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5735B1 -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735B1
KR100925735B1 KR1020070089181A KR20070089181A KR100925735B1 KR 100925735 B1 KR100925735 B1 KR 100925735B1 KR 1020070089181 A KR1020070089181 A KR 1020070089181A KR 20070089181 A KR20070089181 A KR 20070089181A KR 100925735 B1 KR100925735 B1 KR 100925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abinet
supporter
le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009A (ko
Inventor
조성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735B1/ko
Priority to DE102008045250A priority patent/DE102008045250B4/de
Priority to US12/230,582 priority patent/US7921679B2/en
Priority to FR0855869A priority patent/FR2923497B1/fr
Priority to CN2008102157223A priority patent/CN101381948B/zh
Publication of KR2009002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높이 수납장을 장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또는 키높이 수납장과 의류처리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의 세탁 또는 건조 작용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레그가 설치된 베이스;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키높이 수납장;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장의 상면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 본체를 상기 수납장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리브가 형성된 서포터를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리브와 결합되는 베이스측 결합리브를 형성하여, 키높이 수납장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표면 훼손이 없으며 서포터 또는 키높이 수납장의 탈착이 용이한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을 제공한다.
키높이 수납장, 서포터, 결합리브

Description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SUPPORTER AND PEDESTAL AND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높이 수납장을 의류처리장치에 장착하는 서포터에 있어서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없는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그리고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고 함)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포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포를 건조하는 건조기와, 포의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등이 대표적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포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향기 등을 부여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키높이 수납장 또는 받침대 내지 페데스탈(pedestal)이 구비되는 바, 상기 키높이 수납장의 상면에 세탁기와 건조기 및 건조겸용 세탁기 등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가 올림 고정된 구조로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키높이 수납장이 장착된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높이 수납장(2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서랍(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본체(10)와 키높이 수납장(20)은 브라켓 등의 별도의 결합부재(23)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부재(23)는 그 상단(23a)이 의류처리장치 본체(10)의 일측면에 양면 테이프(24)로 고정되고, 결합부재(23)의 하단(23b)은 키높이 수납장(20)의 하우징(21)의 일측면에 스크루(25)로 고정된다.
이 때, 상기 결합부재(23)는 의류처리장치(1)의 본체(10)와 키높이 수납장(20)의 하우징(21)의 양측면에 각각 두 개가 설치되되, 결합부재(23)는 상단(23a)에 양면 테이프(24)가 부착됨과 아울러 하단(23b) 양측 두 부분에 스크루(25)가 체결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하단 일측면과 키높이 수납장(20)의 하우징(21)의 일측면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키높이 수납장(20)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에 공용할 수 없었으며, 의류처리장치(1)와 키높이 수납장(20)을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부재(23)를 사용해야 하므로 결합과정이 번거롭고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를 옮기거나 다른 의류처리장치(1)를 키높이 수납장에 설치하기 위해 결합부재(23)를 제거할 경우에 의류처리장치(1) 또는 키높이 수납장(20)의 표면에 양면 테이프(24) 자국이 남거나 스크루(25) 구멍이 생겨서 제품의 외관을 헤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부재(23)를 제거하기 위해 스크루(25)를 빼내는 과정에서 의류처리장치(1) 또는 키높이 수납장(20)의 표면이 움푹 들어가는 등 표면이 훼손되거나 체결부재(23)가 휘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에 형성된 베이스측 결합리브와 서포터의 체결리브를 상호 체결함으로써 체결부로 인한 의류처리장치 및 키높이 수납장 표면의 훼손이 없고, 서포터 또는 키높이 수납장의 탈착이 용이한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을 제공함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를 이용하여 키높이 수납장과 의류처리장치를 체결함으로써 서포터에 체결되는 별도의 체결 부재가 필요없는 키높이 수납장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서포터를 장착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 또는 키높이 수납장에 별도의 체결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장착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올려지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는 지지 대상물의 레그가 안착되는 레그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 대상물과 상기 본체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리브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과 상기 서포터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져 종래의 결합부재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서포터 또는 키높이 수납장을 대상물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하우징 상면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도록 상기 서포터에 형성되며 적어도 2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결합리브에는 체결수단을 위한 체결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리브를 상기 키높이 수납장 하우징 상면의 가장자리와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서포터가 상기 키높이 수납장의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결합리브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키높이 수납장의 표면에 별도의 스크루 체결공을 형성하는 번거롭움을 줄이고 상기 하우징 등의 외관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포터가 상기 대상물 또는 상기 키높이 수납장의 표면으로부터 더 튀어나와 외관을 헤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대상물의 지지 레그가 안착되는 레그홀이 형성되며, 상기 레그홀은 적어도 2개가 형성되며 서로 연통되거나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레그홀을 적어도 2개 형성하여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에 모 두 적용할 수 있는 부품 공용화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그홀들은 깊이 또는 크기가 서로 다르며, 상기 레그홀들은 상기 하우징 상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터와 체결되는 상기 대상물이 세탁기 및 건조기인 경우에 건조기의 레그가 세탁기의 레그 보다 대각선 방향으로 좀더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레그홀들을 상기 하우징 상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하여 부품 공용화를 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레그와 건조기의 레그의 직경 또는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레그홀들의 크기 또는 깊이를 이에 맞추어 형성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탁물의 세탁 또는 건조 작용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레그가 설치된 베이스;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키높이 수납장;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장의 상면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 본체를 상기 수납장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리브가 형성된 서포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리브와 결합되는 베이스측 결합리브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합리브 및 상기 베이스측 결합리브에는 서로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체결공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와 서포터를 체결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표면 및 키높이 수납장의 표면을 훼손하지 않고서도 양자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 본체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 또는 건조겸용 세탁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세탁기의 베이스에 장착된 레그를 수용하는 세탁기 레그홀과 상기 건조기의 베이스에 장착된 레그를 수용하는 건조기 레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 레그홀 및 상기 건조기 레그홀은 서로 연통되거나 분리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는 서로 연통 형성된 레그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장의 상면 선단 양측에 설치되는 전방서포터와, 서로 분리 형성된 레그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장의 상면 후단 양측에 설치되는 후방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탁기 레그홀 또는 상기 건조기 레그홀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가 복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레그가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그홀을 차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그 장착의 편의를 위해 레그홀의 일부를 개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의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와 결합되는 결합리브를 구비한 서포터가 설치되며,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건조기에 공용화할 수 있는 키높이 수납장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에 형성된 베이스측 결합리브와 서포터의 체결리브를 상호 체결함으로써 키높이 수납장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표면 훼손이 없고, 서포터 또는 키높이 수납장의 탈착이 용이한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를 이용하여 키높이 수납장과 의류처리장치를 체결함으로써 서포터에 체결되는 별도의 체결 부재가 필요없게 되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키높이 수납장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포터를 사용하여, 세탁기와 건조기를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키높이 수납장의 유지 수선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포터를 장착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 또는 키높이 수납장에 별도의 체결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서포터 또는 키높이 수납장의 장착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키높이 수납장이 장착된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키높이 수납장에 서포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서포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포의 세정 작용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본체(110)와, 의류처리장치 본 체(110)의 일면에 배치되고 포의 세정시 필요한 각종 물품이 수납되는 키높이 수납장(200) 또는 페데스탈과, 키높이 수납장(200)과 의류처리장치 본체(110) 사이의 설치되어 양자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서포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본체(110)는 세탁기와 건조기 및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한 의류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이고, 의류처리장치 본체(110)의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면에 키높이 수납장(20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의류처리장치 본체(11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키높이 수납장(200)이 의류처리장치 본체(110)의 하면에 배치되고, 의류처리장치 본체(110)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의류처리장치(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키높이 수납장(200)이 안착된 후, 키높이 수납장(200)의 상면에 의류처리장치 즉 세탁기 또는 건조기 본체(110)가 올림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내부에 완충 가능토록 수평하게 설치되어 물이 수용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염된 포가 수용되고 외측면에 물 또는 거품이 출입되는 복수개의 통공(113a)이 형성된 드럼(113)과, 드럼(113)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포가 일정 높이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 있도록 포를 퍼올리는 복수개의 리프터(113b)와, 상기 터브의 후부에 설치되어 드럼(113)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본체 커버(미도시)가 장착되고, 본체(110)의 하 면에는 베이스(120)가 장착되며,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는 탑 플레이트(111)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 커버에는 드럼(113)의 내부로 포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터브 사이에는 드럼(113)의 회전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패킹역할을 수행하는 개스킷(114)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20)의 네 모서리에는 의류처리장치(즉, 세탁기) 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함과 아울러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레그(leg) 또는 높이조절다리(121)가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그(121)는 베이스(120)에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일방향 회전시 베이스(120)로부터 돌출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설치 높이가 증가하고, 타방향 회전시 베이스(120)로 삽입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설치 높이가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 키높이 수납장(200)은 의류처리장치(100)가 올려질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내부에 각종 물품의 수납되도록 하우징(210)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수납서랍(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과 수납서랍(220)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 네 귀퉁이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레그(121)가 각각 안착 고정되는 서포터(230)가 형성되고, 하우징(210)의 하면 네 귀퉁이에는 의류처리장치(100)와 키높이 수납장(200)의 하중을 지지함과 아울러 키높이 수납 장(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레그(미도시)가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서랍(220)은 하우징(2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손잡이(223)가 형성된 전면부(221)와, 전면부(221)의 배면에 형성되어 각종 물품이 수납되고 하우징(210)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수납부(2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키높이 수납장(200)은 의류처리장치(100)의 받침대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100)의 사용시 필요한 세제, 유연제, 표백제, 정비용 공구, 청소 도구 등과 같은 각종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장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230)는 키높이 수납장(200)의 하우징(210) 상면에 장착되며, 하우징(210) 상면의 네 귀퉁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230)는 지지 대상물인 의류처리장치(100)의 레그(121)가 안착되는 레그홀(231,232)이 형성된 본체(230)와, 본체(2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의류처리장치(100)와 본체(230)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리브(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그홀(231,232)들은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기인 경우에 세탁기의 레그(122)를 안착하기 위한 제1레그홀(231)들과, 의류처리장치(100)가 건조기인 경우에 건조기의 레그(123)를 안착하기 위한 제2레그홀(232)들로 이루어지며,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기 및 건조기 외의 리프레셔 등인 경우라면 리프레셔의 레그를 수용하기 위한 레그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레그홀(231,232) 이 세탁기 및 건조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230)를 공용화하기 위해서는 레그홀(231,232)들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서포터들은(230) 하우징(210) 상면의 전방에 장착된 전방서포터(230')와, 하우징(210) 상면의 후방에 장착된 후방서포터(230'')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전방서포터(230')는 서로 연통 형성된 레그홀들(231,232)을 구비하고 하우징(210)의 상면 선단 양측에 설치되며, 후방서포터(230'')는 서로 분리 형성된 레그홀들(231,232)을 구비하고 하우징(210)의 상면 후단 양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서포터(230')의 레그홀(231,232)들은 서로 연통되고 후방서포터(230'')의 레그홀(231,232)들은 서로 분리 형성되는 이유는 동일한 크기의 본체(110)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에 있어서, 각 레그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기와 건조기인 경우라고 하면, 세탁기의 전방 레그와 건조기의 전방 레그는 서로 겹치는 반면에 세탁기의 후방 레그와 건조기의 후방 레그는 서로 겹치지 않는다. 따라서, 전방서포터(230')의 레그홀(231,232)들은 서로 연통 형성하고 후방서포터(230'')의 레그홀(231,232)들은 서로 분리 형성해야만, 하나의 서포터(230)로 세탁기와 건조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방서포터(230')의 레그홀들은 연통되고 후방서포터(230'')의 레그홀들은 분리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하고자 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레그 형 상에 따라 레그홀(231,232)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레그홀(231,232)들은 그 깊이 또는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의류처리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레그(121)의 두께 또는 직경 내지 크기가 상이한 바, 다양한 레그 형상을 가급적 모두 수용하기 위해서는 레그홀(231,232)들의 깊이 또는 크기 내지 직경을 다르게 형성해야 부품 공용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레그홀(231,232)들의 깊이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부재(예를 들면, 쉬트 형상의 와셔)를 레그(121)에 장착하여 레그홀(231,232)의 깊이와 레그(121)의 높이를 맞출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레그홀(231,232)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부가 복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레그홀(231,232)들 중 일부는 상부가 덮이도록 형성하고 다른 일부는 개구된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의류처리장치(100)의 레그(121)가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그홀(231,232)의 차폐된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00)의 레그(121)가 걸리게 되어 키높이 수납장(200)에 의류처리장치(100)를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그홀(231,232)들은 하우징(210) 상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그홀(231,232)들의 배치 역시 공용하고자 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레그(121)들의 배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서포터(23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230)는 대략 사각형 또는 부채꼴 형 상의 본체(230)와, 본체(23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레그홀들(231,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레그홀들(231,232)이 연통되거나 분리 형성될 수 있음은 이미 살펴 보았다.
상기 서포터(230)의 측면들 중에서, 키높이 수납장(200)의 하우징(210) 상면에 장착될 경우에 하우징(210) 모서리와 일치하는 제1기준측면(230a) 및 제2기준측면(230b)에는 결합리브(233)가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리브(233)는 하우징(210) 상면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도록 서포터(2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결합리브(233)는 제1기준측면(230a)과 제2기준측면(230b)에 각각 1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키높이 수납장(200)의 크기 또는 키높이 수납장(200) 위에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크기 및 하중 등을 고려하여 각 기준측면(230a,230b)에 2개 이상씩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합리브(233)는 제1기준측면(230a) 및 제2기준측면(230b)과 단차를 이루며 기준측면(230a,230b) 보다 안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결합리브(233)에는 의류처리장치(10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234)이 형성되는데, 이 체결공(234)에 스크루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장착될 경우 스크루머리나 볼트머리가 기준측면(230a,230b) 보다 더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233)와 거의 직각을 이루는 서포터의 본체(230)에는 서포터(230)를 키높이 수납장(200)에 장착하는 체결수단을 위한 체결공(2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공(235)이 형성되는 부위 역시 체결수단의 머리 두께를 고려하 여 서포터 본체(230)의 표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레그홀들(231,232)의 후방에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리브(236)가 형성된다. 이 강화리브(236)는 레그홀(231,232)의 후방 부분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서포터(230)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즉, 강화리브(236)를 제외한 부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여 서포터(230)의 사출물 량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리브(233)가 제1기준측면(230a) 및 제 2기준측면(230b)과 나란히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기준측면(230a) 및 제2기준측면(230b)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결합리브(233)의 형상은 결합리브(233)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베이스측 결합리브 형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리브(233)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베이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된 베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베이스가 서포터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따른 베이스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120)의 네 모퉁이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레그(121)가 장착되며, 레그(121)를 기준으로 양측에 베이스측 결합리브(122)가 형성된다. 베이스측 결합리브(122)는 서포터(230)의 결합리브(233)에 형성된 체결공(234)과 연통하는 체결공(123)이 형성되어 있다.
의류처리장치(100)를 키높이 수납장(2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서포터(230)를 의류처리장치(100)와 키높이 수납장(200) 사이에 장착하고, 서포터(230)에 형성된 결합리브(233)와 베이스측 결합리브(122)가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나사 또는 스크루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공(123,234)에 장착하면 된다.
이와 같이 결합리브(122,233)를 사용하여 의류처리장치(100), 서포터(230) 및 키높이 수납장(200)이 장착된 모습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의하면, 서포터(230)의 결합리브(233)가 바깥쪽에 위치하고, 베이스측 결합리브(122)가 안쪽에 위치하고, 나사 또는 스크루 등의 체결수단을 양자의 체결공(123,234)에 장착하여 양자를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결합리브(122,233)가 의류처리장치(100) 또는 키높이 수납장(200)의 표면 보다 튀어나오지 않게 되어 외관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100)나 키높이 수납장(200)을 서포터(230)에 장착하기 위해 브라켓 등의 별도의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베이스측 결합리브(122)가 바깥쪽에 위치하고 서포터(230)의 결합리브(233)가 안쪽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집 모양 또는 격자형태를 가질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측 결합리브(122')를 구비한 판상의 베이스(120')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120,120')의 형태는 의류처리장치(100)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120)에 형성된 결합리브(122)를 이용함으로써, 브 라켓 등의 별도 체결부재 없이도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 다양한 의류처리장치(100)에 키높이 수납장(200)을 공용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지금까지 의류처리장치의 예로써 세탁기 및 건조기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세탁기 및 건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 겸용 세탁기, 복합세탁시스템, 주름제거기능 등을 구비한 리프레셔 등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설명하면서 전방에서 의류를 수납하는 프런트 로딩 방식(front loading type) 의류처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부에서 의류를 수납하는 탑로딩 방식(top loading type) 의류처리장치의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키높이 수납장이 장착된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키높이 수납장이 장착된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키높이 수납장에 서포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서포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된 베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베이스가 서포터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베이스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의류처리장치 110: 의류처리장치 본체
120: 베이스 122: 베이스측 결합리브
200: 키높이 수납장 210: 하우징
220: 수납서랍 230: 서포터
231,232: 레그홀 233: 결합리브
234,235: 체결공 236: 강화리브

Claims (16)

  1. 지지 대상물이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개의 결합리브; 및
    상기 결합리브와 지지 대상물을 결합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2.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올려지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대상물과 체결 수단을 통해서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상기 서포터의 외측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하우징 상면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도록 상기 서포터에 형성되며, 적어도 2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장.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에는 체결수단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대상물의 지지 레그가 안착되는 레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홀은 적어도 2개가 형성되며, 서로 연통되거나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홀들은, 깊이 또는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장.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홀들은 상기 하우징 상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수납장.
  9. 세탁물의 세탁 또는 건조 작용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레그가 설치된 베이스;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키높이 수납장;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장의 상면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 본체를 체결 수단을 통해서 상기 수납장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리브가 상기 수납장의 외주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서포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리브와 결합되는 베이스측 결합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 장착된 레그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레그홀 및 제2 레그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레그홀은 상기 제1 레그홀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수납장의 중심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홀 및 상기 제2레그홀은 서로 연통되거나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의 전방에 위치하는 서포터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레그홀들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서포터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레그홀들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 및 상기 베이스측 결합리브에는 서로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홀 또는 상기 제2레그홀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가 복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삭제
KR1020070089181A 2007-09-03 2007-09-03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KR100925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81A KR100925735B1 (ko) 2007-09-03 2007-09-03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DE102008045250A DE102008045250B4 (de) 2007-09-03 2008-09-01 Wasch-/Trocknungsmaschine
US12/230,582 US7921679B2 (en) 2007-09-03 2008-09-02 Washing/drying machine
FR0855869A FR2923497B1 (fr) 2007-09-03 2008-09-02 Machine a laver/seche-linge.
CN2008102157223A CN101381948B (zh) 2007-09-03 2008-09-03 洗衣/干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81A KR100925735B1 (ko) 2007-09-03 2007-09-03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009A KR20090024009A (ko) 2009-03-06
KR100925735B1 true KR100925735B1 (ko) 2009-11-11

Family

ID=4038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181A KR100925735B1 (ko) 2007-09-03 2007-09-03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1679B2 (ko)
KR (1) KR100925735B1 (ko)
CN (1) CN101381948B (ko)
DE (1) DE102008045250B4 (ko)
FR (1) FR2923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214332C1 (en) * 2007-08-30 2013-10-24 The Rectorseal Corporation Plinths
KR101481517B1 (ko) * 2008-02-27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ES2374767T3 (es) *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Lavadora.
ES2374768T3 (es) *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Lavadora.
KR101608760B1 (ko) 2008-04-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502114B1 (ko) * 2009-08-24 2015-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422571B1 (ko) * 2009-10-13 2014-07-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A2723556C (en) * 2009-12-07 2014-02-11 Lg Electronics Inc. Splash detecting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8220770B2 (en) * 2009-12-22 2012-07-17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Domestic appliance with height adjustable foot
KR20110110660A (ko) * 2010-04-01 201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택 구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CN202170537U (zh) * 2011-05-27 2012-03-21 卡特彼勒路面机械公司 机械的操作空间框架的固定连接装置以及机械
USD667179S1 (en) * 2011-07-28 2012-09-11 Lg Electronics Inc. Drawer-shaped washing machine
USD665544S1 (en) * 2011-07-28 2012-08-14 Lg Electronics Inc. Drawer-shaped washing machine
US9185977B2 (en) * 2011-11-22 2015-11-17 Sd Machinery, Llc Furniture skid plate
CN103029753B (zh) * 2012-12-14 2015-08-1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用千斤顶支撑限位装置、车身及汽车
KR101980271B1 (ko) * 2014-07-08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
WO2016169525A1 (zh) * 2015-04-21 2016-10-2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复合式洗衣机组件和洗衣机
CN104805636B (zh) * 2015-04-21 2018-04-2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复合式洗衣机组件和洗衣机
AU2016204092B2 (en) * 2015-06-24 2020-04-16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Vibration isolator
KR20170002891A (ko)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8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D814722S1 (en) * 2015-09-03 2018-04-03 Lg Electronics Inc. Pedestal washing machine
USD815376S1 (en) * 2015-09-03 2018-04-10 Lg Electronics Inc. Pedestal washing machine
USD816283S1 (en) * 2015-09-03 2018-04-24 Lg Electronics Inc. Pedestal washing machine
USD811028S1 (en) * 2015-09-03 2018-02-20 Lg Electronics Inc. Pedestal washing machine
US20200196758A1 (en) * 2016-03-25 2020-06-25 Paul J. Segas Seismic base isolation system for barrel racks
CN107558114B (zh) * 2016-06-30 2020-06-30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液压调平底座及洗衣机
KR102347850B1 (ko) * 2016-12-23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08626527B (zh) 2017-03-22 2021-04-20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6532B (zh) 2017-03-23 2021-03-30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5122B (zh) 2017-03-23 2021-03-26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796980B (zh) * 2017-04-28 2021-08-03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
CN109736049A (zh) * 2019-03-25 2019-05-10 安吉万洲电气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洗衣机底座
US11072882B2 (en) 2019-07-15 2021-07-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Universal pedestal for a laundry appliance
CA199089S (en) * 2020-02-25 2023-06-21 Lg Electronics Inc Connecting member for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set for laundry purpose
US20230183913A1 (en) * 2020-05-18 2023-06-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TR202007983A2 (tr) * 2020-05-22 2021-12-21 Bsh Ev Aletleri San Ve Tic As Yuva bağlanti düzeni̇ne sahi̇p bi̇r ev ci̇hazi
US20220133075A1 (en) * 2020-11-05 2022-05-05 Mikhail Y. Bachayev Accessory for Improving Operation of Espresso Coffee Brewing Machine
US11795606B2 (en) 2020-11-30 2023-10-24 Whirlpool Corporation Pedestal assemblies for laundry appliances
CN112900002B (zh) * 2021-01-25 2022-0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3623A (ko) * 2002-12-17 200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40085516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KR20040086059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4032A (en) * 1965-01-13 1967-02-14 Gen Electric Self-balancing support mechanism
US4148454A (en) * 1978-05-22 1979-04-10 Keyston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Bracket assembly
US4454732A (en) * 1983-05-04 1984-06-19 The Maytag Company Combined appliance with unifying support structure
US4462225A (en) * 1983-05-04 1984-07-31 The Maytag Company Appliance leveling and locating structure
US4680948A (en) * 1985-01-10 1987-07-2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ryer mounting bracket assembly
US4821535A (en) * 1987-12-29 1989-04-18 Whirlpool Corporation Coupling device for washer and dryer
US5106039A (en) 1990-11-20 1992-04-21 Metra Electronics Corporation Keyed universal mounting kit for mounting a radio in an automotive dashboard
US5230553A (en) * 1991-12-09 1993-07-27 Maytag Corporation Method and means for dishwasher tub and support assembly
SE507315C2 (sv) * 1992-12-09 1998-05-11 Ulf Lundagaards Låsanordning för att låsa ett föremål i förhållande till ett underlag
DE19838631A1 (de) * 1998-08-26 2000-03-02 Benjamin Blumenschein Sockelgestell für Haushaltsgeräte
US6203031B1 (en) * 1998-12-07 2001-03-20 Steelworks, Inc. File cabinet dolly with open frame
US6345874B2 (en) * 1999-09-23 2002-02-12 Avaya Technologies Corp. Cabinet mounting structure
AU2003262464B2 (en) * 2002-11-28 2006-07-0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20040245899A1 (en) * 2003-06-05 2004-12-09 Cho Han Ki Washing machine pedestal
US20040263032A1 (en) * 2003-06-28 2004-12-30 Cho Han Ki Stand for home appliance
ES2342471T3 (es) * 2004-06-14 201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porte para maquina lavadora de ropa y aparato secador de ropa.
US20060129308A1 (en) 2004-12-10 2006-06-15 Lawrence Kates Management and navigation system for the blind
DE102006023995A1 (de) * 2005-05-23 2006-12-28 Lg Electronic Inc.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3623A (ko) * 2002-12-17 200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40085516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KR20040086059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21679B2 (en) 2011-04-12
CN101381948B (zh) 2011-07-06
KR20090024009A (ko) 2009-03-06
FR2923497B1 (fr) 2012-06-08
DE102008045250A1 (de) 2009-04-02
DE102008045250B4 (de) 2012-12-27
US20090057527A1 (en) 2009-03-05
CN101381948A (zh) 2009-03-11
FR2923497A1 (fr)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735B1 (ko)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KR100925737B1 (ko) 서포터, 이를 구비한 페데스탈 및 의류처리장치
EP2063012B1 (en) Washing machine
EP2063013B1 (en) Washing machine
EP2063014B1 (en) Washing machine
CA2722531C (en) Washing machine
CA2707883C (en) Laundry machine with two washing tubs
KR20090096948A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57791A (ko) 의류 처리장치
EP2065506B1 (en) Laundry machine
KR101962149B1 (ko) 의류 처리장치
CA2664029C (en) Washing machine
RU2402653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RU2396386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KR20060120936A (ko) 세정 장치
CA2664471C (en) Washing machine
RU2402654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KR20050102328A (ko) 드럼세탁기
KR20180002081A (ko) 의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