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2009B1 -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 Google Patents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009B1
KR102222009B1 KR1020200102969A KR20200102969A KR102222009B1 KR 102222009 B1 KR102222009 B1 KR 102222009B1 KR 1020200102969 A KR1020200102969 A KR 1020200102969A KR 20200102969 A KR20200102969 A KR 20200102969A KR 102222009 B1 KR102222009 B1 KR 102222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tree
pillars
column assembly
caterpill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해윤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지에스웹
(주)신흥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지에스웹, (주)신흥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20010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0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2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rigidly combin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마파크, 공원, 유원지, 놀이터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들에게 보다 큰 스릴과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기둥들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 형성되는 기둥집합체; 상기 기둥집합체를 중심에 두고 다단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의 플랫폼; 상기 각 플랫폼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각 기둥에 일단이 연결되고 자유단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브랜치; 상기 브랜치들의 자유단에 연결되면서 폐곡선을 이루게 되는 무한궤도; 상기 무한궤도에 연결되어 매달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놀이모듈;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용자가 낙하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는 복수의 탑승모듈;을 포함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트리형 복합모험시설{Tree-type Complex Adventure Facility}
본 발명은 테마파크, 공원, 유원지, 놀이터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들에게 보다 큰 스릴과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에 관한 기술이다.
놀이시설물은 어린이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할 뿐 아니라 놀이를 통해 모험심이나 용기를 자연스럽게 고취시킬 수 있는데, 종래 놀이시설물로 가장 보편적인 것이 그네, 미끄럼틀 등과 같은 개별 놀이기구나, 이들 각각을 적절하게 조합한 놀이기구이다. 하지만, 이러한 놀이기구들은 그 구성이 너무 단조로워 어린이들이 싫증을 쉽게 느끼는 등 놀이시설물로는 부족한 점이 많아, 도 7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를 곳곳에 배치하고 이들 각각을 계단 또는 출렁다리, 사다리 등으로 연결하여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장소 이동이 가능한 구조의 복합놀이시설물이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다양한 형태의 놀이기구들이 설치된 놀이시설물이 전국에 설치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놀이시설물은 기존의 설계 내용에 따라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차별성없게 시공되기 때문에 아이들이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는 문제점은 여전하다.
즉, 이용자들이 보다 다양한 놀이기구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어느 정도의 긴장감을 느껴 스릴을 즐길 수 있는 안전하고도 재미있는 복합놀이시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할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실1989-0000129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놀이시설에서 다양한 모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다층으로 구성되어 높이에 따른 스릴을 만끽할 수 있는 진일보한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놀이기구들이 층별로 구성되어 이용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높이에서 놀이기구들을 이용하도록 하되, 이용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은, 복수의 기둥들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 형성되는 기둥집합체; 상기 기둥집합체를 중심에 두고 다단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의 플랫폼; 상기 각 플랫폼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각 기둥에 일단이 연결되고 자유단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브랜치; 상기 브랜치들의 자유단에 연결되면서 폐곡선을 이루게 되는 무한궤도; 상기 무한궤도에 연결되어 매달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놀이모듈;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용자가 낙하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는 복수의 탑승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랫폼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탈출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은, 상기 기둥집합체 내부로 승하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이용자들이 상기 플랫폼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집합체는, 하나의 코어 기둥과, 상기 코어 기둥의 주위로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기둥은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랫폼 중 최상측 플랫폼에는 안전난간이 형성되며, 지상으로 향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가 연결되고, 상기 기둥집합체의 상단과 연결되는 지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은 독특한 외형을 통해 이용자들의 흥미를 자극할 수 있을 것이며, 독특한 구조를 통해 하나의 시설에서 다양한 놀이기구를 즐길 수 있고,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플랫폼과 각 플랫폼과 연계되는 무한궤도에 설치되는 탑승모듈을 통해 높이에 따른 스릴을 즐길 수 있어 이용자들에게 큰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종래기술의 복합놀이시설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은 하나의 시설물에 다양한 놀이기구들이 구비되어 동시에 많은 이용자들이 높이에 따른 적당한 스릴을 느끼면서 모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은 주요한 구성요소로 기둥집합체(100), 플랫폼(200), 브랜치(300), 무한궤도(4 00), 놀이모듈(500) 및 탑승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둥집합체(100)는 복수의 기둥(110)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기둥(110)들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기둥(110)들은 원형파이프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하며, 다수의 기둥(110)들이 원형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4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둥집합체(100)는 하나의 코어 기둥(110a)과 복수의 외부 기둥(11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코어 기둥(110a) 주위로 원을 이루면서 외부 기둥(110b)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결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코어 기둥(110a)은 일직선형의 기둥으로 하고, 외부 기둥(110b)들은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인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기둥집합체(100)에 다단 구조로 복수의 플랫폼(200)이 결합되게 하는데, 각 플랫폼(200)은 대략 원형 판상 형태를 이룰 수 있고, 기둥집합체(100)를 중심에 두고 다단으로 복수의 플랫폼(200)이 결합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플랫폼9200)이 순차적으로 기둥집합체에 결합되게 하는데, 설명의 편의상 하측으로부터 제1플랫폼(210), 제2플랫폼(220), 제3플랫폼(230), 제4플랫폼(240)이라 부르도록 한다.
그리고 제1플랫폼(210)이 가장 작은 크기로 하고 위로 갈수록 플랫폼(200)의 크기가 크지도록 한다. 즉, 제4플랫폼(240)이 가장 큰 크기를 갖게 된다.
한편, 플랫폼(200)의 형상은 원형 이외 다양한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기둥집합체(100)에 결합되는 다층 구조의 플랫폼(200)으로 이용자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승하강수단(600)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집합체(100)의 내부로 승하강수단(600)이 마련되어 각 플랫폼(200)으로 이용자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하강수단(600)으로 계단을 이용하도록 하지만, 승하강수단(600)은 그 외 다양한 공지수단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즉, 기둥집합체(100)의 내부 빈 공간을 활용하여 승하강수단(600)을 설치하면 된다.
각각의 플랫폼(210,220,230)으로부터 상방으로 높게 이격되게 복수의 브랜치(300)가 마련되는데, 각 브랜치(300)는 길다란 봉상부재와 같은 것일 수 있고, 브랜치(300)의 일단은 외부 기둥(110b)에 연결되고 자유단(310)은 외측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총 7개의 기둥이 사용되는데, 하나의 코어 기둥(110a)과 6개의 외부 기둥(110b)으로 이루어지는 바, 외부 기둥(110b)에 브랜치(300)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외부 기둥(110b)의 한 포인트에서 3개의 브랜치(300)가 방사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나, 브랜치(300)의 형성 갯수는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하나의 외부 기둥(110b)을 기준으로 보면 높이를 달리하면서 3단 구조로 브랜치(30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브랜치(300)의 일단은 외부 기둥(110b)에 연결되며, 자유단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면서 하향하는 형태로 외측으로 연장되게 한다.
브랜치(300)들은 3단 구조로 형성되므로 구분하여 1단브랜치(301), 2단브랜치(302), 3단브랜치(303)라 부르도록 한다.
한편, 각 단의 브랜치(300)들의 자유단(310)에 연결되는 무한궤도(400)가 구비되며, 무한궤도(400)는 폐곡선을 이루는 것으로 함이 적합하다. 하나의 무한궤도(400)는 전체적으로 골과 산이 연속되는 경로를 갖도록 하되, 산 부위가 브랜치(300)의 자유단(310)과 연결되게 함으로써 무한궤도(40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한다.
무한궤도(400)에는 다수의 놀이모듈(500)이 매달리게 설치된다. 여기서 놀이모듈(500)은 와이어에 연결되어 매달린 상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연속된 발판모듈, 연속된 타이어모듈, 연속된 블록모듈, 연속된 원반모듈 등 다양할 수 있고, 이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용자들이 다양한 모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무한궤도(400)에 연속적인 다수의 놀이기구를 매달리게 설치함에 있어서는 무한궤도(400)의 상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연속적인 연결바(410)를 결합하여 연결바(410)에 개개의 놀이기구를 매달아 설치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용자들이 안전하게 각종 놀이기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탑승모듈(미도시)이 구비된다. 탑승모듈은 기본적으로 무한궤도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이용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이용자의 신체를 잡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즉, 탑승모듈은 무한궤도의 형상이나 구조에 맞는 트롤리와 트롤리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늘어지는 안전장구로 구성될 수 있다. 트롤리에는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구름롤러들이 마련되며, 안전장구는 이용자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플랫폼(210), 제2플랫폼(220), 제3플랫폼(230)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탈출로(250)가 연결되도록 한다. 탈출로(250)는 하나의 메인탈출로(251)와 메인탈출로(251)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보조탈출로(252)로 이루어질 수 있고, 무한궤도(400)의 산 부위 주위로 연장 설치되어 놀이기구를 이용하던 이용자가 위급한 상황에 빠지거나 할 때 관리자가 이용자에게 접근하여 구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에는 총 4개의 플랫폼(200)이 형성되게 하고 있으며, 그 중 최상층의 제4플랫폼(240)은 일종의 전망대 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용자들은 제4플랫폼(240)까지 진입 가능하며, 제4플랫폼(2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안전난간(241)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4플랫폼(240)에는 지상으로 향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700)가 연결되게 하여 이용자들이 고공에서 출발하게 되는 익스트림 슬라이드를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둥집합체(100)의 상단에 지붕(800)을 연결 설치하여 햇빛과 비를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형 복합모험시설은 기둥집합체를 중심으로 하여 다층 구조로 다양한 놀이기구들이 설치되게 하여 이용자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적당한 높이에서 스릴을 즐기면서 모험심과 성취감을 키울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기둥집합체의 내외부를 활용하여 보다 집약되게 다양한 놀이기구를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이용자는 탑승모듈의 안전장구를 착용토록 함으로써 고공에서도 추락 위험없이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놀이공원, 유원지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고 모험심을 배양시킬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100 : 기둥집합체
110 : 기둥 110a : 코어 기둥
110b : 외부 기둥
200 : 플랫폼
210 : 제1플랫폼 220 : 제2플랫폼
230 : 제3플랫폼 240 : 제4플랫폼
241 : 안전난간 250 : 탈출로
251 : 메인탈출로 252 : 보조탈출로
300 : 브랜치
310 : 자유단 301 : 제1브랜치
302 : 제2브랜치 303 : 제3브랜치
400 : 무한궤도 410 : 연결바
500 : 놀이모듈 600 : 승하강수단
700 : 슬라이드 800 : 지붕

Claims (5)

  1. 복수의 기둥들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 형성되는 기둥집합체;
    상기 기둥집합체를 중심에 두고 다단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의 플랫폼;
    상기 각 플랫폼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각 기둥에 일단이 연결되고 자유단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브랜치;
    상기 브랜치들의 자유단에 연결되면서 폐곡선을 이루게 되는 무한궤도;
    상기 무한궤도에 연결되어 매달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놀이모듈;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용자가 낙하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는 복수의 탑승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기둥집합체는,
    하나의 코어 기둥과, 상기 코어 기둥의 주위로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기둥은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플랫폼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탈출로가 연결되고, 상기 기둥집합체 내부로 승하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이용자들이 상기 플랫폼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중 최상측 플랫폼에는 안전난간이 형성되며, 지상으로 향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가 연결되고, 상기 기둥집합체의 상단과 연결되는 지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KR1020200102969A 2020-08-18 2020-08-18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Active KR10222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969A KR102222009B1 (ko) 2020-08-18 2020-08-18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969A KR102222009B1 (ko) 2020-08-18 2020-08-18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009B1 true KR102222009B1 (ko) 2021-03-04

Family

ID=7517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969A Active KR102222009B1 (ko) 2020-08-18 2020-08-18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301B1 (ko) * 2021-10-28 2022-01-24 (주)신흥이앤지 설치 자유도가 우수한 체험시설 플랫폼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129A (ko) 1987-06-26 1989-03-11 이춘재 당구큐대의 손잡이 부분 제조방법
JP2000210390A (ja) * 1999-01-20 2000-08-02 Playcore Inc 中央の負荷支承部分を有する遊技デッキ
US20090266267A1 (en) * 2006-11-01 2009-10-29 Moss Alan D System for tower- and cable-based transportation structure
KR101442558B1 (ko) * 2014-05-07 2014-09-22 주식회사 지에스웹 복합 체험 시설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129A (ko) 1987-06-26 1989-03-11 이춘재 당구큐대의 손잡이 부분 제조방법
JP2000210390A (ja) * 1999-01-20 2000-08-02 Playcore Inc 中央の負荷支承部分を有する遊技デッキ
US20090266267A1 (en) * 2006-11-01 2009-10-29 Moss Alan D System for tower- and cable-based transportation structure
KR101442558B1 (ko) * 2014-05-07 2014-09-22 주식회사 지에스웹 복합 체험 시설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301B1 (ko) * 2021-10-28 2022-01-24 (주)신흥이앤지 설치 자유도가 우수한 체험시설 플랫폼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9023B1 (en) Chutes and ladders water ride
US20170173378A1 (en) Challenge course with return track
KR101442558B1 (ko) 복합 체험 시설물
US10702729B2 (en) Multi-level play equipment
KR102222009B1 (ko)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US20180296931A1 (en) Adventure Park
KR102404799B1 (ko) 미로 슬라이드시스템
CN213667888U (zh) 一种多层结构游乐设施
KR102189413B1 (ko) 2인 협력식 익사이팅 체험시설
KR102262249B1 (ko) 타워형 조합 놀이대
CN213131898U (zh) 一种游乐设施
CN212187775U (zh) 大型娱乐设施
KR102200797B1 (ko) 2인 협력식 익사이팅 체험시설
KR102219002B1 (ko) 터널식 어드벤처 놀이시설
JPH0838649A (ja) ツリー型野外遊具
KR102183818B1 (ko) 익사이팅 트랙 라이더
CN218685991U (zh) 一种穿越型和挑战型结合的游乐装置
KR102787202B1 (ko) 체험시설물이 구비된 전망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공원 구조
CN208244088U (zh) 一种游乐滑梯
CN212166504U (zh) 一种复合型娱乐设施
RU18235U1 (ru) 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US8647213B2 (en) Apparatus for a playground bouldering slide
KR102376316B1 (ko) 거리두기형 복합놀이시설
DE102007039730B4 (de) Attraktion für Vergnügungsparks, Volksfeste und dgl.
JP7044405B2 (ja) ネット遊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アトラク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0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