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8760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760B1
KR101608760B1 KR1020090036853A KR20090036853A KR101608760B1 KR 101608760 B1 KR101608760 B1 KR 101608760B1 KR 1020090036853 A KR1020090036853 A KR 1020090036853A KR 20090036853 A KR20090036853 A KR 20090036853A KR 101608760 B1 KR101608760 B1 KR 10160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erature
hot air
space
ai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058A (ko
Inventor
한동주
조인호
조기철
임재연
손영복
방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03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76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09738978.7A priority patent/EP2286014B1/en
Priority to ARP090101521A priority patent/AR071225A1/es
Priority to AU2009243361A priority patent/AU2009243361B2/en
Priority to CA2722799A priority patent/CA2722799C/en
Priority to CN200980115632XA priority patent/CN102216510A/zh
Priority to PCT/KR2009/002247 priority patent/WO2009134072A2/en
Priority to US12/432,455 priority patent/US8677785B2/en
Priority to BRPI0911854A priority patent/BRPI0911854A2/pt
Publication of KR2009011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7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세탁대상물의 주된 세탁처리를 위한 제1 공간과 세탁대상물의 보조 세탁처리를 위한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a partition wall);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히터부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열풍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선택된 코스에 따른 처리를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를 제1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대상물을 세탁 및/또는 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또는 세탁과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겸용 세탁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생산성과 향상된 외관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세탁대상물의 주된 세탁처리를 위한 제1 공간과 세탁대상물의 보조 세탁처리를 위한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a partition wall);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히터부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열풍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세탁처리를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를 제1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세탁대상물의 주된 세탁처리를 위한 제1 공간과 세탁대상물의 보조 세탁처리를 위한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a partition wall);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히터부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제2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세탁처리를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를 제1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소정대역의 온도를 가지는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세탁대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탁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캐비닛(10) 내부를 적어도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a partition wall)(16)을 구비한다. 여기서, 격벽(16)은 캐비닛(10)의 내부를 세탁대상물의 주된 세탁처리를 수행하는 제1 공간, 또는 주 공간(12)과, 세탁대상물의 보조 세탁처리를 수행하는 제2 공간, 또는 보조 공간(14)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주된 세탁처리라 함은 전통적 의미의 세탁 및/또는 건조를 의미하며, 보조 세탁처리라 함은 세탁대상물을 추가로 건조, 또는 리프레쉬(refresh)하거나 소형 세탁대상물 등을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리프레쉬라 함은 세탁대상물을 향해 공기, 열풍, 스팀, 미스트(mist) 또는 수분 등을 제공하여 세탁대상물의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탈취(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방지 또는 세탁대상물을 따스하게 데우는(warming)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 의복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대상물을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먼저,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캐비닛(10)에 장착될 수 있다. 캐비닛(10) 내부의 제1 공간(12)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캐비닛(10) 내부의 제2 공간(14)에는 착탈 가능한 드로워(30)를 구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능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겸용 세탁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터브를 포함하는 경우에 드럼(20)은 터브의 내측에 구비된다.
한편, 캐비닛(10)은 제1 공간(12) 및 제2 공간(14)을 구비하도록 별도의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공간(12)의 제1 측벽 및 제2 공간(14)의 제2 측벽은 연속적인(continuous) 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이 하나의 부재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간(12) 및 제2 공간(14)의 측벽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측벽은 제1 공간(12)에서 제2 공간(14)까지 연장 형성되며, 캐비닛(10)의 측면에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부재를 이용하여 캐비닛(10)을 형성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제1 공간(12) 및 제2 공간(14)을 구획하는 하나의 격벽(16)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16)은 캐비닛(1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데, 격벽(16)의 상부가 제1 공간(12), 격벽(16)의 하부가 제2 공간(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격벽(16)이 제1 공간(12)의 베이스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2 공간(14)의 상부커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격벽(16)이 제1 공간(12)의 베이스 및 제2 공간(14)의 상부커버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제1 공간(12)의 베이스 및 제2 공간(14)의 상부커버를 각각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제2 공간(14)으로 선택적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열풍공급유닛(40)은 제1 공간(1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격벽(16)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간(12)에는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 공간(14)에는 드로워(30)가 구비되므로, 제1 공간(12)이 제2 공간(14)에 비하여 내부 체적이 크다. 따라서, 제2 공간(14)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40)을 제2 공간(14)에 구비하기보다는 제1 공간(12)에 구비하는 것이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풍공급유닛(40)은 격벽(16)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16) 상면에는 오목부(1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오목부(17)에 열풍공급유닛(40)이 위치할 수 있다.
격벽(16) 상부의 제1 공간(12)에는 드럼(20)이 위치하게 되므로 세탁, 건조 등이 진행되는 경우에 물이 격벽(16)으로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17)는 격벽(16)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을 집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오목부(17)에 열풍공급유닛(40)이 구비되므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오목부(17)의 일측에는 집수된 물이 열풍공급유닛(40)으로 접근하지 않도록 집수된 물을 배수시키는 구조를 구비하거나, 또는 오목부(17)의 바닥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집수된 물이 열풍공급유닛(40)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풍공급유닛(40)은 격벽(16)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공간(14)으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열풍공급유닛(40)은 제1 공간(12)의 공기를 가열하여 제2 공간(14)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12)은 열풍공급유닛(40)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 즉, 흡입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제2 공간(14)이 열풍공급유닛(40)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공간, 즉, 배기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결국, 열풍공급유닛(40)의 관점에서 볼 때, 제1 공간(12)은 흡입유로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2 공간(14)은 배기유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에서 열풍공급유닛(40)을 위한 별도의 흡기유로나 배기유로를 필요치 않게 된다.
도 3은 도 1에서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컨트롤패널(9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트롤패널(90)은 드럼(20) 및 열풍공급유닛(40)의 구동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90)은 드럼(20)뿐만 아니라 열풍공급유닛(40)의 구동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컨트롤패널(90)은 드럼(20)의 구동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선택부(91)와, 열풍공급유닛(40)의 구동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선택부(9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선택부(91)는 드럼(20)에 대한 각종 구동코스, 예를 들어, 표준코스, 이불코스, 속옷코스 등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패널(90)은 사용자에게 드럼(20)의 구동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주표시부(93)를 구비할 수 있다. 주표시주(93)는 드럼(20)의 구동정보뿐만 아니라, 열풍공급유닛(40)의 구동정보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패널(90)은 선택된 코스에 포함되는 세탁, 헹굼, 탈수 및/또는 건조 단계의 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보조선택부(9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선택부(92)의 각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세탁종류, 헹굼횟수, 탈수속도, 물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단계에 대한 조건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보조표시부(94)에 각 코스의 변경된 조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선택부(95)는 열풍공급유닛(40)의 구동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코스는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코스의 개수는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선택부(95)는 열풍공급유닛(40)에 대한 두 개의 구동코스, 예를 들어 '신발건조코스 선택부(96)' 및 '리프레쉬/살균코스 선택부(97)'를 구비할 수 있다.
신발건조코스 선택부(96) 및 리프레쉬/살균코스 선택부(97)를 반복해서 누르면 신발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코스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 구동코스에 따라 신발의 건조온도 및 열풍의 송풍량과 같은 열풍의 조건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컨트롤패널(90)의 일측에는 드럼(20)의 구동상태에 대한 정보 및 열풍공급유닛(40)에서 공급되는 열풍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93, 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주표시부(93)와 보조표시부(94)를 포함한다. 주표시부(93)는 드럼(20)의 구동에 대한 정보 및 열풍공급유닛(40)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표시부(93)는 컨트롤패널(9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20)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선택된 코스의 명칭, 코스의 잔여운전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주표시부(93)는 열풍공급유닛(40)에서 공급되는 열 풍정보, 예를 들어 건조온도 또는 공기의 송풍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보조표시부(94)는 드럼(20)의 각 코스의 단계들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보조선택부(92)에 의해 각 코스에 포함되는 단계에 대한 조건, 예를 들어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단계에 대한 세탁종류, 헹굼횟수, 탈수속도, 물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 단계에 대한 조건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보조표시부(94)에 각 코스의 변경된 조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캐비닛(10)의 제2 공간(1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0)의 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로워(30)는 대략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드로워(30)의 내측에는 탈취필터(미도시)를 구비하거나, 또는 드로워(30)의 내측으로 방향성 물질을 공급하는 향부가유닛(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탈취필터에 의해 사용한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향부가유닛에 의해 의류에 방향성 물질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하는 경우에 쾌적한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또는 향부가유닛은 제2 공간(14)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드로워(30)의 내측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에서 열풍공급유닛(40)이 구동을 하는 중에, 사용자가 실수 등에 의해 드로워(30)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열풍공급유닛(40)이 구동을 하는 중에 드로워(30)를 잡아당겨 인출시키는 경우, 열풍공급유닛(40)에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 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3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80)는 드로워(30)의 인출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80)는 드로워(30)가 인출되는 경우에 개방신호를 발송하게 되며, 이러한 개방신호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80)의 개방신호에 따라 열풍공급유닛(4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감지부(80)로부터 개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열풍공급유닛(40)을 오프시켜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감지부(80)가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드로워(30)가 인출되는 경우에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바로 열풍공급유닛(40)을 오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유닛(40)은 내부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도 6 참조, 51) 및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도 6 참조, 6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가 열풍공급유닛(40)을 오프하는 경우, 히터부를 먼저 오프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송풍팬을 오프할 수 있다. 이는 히터부가 구동하게 되면 캐비닛(10)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므로, 히터부를 먼저 오프하고 송풍팬을 소정시간, 예를 들어 1 내지 2분 동안 계속해서 구동하여 캐비닛(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온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30)가 인출되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알림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감지부(80)로부터 개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열풍공급유닛(40)을 오프할 뿐만 아니라, 알림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드로워(30)의 개방을 알리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드로워(30)가 인출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어 후속조치, 예를 들어 드로워(30)를 다시 닫고 열풍공급유닛(40)을 다시 구동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드로워(30)의 개방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멈추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는 후술하는 표시부에 의해 선택된 코스의 남은 운전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된 코스의 운전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의류처리장치를 다시 구동시킬 것인지, 의류를 그대로 꺼낼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유닛(40)은 격벽(도 1 참조, 16)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42)을 구비한다.
하우징(42)은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후술하는 송풍팬(51), 히터부(60) 및 서브제어부가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42)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부하우징(46)과 상부하우징(44)을 포함한다. 하부하우징(46)은 격벽(16)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하우징(44)은 하부하우징(4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착탈 가능한 하부하우징(46)과 상부하우징(44)을 구비하게 되면, 열풍공급유닛(40)의 유지 및 보수 시에 내부의 구성요소를 수리하거나 장착하는 경우에 매우 용이하다.
한편, 열풍공급유닛(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16) 상면, 즉, 드럼(도 1 참조, 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열풍공급유닛(40)의 상부로 물이 낙하할 수 있다. 이 경우, 낙하한 물이 하우징(42)의 내부로 유입되면 하우징(42) 내부의 히터부(60)와 같은 구성요소가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특히, 하우징(42)이 상부하우징(44)과 하부하우징(46)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부하우징(44)과 하부하우징(46)의 연결부를 통해 물이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유닛(40)은 상부하우징(44)과 하부하우징(46) 사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침투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수분침투방지부는 상부하우징(44)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41) 및 하부하우징(46)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41)는 상부하우징(44)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하부하우징(46)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48)는 제1 연장부(41)에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제1 연장부(41)의 내측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연장부(41)가 제2 연장부(48)를 감싸게 되며, 제2 연장부(48)가 제1 연장부(41)의 내측으로 결합된다. 결국, 하우징(42)의 상부에서 낙하된 물은 하우징(42)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제1 연장부(41)의 표면을 따라 격벽(16)으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46)과 상부하우징(44) 사이에는 화살표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열풍공급유닛(40)은 송풍팬(51) 및 공 기를 가열하는 히터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송풍팬(51), 히터부(60)의 순서로 배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히터부(60)가 먼저 위치하고 송풍팬(51)이 다음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송풍팬(51)이 구동하는 경우에 하우징(42) 외부의 공기가 유입구(43)를 통하여 하우징(42)의 내부로 유입된다. 송풍팬(51)은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송풍팬(51)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우징(42)으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부(60)에 의해 가열되어 토출구(49)를 통하여 배출된다. 토출구(49)는 하방을 향하여 격벽(16)의 열풍공급구(도 2 참조, 15)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토출구(49)는 대략 수직하게 열풍공급구(15)와 연결되어, 열풍이 제2 공간(14), 즉 드로워(30)를 향해 공급된다.
도 7은 드로워(30)의 내부에서 열풍공급유닛(40)에서 공급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토출구(49)에서 토출된 공기는 공급구(15)를 통과하여 드로워(30)를 향하여 하방(downward)으로 공급된다. 공기는 드로워(30)의 내부에서 중앙 하부를 거쳐 측벽 상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 경우, 드로워(3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드로워(30)의 바닥 중앙부에서 드로워(30)의 측벽을 향하여 모든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드로워(30)의 내부에서 공기가 미치지 않는 데드존(dead zone)의 영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드로워(30)의 바닥에 신발(100)과 같은 세탁대상물 등이 놓이는 경우에 공기가 최대한 세탁대상물과 많이 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벽 상부로 이동한 공기 중에 일부는 드로워(30)와 격벽(16) 사이의 갭(3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공기 중에 일부는 격벽(16)의 하부를 따라 드로워(30)의 중앙부를 향하여 재순환하게 된다. 드로워(30)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재순환하게 되어 건조, 리프레쉬, 또는 다른 세탁처리를 하는 경우에 보다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격벽(16)의 오목부(17) 주변은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17) 주변이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면, 경사부(162)를 구비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62)는 유동하는 공기 중에 일부가 드로워(30)의 중앙부를 향하여 재순환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결국, 드로워(30) 내부에서 재순환하는 공기는 공급구(15)를 통하여 드로워(30)의 내부로 하방을 향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합류하여, 드로워(30) 내부의 세탁대상물을 건조, 리프레쉬, 또는 다른 세탁처리를 하게 된다.
한편, 열풍공급유닛(40)은 히터부(6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하여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는 열풍공급유닛(4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제2 공간(14)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열풍공급유닛(40)은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센서부(70)의 측정치에 따라 히터부(60)를 제어하여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센서부(70)는 유로의 소정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열풍공급유닛(4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유로의 단부, 즉 토출구(49)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센서부(70)에서 측정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히터부(60)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2 공간(14)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센서부(70)는 억지끼움,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장착될 수 있는데, 송풍팬(5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온도센서를 고정하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8은 제1 센서부(70)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나타내기 위하여 하우징(42)의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유닛은 제1 센서부(70)가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72), 및 하우징(42)에서 연장 형성되어 결합플레이트(7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부(70)는 결합플레이트(72)의 관통공(71)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센서부(70)는 관통공(71)에 억지끼움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72)에는 하우징(42)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76)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공(76) 및 하우징(42)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결합플레이트(72)와 하우징(42)을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센서부(70)는 하우징(42)에 1차로 고정되고, 결합플레이트(72)에 2차로 고정되어 견고하게 고정 된다. 한편, 하우징(42)에는 제1 센서부(70)가 관통되는 결합부(7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센서부(70)는 결합부(75)를 관통하여 결합플레이트(72)에 고정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결합플레이트(72)를 하우징(42)에 연결하는 경우에 결합플레이트(72)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74)는 하우징(42)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플레이트(72)의 일측에는 고정부재(74)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7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센서부(70)의 단부가 관통공(71)에 삽입되고 고정부재(74)가 고정홈(73)에 삽입되면, 결합플레이트(72)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체결부재를 체결공공(76)을 통해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와 같이 제1 센서부(7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부(60)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를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지만, 제어부를 둘 이상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어부를 복수개, 예를 들어 메인제어부 및 서브제어부로 구비하는 경우, 메인제어부는 드럼(20) 및 열풍공급유닛(4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센서부(70)에서 측정된 측정치는 메인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메인제어부는 제1 센서부(70)의 측정치에 따라 열풍공급유닛(40)의 히터부(60) 및 송풍팬(5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에서 생성되는 명령신호는 열풍공급유닛(40)에 구비된 서브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서브제어부는 메인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히터부(60) 및 송풍팬(5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메 인제어부에서 명령을 받는 경우, 구성의 단순화를 위하여 서브제어부는 단순히 히터부(60) 또는 송풍팬(51)의 온/오프(on/off) 제어만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제2 공간(14)의 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제1 센서부(70)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센서부(70)는 제2 공간(14)의 내부 일측에 제2 공간(14)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공간(14)에 드로워(30)를 구비하는 경우에 제1 센서부(70)는 움직이는 드로워(30)와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제2 공간(14)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제1 센서부(70)가 격벽(16)에 구비되어 제2 공간(14)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제1 센서부(70)와 드로워(3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제1 센서부(70)는 격벽(16)의 오목부(17)를 제외한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센서부(70)의 단부와 드로워(3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드로워(30)의 배면에 소정크기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제1 센서부(70)가 격벽(16)에 구비되지만 제2 공간(14)을 향하여 돌출되지 않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센서부(70)는 격벽(16)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제1 공간(12)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8)에 구비되어 제2 공간(14)을 향하여 돌출하지 않는다. 즉, 여기서 돌출부(18)는 제2 공간(14)에서 제1 공간(12)을 향하여 돌출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드로워(30)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드로워(30)와 제1 센서부(7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6에서 히터부(60)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열풍공급유닛에서 히터부(60)는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히터를 수용하는 케이스(62)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62)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히터를 지지하고, 히터의 열이 하우징(도 5 참조, 4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히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가 용이한 PTC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를 채택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히터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유로를 따라 상하부로 나누어져 구비되는 제1 히터(61a) 및 제2 히터(6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히터(61a, 61b)는 후술하는 상부케이스(64) 및 하부케이스(66)에 각각 수용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히터(61a, 61b)를 구비하는 경우에 서로간에 발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히터(61a, 61b) 사이의 공간에는 격벽(6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히터(61a, 61b)를 구비하는 경우에 각 히터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구동되거나, 또는 동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적절하게 공기를 가열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자 함이다. 즉,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제1 히터(61a) 및 제2 히터(61b) 중에 어느 하나만을 구동하여 공기를 가열하며, 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제1 히터(61a) 및 제2 히터(61b)를 모두 구동하여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62)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히터(61)를 지지하며 히터(61)가 하우징(42)의 내측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1에서 케이스(62)는 히터(6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히터(61)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62)는 열에 잘 견디며 열 전도성이 떨어지는 내연성재질 또는 단열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케이스(62)는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부재로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62)는 서로 대칭적인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64, 66)를 구비하고,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64, 66)가 끼움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부재에 의해 케이스(62)를 형성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히터부(60)를 보수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분리하여 보수하고 다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히터(61)는 열풍공급유닛(40)의 하우징(42)과 매우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케이스(62)는 단순히 히터(61)가 하우징(42)의 내측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히터(61)의 열이 상하부를 따라 하우징(4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히터(61)의 열이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로는 전달되지만, 상기 유로와 상이한 방향, 예를 들어 상하부의 하우징(42)을 향해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64)는 상부히터(61a)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하부케이스(66)는 하부히터(61b)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공기의 흐름은 상부케이스(64) 및 하부케이스(66)의 개구된 부분을 통과하도 록, 예를 들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케이스(62)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히터(61)는 케이스(62)에 의해 하우징(42)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나아가 히터(61)에서 발열된 열은 상부케이스(64) 및 하부케이스(66)에 의해 케이스(62) 상하부의 하우징(42)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된다.
한편, 히터부(60)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히터부(60)가 구동을 하게 되면 히터(61)의 온도가 너무 상승하게 되어 오작동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61)가 과열하는 것을 방지하는 과열방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60)에서는 히터(61)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6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센서부(70)와 별도로, 히터(61)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68)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센서부(68)는 히터(61)에 인접하여 케이스(62)에 구비되어 히터(61)의 온도를 감지하며, 감지된 측정치를 제어부(메인제어부 및 서브제어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메인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또는 메인제어부는 전송된 히터(6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히터(61)가 과열된 것으로 판단하여 히터(61)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서브제어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메인제어부의 명령을 받아 서브제어부가 히터(61)를 오프할 수 있다.
한편, 히터(61)의 과열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전술한 센서부 이외에 소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히터(61)를 오프시키는 오프유닛(7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2)의 일측에 써멀퓨즈(thermal fuse)(72)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케이스(64)의 일측에 개구부(67)를 구비하고, 개구부(67)에 써멀퓨즈(72)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67)를 통해 히터(61)의 열이 써멀퓨즈(72)로 전달되어 히터(61)의 열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와 같이 개구부(67)가 형성되어 있으면, 히터(61)의 열이 개구부(67)를 통해 케이스(62)의 외측으로 유동하여 하우징(42)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60)는 히터(61)의 열이 하우징(42)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구부(67)를 덮는 차폐부재(6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재(69)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6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69)는 히터(61)에서 발생한 열이 개구부(67)를 통과하여 하우징(42)을 향하지 않고 절곡되도록 개구부(67)를 덮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써멀퓨즈(72)는 히터(61)와 연결되어 히터(6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단선되어 히터(61)로 전기공급을 차단하여 히터(61)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2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드로워(30)의 내부에 의류를 투입한 후, 열풍공급유닛(40)을 구동시키게 된다(S110).
이어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열풍공급유닛(40)의 선택된 코스에 따른 처리를 하는 경우에 제1 센서부(70)에서 감지된 온도를 제1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열풍공급유닛(40)의 히터부(60)를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세탁처리를 시작할 때, 송풍팬(51)을 구동시켜 드로워(3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시키며, 제1 센서부(70)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온도를 제1 기준온도와 비교한다(S130).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향해 선택적으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의류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기에 앞서 공기를 송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히터가 구동하게 되면 히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오작동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제1 센서부(70)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온도를 제1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선택적으로 히터를 구동시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S130).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열풍공급유닛의 세탁처리시간 동안 계속해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히터부(60)를 구동시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히터의 온(on)시간은 송풍팬의 온(on) 시간보다 적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1 센서부(70)에서 감지된 공기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히터부(60)를 온시키지 않으며, 제1 기준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 히터부(60)를 온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 기준온도는 의류처리장치의 설 치장소, 설치환경 등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35℃ 내지 45℃로 설정된다.
히터부(60)를 온시킨 다음,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선택된 코스의 운전시간 동안 히터를 계속해서 구동시킬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70).
구체적으로 제1 센서부(70)에서 감지된 공기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 히터부(60)를 오프(off)하고 송풍팬(51)은 계속하게 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70).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설치환경, 설치장소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55℃ 내지 65℃로 설정된다.
결국, 제어부는 제1 센서부(70)에서 감지되는 공기의 온도가 소정대역(range)을 이루도록 히터부(60)의 온/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는 제1 센서부(70)에서 감지되는 공기의 온도가 대략 10 내지 20 ℃의 차이를 가지는 대역을 이루도록 히터부(6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5 내지 45℃에서 55 내지 65℃의 대역을 이루도록 히터부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이어서, 제1 센서부(70)에서 감지한 공기의 온도를 제1 기준온도와 비교하는 단계(S130)부터 다시 시작하게 된다.
그런데, S130의 단계를 다시 시작하는 경우, 히터부(60)를 온하는 제1 기준온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즉, S130의 단계를 처음 거치는 경우에 제1 기준온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35 내지 45℃로 설정되지만, S130의 단계를 두번 이상 거치는 경우에 제1 기준온도는 전술한 온도보다 소정온도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기준온도를 동일하게 적용한다면, 제1 센서부(70)에서 감지되는 공기의 온도가 35 내지 45℃의 이하로 내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술한 실험결과에서 보듯이 대상물의 건조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의 어느 단계에서도 선택된 코스의 시간이 종료하게 되면 열풍공급유닛(40)의 히터부(60) 및 송풍팬(51)을 오프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부(60)는 열풍공급유닛(40)에 의한 세탁처리의 시간이 종료하기 소정시간 전에 미리 오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풍공급유닛의 처리시간이 끝나게 되어 히터부(60)와 송풍팬(51)이 동시에 멈추게 되면 캐비닛(10) 내부가 비교적 고온이므로 사용자가 의류를 꺼내는 경우에 화상을 입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는 열풍공급유닛의 처리시간이 끝나기 소정시간 전, 예를 들어 3 내지 5분 전에 히터부(60)를 먼저 오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로워(30)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80)를 구비하는 경우에,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열풍공급유닛(40)의 구동 중에, 드로워(30)가 개방되는 경우에 열풍공급유닛(40)의 히터부(60) 및 송풍팬(51)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드로워(30)가 실수로 개방되는 경우가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정지버튼 등을 누름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의류처리장치는 열풍공급유닛(40)의 히터부(60) 및 송풍팬(40)을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드로워(30)의 개방,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멈추는 경우에도 의류처리장치는 히터부(60)를 먼저 오프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송풍팬(51)을 오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드로워(30)의 개방,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멈추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는 열풍공급유닛의 남은 세탁처리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처리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의류처리장치를 다시 구동시킬 것인지, 의류를 그대로 꺼낼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열풍공급유닛의 구동(S210)에 이어서 열풍공급유닛(40)에 의한 세탁처리를 시작할 때, 일단 히터부(60) 및 송풍팬(51)을 모두 온(on)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도 12의 제어방법과 차이가 있다. 이하 도 12에서 설명한 제어방법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열풍공급유닛을 구동시킨 다음,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세탁처리를 시작할 때, 송풍팬(51) 및 히터부(60)를 모두 온(on)시키게 된다(S230).
이어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열풍공급유닛의 세탁처리시간 동안 히터를 계속해서 구동시킬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250).
구체적으로 제1 센서부(70)에서 감지된 공기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 히터부(60)를 오프(off)하고 송풍팬(51)은 계속하게 온상태를 유지하게 된 다(S170).
이어서, 제1 센서부(70)에서 감지한 공기의 온도를 제1 기준온도와 비교하게된다(S290). 제1 센서부(70)에서 감지된 공기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하이면 히터부(60)를 온하게 되며(S230), 그렇지 않은 경우 히터부(60)를 계속해서 오프하게 된다(S270).
한편,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의 어느 단계에서도 세탁처리 시간이 종료하게 되면 열풍공급유닛(40)의 히터부(60) 및 송풍팬(51)을 오프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을 주된 대상물로 하는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드로워(30)에 신발을 수납시키는 단계(S610), 열풍공급유닛(40)의 구동코스를 선택하는 단계(S630), 선택된 단계에 따라 열풍공급유닛(40)을 구동시키는 단계(S650) 및 선택된 코스가 끝나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S670)들을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는 드로워(30)에 신발을 수납하게 된다(S6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소정기간 동안 사용한 신발을 살균시키거나, 또는 물에 젖은 신발 등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신발을 드로워(30)에 수납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열풍공급유닛(40)의 원하는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S630). 사용자는 드로워(30)에 수납된 신발의 종류에 따라서 코스를 선택하거나, 또는 수 납된 신발을 처리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한 신발이 물에 젖은 경우에 신발의 종류에 따라 건조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죽재질의 신발을 건조하거나, 또는 운동화 같은 비가죽재질의 신발을 건조하는 경우에 각각 가죽신발 건조코스 및 운동화 건조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납된 신발을 처리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발을 사용한 기간이 비교적 짧은 경우에 신발의 냄새 등을 제거하거나 신발에 배인 땀 등의 습기를 제거하여 신발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리프레쉬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비교적 장기간 사용한 신발 등에 대해서는 살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살균 코스(sanitizing course)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코스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신발건조코스를 선택하는 선택부(62) 및 리프레쉬/살균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64)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 건조코스 선택부(62)를 반복해서 누르게 되면 순차적으로 가죽신발건조코스 및 운동화건조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리프레쉬/살균 코스 선택부(64)를 반복해서 누르게 되면 리프레쉬 코스와 살균 코스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코스에 따라 건조온도 및 송풍량 등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가 신발의 건조온도를 제어하는 경우에 드로워(30) 내부에 구비된 온도센서에 의해 직접 드로워(3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열풍공급유닛(40)에 구비된 온도센서에 의해 열풍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서는 열풍공급유닛(40)에 구비된 온도센서에 의해 열풍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열풍의 송풍량은 송풍팬(5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하, 각 코스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운동화 건조코스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는 열풍의 온도를 제1 설정온도 이상에서 제2 설정 온도 이하로 제어하고, 송풍팬(51)의 속도를 제1 송풍속도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설정온도는 대략 30℃로, 제2 설정 온도는 60℃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열풍의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에 최저 온도는 대략 30℃로, 최고 온도를 대략 60℃ 로 제어할 수 있다.
운동화의 경우 가죽재질의 신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에 강하지만, 60℃ 이상의 고온으로 건조하게 되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된 부분이나 인쇄된 부분에 변형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너무 낮은 온도로 건조하게 되면 건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운동화 건조 코스에서는 열풍의 최고온도가 60℃ 를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가 가죽신발 건조코스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열풍의 온도를 제3 설정온도 이하로 제어하고, 송풍팬(51)의 속도를 제1 송풍 속도 또는 제2 송풍 속도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3 설정 온도는 대략 50℃로 설정될 수 있으 며, 제1 송풍 속도는 제2 송풍 속도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가죽 재질의 신발의 경우 운동화 등과 같은 합성 섬유 재질의 신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에 약하므로 가죽 자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50℃ 이하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리프레쉬 코스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열풍의 온도를 제4 설정 온도 이상 제1 설정 온도 이하로 제어하고, 송풍팬(51)의 속도는 제1 송풍 속도 또는 제2 송풍 속도로 제어한다.
리프레쉬 코스는 사용하던 신발의 냄새 제거나 땀과 같은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비교적 저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리프레쉬 코스의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저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4 설정 온도는 대략 20℃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레쉬 코스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열풍의 온도를 20℃ 이상 30℃ 이하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살균 코스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열풍의 온도를 제2 설정온도로 제어하고, 송풍팬(51)의 속도를 제2 송풍 속도로 제어한다. 살균 코스는 신발의 균 등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비교적 고온의 열풍이 가능한 신발에 오랫동안 머무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풍의 온도를 제2 설정온도로 제어하는 경우에 열풍의 평균온도가 상기 코스들 중에 가장 높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팬(51)의 속도를 제2 송풍속도로 제어하는 경우에도 살균코스의 평균송풍속도가 상기 코스들 중에 가장 느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의 온도를 높이고 송풍속도를 낮춤으로써 고온의 열풍이 가능한 신발에 오랫동안 머무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소정대역의 온도를 가지는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세탁대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탁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컨트롤 패널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서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의 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열풍공급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상부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드로워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도 6에서 온도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및 도 10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11은 도 6에서 히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3은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4는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23)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세탁대상물의 주된 세탁처리를 위한 제1 공간과 세탁대상물의 보조 세탁처리를 위한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히터부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열풍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세탁처리를 하는 경우에 상기 열풍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소정대역을 이루도록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를 제1 기준온도 및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2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세탁처리를 시작할 때, 상기 송풍팬을 온하고,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히터부를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가 구동된 경우에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온 도를 제2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히터부를 오프(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온 시간은 상기 히터부의 온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10 내지 20℃의 차이를 가지는 대역을 이루도록 히터부를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열풍공급유닛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및 상기 드로워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코스 수행 도중에 상기 드로워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히터부 및 송풍팬을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를 오프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송풍팬을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남은 운전시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부가 소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에 상기 히터부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가 소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에 상기 히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오프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세탁처리를 시작할 때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히터부 및 송풍팬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히터부를 오프하고, 상기 열풍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히터부를 다시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세탁대상물의 주된 세탁처리를 위한 제1 공간과 세탁대상물의 보조 세탁처리를 위한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히터부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제2 공간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제2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세탁처리를 하는 경우에 상기 제2 공간의 온도가 소정대역을 이루도록 상기 제1 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를 제1 기준온도 및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2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세탁처리를 시작할 때, 상기 송풍팬을 온 하고, 상기 제2 공간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히터부를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가 구동된 경우에 상기 제2 공간의 온도를 제2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히터부를 오프(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온 시간은 상기 히터부의 온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공간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10 내지 20℃의 차이를 가지는 대역을 이루도록 히터부를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2 처리공간의 상부에 상기 제2 처리공간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세탁처리를 시작할 때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히터부 및 송풍팬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공간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히터부를 오프하고, 상기 제2 공간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히터부를 다시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90036853A 2008-04-30 2009-04-28 의류처리장치 Active KR10160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853A KR101608760B1 (ko) 2008-04-30 2009-04-28 의류처리장치
ARP090101521A AR071225A1 (es) 2008-04-30 2009-04-29 Lavarropas
AU2009243361A AU2009243361B2 (en) 2008-04-30 2009-04-29 Laundry machine
CA2722799A CA2722799C (en) 2008-04-30 2009-04-29 Laundry machine with enhanced laundering efficiency
EP09738978.7A EP2286014B1 (en) 2008-04-30 2009-04-29 Laundry machine
CN200980115632XA CN102216510A (zh) 2008-04-30 2009-04-29 衣物处理机
PCT/KR2009/002247 WO2009134072A2 (en) 2008-04-30 2009-04-29 Laundry machine
US12/432,455 US8677785B2 (en) 2008-04-30 2009-04-29 Laundry machine
BRPI0911854A BRPI0911854A2 (pt) 2008-04-30 2009-04-29 máquina de lavar roup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598 2008-04-30
KR20080040613 2008-04-30
KR1020080040609 2008-04-30
KR1020080040612 2008-04-30
KR1020080040600 2008-04-30
KR20080040609 2008-04-30
KR20080040600 2008-04-30
KR1020080040613 2008-04-30
KR20080040612 2008-04-30
KR20080040598 2008-04-30
KR20080096564 2008-10-01
KR1020080096564 2008-10-01
KR1020090036853A KR101608760B1 (ko) 2008-04-30 2009-04-2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058A KR20090115058A (ko) 2009-11-04
KR101608760B1 true KR101608760B1 (ko) 2016-04-04

Family

ID=4125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853A Active KR101608760B1 (ko) 2008-04-30 2009-04-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77785B2 (ko)
EP (1) EP2286014B1 (ko)
KR (1) KR101608760B1 (ko)
CN (1) CN102216510A (ko)
AR (1) AR071225A1 (ko)
AU (1) AU2009243361B2 (ko)
BR (1) BRPI0911854A2 (ko)
CA (1) CA2722799C (ko)
WO (1) WO20091340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2713A1 (de) * 2005-03-18 2006-10-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rontbaugruppe für eine Wäschetrockenmaschine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DE102007007354B4 (de)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KR100830514B1 (ko)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7997006B2 (en) *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S2374768T3 (es) *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Lavadora.
ES2374767T3 (es) *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Lavadora.
KR101608760B1 (ko) 2008-04-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10302802A1 (en) * 2010-06-09 2011-12-15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fuel dryer
DE102010039776A1 (de) * 2010-08-25 2012-03-01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geräts und Haushaltsgerät
US20120186096A1 (en) * 2011-01-25 2012-07-26 George Fox Odor eliminating portable forced air footwear drying apparatus
WO2015122693A1 (ko) * 2014-02-11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318188B1 (ko) 2014-02-11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329115B1 (ko) * 2014-05-30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64673B1 (ko) 2014-10-28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648709B (zh) * 2014-12-01 2017-12-2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衣物烘暖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06555320B (zh) * 2015-09-30 2021-11-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及烘干方法
CN107761322A (zh) * 2016-08-16 2018-03-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EP3751043A4 (en) * 2018-02-01 2021-03-17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Framework of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laundry processing device
KR102525026B1 (ko) 2018-02-23 2023-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26715B1 (ko) * 2018-02-23 2023-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526714B1 (ko) * 2018-02-23 2023-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08534913A (zh) * 2018-03-08 2018-09-14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加热系统的温度采集及加热系统保护方法
CN111172728A (zh) * 2018-11-09 2020-05-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取衣状态控制方法以及包括该方法的衣物处理设备
CN119563566A (zh) * 2019-05-03 2025-03-07 福库电子株式会社 宠物吹风机

Family Cites Families (1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5487A (en) * 1935-12-02 1939-07-11 American Laundry Mach Co Garment cleaning system
US2369366A (en) 1941-02-11 1945-02-13 Leo M O'neill Drier and method of drying
US2351429A (en) * 1942-09-21 1944-06-13 Huebsch Mfg Company Drying apparatus
US2486058A (en) 1945-03-16 1949-10-25 American Machine & Metals Air drying tumbler for laundry
US2566488A (en) * 1945-04-28 1951-09-04 Murray Corp Combined fabric washing and drying unit
US2543579A (en) 1946-03-22 1951-02-27 Lovell Mfg Co Drier
US2547238A (en) 1947-08-12 1951-04-03 Tremblay Gerard Drying apparatus
US2611192A (en) 1949-11-21 1952-09-23 American Laundry Mach Co Lint remover for driers
US2722057A (en) 1950-12-09 1955-11-01 Ralph G Pugh Clothes dryer
US2707837A (en) 1951-02-03 1955-05-10 Gen Electric Clothes drier
US2687578A (en) 1951-11-10 1954-08-31 W M Cissell Mfg Company Inc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US2742708A (en) 1952-07-12 1956-04-24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US2727315A (en) 1952-09-20 1955-12-20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US2716820A (en) 1952-11-26 1955-09-06 Temco Inc Drying apparatus
US2867430A (en) 1952-12-31 1959-01-06 Murray Corp Laundry dryers
US2752004A (en) 1953-06-25 1956-06-26 Murray Corp Laundry dryers
US2817157A (en) 1954-07-16 1957-12-24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US2813353A (en) 1954-09-10 1957-11-19 Gen Electric Clothes dryer lint separator
US2817501A (en) 1955-04-04 1957-12-24 Philco Corp Laundry apparatus
US2816429A (en) * 1955-04-29 1957-12-17 Kurlancheek Erwin Automatic washer-dryer
US2795055A (en) 1955-05-18 1957-06-11 American Laundry Mach Co Lint remover means for driers
US2903799A (en) 1955-06-21 1959-09-15 Philco Corp Drying apparatus
US2861355A (en) 1955-09-23 1958-11-25 Pennsylvania Range Boiler Co Laundry drying machines
US3000108A (en) 1956-06-11 1961-09-19 Whirlpool Co Coaxial flow drier
US3023514A (en) 1956-07-02 1962-03-06 George M Gibson Clothes dryer
US2843945A (en) 1956-07-02 1958-07-22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US2904895A (en) 1956-07-25 1959-09-22 Gen Electric Laundry machine with basket stop means
US2985967A (en) 1957-11-01 1961-05-30 Everett F Pataillot Clothes dryer
US3001295A (en) 1957-11-22 1961-09-26 Gen Motors Corp Clothes drier with lint eliminator
US3064358A (en) 1958-02-17 1962-11-20 Anthony A Giuffre Clothes drying device
US3061942A (en) 1958-12-30 1962-11-06 Philco Corp Fabric dryer with lint burning means
US3121000A (en) * 1960-11-09 1964-02-11 Philco Corp Laundry dryer or washer-dryer
FR1473011A (fr) 1965-10-28 1967-03-17 Séchoir à linge et à vêtements
US3383776A (en) * 1966-05-25 1968-05-21 Topper Tools Inc Wall-mounted clothing drier unit
US3402477A (en) * 1966-11-07 1968-09-24 Philco Ford Corp Dual compartment laundry apparatus
US3555701A (en) * 1969-05-15 1971-01-19 Philco Ford Corp Laundry apparatus
US3579851A (en) 1969-05-19 1971-05-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Pop-out lint trap and door interlock for laundry apparatus
AR197471A1 (es) 1972-07-17 1974-04-15 Friossi J Lavarropas centrifugo combinado con secarropas
US3789514A (en) 1972-07-24 1974-02-05 Maytag Co Bulkhead filter assembly
AR198520A1 (es) 1973-06-13 1974-06-28 Hoover Co Montaje de gabinete superior para maquinas lavadoras
US3840998A (en) 1973-08-29 1974-10-15 Whirlpool Co Removable clothers basket for dryer
DE2451339C2 (de) 1974-10-25 1982-02-18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Kombination eines Waschvollautomaten mit einem Kondensationstrockner
GB1545078A (en) 1976-11-23 1979-05-02 Servis Domestic Appliances Ltd Combined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S59214494A (ja) 1983-05-23 1984-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ドラム式衣類乾燥機
US4653200A (en) 1986-03-05 1987-03-31 Whirlpool Corporation Lint screen shield assembly for a dryer
DE59007317D1 (de) 1989-02-03 1994-11-03 Zanker Gmbh Wäschetrockner.
SU1687682A1 (ru) 1989-09-22 1991-10-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805 Стиральна машина
US5062219A (en) 1991-02-12 1991-11-05 Speed Queen Company Air flow apparatus for clothes dryer
US5165181A (en) 1992-01-15 1992-11-24 Acosta Sr Corby A Shoe dryer
US5443538A (en) 1993-01-22 1995-08-22 Little; David H.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small articles of wearing apparel
CN2157212Y (zh) 1993-04-15 1994-02-23 南海华南干衣机有限公司 双室式电热干衣箱
US5369892A (en) 1993-06-04 1994-12-06 Dhaemers; Gregory L. Armoire
JPH07148394A (ja) * 1993-11-30 1995-06-13 Sekisui Chem Co Ltd 衣類乾燥機
KR950025142A (ko) 1994-02-07 1995-09-15 배순훈 세탁기의 건조 제어방법
US5560120A (en) 1995-04-20 1996-10-01 Whirlpool Corporation Lint handling system
US5784901A (en) * 1995-08-31 1998-07-28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US8844160B2 (en) 1997-04-29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20070151312A1 (en) 2005-12-30 2007-07-05 Bruce Beihoff C Modular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6151795A (en) 1997-06-13 2000-11-28 Mmats Incorporated Flat material dryer
US6016610A (en) 1998-04-15 2000-01-25 Maytag Corporation Self-cleaning lint trap and gravity assisted lint trap
US6732553B2 (en) 1998-08-18 2004-05-11 Esporta Wash Systems, Inc. Equipment washer
US6374644B1 (en) 1998-08-18 2002-04-23 E Sportra Wash Systems Inc. Equipment washer
US6094839A (en) * 1999-05-11 2000-08-01 Nikolov; Dimitar Nikolov Footwear drying apparatus
US7624600B2 (en) 2000-07-25 2009-12-01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ly arranged cabinet module
US20020017117A1 (en) 2000-07-25 2002-02-14 Sunshine Richard A. Integrated laundry center
AU760902B2 (en) * 2000-10-12 2003-05-22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washing machine
JP2002159777A (ja) * 2000-11-29 2002-06-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EP1215330B1 (en) * 2000-12-14 2005-03-23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for cleaning and refreshing fabrics with a built-in working indicator
US20030079368A1 (en) 2001-10-25 2003-05-01 Hoffman Karl H. Flat material dryer
EP1353004A1 (en) 2002-04-09 2003-10-15 Bonferraro S.p.A. Washing machine with self-cleaning drying circuit
JP2004121321A (ja) * 2002-09-30 2004-04-22 Toshiba Corp 乾燥機能付き洗濯機
US6671978B1 (en) * 2002-11-13 2004-01-06 Mcgowan Ian A Combination washer/dryer
RU2317357C2 (ru) 2003-01-20 2008-02-20 Викто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Шапиро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DE20302572U1 (de) 2003-02-18 2003-04-24 Hansen, Nikolaus, 77880 Sasbach Unterschrank für Waschmaschinen mit einer ausziehbaren und abschließbaren Schublade zum Aufbewahren von Waschmittel
ITTO20030236A1 (it) 2003-03-28 2004-09-29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Macchina lavabiancheria, in particolare a caricamento
JP2005087712A (ja) 2003-08-08 2005-04-07 Sharp Corp 給水装置、給水方法、給水装置を備えた撒水装置、および給水装置を備えた洗濯機
US7673358B2 (en) 2003-09-26 2010-03-09 Miele & Cie Kg. Method of controlling the revolutions of the drum of a program controlled laundry machine
US7055262B2 (en) 2003-09-29 2006-06-06 Self Propelled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ists, Llc Heat pump clothes dryer
EP1524356A1 (en) 2003-10-18 2005-04-20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US7065904B2 (en) 2003-12-09 2006-06-27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DE602004029436D1 (de) 2003-12-10 2010-11-18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mit Trocknungsauflage
AU2004240201B2 (en) 2003-12-22 2010-06-10 Lg Electronics Inc. Condensed water storing apparatus of a dryer
US7748139B2 (en) 2003-12-22 2010-07-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and drum supporting assembly thereof
US7036243B2 (en) 2003-12-22 2006-05-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and condenser assembly thereof
KR20050115968A (ko)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건조기능을 갖는 드럼 세탁기용 받침대
KR101093988B1 (ko) 2004-06-05 201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도어 린트 필터 밀착 장치
KR101093878B1 (ko) 2004-06-05 2011-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드럼 장치
ES2342471T3 (es) * 2004-06-14 201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porte para maquina lavadora de ropa y aparato secador de ropa.
KR101073502B1 (ko) * 2004-07-06 2011-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US20100231506A1 (en) 2004-09-07 2010-09-16 Timothy Pryor Control of appliances, kitchen and home
KR20060031164A (ko)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세탁기
KR20060033065A (ko) 2004-10-14 2006-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51300A1 (en) * 2005-12-30 2007-07-05 Sunshine Richard A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 module spanning two laundry appliances
KR100595263B1 (ko) * 2004-11-10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장치의 리프레쉬 모드 제어 방법
KR100700780B1 (ko) 2004-11-12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 제어 방법
KR100738714B1 (ko) 2004-12-10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US6978556B1 (en) * 2005-01-19 2005-12-27 Ephelius Cornelious Combination washing machine and dryer
US20080256989A1 (en) 2005-02-08 2008-10-23 Lg Electronics Inc. Refresher and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with the Same
US20080271500A1 (en) 2005-03-25 2008-11-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KR101163227B1 (ko) 2005-04-28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US20070062513A1 (en) 2005-09-21 2007-03-22 Gagas John M Cooking system with ventilator and blower
US7393236B2 (en) * 2005-09-02 2008-07-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Integrated thermal and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power devices
BRPI0504464B1 (pt) 2005-09-23 2014-10-29 Mueller Eletrodomesticos S A Disposição construtiva em estrutura de lavadora de roupas
CN1966839A (zh) 2005-11-14 2007-05-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衣物干燥机加热器
US7404303B1 (en) * 2005-11-14 2008-07-29 Barbosa Domingos D Automatic drop washer/dryer
US7497030B2 (en) 2005-11-23 2009-03-03 Belgard Richard A Integral lint filter for clothes dryers
KR100652459B1 (ko) * 2005-11-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세탁 건조기
US20070163095A1 (en) 2005-12-30 2007-07-19 Mcallister Karl D Fabric revitalizing system and treatment appliance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US7562543B2 (en) * 2005-12-30 2009-07-21 Whirlpool Corporation Vertical laundry module with backsplash
US7921578B2 (en) 2005-12-30 2011-04-12 Whirlpool Corporation Nebulizer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20070163094A1 (en) 2005-12-30 2007-07-19 Tremitchell Wright Fabric revitalizing method using mist
US20070163098A1 (en) 2005-12-30 2007-07-19 Tomasi Donald M Drum with low absorbency textured surface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735345B2 (en) 2005-12-30 2010-06-15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a manual fabric treatment station
US7665227B2 (en) 2005-12-30 2010-02-23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revitalizing method using low absorbency pads
US20070163096A1 (en) 2005-12-30 2007-07-19 Mcallister Karl D Fluid delivery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20070163097A1 (en) 2005-12-30 2007-07-19 Metcalfe Ld Low absorbency pad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20070151311A1 (en) 2005-12-30 2007-07-05 Mcallister Karl D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20070151041A1 (en) 2005-12-30 2007-07-05 Mcallister Karl D Control process for a revitalizing appliance
US8491159B2 (en) 2006-03-28 2013-07-23 Wireless Environment, Llc Wireless emergency lighting system
DE102006019608A1 (de) * 2006-04-25 2007-11-08 Miele & Cie. Kg System, bestehend aus Haushaltgerät mit Sockel bzw. Unterbausatz
US8365438B2 (en) 2006-06-12 2013-02-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830514B1 (ko)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EP1873298B1 (en) * 2006-06-27 2012-06-27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WO2008010670A2 (en) 2006-07-18 2008-01-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08010671A2 (en) 2006-07-18 2008-01-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BRPI0714946B1 (pt) 2006-07-25 2018-02-06 Lg Electronics, Inc. Máquina de tratamento auxiliar de lavagem de roupa e máquina de múltiplos tratamentos de roupa para lavar incluindo a mesma
EP2054545B1 (en) 2006-07-28 2016-08-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US20100115784A1 (en) 2006-07-28 2010-05-13 Lg Electronics Inc.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BRPI0715351A2 (pt) 2006-07-28 2013-06-18 Lg Eletronics Inc mÁquina de tratamento de lavagem de roupa Íntima
KR101265623B1 (ko) 2006-08-22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시 히터를 이용하는 페데스탈 건조기
KR101265622B1 (ko) 2006-08-22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건조기
PL2064383T3 (pl) 2006-08-23 2016-08-31 Lg Electronics Inc Wielofunkcyjna maszyna pralnicza
CA2661211C (en) 2006-08-23 2013-03-05 Lg Electronics Inc.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221903B1 (ko) 2006-08-29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건조기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복합장치
KR101276815B1 (ko) 2006-08-29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건조기
KR101276818B1 (ko) * 2006-08-31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KR101276811B1 (ko) 2006-08-31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KR101314599B1 (ko) 2006-09-05 2013-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장치
KR101253179B1 (ko) 2006-12-14 201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203840B1 (ko) 2006-12-14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895770B2 (en) 2006-12-15 2011-03-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KR101341461B1 (ko) 2006-12-15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건조기
KR101253180B1 (ko) 2006-12-15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건조기
US20080141552A1 (en) 2006-12-18 2008-06-19 Lg Electronics Inc. Steam dryer
KR101253181B1 (ko) 2006-12-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19881B1 (ko) 2007-01-10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의류 처리 장치
US7997006B2 (en)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30478B1 (ko) 2007-04-04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건조기
KR100857799B1 (ko) 2007-04-04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건조기
CA2584573A1 (en) 2007-04-11 2008-10-11 Paul Regan Storage and drying unit for storing and drying outerwear, sports clothing and equipment use
KR100873142B1 (ko) 2007-04-13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DE102008020671B4 (de) 2007-04-25 2022-01-27 Lg Electronics Inc. Bekleidungsbehandlungsmaschine
US20080276659A1 (en) 2007-04-25 2008-11-13 Sang Hun Bae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0833865B1 (ko) 2007-04-25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8133444A2 (en) 2007-04-25 2008-11-06 Lg Electronics Inc. Steam laundry dryer
KR101396971B1 (ko) 2007-05-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건조기
KR100896284B1 (ko) 2007-05-15 2009-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P2000581B1 (en) 2007-06-08 2014-02-19 LG Electronics Inc. Dryer
WO2009020328A2 (en) 2007-08-03 2009-02-12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method of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435797B1 (ko) 2007-08-0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98027B1 (ko) 2008-04-0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925735B1 (ko) 2007-09-03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EP2055824B1 (en) 2007-11-02 2014-07-30 LG Electronics Inc. Dryer
KR100921461B1 (ko) 2007-11-02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430456B1 (ko) 2007-11-12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의류처리장치
DE102008056383B4 (de) 2007-11-16 2015-08-20 Lg Electronics Inc. Dampf-Trocknungsguttrockner
US7992321B2 (en) 2007-12-19 2011-08-09 Electrolux Home Products Laundry dryer having three roller drum support system and reversing idler assembly
KR101608760B1 (ko) 2008-04-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S2374768T3 (es)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Lavadora.
KR20090115015A (ko) 2008-04-30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S2374767T3 (es) *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Lavadora.
US20100000112A1 (en) 2008-07-02 2010-01-07 Whirlpool Corporation Dispensing dryer dosing sensing
US8201345B2 (en) 2008-07-02 2012-06-1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cleanout cycle in a dispensing dryer
US8104191B2 (en) 2008-07-31 2012-01-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aundry dryer providing moisture application during tumbling and reduced airflow
KR101070536B1 (ko) 2008-12-17 201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1542389B1 (ko) 2009-02-05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US8245414B2 (en) 2009-09-02 2012-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Drying drawer and method of dry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1854A2 (pt) 2015-10-06
WO2009134072A2 (en) 2009-11-05
KR20090115058A (ko) 2009-11-04
US8677785B2 (en) 2014-03-25
AR071225A1 (es) 2010-06-02
AU2009243361B2 (en) 2012-05-03
CA2722799A1 (en) 2009-11-05
CA2722799C (en) 2013-10-29
US20100083711A1 (en) 2010-04-08
AU2009243361A1 (en) 2009-11-05
EP2286014A4 (en) 2015-03-11
EP2286014A2 (en) 2011-02-23
CN102216510A (zh) 2011-10-12
EP2286014B1 (en) 2017-08-02
WO2009134072A3 (en)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760B1 (ko) 의류처리장치
RU2404308C1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8176755B2 (en) Heating part and laundry tre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028259B1 (ko) 의류건조기
RU2462543C2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TWI379928B (en) Laundry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