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3379B1 -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379B1
KR101463379B1 KR1020130122103A KR20130122103A KR101463379B1 KR 101463379 B1 KR101463379 B1 KR 101463379B1 KR 1020130122103 A KR1020130122103 A KR 1020130122103A KR 20130122103 A KR20130122103 A KR 20130122103A KR 101463379 B1 KR101463379 B1 KR 10146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im
base plate
side impact
present
impact t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권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3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넓이를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고정블록; 및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에 의해 각 가이드홀에 체결되어 각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도어트림의 패스너가 체결되는 장착홀이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BROADSIDE COLLISION TESTING DEVICE FOR DOOR TRIM}
본 발명은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측면충돌 단품 시험에 사용되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측면충돌이 발생된 경우, 도어트림의 파단 여부나 탑승자의 안정 여부 등을 시험 및 예측하기 위해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은, 조립 완성된 실차를 대상으로 할 경우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도어트림 단품만을 대상으로 수행되기도 하며, 단품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를 통해, 실차 시험 결과의 예측이나 추가 개선 보완 등이 이뤄지고 있다.
종래의 도어트림 단품의 측면충돌 시험은, 나무블록이 구비된 플레이트 형태의 형판을 마련하고, 나무블록에 도어트림을 고정시킨 후, 도어트림에 중량물이나 부하자를 충돌시켜 파단 여부나 파단면 등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왔다. 이때, 도어트림은 스크류 등을 나무블록에 장착되게 되는데, 이는 실제 도어트림이 차체 패널 등에 장착된 구조와는 상이한 구조인바, 시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경우, 도어트림의 임의 위치에 스크류 등을 관통 설치하여 도어트림의 외곽 플랜지 등을 나무블록에 고정시키고, 고정된 도어트림에 중량물 등을 충돌시키게 되는데, 이는 실제 도어트림이 조립되는 구조와는 차이점이 있다. 즉, 실제 차량에 조립된 도어트림의 경우, 일정 개소에 마련된 패스너(fastner)를 통해 차체 패널 등에 장착되게 되므로, 충돌 시험시 임시방편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류 등과는 체결 수단의 종류나 위치에 차이가 나게 된다. 이러한 차이는 도어트림 단품만을 대상으로 하는 측면충돌 시험시와 실차 시험시 간에 시험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넓이를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고정블록; 및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각 가이드홀에 체결되어 상기 각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도어트림의 패스너가 체결되는 장착홀이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는, 이동브라켓을 마련하고, 도어트림이 패스너를 통해 이동브라켓에 장착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도어트림의 조립 구조와 좀 더 유사한 조건에서 충돌 시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는, 도어트림의 측면 충돌 단품 시험시 시험 정확도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는, 가이드홀 및 볼트체결홀을 통해 이동브라켓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는, 크기, 형상, 조립 구조 등이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도어트림 시험에 사용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시험 수행이나 시험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브라켓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에 도어트림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100, 이하, '시험장치(100)'로 지칭함)은, 베이스플레이트(11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소정넓이를 가지는 플레이트(plate) 또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어트림이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안착 또는 배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시험에 사용되는 도어트림에 대응되거나 소정정도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다수의 고정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고정홀(111)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고정홀(111)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홀(111)에는 후술할 고정블록(120)의 고정이나 지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체결되어, 고정블록(120)이 일정한 자세나 각도로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고정블록(120)을 구비할 수 있다.
각 고정블록(12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각 고정블록(120)은 고정홀(111)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 설치되거나, 고정홀(111)에 직접 볼팅 결합되는 등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블록(120)은 대략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ㄷ'자형의 하단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접하는 리브(rib)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고정블록(120)은 도어트림을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무방하며, 상기 예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블록(12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블록(120)은 복수개가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장착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은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3개의 고정블록(120)이 장착 또는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시험을 위한 도어트림의 형태나 장착 구조 등에 따라 고정블록(120)의 개수는 증감 변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정블록(120)은 대략 도어트림의 외주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고정블록(120)은 도어트림에 마련된 패스너 체결 위치를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고정블록(120)에는 가이드홀(121)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홀(121)은 고정블록(120)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블록(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가이드홀(121)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이동브라켓(1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브라켓(130)은 도어트림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각 고정블록(120)의 가이드홀(12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브라켓(130)은 복수개가 가이드홀(121)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브라켓(130)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홀(121)에 3개 또는 4개가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이동브라켓(13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 변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이동브라켓(130)은 상호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하나의 이동브라켓(130)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브라켓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이동브라켓(130)은 가이드홀(1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동브라켓(130)의 일측 단부에는 도어트림(D)의 장착을 위한 장착홀(131)이 마련될 수 있다. 장착홀(131)에는 패스너(fastener, F)가 삽입되어 도어트림(D)을 이동브라켓(130)에 체결시키게 된다.
이동브라켓(130)의 타측에는 이동브라켓(130)을 고정블록(120) 또는 가이드홀(121)에 체결시키기 위한 볼트체결홀(132)이 마련될 수 있다. 볼트체결홀(132)은 이동브라켓(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볼트체결홀(132)은 가이드홀(1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공 형태의 볼트체결홀(132)은 가이드홀(121)과 함께 이동브라켓(130)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이동브라켓(130)을 고정블록(120) 또는 가이드홀(121)에 체결시키는 볼트부재(140) 및 너트부재(141)를 구비할 수 있다.
볼트부재(140)는 고정블록(120)의 가이드홀(121) 및 이동브라켓(130)의 볼트체결홀(132)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볼트부재(140)는 볼트머리가 가이드홀(121) 하방에 걸림 결합되도록 하부측에서 상부측을 향해 삽입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너트부재(141)는 볼트체결홀(132)로 삽입 체결된 볼트부재(140)의 상부측에 나합되어 이동브라켓(13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이동브라켓(13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개재되는 높이조절블록(150)을 구비할 수 있다.
높이조절블록(150)은 상하방향으로 소정높이를 가지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는 볼트부재(14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15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블록(150)은 상부면이 이동브라켓(130)의 하부면에 접하고, 하부면에 고정블록(12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이동브라켓(13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블록(150)은 이동브라켓(130)을 고정블록(12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키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의 사용 및 작동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가 도 1과 같은 상태로 바닥면 등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어트림(D)이 시험장치(100)에 적절히 장착될 수 있도록 이동브라켓(130)을 소정정도 이동시키거나 위치 조정하게 된다. 즉, 각 이동브라켓(130)은 도어트림(D)의 각 패스너(F) 체결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 조정되게 된다.
이동브라켓(130)의 위치 조정은 고정블록(120)에 형성된 가이드홀(121)이나,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볼트체결홀(132)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즉,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각 이동브라켓(130)은 너트부재(141)가 소정정도 풀린 상태에서 가이드홀(121)을 따라 이동되어 도어트림(D)의 각 패스너(F) 체결 위치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이동브라켓(130)은 볼트체결홀(132)을 따라 이동되어 도어트림(D)을 향해 전후방향으로도 위치 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이동브라켓(130)의 위치가 조정되면, 작업자는 너트부재(141)를 다시 조여 이동브라켓(130)을 고정시키고 도어트림(D)을 시험장치(100)에 장착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도어트림(D)의 장착은 각 이동브라켓(130)의 위치 조정과 함께 수행되거나, 도어트림(D)의 배치 후 각 이동브라켓(130)의 위치를 일부 수정하는 등의 방식으로도 이뤄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에 도어트림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어트림(D)은 각 패스너(F)를 통해 시험장치(100)에 장착 설치되게 된다. 즉, 도어트림(D)은 패스너(F)가 이동브라켓(130)의 장착홀(131)에 체결되어 시험장치(100)에 장착 설치될 수 있다 (도 3 참고).
상기와 같이 도어트림(D)이 패스너(F)를 통해 시험장치(100)에 장착 설치됨은, 실제 도어트림(D)이 차체 패널 등에 장착된 구조와 유사한 체결 방식인 점에서 시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즉, 종래 일반적인 측면 충돌 시험의 경우, 도어트림(D)은 스크류 등을 통해 시험 장치에 설치되게 되는바, 실제 도어트림(D)의 조립 구조와는 상이한 조건에서 시험이 수행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실차 적용시와 상이한 조건으로 인한 시험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의 경우, 실차 적용시와 유사하게 패스너(F)를 통해 도어트림(D)이 장착 설치되는바, 시험 정확도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트림(D)의 설치가 완료되면, 중량물이나 부하자(load)를 일정속도로 도어트림(D)에 충돌시키고 파단면의 유무나 형상 등을 관찰하여 측면 충돌 결과 등을 예측 시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이동브라켓(130)을 마련하고, 도어트림(D)이 패스너(F)를 통해 이동브라켓(130)에 장착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도어트림(D)의 조립 구조와 좀 더 유사한 조건에서 충돌 시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도어트림(D)의 측면 충돌 단품 시험시 시험 정확도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가이드홀(121) 및 볼트체결홀(132)을 통해 이동브라켓(1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100)는 크기, 형상, 조립 구조 등이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도어트림(D) 시험에 사용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시험 수행이나 시험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110: 베이스플레이트
120: 고정블록 130: 이동브라켓
140: 볼트부재 150: 높이조절블록

Claims (4)

  1. 소정넓이를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체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홀(121)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고정블록(120);
    볼트부재(140) 및 너트부재(141)에 의해 상기 각 가이드홀(121)에 체결되어 상기 각 가이드홀(12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도어트림(D)의 패스너(F)가 체결되는 장착홀(131)이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브라켓(130); 및
    상기 각 이동브라켓(130)과 상기 각 고정블록(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이동브라켓(130)을 상기 각 고정블록(120)과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높이조절블록(150);을 포함하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복수개의 고정홀(111)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홀(111)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전면적에 걸쳐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브라켓(130)은, 상기 볼트부재(140)가 삽입 체결되는 볼트체결홀(132)을 구비하되,
    상기 볼트체결홀(132)은, 상기 가이드홀(1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각 이동브라켓(130)이 상기 볼트체결홀(132)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4. 삭제
KR1020130122103A 2013-10-14 2013-10-14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6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103A KR101463379B1 (ko) 2013-10-14 2013-10-14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103A KR101463379B1 (ko) 2013-10-14 2013-10-14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379B1 true KR101463379B1 (ko) 2014-11-19

Family

ID=5229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10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3379B1 (ko) 2013-10-14 2013-10-14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3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3769A (zh) * 2016-10-31 2017-01-11 中铁隆昌铁路器材有限公司 弹条扣件系统道钉自锁性能试验装置及方法
KR102090252B1 (ko) * 2018-10-17 2020-03-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센터 콘솔 내부격실문 단품충격시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39B1 (ko) * 2009-12-09 2010-05-31 김정배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 및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의 베이스 어셈블리
KR20110013021A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도어모듈용 정적 사이드 임팩트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021A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도어모듈용 정적 사이드 임팩트 시험장치
KR100960039B1 (ko) * 2009-12-09 2010-05-31 김정배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 및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의 베이스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3769A (zh) * 2016-10-31 2017-01-11 中铁隆昌铁路器材有限公司 弹条扣件系统道钉自锁性能试验装置及方法
KR102090252B1 (ko) * 2018-10-17 2020-03-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센터 콘솔 내부격실문 단품충격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204B1 (ko) 차량 구속 장치
US20080252034A1 (en) Running board bracket
US9283907B2 (en) Adjustable front fascia for vehicles
JP4531775B2 (ja) エレベータレール支持ブラケット
RU14188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модуля фары
KR101463379B1 (ko) 도어트림 측면충돌 시험장치
JP2008267524A (ja) 防振台装置
JP6030152B2 (ja) 車両の運転席を設置するための構造
US8840183B2 (en) Motor vehicle rear seat
US9499034B1 (en) Vehicle canopy
JP4800858B2 (ja) トンネルの覆工に板状体を固定する固定具
WO2016200770A1 (en) Bracket for mounting an electronic assembly
KR100726559B1 (ko) 관성하중 시험용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고정장치
US10150440B2 (en) Restraints control module attachment assembly
KR101825398B1 (ko) 철도차량용 프레임장치
RU188515U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рейлинга
US10017079B2 (en) Seat attachment structure in a motor vehicle
KR101592533B1 (ko) 차량용 루프박스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JP5138841B2 (ja) キャブ取付方法
KR200474369Y1 (ko) 도어트림 고정장치
US10144360B2 (en) Restraints control module attachment assembly
CN202066663U (zh) 用于汽车尾门跌落试验台的可调节缓冲装置
KR0157798B1 (ko) 시트밸브 앵커리지 강성구조 시험용 고정장치
JP4201277B2 (ja) 機器の転倒防止装置
JP4482496B2 (ja) シート締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8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