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147B1 - 서브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서브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2147B1 KR101462147B1 KR20130114746A KR20130114746A KR101462147B1 KR 101462147 B1 KR101462147 B1 KR 101462147B1 KR 20130114746 A KR20130114746 A KR 20130114746A KR 20130114746 A KR20130114746 A KR 20130114746A KR 101462147 B1 KR101462147 B1 KR 101462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electrode line
- pattern
- layer
- 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메쉬 전극 패턴을 형성한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은,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는 제1 레이어층 준비 단계; 상기 제1 레이어층의 일면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제1 레이어층의 일면에 사선 방향의 금속선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1전극 라인과 동일면에 금속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라인과 교차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전극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이 교차하는 교차지점에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라인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단절영역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전극 라인은 상기 단절영역 사이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전극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전극 라인은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라인에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임.-
상기 단절영역을 지나는 전극 라인의 상부를 절연하는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 패턴의 상부로 상기 단절영역을 연결하는 접속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패턴을 이용하여 터치 전극을 형성하는 터치스크린의 측면 절단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패턴의 제1, 2 전극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패턴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라인과 서브 전극 라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형 접속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절연패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패턴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101, 160: 제1, 2 레이어층
110, 120: 전극 라인
130, 130a, 150: 절연패턴
301, 311, 302, 312, 303, 313, 304, 314: 서브 전극 라인
140: 접속 패턴
Claims (15)
-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는 제1 레이어층 준비 단계;
상기 제1 레이어층의 일면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제1 레이어층의 일면에 사선 방향의 금속선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1전극 라인과 동일면에 금속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라인과 교차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전극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이 교차하는 교차지점에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라인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단절영역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전극 라인은 상기 단절영역 사이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전극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전극 라인은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라인에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임.-
상기 단절영역을 지나는 전극 라인의 상부를 절연하는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 패턴의 상부로 상기 단절영역을 연결하는 접속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는 제2 레이어층 준비 단계;
상기 제2 레이어층의 일면에 브릿지형 접속 패턴을 형성하는 접속패턴 형성 단계;
상기 브릿지형 접속 패턴 상측에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절연패턴 형성 단계;
상기 절연 패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브릿지형 접속 패턴이 접속되도록 상기 브릿지형 접속 패턴의 상측으로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전극패턴 형성 단계;
-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절연성 투명 레이어의 일면에 사선 방향의 금속선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라인과 동일면에 금속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교차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전극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전극 라인이 교차하는 교차지점에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라인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단절영역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 라인은 상기 단절영역 사이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전극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전극 라인은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라인에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임.-
상기 전극 패턴 상부 전체를 덮는 제1 레이어층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층은 유리 및 PET, 투명 Film, 투명 아크릴, 투명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투명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층은 유리, PET, Film, 아크릴,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불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패턴은 광학 투명 양면테이프(OCA: Optically Clear Adhesive)로 형성되거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I(Polymide), 아크릴(Acryl), 폴리카보네이트(PC),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즈(TAC), 폴리메틸메타크 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설폰(PES),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또는 글라스(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투명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에 의해 구획되어 세로로 마주보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전극 라인은 상기 제1 전극 라인에 접속되고 제2 전극 라인은 단절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에 의해 구획되어 가로로 마주보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전극 라인은 상기 제2 전극 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전극 라인은 단절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라인과 제2 전극 라인의 교차점을 세로방향으로 이은 가상의 축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측 외곽 라인과 직각을 이루게 되는 선상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각도는 좌 또는 우측으로 20도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패턴의 길이는 상기 서브 전극 라인의 격자 폭의 2배보다는 길고 4배보다는 작은 범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극 라인의 두께는 0.05um ~ 10um이며, 상기 서브 전극 라인의 폭은 0.5um ~ 10um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극 라인은 100um ~ 2000um 간격으로 반복 형성되는 격자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두께가 0.5 um ~ 2 um이고, 폭이 1um ~ 100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단절영역 사이를 지나는 전극 라인의 길이 방향으로 평탄하게 도포되는 절연 패턴, 원 또는 타원모양으로 도포되는 절연패턴, 중심부가 솟아있는 아치 형태로 도포되는 절연패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접속패턴과 상기 제1 레이어층 사이에 배치되는 비전도성 필름층이나 투명 절연 물질(clear insulation)로 형성되며,
상기 접속 패턴은 상기 비전도성 필름층이나 투명 절연 물질(clear insulation)에 형성되는 비아(via) 홈을 통하여 상기 단절된 전극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전극 라인의 일측 및 타측 종단에는 상기 비아(via) 홈보다는 면적이 작고, 상기 제2 전극 라인의 두께보다는 상기 절연 패턴에 해당하는 두께 이상만큼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전극 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4746A KR101462147B1 (ko) | 2013-09-26 | 2013-09-26 | 서브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4746A KR101462147B1 (ko) | 2013-09-26 | 2013-09-26 | 서브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2147B1 true KR101462147B1 (ko) | 2014-11-14 |
Family
ID=5229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4746A Active KR101462147B1 (ko) | 2013-09-26 | 2013-09-26 | 서브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214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4611B1 (ko) * | 2015-03-25 | 2015-08-17 | 에스맥 (주)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70031963A (ko) | 2015-09-14 | 2017-03-22 | 루미마이크로 주식회사 | 네트패턴을 갖는 led 투명전광판 배선구조 |
KR20170031932A (ko) | 2015-09-14 | 2017-03-22 | 루미마이크로 주식회사 | 네트패턴을 갖는 메쉬형 전극배선 및 이를 포함하는 led 투명전광판 |
CN113391721A (zh) * | 2021-05-21 | 2021-09-14 |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 柔性触摸屏、触控显示装置及柔性触摸屏的制作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77894A (ja) * | 1994-09-02 | 1996-03-22 | Toupure Kk | タッチ位置検出装置 |
JP2009009574A (ja) | 2007-06-28 | 2009-01-15 | Sense Pad Tech Co Ltd | 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 |
KR20120017165A (ko) * | 2010-08-18 | 2012-02-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101283657B1 (ko) | 2012-01-27 | 2013-07-08 | 주식회사 애트랩 | 단일 층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
-
2013
- 2013-09-26 KR KR20130114746A patent/KR10146214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77894A (ja) * | 1994-09-02 | 1996-03-22 | Toupure Kk | タッチ位置検出装置 |
JP2009009574A (ja) | 2007-06-28 | 2009-01-15 | Sense Pad Tech Co Ltd | 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 |
KR20120017165A (ko) * | 2010-08-18 | 2012-02-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101283657B1 (ko) | 2012-01-27 | 2013-07-08 | 주식회사 애트랩 | 단일 층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4611B1 (ko) * | 2015-03-25 | 2015-08-17 | 에스맥 (주)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70031963A (ko) | 2015-09-14 | 2017-03-22 | 루미마이크로 주식회사 | 네트패턴을 갖는 led 투명전광판 배선구조 |
KR20170031932A (ko) | 2015-09-14 | 2017-03-22 | 루미마이크로 주식회사 | 네트패턴을 갖는 메쉬형 전극배선 및 이를 포함하는 led 투명전광판 |
CN113391721A (zh) * | 2021-05-21 | 2021-09-14 |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 柔性触摸屏、触控显示装置及柔性触摸屏的制作方法 |
CN113391721B (zh) * | 2021-05-21 | 2023-07-25 |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 柔性触摸屏、触控显示装置及柔性触摸屏的制作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5195B1 (ko) |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 |
KR101530794B1 (ko) | 3d 터치 제어 액정 렌즈 격자, 그 제조 방법, 및 3d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 |
JP5512734B2 (ja) |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の導電模様構造 | |
US9857923B2 (en) | Touch panel including an elastic intermediate layer | |
TWI559197B (zh) | 觸控螢幕面板及其製造方法 | |
CN101782820B (zh) | 触摸屏面板 | |
CN104662504B (zh) | 触摸面板及其制造方法 | |
JP5882962B2 (ja) | 入力装置 | |
KR20140003476U (ko) | 터치 패널 | |
KR102325188B1 (ko) | 터치 센서 장치 | |
JP5877864B2 (ja) |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の導電模様構造 | |
KR101240967B1 (ko) |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018900A (ko) | 적층 구조체 및 터치 패널 모듈 | |
US9092106B2 (en) | Touch panel | |
CN104238795A (zh) | 透明触控面板 | |
KR101462147B1 (ko) | 서브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
TW201541322A (zh) | 電容式觸控裝置 | |
KR102281616B1 (ko)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 |
KR102685973B1 (ko) |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101219597B1 (ko) |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JP6568537B2 (ja) |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 |
US9323094B2 (en) | Touch panel | |
KR20140078881A (ko) | 결정질 ito와 비정질 ito를 사용하는 터치패널 | |
KR20140016623A (ko) |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형성방법 | |
TW201405637A (zh) | 觸控單元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