP2018502991A (ko)
KR (1) KR101659186B1 (ko)
CN (1) CN107429367A (ko)
WO (1) WO2016104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701B1 (ko) * 2015-12-23 2017-07-12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EP3301199B1 (en) * 2016-03-28 2021-01-20 LG Electronics Inc. -1- Bent pipe made of stainless steel
KR101923922B1 (ko) 2016-12-23 2018-11-30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특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가공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04519A (ko) *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04521A (ko) *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04507A (ko)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04509A (ko) *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04508A (ko) *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04511A (ko)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04520A (ko)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2357608B1 (ko) * 2017-03-13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04506A (ko)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04513A (ko)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04514A (ko)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80111416A (ko) * 2017-03-31 2018-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 스테인리스 강관
KR20190000254A (ko) 2017-06-22 2019-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2419898B1 (ko) 2017-06-26 202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364389B1 (ko) * 2017-09-27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US11457783B2 (en) 2019-06-05 2022-10-04 Lg Electronics Inc. Clea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8023B2 (ja) 2008-02-12 2014-03-19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塑性加工性に優れた鋼細線又は薄帯鋼板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4987B2 (ja) * 1989-08-30 1998-02-16 日新製鋼株式会社 高級洋食器用非磁性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770705A (ja) * 1993-09-03 1995-03-14 Aichi Steel Works Ltd 熱膨張特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
JP2946274B2 (ja) * 1993-11-30 1999-09-06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製のt頭ボ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37991B2 (ja) * 1996-03-29 2005-04-13 日新製鋼株式会社 軟質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9310155A (ja) * 1996-05-16 1997-12-02 Nkk Corp 加工後の表面特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
JPH1036922A (ja) * 1996-07-23 1998-02-10 Kawasaki Steel Corp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結晶粒径制御方法
JPH11181550A (ja) * 1997-12-17 1999-07-06 Sanyo Special Steel Co Ltd 冷間加工性の良好な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11350089A (ja) * 1998-06-12 1999-12-21 Nisshin Steel Co Ltd 抗菌性に優れ高加工性を具備し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48339A (ja) * 1999-02-26 2000-09-12 Nisshin Steel Co Ltd 加工性及び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快削ステンレス鋼
JP2000303152A (ja) * 1999-04-20 2000-10-31 Nisshin Steel Co Ltd 抗菌性に優れ、2次加工での穴拡げ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91341B2 (ja) * 2000-05-16 2005-09-07 日新製鋼株式会社 精密打抜き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ES2250443T3 (es) * 2000-08-01 2006-04-16 Nisshin Steel Co., Ltd. Deposito de carburante en acero inoxidable para automovil.
EP1306600B1 (en) * 2000-08-01 2007-10-24 Nisshin Steel Co., Ltd. Stainless steel oil feeding pipe
JP2002206148A (ja) * 2001-01-09 2002-07-26 Nisshin Steel Co Ltd 加工割れ感受性が低い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27986B2 (ja) * 2001-10-16 2006-09-27 日新製鋼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製フレキシブル管又はダクト管
JP4907151B2 (ja) * 2005-11-01 2012-03-28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高圧水素ガス用オ−ステナイト系高Mnステンレス鋼
JP5165236B2 (ja) * 2006-12-27 2013-03-21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ステンレス鋼板
JP2008208430A (ja) * 2007-02-27 2008-09-11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軟質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903551A (zh) 2007-12-20 2010-12-01 Ati资产公司 含有稳定元素的低镍奥氏体不锈钢
US8337749B2 (en) * 2007-12-20 2012-12-25 Ati Properties, Inc. Le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5308726B2 (ja) * 2008-06-17 2013-10-09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微細粒組織を有する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69875A (ko) * 2008-12-17 2010-06-25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고망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5500960B2 (ja) * 2009-12-01 2014-05-21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応力腐食割れ性と加工性に優れた微細粒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KR101177488B1 (ko) * 2009-12-29 2012-08-27 주식회사 포스코 초고강도 고내식 스테인리스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N103534373B (zh) * 2011-03-01 2017-05-17 新日铁住金株式会社 激光加工用金属板和激光加工用不锈钢板的制造方法
JP5920691B2 (ja) * 2011-06-22 2016-05-18 日本精線株式会社 ソーワイヤー用の高強度金属細線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金属細線を用いたソーワイヤー
KR101554771B1 (ko) * 2012-12-20 2015-09-21 주식회사 포스코 고연성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JP6340870B2 (ja) * 2014-03-31 2018-06-1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8023B2 (ja) 2008-02-12 2014-03-19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塑性加工性に優れた鋼細線又は薄帯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9341A4 (en) 2018-10-31
WO2016104974A1 (ko) 2016-06-30
US20170349985A1 (en) 2017-12-07
JP2018502991A (ja) 2018-02-01
EP3239341A1 (en) 2017-11-01
CN107429367A (zh) 2017-12-01
KR20160079998A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186B1 (ko)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735007B1 (ko)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KR101379079B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CN111212928B (zh) 具有优异的热加工性和抗氢脆性的低Ni奥氏体不锈钢
EP3395984A1 (e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wht resistance for low-temperature pressur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56701B1 (ko)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140131214A (ko) 시효균열 저항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2018003139A (ja) ステンレス鋼
KR101419878B1 (ko) 듀플렉스강의 냉간압연 방법
KR20160080314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614606B1 (ko)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CN105543715A (zh) 一种高强度耐蚀高氮钢紧固件及其制造工艺
KR102326262B1 (ko) 고항복비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200018995A (ko) 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379076B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48658A (ko) 절곡능이 향상된 고연성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KR101726129B1 (ko) 연신율이 우수한 선재, 그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101668533B1 (ko) 표면 품질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KR20150074700A (ko) 내식성 및 열가공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KR102020399B1 (ko)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9063B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70032B1 (ko) 강도 및 연신율 특성이 우수한 합금강의 제조방법
KR101990922B1 (ko) 항복비가 우수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KR101668535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641796B1 (ko) 드로잉성이 우수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