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2558B1 - 복합 체험 시설물 - Google Patents

복합 체험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558B1
KR101442558B1 KR1020140053982A KR20140053982A KR101442558B1 KR 101442558 B1 KR101442558 B1 KR 101442558B1 KR 1020140053982 A KR1020140053982 A KR 1020140053982A KR 20140053982 A KR20140053982 A KR 20140053982A KR 101442558 B1 KR101442558 B1 KR 101442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vertical
vertical support
fixed
pilla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웹
Priority to KR102014005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5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수직지지기둥(110)과, 양측 단부 각각이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에 결합되는 수평지지기둥(130)과, 상호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 사이에 설치되는 로프(150)와, 로프에 장착되는 모험기구(170)와, 상측에는 제1고정프레임(122)이 마련되어 일측의 수직지지기둥(110)들 상부에 설치되 제1데크(120)와, 타측의 수직지지기둥(110)들 상부에 설치되는 제2데크(140)와, 지면으로부터 제1데크(120)까지 연장되는 제1계단(160)과, 지면으로부터 제2데크(140)까지 연장되는 제2계단(180)과, 일단 부위는 제2데크(140) 상측에 마련되는 제2고정프레임(142)에 고정결합되며 타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되는 하강봉(146)을 포함하는 복합 체험기구(10)와; 일정넓이를 가지는 착지판(22)과, 착지판(22)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3고정프레임(24)을 포함하여 상기 복합 체험기구(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제3데크(20)와; 일단 부위는 제1데크(120)의 제1고정프레임(122)에 연결되고, 연장되는 타단 부위는 제3데크(20)의 제3고정프레임(24)을 매개로 지면에 고정되는 활강와이어(30)와; 상기 활강와이어(30)를 따라 하방으로 활주하는 짚 라이더(40)로; 이루어지는 복합 체험 시설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체험 시설물{A mixed experience equipment}
본 발명은 복합 체험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설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의 시공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짚라이더 및 하강봉과 같이 독특한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모험기구가 구비되어 어린이는 물론 성인의 모험심을 자극할 수 있는 복합 체험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놀이시설물로 가장 보편적인 것이 그네, 미끄럼틀 등과 같은 개별 놀이기구나, 이들 각각을 적절하게 조합한 놀이기구이다. 하지만, 이들은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을 위한 단순한 유희기구로서 그 구성이 너무 단조로워 어린이들이 싫증을 쉽게 느끼는 등 놀이시설물로는 부족한 점이 많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를 곳곳에 배치하고 이들 각각을 계단 또는 출렁다리, 사다리 등으로 연결하여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장소 이동이 가능한 구조의 복합 놀이시설물이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일례가 도 8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조의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실1989-0000129호이다.
이러한 구조의 놀이시설물은 놀이 과정에서 어린이들이 다양한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배우기 힘든 끈기와 인내, 질서의식은 물론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키울 수가 있게 된다. 하지만, 이들 놀이시설물을 구성하는 놀이기구들은 종래 놀이기구로 널리 사용되어 왔던 것들을 단순히 조합한 것이라는 점에서 어린이들이 자주 접하게 되면 더 이상 흥미를 유발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어린이들의 연령대가 높을 수록 증가한다. 더욱이, 종래 알려진 놀이시설물 대부분은 그 자체가 어린이들을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성인들은 이용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한편, 놀이시설물에 있어 주된 하중은 지지기둥에 집중되며, 놀이시설물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실1989-0000129호와 같이 복합적인 놀이기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지지기둥에 더욱 큰 하중이 집중된다. 지지기둥이 놀이시설물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지탱하지 못하면 자칫 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놀이시설물을 설치할 때 기지기둥은 매우 신중하게 튼튼하게 시공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종래 놀이시설물의 지지기둥 대부분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단일의 철재파이프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럴 경우 놀이시설물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복합 놀이시설물과 같이 그 높이가 상당한 경우에는 단일의 철재파이프를 사용할 수 없어 일정길이를 가지는 단위 철재파이프의 인접부위를 용접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용접방식은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일단 용접작업이 완료되면 더 이상 지지기둥에 대한 구조변경 자체가 곤란하여 그대로 시공을 이어가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용접방식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 중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66365호가 있다. 이 기술은 도 9와 같이, 인접하는 지지기둥의 각 단부부위를 클램프 및 보조클램프로서 가압하여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조립방식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단위 지지기둥을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공기간이 단축됨은 물론 시공작업 자체가 보다 편리해진다.
하지만, 이 기술 역시 지지기둥을 순차적으로 조립연결을 완결한 상태에서 별도의 수평지지봉을 부가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조립연결이 완결된 지지기둥에 놀이기구 장착을 위한 로프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당초 의도한 지점에 지지기둥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또는 지면에 고정설치된 지지기둥들의 높이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조립연결이 완료된 지지기둥을 해체하고 다시 조립작업을 실시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체 시공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폐해가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실1989-000012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66365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들과 성인들 모두에게 적극적인 모험심을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시설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기둥에 대한 시공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복합 체험 시설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에는 수직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디디판(115)이 마련되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단부위가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지지기둥(110)과, 양측 단부 각각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의 각 내측 부위에 결합되는 수평지지기둥(130)과, 상기 수평지지기둥(130)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되 양측 단부 각각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의 각 내측 부위에 결합되는 제1로프(152)와, 상기 수직지지기둥(110)과 제1로프(152) 사이에 설치되되 양측 단부 각각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의 각 내측 부위에 결합되는 제2로프(156)와, 상기 제2로프(156)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단부위에 마련되는 안전고리(158)가 제2로프(156)에 착탈방식으로 연결되는 안전조끼(157)와, 일단부위가 상기 제1로프(152)에 고정결합되는 복수개의 모험기구(170)와, 일정넓이를 가지며 일측의 수직지지기둥(110)들 상부에 설치되되 상측에는 제1고정프레임(122)이 마련되는 제1데크(120)와, 일정넓이를 가지며 제1데크(120)와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의 수직지지기둥(110)들 상부에 설치되는 제2데크(140)와, 일정 고도차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제1데크(120)까지 연장되는 제1계단(160)과, 일정 고도차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제2데크(140)까지 연장되는 제2계단(180)과, 일정길이를 가지되 일단 부위는 제2데크(140) 상측에 마련되는 제2고정프레임(142)에 고정결합되며 타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되는 하강봉(146)을 포함하는 복합 체험기구(10)와; 일정넓이를 가지는 착지판(22)과, 착지판(22)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3고정프레임(24)을 포함하여 상기 복합 체험기구(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제3데크(20)와; 일단 부위는 제1데크(120)의 제1고정프레임(122)에 연결되고, 연장되는 타단 부위는 제3데크(20)의 제3고정프레임(24)을 매개로 지면에 고정되는 활강와이어(30)와; 상기 활강와이어(30)를 따라 하방으로 활주하는 짚 라이더(4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수직지지기둥(110)은 지면에 일단부위가 고정설치되는 고정수직지지기둥(112)과, 고정수직지지기둥(112) 상부에 연속하여 체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수직지지기둥(116)으로 이루어지되; 고정수직지지기둥(112)의 타단부위에는 체결단(113)이 마련되며; 연결수직지지기둥(112)의 일단부위에는 볼트에 의해 체결단(113)과 결합되는 결합단(117)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117)에는 수직하게 돌출되어 고정수직지지기둥(112)의 타단부위 또는 인접하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의 타단부위에 관통삽입되는 삽입단(118)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직지지기둥(112) 또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일측부위가 고정수직지지기둥(112) 또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의 외면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제1홈(213)이 형성되어 연장되는 타측부위에 제1절곡부(214)가 구비되는 제1수직연장단(212)이 마련되며; 상기 수평지지기둥(130)에는, 일측부위가 수평지지기둥(130)의 양측 단부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홈(213)에 교차삽입되는 제2홈(233)이 형성되어 연장되는 타측부위에 제2절곡부(234)가 구비되는 제2수직연장단(232)이 마련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체험기구(10)에는, 수직높이를 달리하며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에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데크(190)가 마련되며, 상기 제1, 2계단(160, 180) 각각은 이동데크(190)를 거쳐 상기 제1, 2데크(120, 14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놀이시설물에 통상적인 모험기구를 적절히 배치함은 물론, 짚 라이더와 하강봉과 같은 색다른 모험기구를 부가 설치함으로써, 종래 놀이시설물과 달리 이용하는 어린이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모험심 및 진취적인 자세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해주고, 나아가 성인들도 함께 이용하면서 즐거움과 체험을 만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기둥을 한번에 조립 체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직지지기둥을 연결 시공함에 있어서는 삽입단이라는 예비 체결수단을 마련하고, 수직지지기둥과 수평지지기둥 상호간을 연결 시공함에 있어서는 제1홈 및 제2홈이라는 예비 체결수단을 마련하여, 지지기둥의 시공작업 자체에 대한 예비적인 판단을 가능케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현장 시공과정에서 지지기둥에 대한 작업이 잘못되어 기 설치된 지지기둥을 모두 해체하여 재 시공하는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험 시설물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험 시설물에 있어 복합 체험기구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험기구에 있어 로프 및 모험기구의 개략적인 연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험 시설물에 있어 제3데크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험 시설물에 있어 복합 체험기구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험 시설물에 있어 수직지지기둥 및 수평지지기둥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7a는 도 6에 있어 수직지지기둥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7b는 도 6에 있어 수직지지기둥과 수평지지기둥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8은 종래 놀이 시설물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9는 종래 놀이 시설물에 있어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험 시설물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험 시설물에 있어 복합 체험기구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험기구에 있어 로프 및 모험기구의 개략적인 연결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체험 시설물에 있어 제3데크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이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복합 체험기구(10)와, 제3데크(20)와, 활강와이어(30)와, 짚 라이더(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복합 체험기구(10)는, 수직지지기둥(110) 및 수평지지기둥(130)과, 로프(150) 및 모험기구(170)와, 하강봉(146)과, 제1데크(120) 및 제2데크(140)와, 제1계단(160) 및 제2계단(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직지지기둥(110)과 수평지지기둥(130)은 복합 모험 시설물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그 개략적인 구성이 도 6에 개시되어 있다. 수직지지기둥(11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단부위가 지면에 고정설치된다. 수평지지기둥(130)은 양측 단부 각각이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의 각 내측에 결합되어 수직지지기둥(110)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은 수직지지기둥(110)과 수평지지기둥(130)이 도 7a 및 도 7b 각각에 개시된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수직지지기둥(110)은 고정수직지지기둥(112) 및 연결수직지지기둥(112)으로 이루어져 상호 연결된다. 고정수직지지기둥(112)의 일단부위는 지면에 고정설치되며, 타단부위에는 체결단(113)이 마련된다. 연결수직지지기둥(112)의 일단부위에는 결합단(117)이 마련되며, 결합단(117)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삽입단(118)이 형성된다. 체결단(113)과 결합단(117)은 볼트에 의해 긴밀하게 결합된다. 삽입단(118)은 고정수직지지기둥(112)의 타단부위 또는 인접하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의 타단부위에 관통삽입된다. 용이한 관통삽입을 위하여, 삽입단은 도면과 같이 테이퍼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11은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이다.
한편, 고정수직지지기둥(112) 또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면 일측에는 제1수직연장단(212)이 마련된다. 제1수직연장단(212)은 일측부위가 고정수직지지기둥(112) 또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의 외면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제1홈(213)이 형성되어 연장되는 타측부위에는 제1절곡부(214)가 구비된다. 제1홈(213)은 상부에서 하방으로 일정깊이 절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수직연장단(212)은 고정수직지지기둥(112) 또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판(211)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평지지기둥(130)의 양측 단부 각각에는 제2수직연장단(232)이 마련된다. 제2수직연장단(232)은 그 일측부위가 수평지지기둥(130)의 단부에 고정결합되고, 제2홈(233)이 형성되어 연장되는 타측부위에 제2절곡부(234)가 구비된다. 제2홈(233)은 제1수직연장단(212)의 제1홈(213)에 교차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하부에서 상방으로 일정깊이 절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홈(213)과 제2홈(233)은 볼트에 의해 긴밀하게 결합된다.
수직지지기둥(110) 및 수평지지기둥(130)이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개략적인 시공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설계시방서에 맞추어 고정수직지지기둥(112)을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시킨 지면에 고정설치한다. 고정수직지지기둥(112)이 설치되면, 연결수직지지기둥(116)의 삽입단(118)을 도 7a와 같이 각 고정수직지지기둥(112)의 타단부위에 관통삽입하고, 뒤이어 필요한 수만큼의 다른 연결수직지지기둥을 순차적으로 기 설치된 연결수직지지기둥의 타단부위에 관통삽입한다.
이럴 경우, 일정길이를 가지는 각 삽입단(118)이 고정수직지지기둥(112) 및 연결수직지지기둥(116)의 각 타단부위에 관통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체결단(113)과 결합단(117)을 볼트로 결합하지 않더라도 고정수직지지기둥(112)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은 예비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수평지지기둥(130)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2수직연장단(232) 각각을 상호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 또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에 마련되는 제1수직연장단(212)에 체결한다. 제1수직연장단(212)의 제1홈(213)과 제2홈(233)은 도 7b와 같이 상호 교차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볼트로 결합하지 않더라도 수직지지기둥 또는 연결수직지지기둥과 수평지지기둥은 예비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수직지지기둥 및 연결수직지지기둥에 대한 1차 조립작업과, 수직지지기둥 또는 연결수직지지기둥과 수평지지기둥에 대한 1차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1차 조립된 전체 지지기둥이 설계시방서에 따라 의도된 구조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일부 지지기둥의 연결 등에 오류가 있으면 즉시 수정작업을 수행하고, 모든 지지기둥이 의도된 구조로 조립이 된 상태라면, 볼트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각 지지기둥을 긴밀하게 결합함으로써 지지기둥에 대한 시공을 완료한다.
즉, 본 발명은 수직지지기둥을 연결 시공함에 있어서는 삽입단이라는 예비 체결수단을 마련하고, 수직지지기둥과 수평지지기둥 상호간을 연결 시공함에 있어서는 제1홈 및 제2홈이라는 예비 체결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지지기둥의 시공작업 자체에 대한 예비적인 판단을 가능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 종래와 같이 현장 시공과정에서 지지기둥에 대한 작업이 잘못되어 기 설치된 지지기둥을 모두 해체하여 재시공하는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수직지지기둥(110)에는 수직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디딤판(115)이 마련된다. 디딤판(115)은 후술할 각종 모험기구(170)를 순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이용자들이 딛고 서있을 수 있는 공간으로서, 일정넓이를 가지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딤판의 설치위치는,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모험기구의 수직높이와, 이용자들의 평균신장 등을 감안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로프(150)는 제1, 2로프(152, 156)으로 이루어져 상호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 사이에 설치된다. 제1로프(152)는 각종 모험기구(152)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수평지지기둥(130) 하방에 위치하되 양측 단부 각각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의 각 내측 부위에 결합된다. 제2로프(156)는 이용자들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안전조끼(157)가 거치되는 수단으로서 제1로프(152) 상방(수평지지기둥과 제1로프 사이)에 위치하되, 양측 단부 각각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의 각 내측 부위에 결합된다다. 안전조끼(157)의 일단부위는 제2로프(156)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안전조끼의 일단부위에는 제2로프와 착탈방식으로 연결되는 안전고리(1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고리는 관련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사항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이용자들이 상호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 사이에 설치되는 어느 하나의 모험기구(170)를 이용할 때, 일측 수직지지기둥의 디딤판를 딛고 서서 안전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련의 모험기구(170)를 체험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한 다음, 타측 수직지지기둥의 디딤판을 딛고 서서 인접하는 다른 모험기구를 순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험기구가 지면에서 일정 수직높이를 가지는 경우에 추락사고 등과 같은 이용자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제2로프가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 사이에 고정결합되며, 안전조끼는 그 사이구간에서만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2로프는 수직지지기둥 모두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이용자들은 안전조끼를 제2로프에 연결한 상태에서 디딤판을 이어가며 여러 종류의 다양한 모험기구를 순차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모험기구(170)는 어린이들 및 성인들의 유희를 위한 것으로서, 제1로프(152)에 장착된다. 모험기구는 도면에 개시된 것과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수직지지기둥 사이에 여러 다양한 모험기구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이들을 이용할 때 안전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2로프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놀이시설물에서는 느낄 수 없는 쾌감과 성취감을 체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데크(120)는 후술할 짚 라이더(40)의 출발데크이며, 일정넓이를 가지며 일측의 수직지지기둥(110)들 상부에 설치된다. 짚 라이더가 수직높이차를 이용하는 놀이기구임을 감안하면 제1데크는 시설물 중에서 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데크 상측에는 수직지지기둥(110)에 의해 지지되는 제1고정프레임(122)이 마련된다. 제1고정프레임(122)은 후술할 와이어(30)가 고정결합되는 부분이다.
제2데크(140)는 하강봉(146)이라는 유희기구를 위한 공간으로서, 일정넓이를 가지며 제1데크(120)와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의 수직지지기둥(110)들 상부에 설치된다. 제2데크 상측에는 수직지지기둥(110)에 의해 지지되는 제2고정프레임(142)이 마련된다.
하강봉(146)은 일정길이를 가지되, 그 일단 부위는 제2고정프레임(142)에 고정결합되며 타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된다. 짚 라이더가 와이어를 따라 활강하는 유희기구임에 비해, 하강봉은 직하강하는 유희기구이다. 도면에 명시적으로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체험기구(17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용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그 이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강봉은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계단(160)은 제1데크(120)까지 이동하는 수단이며, 제2계단(180)은 제2데크(140)까지 이동하는 수단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체험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곧장 제1, 2데크(120, 140)로 이동하여 짚 라이더 또는 하강봉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직높이를 달리하며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에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데크(190)가 더 마련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제1, 2계단(160, 180) 각각은 이동데크(190)를 거쳐 제1, 2데크(120, 140) 각각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3데크(20)는 짚 라이더(40)의 도착데크로서, 복합체험기구(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지면에 고정설치된다. 제3데크(20)에는 착지판(22) 및 제3고정프레임(24)이 마련된다. 착지판(22)은 일정넓이를 가지는 평판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고정프레임(24)은 후술할 활강와이어(3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조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 프레임의 하단은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강와이어(30)은 짚 라이더의 활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수단으로서, 그 일단 부위는 제1데크(120)의 제1고정프레임(122)에 연결되고, 연장되는 타단 부위는 제3데크(20)의 제3고정프레임(24)을 매개로 지면에 고정설치된다. 활강와이어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강와이어의 구체적인 갯수는 임의 사항이다.
짚 라이더(40)는 이용자들을 태우고 활강와이어(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데크(120)로부터 제3데크(20)까지 활주하는 수단이다. 짚 라이더에는 이용자가 거치하는 안착부와, 활강와이어와 연결되는 활주부가 마련된다. 짚 라이더의 구체적인 구성은 관련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시설물에 통상적인 유희기구를 적절히 배치함은 물론, 짚 라이더와 하강봉과 같은 특별한 모험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종래 놀이시설물과 달리 어린이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모험심을 배양해주고 진취적인 자세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해줌은 물론 성인들에게도 좋은 여가 선용의 기회를 마련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복합 체험기구 20 : 제3데크
30 : 활강와이어 40 : 짚 라이더
110 : 수직지지기둥 120 : 제1데크
130 : 수평지지기둥 140 : 제2데크
146 : 하강봉 150 : 로프
160 : 제1계단 170 : 모험기구
180 : 제2계단 190 : 이동데크

Claims (4)

  1. 각각에는 수직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디디판(115)이 마련되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단부위가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지지기둥(110)과, 양측 단부 각각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의 각 내측 부위에 결합되는 수평지지기둥(130)과, 상기 수평지지기둥(130)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되 양측 단부 각각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의 각 내측 부위에 결합되는 제1로프(152)와, 상기 수직지지기둥(110)과 제1로프(152) 사이에 설치되되 양측 단부 각각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의 각 내측 부위에 결합되는 제2로프(156)와, 상기 제2로프(156)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단부위에 마련되는 안전고리(158)가 제2로프(156)에 착탈방식으로 연결되는 안전조끼(157)와, 일단부위가 상기 제1로프(152)에 고정결합되는 복수개의 모험기구(170)와, 일정넓이를 가지며 일측의 수직지지기둥(110)들 상부에 설치되되 상측에는 제1고정프레임(122)이 마련되는 제1데크(120)와, 일정넓이를 가지며 제1데크(120)와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의 수직지지기둥(110)들 상부에 설치되는 제2데크(140)와, 일정 고도차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제1데크(120)까지 연장되는 제1계단(160)과, 일정 고도차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제2데크(140)까지 연장되는 제2계단(180)과, 일정길이를 가지되 일단 부위는 제2데크(140) 상측에 마련되는 제2고정프레임(142)에 고정결합되며 타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되는 하강봉(146)을 포함하는 복합 체험기구(10)와;
    일정넓이를 가지는 착지판(22)과, 착지판(22)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3고정프레임(24)을 포함하여 상기 복합 체험기구(10)와 일정거리 떨어져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제3데크(20)와;
    일단 부위는 제1데크(120)의 제1고정프레임(122)에 연결되고, 연장되는 타단 부위는 제3데크(20)의 제3고정프레임(24)을 매개로 지면에 고정되는 활강와이어(30)와;
    상기 활강와이어(30)를 따라 하방으로 활주하는 짚 라이더(4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수직지지기둥(110)은 지면에 일단부위가 고정설치되는 고정수직지지기둥(112)과, 고정수직지지기둥(112) 상부에 연속하여 체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수직지지기둥(116)으로 이루어지되; 고정수직지지기둥(112)의 타단부위에는 체결단(113)이 마련되며; 연결수직지지기둥(112)의 일단부위에는 볼트에 의해 체결단(113)과 결합되는 결합단(117)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117)에는 수직하게 돌출되어 고정수직지지기둥(112)의 타단부위 또는 인접하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의 타단부위에 관통삽입되는 삽입단(118)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직지지기둥(112) 또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일측부위가 고정수직지지기둥(112) 또는 연결수직지지기둥(116)의 외면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제1홈(213)이 형성되어 연장되는 타측부위에 제1절곡부(214)가 구비되는 제1수직연장단(212)이 마련되며; 상기 수평지지기둥(130)에는, 일측부위가 수평지지기둥(130)의 양측 단부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홈(213)에 교차삽입되는 제2홈(233)이 형성되어 연장되는 타측부위에 제2절곡부(234)가 구비되는 제2수직연장단(23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체험 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체험기구(10)에는, 수직높이를 달리하며 인접하는 수직지지기둥(110)에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데크(190)가 마련되며, 상기 제1, 2계단(160, 180) 각각은 이동데크(190)를 거쳐 상기 제1, 2데크(120, 140) 각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체험 시설물.
  3. 삭제
  4. 삭제
KR1020140053982A 2014-05-07 2014-05-07 복합 체험 시설물 Active KR10144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982A KR101442558B1 (ko) 2014-05-07 2014-05-07 복합 체험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982A KR101442558B1 (ko) 2014-05-07 2014-05-07 복합 체험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558B1 true KR101442558B1 (ko) 2014-09-22

Family

ID=5176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982A Active KR101442558B1 (ko) 2014-05-07 2014-05-07 복합 체험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5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6523A (zh) * 2014-12-18 2015-03-25 张喆 一种多边扩展健身架及相应的综合健身组合架
KR101538402B1 (ko) * 2015-02-02 2015-07-22 주식회사 지에스웹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복층데크형 캠프시설
KR102183818B1 (ko) * 2020-06-19 2020-11-27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트랙 라이더
KR102222009B1 (ko) * 2020-08-18 2021-03-04 (주)신흥이앤지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KR102354301B1 (ko) * 2021-10-28 2022-01-24 (주)신흥이앤지 설치 자유도가 우수한 체험시설 플랫폼 구조물
KR102628792B1 (ko) 2023-11-03 2024-01-23 주식회사 지에스웹 연속 트랙 타입의 모험 시설물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모험 시설물
KR102631283B1 (ko) * 2023-11-30 2024-01-30 (주)제일체육공사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KR102684801B1 (ko) 2023-10-24 2024-07-12 어드벤처 주식회사 놀이용 복합 구조 시설물의 데크 지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287A (ja) * 2000-04-18 2001-10-26 Shimizu Corp 杭頭接合金物
KR200426581Y1 (ko) * 2006-06-30 2006-09-13 챌린지 어드벤처 코리아(주) 스카이 챌린지 타워 시설물
KR101032886B1 (ko) 2009-12-21 2011-05-06 짚라인코리아 (주)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KR101376703B1 (ko) * 2013-11-15 2014-03-20 주식회사 이엔씨에이 타워형 익스트림 레저 스포츠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287A (ja) * 2000-04-18 2001-10-26 Shimizu Corp 杭頭接合金物
KR200426581Y1 (ko) * 2006-06-30 2006-09-13 챌린지 어드벤처 코리아(주) 스카이 챌린지 타워 시설물
KR101032886B1 (ko) 2009-12-21 2011-05-06 짚라인코리아 (주)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KR101376703B1 (ko) * 2013-11-15 2014-03-20 주식회사 이엔씨에이 타워형 익스트림 레저 스포츠 구조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6523A (zh) * 2014-12-18 2015-03-25 张喆 一种多边扩展健身架及相应的综合健身组合架
KR101538402B1 (ko) * 2015-02-02 2015-07-22 주식회사 지에스웹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복층데크형 캠프시설
KR102183818B1 (ko) * 2020-06-19 2020-11-27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트랙 라이더
KR102222009B1 (ko) * 2020-08-18 2021-03-04 (주)신흥이앤지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KR102354301B1 (ko) * 2021-10-28 2022-01-24 (주)신흥이앤지 설치 자유도가 우수한 체험시설 플랫폼 구조물
KR102684801B1 (ko) 2023-10-24 2024-07-12 어드벤처 주식회사 놀이용 복합 구조 시설물의 데크 지지 장치
KR102628792B1 (ko) 2023-11-03 2024-01-23 주식회사 지에스웹 연속 트랙 타입의 모험 시설물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모험 시설물
KR102631283B1 (ko) * 2023-11-30 2024-01-30 (주)제일체육공사 부정목을 사용한 조합놀이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558B1 (ko) 복합 체험 시설물
US9421409B2 (en) Mobile frame assembly for obstacle course systems
US1765361A (en) Nursery play apparatus
KR101526279B1 (ko) 모험 시설용 발판
KR101376703B1 (ko) 타워형 익스트림 레저 스포츠 구조물
KR20220000977U (ko)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US20130190137A1 (en) Children's Playground with Trampoline
US4251069A (en) Child recreation structure
US20180296931A1 (en) Adventure Park
WO2016039752A1 (en) Versatile frame assembly for fixed and mobile obstacle courses
JP4364813B2 (ja) 猫用遊具
CN202942636U (zh) 一种多功能儿童滑梯
CN105715102A (zh) 一种体育场地用缓冲围栏
KR102222009B1 (ko)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JP2007222202A (ja) 人工壁
KR200371027Y1 (ko) 조합놀이대
KR102787202B1 (ko) 체험시설물이 구비된 전망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공원 구조
US20110201435A1 (en) Apparatus for a playground bouldering slide
KR101529125B1 (ko) 삼각구조 공법으로 지지되는 놀이시설물
KR102354301B1 (ko) 설치 자유도가 우수한 체험시설 플랫폼 구조물
KR102684801B1 (ko) 놀이용 복합 구조 시설물의 데크 지지 장치
RU39835U1 (ru) 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шестибашенный ик-18
CN217015305U (zh) 游乐场攀登架
KR102835548B1 (ko) 타이어 튜브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점핑기구
CN217119223U (zh) 一种游乐场用爬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