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379B1 - Broadside collision testing device for door trim - Google Patents
Broadside collision testing device for door tri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3379B1 KR101463379B1 KR1020130122103A KR20130122103A KR101463379B1 KR 101463379 B1 KR101463379 B1 KR 101463379B1 KR 1020130122103 A KR1020130122103 A KR 1020130122103A KR 20130122103 A KR20130122103 A KR 20130122103A KR 101463379 B1 KR101463379 B1 KR 1014633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trim
- base plate
- side impact
- present
- impact tes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9863 impact tes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넓이를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고정블록; 및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에 의해 각 가이드홀에 체결되어 각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도어트림의 패스너가 체결되는 장착홀이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가 제공된다.A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s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plurality of fixing blocks fastened to the base plate and having guide ho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moving brackets fastened to the guide holes by the bolt member and the nut member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holes and having a mount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er of the door trim to one side thereof, A crash testing device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측면충돌 단품 시험에 사용되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used for a side impact crash test of a door trim of a vehicle.
차량에 측면충돌이 발생된 경우, 도어트림의 파단 여부나 탑승자의 안정 여부 등을 시험 및 예측하기 위해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은, 조립 완성된 실차를 대상으로 할 경우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도어트림 단품만을 대상으로 수행되기도 하며, 단품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를 통해, 실차 시험 결과의 예측이나 추가 개선 보완 등이 이뤄지고 있다.In the event of a side impact on the vehicle,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may be performed to test and predict whether the door trim is broken or whether the occupant is stable. Such a door-trimming side impact test is performed only on a door trim individual, because it requires a lot of cost when the assembled actual vehicle is subjected to the test. Additional improvements and improvements are being made.
종래의 도어트림 단품의 측면충돌 시험은, 나무블록이 구비된 플레이트 형태의 형판을 마련하고, 나무블록에 도어트림을 고정시킨 후, 도어트림에 중량물이나 부하자를 충돌시켜 파단 여부나 파단면 등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왔다. 이때, 도어트림은 스크류 등을 나무블록에 장착되게 되는데, 이는 실제 도어트림이 차체 패널 등에 장착된 구조와는 상이한 구조인바, 시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side door crash test, a plate-shaped mold plate provided with a wooden block is provided, a door trim is fixed to a wooden block, and then a heavy load or a load is hit against the door trim, It has been done by observation. At this time, the door trim is attached to the wooden block,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in which the actual door trim is mounted on the body panel or the like, which may cause the accuracy of the test to be lowered.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경우, 도어트림의 임의 위치에 스크류 등을 관통 설치하여 도어트림의 외곽 플랜지 등을 나무블록에 고정시키고, 고정된 도어트림에 중량물 등을 충돌시키게 되는데, 이는 실제 도어트림이 조립되는 구조와는 차이점이 있다. 즉, 실제 차량에 조립된 도어트림의 경우, 일정 개소에 마련된 패스너(fastner)를 통해 차체 패널 등에 장착되게 되므로, 충돌 시험시 임시방편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류 등과는 체결 수단의 종류나 위치에 차이가 나게 된다. 이러한 차이는 도어트림 단품만을 대상으로 하는 측면충돌 시험시와 실차 시험시 간에 시험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onventional case, a screw or the like is inserted through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door trim so that the outer flange of the door trim is fixed to the wooden block and the heavy door or the like is collided with the fixed door trim.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structure to be assembled. That is, in the case of a door trim assembled into an actual vehicle, since the vehicle body panel is mounted to a vehicle panel or the like through a fastener provided at a certain pos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fastening means . Such a difference may cause a test error between a side impact test for a door trim alone and an actual vehicle test, and may reduc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est accuracy and reliabi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넓이를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고정블록; 및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각 가이드홀에 체결되어 상기 각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도어트림의 패스너가 체결되는 장착홀이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s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plurality of fixing blocks fastened to the base plate and having guide ho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moving brackets fastened to the guide holes by a bolt member and a nut member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holes and having a mount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er of the door trim to one side thereof,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devi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는, 이동브라켓을 마련하고, 도어트림이 패스너를 통해 이동브라켓에 장착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도어트림의 조립 구조와 좀 더 유사한 조건에서 충돌 시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는, 도어트림의 측면 충돌 단품 시험시 시험 정확도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The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bracket is provided and the door trim is mounted on the movable bracket through the fastener so that the collision test And so on. Therefore, the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test accuracy and reliability in the side crash impact test of the door tri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는, 가이드홀 및 볼트체결홀을 통해 이동브라켓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는, 크기, 형상, 조립 구조 등이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도어트림 시험에 사용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시험 수행이나 시험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racket through the guide hole and the bolt fastening hole. Therefore, the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door trim tests different in size, shape, assembling structure, and the like, thereby enabling efficient test execution and reduction of test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브라켓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에 도어트림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ing bracket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trim mounted on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ful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100, 이하, '시험장치(100)'로 지칭함)은, 베이스플레이트(11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소정넓이를 가지는 플레이트(plate) 또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어트림이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안착 또는 배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시험에 사용되는 도어트림에 대응되거나 소정정도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필요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다수의 고정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고정홀(111)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고정홀(111)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홀(111)에는 후술할 고정블록(120)의 고정이나 지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체결되어, 고정블록(120)이 일정한 자세나 각도로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If necessary, a plurality of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고정블록(120)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각 고정블록(12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각 고정블록(120)은 고정홀(111)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 설치되거나, 고정홀(111)에 직접 볼팅 결합되는 등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Each
고정블록(120)은 대략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ㄷ'자형의 하단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접하는 리브(rib)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고정블록(120)은 도어트림을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무방하며, 상기 예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또한, 고정블록(12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블록(120)은 복수개가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장착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은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3개의 고정블록(120)이 장착 또는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시험을 위한 도어트림의 형태나 장착 구조 등에 따라 고정블록(120)의 개수는 증감 변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정블록(120)은 대략 도어트림의 외주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고정블록(120)은 도어트림에 마련된 패스너 체결 위치를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Also, a plurality of
또한, 각 고정블록(120)에는 가이드홀(121)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홀(121)은 고정블록(120)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블록(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가이드홀(121)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이동브라켓(130)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동브라켓(130)은 도어트림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각 고정블록(120)의 가이드홀(12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브라켓(130)은 복수개가 가이드홀(121)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브라켓(130)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홀(121)에 3개 또는 4개가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이동브라켓(13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 변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각 이동브라켓(130)은 상호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하나의 이동브라켓(130)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Each of the movin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브라켓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ing bracket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2 및 3을 참고하면, 이동브라켓(130)은 가이드홀(1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동브라켓(130)의 일측 단부에는 도어트림(D)의 장착을 위한 장착홀(131)이 마련될 수 있다. 장착홀(131)에는 패스너(fastener, F)가 삽입되어 도어트림(D)을 이동브라켓(130)에 체결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이동브라켓(130)의 타측에는 이동브라켓(130)을 고정블록(120) 또는 가이드홀(121)에 체결시키기 위한 볼트체결홀(132)이 마련될 수 있다. 볼트체결홀(132)은 이동브라켓(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볼트체결홀(132)은 가이드홀(1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공 형태의 볼트체결홀(132)은 가이드홀(121)과 함께 이동브라켓(130)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A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이동브라켓(130)을 고정블록(120) 또는 가이드홀(121)에 체결시키는 볼트부재(140) 및 너트부재(141)를 구비할 수 있다.The
볼트부재(140)는 고정블록(120)의 가이드홀(121) 및 이동브라켓(130)의 볼트체결홀(132)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볼트부재(140)는 볼트머리가 가이드홀(121) 하방에 걸림 결합되도록 하부측에서 상부측을 향해 삽입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너트부재(141)는 볼트체결홀(132)로 삽입 체결된 볼트부재(140)의 상부측에 나합되어 이동브라켓(13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이동브라켓(13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개재되는 높이조절블록(150)을 구비할 수 있다.The
높이조절블록(150)은 상하방향으로 소정높이를 가지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는 볼트부재(14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15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블록(150)은 상부면이 이동브라켓(130)의 하부면에 접하고, 하부면에 고정블록(12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이동브라켓(13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블록(150)은 이동브라켓(130)을 고정블록(12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키게 된다.The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의 사용 및 작동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nd operating the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가 도 1과 같은 상태로 바닥면 등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어트림(D)이 시험장치(100)에 적절히 장착될 수 있도록 이동브라켓(130)을 소정정도 이동시키거나 위치 조정하게 된다. 즉, 각 이동브라켓(130)은 도어트림(D)의 각 패스너(F) 체결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 조정되게 된다.First, the
이동브라켓(130)의 위치 조정은 고정블록(120)에 형성된 가이드홀(121)이나,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볼트체결홀(132)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즉,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각 이동브라켓(130)은 너트부재(141)가 소정정도 풀린 상태에서 가이드홀(121)을 따라 이동되어 도어트림(D)의 각 패스너(F) 체결 위치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이동브라켓(130)은 볼트체결홀(132)을 따라 이동되어 도어트림(D)을 향해 전후방향으로도 위치 조정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상기와 같이 각 이동브라켓(130)의 위치가 조정되면, 작업자는 너트부재(141)를 다시 조여 이동브라켓(130)을 고정시키고 도어트림(D)을 시험장치(100)에 장착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도어트림(D)의 장착은 각 이동브라켓(130)의 위치 조정과 함께 수행되거나, 도어트림(D)의 배치 후 각 이동브라켓(130)의 위치를 일부 수정하는 등의 방식으로도 이뤄질 수 있다.When the position of each of the movin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에 도어트림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trim mounted on a door trim side impact test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도 4를 참고하면, 도어트림(D)은 각 패스너(F)를 통해 시험장치(100)에 장착 설치되게 된다. 즉, 도어트림(D)은 패스너(F)가 이동브라켓(130)의 장착홀(131)에 체결되어 시험장치(100)에 장착 설치될 수 있다 (도 3 참고).Referring to FIG. 4, the door trim D is mounted on the
상기와 같이 도어트림(D)이 패스너(F)를 통해 시험장치(100)에 장착 설치됨은, 실제 도어트림(D)이 차체 패널 등에 장착된 구조와 유사한 체결 방식인 점에서 시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즉, 종래 일반적인 측면 충돌 시험의 경우, 도어트림(D)은 스크류 등을 통해 시험 장치에 설치되게 되는바, 실제 도어트림(D)의 조립 구조와는 상이한 조건에서 시험이 수행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실차 적용시와 상이한 조건으로 인한 시험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의 경우, 실차 적용시와 유사하게 패스너(F)를 통해 도어트림(D)이 장착 설치되는바, 시험 정확도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door trim D is mounted o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트림(D)의 설치가 완료되면, 중량물이나 부하자(load)를 일정속도로 도어트림(D)에 충돌시키고 파단면의 유무나 형상 등을 관찰하여 측면 충돌 결과 등을 예측 시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door trim D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 heavy load or a load is collided with the door trim D at a constant speed, Predictive test.
이상에서 설명한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이동브라켓(130)을 마련하고, 도어트림(D)이 패스너(F)를 통해 이동브라켓(130)에 장착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도어트림(D)의 조립 구조와 좀 더 유사한 조건에서 충돌 시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도어트림(D)의 측면 충돌 단품 시험시 시험 정확도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가이드홀(121) 및 볼트체결홀(132)을 통해 이동브라켓(1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크기, 형상, 조립 구조 등이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도어트림(D) 시험에 사용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시험 수행이나 시험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110: 베이스플레이트
120: 고정블록 130: 이동브라켓
140: 볼트부재 150: 높이조절블록100: door trim side impact test device 110: base plate
120: fixed block 130: movable bracket
140: bolt member 150: height adjusting block
Claims (4)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체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홀(121)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고정블록(120);
볼트부재(140) 및 너트부재(141)에 의해 상기 각 가이드홀(121)에 체결되어 상기 각 가이드홀(12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도어트림(D)의 패스너(F)가 체결되는 장착홀(131)이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브라켓(130); 및
상기 각 이동브라켓(130)과 상기 각 고정블록(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이동브라켓(130)을 상기 각 고정블록(120)과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높이조절블록(150);을 포함하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A base plate (11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plurality of fixing blocks 120 fastened to the base plate 110 and having guide holes 12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olt member 140 and a nut member 141 so as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guide holes 121 and to fasten the fastener F of the door trim D to one side, A plurality of moving brackets 130 provided with mounting holes 131 to be fastened; And
And a height adjustment block 150 interposed between the movable brackets 130 and the fixed blocks 120 to separate the movable brackets 130 from the fixed blocks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oor trim side impact test system.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복수개의 고정홀(111)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홀(111)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전면적에 걸쳐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lat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1,
Wherein the plurality of fixing holes (111)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상기 각 이동브라켓(130)은, 상기 볼트부재(140)가 삽입 체결되는 볼트체결홀(132)을 구비하되,
상기 볼트체결홀(132)은, 상기 가이드홀(1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각 이동브라켓(130)이 상기 볼트체결홀(132)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moving bracket 130 has a bolt fastening hole 132 through which the bolt member 140 is inserted,
The bolt fastening hole 132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uide hole 121 so that each of the moving brackets 130 can move along the bolt fastening hole 132 by a predetermined amount, Side impact test equip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2103A KR101463379B1 (en) | 2013-10-14 | 2013-10-14 | Broadside collision testing device for door tri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2103A KR101463379B1 (en) | 2013-10-14 | 2013-10-14 | Broadside collision testing device for door tri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3379B1 true KR101463379B1 (en) | 2014-11-19 |
Family
ID=5229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2103A KR101463379B1 (en) | 2013-10-14 | 2013-10-14 | Broadside collision testing device for door tri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337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23769A (en) * | 2016-10-31 | 2017-01-11 | 中铁隆昌铁路器材有限公司 |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self-locking performance of track spike of spring bar fastener system |
KR102090252B1 (en) * | 2018-10-17 | 2020-03-17 | 주식회사 서연이화 | Apparatus for impact testing of center console of vehic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0039B1 (en) * | 2009-12-09 | 2010-05-31 | 김정배 | General purpose jig device for inspecting automobile components and base assembly of the same |
KR20110013021A (en) * | 2009-07-31 | 2011-02-09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Static Side Impact Tester for Door Module |
-
2013
- 2013-10-14 KR KR1020130122103A patent/KR1014633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3021A (en) * | 2009-07-31 | 2011-02-09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Static Side Impact Tester for Door Module |
KR100960039B1 (en) * | 2009-12-09 | 2010-05-31 | 김정배 | General purpose jig device for inspecting automobile components and base assembly of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23769A (en) * | 2016-10-31 | 2017-01-11 | 中铁隆昌铁路器材有限公司 |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self-locking performance of track spike of spring bar fastener system |
KR102090252B1 (en) * | 2018-10-17 | 2020-03-17 | 주식회사 서연이화 | Apparatus for impact testing of center console of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5897B1 (en) | A device for offset crash testing of a car | |
KR101856204B1 (en) | Vehicle restraining device | |
US20080252034A1 (en) | Running board bracket | |
US20120104718A1 (en) | Tubular side bar and mounting system | |
US20150291113A1 (en) | Adjustable front fascia for vehicles | |
RU141888U1 (en) | DEVICE FOR MOUNTING THE HEADLIGHT MODULE | |
JP2007523022A (en) | Elevator rail support bracket | |
KR101463379B1 (en) | Broadside collision testing device for door trim | |
JP2011026898A (en) | Sound insulating wall, soundproof panel mounting method for the same, and panel mounting member with rail | |
JP2016016924A (en) | Elevator car | |
JP2008267524A (en) | Vibration absorbing base device | |
US8840183B2 (en) | Motor vehicle rear seat | |
US9499034B1 (en) | Vehicle canopy | |
WO2016200770A1 (en) | Bracket for mounting an electronic assembly | |
JP2015519238A (en) |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driver's seat of a vehicle | |
KR100726559B1 (en) | Fixing device for instrument panel for inertia load test | |
US10150440B2 (en) | Restraints control module attachment assembly | |
KR101825398B1 (en) | Frame device for train | |
RU188515U1 (en) | The device of fastening of the automobile railing | |
KR101592533B1 (en) | Device to set up a roof box for vehicle | |
US9802636B2 (en) | Device for guiding a body and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 |
US10144360B2 (en) | Restraints control module attachment assembly | |
JP5138841B2 (en) | Cab mounting method | |
KR0157798B1 (en) | Fixing device for testing seat belt anchorage rigid structure | |
JP4201277B2 (en) | Equipment fall preven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08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