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657B1 - 단일 층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단일 층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3657B1 KR101283657B1 KR1020120008613A KR20120008613A KR101283657B1 KR 101283657 B1 KR101283657 B1 KR 101283657B1 KR 1020120008613 A KR1020120008613 A KR 1020120008613A KR 20120008613 A KR20120008613 A KR 20120008613A KR 101283657 B1 KR101283657 B1 KR 1012836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touch pad
- distributed
- channel
- pad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로서, 상기 복수의 터치 패드 중 복수의 분산 터치 패드가 연결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각각의 채널 터치 패드를 형성하고, 각각의 채널 터치 패드는 각각의 채널 배선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고, 각각의 채널 터치 패드는 상기 분산 터치 패드가 점유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분산 터치 패드가 점유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채널 터치 패드의 제2 영역은 주변의 채널 터치 패드의 제1 영역과 중첩되고, 배선들 간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도 1b는 터치 패드가 종래의 다이아몬드 패턴으로 2층으로 또는 브리지를 갖는 1층으로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터치 패드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터치 패드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배열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부분 확대도이다.
1*1 스퀘어형 | 3*3 분산형 | 5*5 분산형 | 7*7 분산형 | |
최소 감지 가능 터치 에어리어(area)를 정의할 수 있는 피스의 수 | 1 | 2*2 | 3*3 | 4*4 |
84채널을 가진 최대 스크린 사이즈 | 3.5 inch | 3.5*(3/2)= 5.25 inch | 3.5*(5/3)= 5.83 inch | 3.5*(7/4)= 6.12 inch |
최소 감지가능한 에어리어(area) | 100% | 67% | 60% | 57% |
214-1, 314-1 : 제1 연결 배선 214-2, 314-2 : 제2 연결 배선
216, 316 : 제2 영역
402 : 채널 배선
Claims (11)
-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로서,
상기 복수의 터치 패드 중 복수의 분산 터치 패드가 연결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각각의 채널 터치 패드를 형성하고,
각각의 채널 터치 패드는 각각의 채널 배선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고,
각각의 채널 터치 패드는 상기 분산 터치 패드가 점유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분산 터치 패드가 점유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채널 터치 패드의 제2 영역은 주변의 채널 터치 패드의 제1 영역과 중첩되고,
배선들 간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패널 중앙부에 위치하는 채널 터치 패드의 분산 터치 패드는 m*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여기서, m,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패드는,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가로 방향으로 x개 씩, 세로 방향으로 y개 씩 총 x*y개의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m*n 매트릭스 형태는 대각선 방향의 기울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여기서, x, y는 m, n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x는 m의 정수배이고, 상기 y는 n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과 n은 동일한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m과 n은 3 또는 5 또는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6 항에 있어서,
패널 중앙부의 채널 터치 패드는,
하나의 중심 분산 터치 패드와, 상기 중심 분산 터치 패드를 마름모 형태로 둘러싸는 주변 분산 터치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분산 터치 패드는,
(m-1)/2 개의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고,
m이 3인 경우,
제1 마름모 형태는, 상기 중심 분산 터치 패드로부터 가로방향 좌우로, 세로방향 상하로 하나의 터치 패드를 건너뛰어 위치하는 4개의 꼭지점 터치 패드와, 각 꼭지점 터치 패드 간을 잇는 선분 상에 위치하는 4개의 선분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m이 5인 경우,
제1 마름모 형태는, 상기 중심 분산 터치 패드로부터 가로방향 좌우로, 세로방향 상하로 하나의 터치 패드를 건너뛰어 위치하는 4개의 꼭지점 터치 패드와, 각 꼭지점 터치 패드 간을 잇는 선분 상에 위치하는 4개의 선분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제2 마름모 형태는, 상기 제1 마름모 형태를 둘러싸고, 상기 중심 분산 터치 패드로부터 가로방향 좌우로, 세로방향 상하로 세 개의 터치 패드를 건너뛰어 위치하는 4개의 꼭지점 터치 패드와, 각 꼭지점 터치 패드 간을 잇는 선분 상에 위치하는 12개의 선분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m이 7인 경우,
제1 마름모 형태는, 상기 중심 분산 터치 패드로부터 가로방향 좌우로, 세로방향 상하로 하나의 터치 패드를 건너뛰어 위치하는 4개의 꼭지점 터치 패드와, 각 꼭지점 터치 패드 간을 잇는 선분 상에 위치하는 4개의 선분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제2 마름모 형태는, 상기 제1 마름모 형태를 둘러싸고, 상기 중심 분산 터치 패드로부터 가로방향 좌우로, 세로방향 상하로 세 개의 터치 패드를 건너뛰어 위치하는 4개의 꼭지점 터치 패드와, 각 꼭지점 터치 패드 간을 잇는 선분 상에 위치하는 12개의 선분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제3 마름모 형태는, 상기 제2 마름모 형태를 둘러싸고, 상기 중심 분산 터치 패드로부터 가로방향 좌우로, 세로방향 상하로 다섯 개의 터치 패드를 건너뛰어 위치하는 4개의 꼭지점 터치 패드와, 각 꼭지점 터치 패드 간을 잇는 선분 상에 위치하는 20개의 선분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선은,
기울어진 m*n 매트릭스 형태에서 중간 열에 위치하는 분산 터치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배선과, 각 행에 위치하는 분산 터치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터치 패드는,
상기 제1 연결 배선과 상기 제2 연결 배선 중 중간 행에 위치하는 분산 터치 패드들을 연결하는 연결 배선에 의해 4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 영역의 각각의 제2 영역에는 서로 다른 채널 터치 패드의 분산 터치 패드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패널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채널 터치 패드는,
네 개의 제2 영역으로 나뉘고, 각 제2 영역에는 서로 다른 채널 터치 패드의 제1 영역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613A KR101283657B1 (ko) | 2012-01-27 | 2012-01-27 | 단일 층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
PCT/KR2013/000569 WO2013111974A1 (ko) | 2012-01-27 | 2013-01-24 | 단일 층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
TW102102661A TW201335827A (zh) | 2012-01-27 | 2013-01-24 | 一單層電容性觸控螢幕面板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613A KR101283657B1 (ko) | 2012-01-27 | 2012-01-27 | 단일 층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3657B1 true KR101283657B1 (ko) | 2013-07-08 |
Family
ID=4887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86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3657B1 (ko) | 2012-01-27 | 2012-01-27 | 단일 층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3657B1 (ko) |
TW (1) | TW201335827A (ko) |
WO (1) | WO201311197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2147B1 (ko) | 2013-09-26 | 2014-11-14 | 양희봉 | 서브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5400A (ko) * | 2009-02-20 | 2010-08-30 | 아크로센스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 용량성 터치 패널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28306B (en) * | 2005-07-08 | 2007-09-26 | Harald Philipp | Two-dimensional capacitive position sensor |
US8633915B2 (en) * | 2007-10-04 | 2014-01-21 | Apple Inc. | Single-layer touch-sensitive display |
TW201039217A (en) * | 2009-04-17 | 2010-11-01 | Chunghwa Picture Tubes Ltd | Sensor structure of touch panel and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signal generating by sensor structure of touch panel |
-
2012
- 2012-01-27 KR KR1020120008613A patent/KR10128365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1-24 WO PCT/KR2013/000569 patent/WO201311197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1-24 TW TW102102661A patent/TW201335827A/zh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5400A (ko) * | 2009-02-20 | 2010-08-30 | 아크로센스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 용량성 터치 패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2147B1 (ko) | 2013-09-26 | 2014-11-14 | 양희봉 | 서브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335827A (zh) | 2013-09-01 |
WO2013111974A1 (ko) | 2013-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189265B (zh) | 一种可拉伸面板和柔性显示装置 | |
JP4945483B2 (ja) | 表示パネル | |
KR102430886B1 (ko) |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 |
WO2015159590A1 (ja) |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
KR102419066B1 (ko) |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 |
WO2016056516A1 (ja) | 表示装置 | |
CN104834416A (zh) | 电容式触控面板 | |
JP3185436U (ja) | タッチ電極装置 | |
WO2014021168A1 (ja) | タッチパネル基板および表示装置 | |
JP6494287B2 (ja) |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WO2013140859A1 (ja) | 電極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表示装置 | |
JP6932613B2 (ja) |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 |
KR101202552B1 (ko) |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개량된 접촉 위치 감지 패널 | |
JP5813836B1 (ja) |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 |
JP6559552B2 (ja) | 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 |
US8629853B2 (en) | Touch panel and the touch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WO2014021226A1 (ja) | タッチパネル基板及び表示装置 | |
JP2019008606A (ja) |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 |
WO2014077315A1 (ja) | タッチパネル基板、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 |
KR101283657B1 (ko) | 단일 층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 | |
JP6740095B2 (ja) |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 |
JP2016212518A (ja) | 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 |
JP6355623B2 (ja) | 非対称ブリッジパターンを備えた投射型の容量形タッチセンサ | |
JP2016126730A (ja) |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 |
JP6504456B2 (ja) |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