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1027Y1 - 조합놀이대 - Google Patents

조합놀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027Y1
KR200371027Y1 KR20-2004-0012259U KR20040012259U KR200371027Y1 KR 200371027 Y1 KR200371027 Y1 KR 200371027Y1 KR 20040012259 U KR20040012259 U KR 20040012259U KR 200371027 Y1 KR200371027 Y1 KR 200371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ground
rock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봉진
Original Assignee
장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봉진 filed Critical 장봉진
Priority to KR20-2004-0012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02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합놀이대에 관한 것으로, 어린이들이 놀이를 할 때 난간 또는 구름다리 밖으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더불어, 심미성이 우수하며, 산악 등반 등의 다양한 신체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복수개의 지주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떨어진 상태로 지지되며,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받침판(1,2)과; 상기 받침판과 받침판을 연결하는 평판형태의 연결판(31)과, 상기 연결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아치형 난간(32)으로 구성된, 아치형 교량형태의 구름다리(3)와; 지면에서 상기 받침판으로 연결되는 바위 계단 형태의 바위계단부(6)와;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6각 또는 8각 지붕(5)과; 상기 받침판과 구름다리의 연결판의 각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그물망형태의 난간(4)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합놀이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합놀이대{PLAYING INSTRUMENT}
본 고안은 조합놀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들이 놀이를 할 때 난간 밖으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강화함과 더불어, 심미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신체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조합놀이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조합놀이대는 그네, 미끄럼틀, 미로, 그물망, 줄타기, 활강로프 등의 여러 놀이기구를 조합하여, 어린이들이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체력단련과 인내력 및 지구력 등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시설물이다.
이러한 조합놀이대는 좁은 공간에 다양한 놀이기구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바, 통상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떨어진 위치에 미끄럼틀이나 계단 등이 연결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받침판이 배치되고, 각 받침판 사이는 그물망 또는 목조 다리와 같은 구름다리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과 구름다리의 각 측면부에는 어린이들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난간이 설치된다.
따라서, 어린이들은 상기 미끄럼틀이나 계단을 타고 받침대 상으로 오르내리거나, 구름다리를 통해 받침판과 받침판 사이를 오가며 원하는 놀이기구를 사용하여 놀이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종래의 조합놀이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각 받침판 사이를 연결하는 구름다리가 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3~4 정도의 어린 아이들이 건너가기가 매우 어렵고, 망의 격자가 커 그 사이로 어린 아이들이 빠져서 다칠수 있는 우려가 있다.
둘째, 종래의 조합놀이대의 난간이 로프 또는 세로로 배열된 철제 바아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아이들이 난간 밖으로 떨어지거나, 난간 사이에 끼어 안전사고가자주 발생하게 된다.
셋째, 종래의 조합놀이대는 기능성을 위주로 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심미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예컨대, 구름다리가 단순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지면에서 받침판까지 연결되는 계단이 단순한 목조 계단이나 철제 바아 등으로 이루어져 심미적인 특징이 저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어린이들이 놀이를 할 때 난간 또는 구름다리 밖으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더불어, 심미성이 우수하며, 산악 등반 등의 다양한 신체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조합놀이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합놀이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조합놀이대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조합놀이대의 구름다리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조합놀이대의 바위계단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제 1,2받침대 3 : 구름다리
31 : 연결판 32 : 아치형 난간
4 : 난간 41 : 프레임
42 : 보호망 5 : 지붕
51 : 솟대장식부 52 : 연결대
53 : 가로대 6 : 바위계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개의 지주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떨어진 상태로 지지되며,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받침판을 연결하는 평판형태의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아치형 난간으로 구성된 구름다리와; 지면에서 상기 받침판으로 연결되는 바위 계단 형태의 계단부와;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붕과; 상기 받침판과 구름다리의 연결판의 각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합놀이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합놀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합놀이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조합놀이대는 각각 복수개의 지주(55)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 1받침판(1)과 제 2받침판(2)과, 상기 제 1받침판(1)과 제 2받침판(2)을 연결하는 구름다리(3)와, 상기 제 1받침판(1)과 제 2받침판(2) 및 상기 구름다리(3)의 각 가장자리 상에 설치되어 어린이들의 낙하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난간(4) 및, 제 1받침판(1)과 제 2받침판(2)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전망대지붕(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받침판(1)의 일면에는 지면에서부터 연장된 바위 형태의 바위계단부(6) 및, 원통관 형태의 미끄럼틀(7)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받침판(2)의 일면에도 원통관 형태의 미끄럼틀(8) 또는 일반적인 미끄럼틀 등이 연결되고, 그 반대편에는 어린이들이 지상에서부터 타고 오를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계단식 로프(9)가 연결된다.
상기 난간(4)은 금속 재질로 된 대략 4각틀 형태의 프레임(41)과, 이 프레임(41) 내측에 그물망 형태로 설치된 금속 재질의 보호망(42)으로 이루어져, 어린이들이 난간 틈새에 끼이거나 난간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망대지붕(5)은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솟대장식부(51)와, 상기 솟대장식부(51)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6개의 곡선형의 연결대(52)와, 상기 각각의 연결대(52)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가로대(53)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6각 지붕 형태를이룬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는 전망대지붕이 6각형 형태를 이루지만, 8개의 연결대를 사용하여 8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망대지붕(5)의 연결대(52)는 고궁 또는 누각의 지붕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이루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심미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오 다르게 직선형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구름다리(3)는 도 3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2 받침판(1, 2)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목재로 만들어진 평판형태의 연결판(31)과, 상기 연결판(3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한 쌍의 아치형 하부 난간(4)으로 구성되어, 대체로 아치형 교량(橋梁)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상기 구름다리(3)는 연결판(31)이 평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어린 유아들도 이동이 용이하여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아치형 교량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심미성 또한 향상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바위계단부(6)는 시멘트 등의 석조 구조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목조 등의 재료에 바위 질감을 갖는 도료 등을 입히거나 바위 형태와 질감을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물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바위계단부(6)는 그 형태가 바위 계단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심미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바위에 오르는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하여 자연속에서 모험심을 배양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난간이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며, 받침판을 연결하는 구름다리의 연결판도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구름다리가 아치형 교량 형태를 이루며, 지붕이 6각 또는 8각 형태를 이루므로 심미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계단이 바위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심미성이 향상됨과 함께, 어린이들이 자연을 간접 체험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을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복수개의 지주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떨어진 상태로 지지되며,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받침판을 연결하는 평판형태의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아치형 하부 난간으로 구성된 구름다리와;
    지면에서 상기 받침판으로 연결되는 바위 계단 형태의 계단부와;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붕과;
    상기 받침판과 구름다리의 연결판의 각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합놀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솟대장식부와, 상기 솟대장식부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대와, 상기 각각의 연결대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가로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놀이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난간은 금속 재질로 된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측에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보호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놀이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곡선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놀이대.
KR20-2004-0012259U 2004-04-30 2004-04-30 조합놀이대 Expired - Fee Related KR200371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59U KR200371027Y1 (ko) 2004-04-30 2004-04-30 조합놀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59U KR200371027Y1 (ko) 2004-04-30 2004-04-30 조합놀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027Y1 true KR200371027Y1 (ko) 2004-12-29

Family

ID=4944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259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1027Y1 (ko) 2004-04-30 2004-04-30 조합놀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0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13B1 (ko) 2006-10-16 2007-05-16 (주)케이지엔지니어링 친환경적 기능을 갖는 공원용 놀이 시설물
KR101232775B1 (ko) 2012-10-22 2013-02-15 주식회사 지에스웹 복합 놀이기구
KR101590397B1 (ko) * 2015-09-21 2016-02-01 (주)신흥이앤지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KR102699621B1 (ko) * 2023-10-18 2024-08-28 (주)홍디자인 놀이구조가 형성된 파고라 건축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13B1 (ko) 2006-10-16 2007-05-16 (주)케이지엔지니어링 친환경적 기능을 갖는 공원용 놀이 시설물
KR101232775B1 (ko) 2012-10-22 2013-02-15 주식회사 지에스웹 복합 놀이기구
KR101590397B1 (ko) * 2015-09-21 2016-02-01 (주)신흥이앤지 모듈방식의 복합 시설물
KR102699621B1 (ko) * 2023-10-18 2024-08-28 (주)홍디자인 놀이구조가 형성된 파고라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849B1 (en) Recreation system with rain forest theme
KR101442558B1 (ko) 복합 체험 시설물
US7572207B2 (en) Climb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220000977U (ko)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KR200371027Y1 (ko) 조합놀이대
GB2461335A (en) Multipurpose trampoline
US4251069A (en) Child recreation structure
KR101184997B1 (ko) 안전성과 미관을 향상시킨 합성 목재 데크 로드 시공 방법
CN211705747U (zh) 带单杠的组合式木质幼儿拓展训练装置
RU139303U1 (ru) Спортивно-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варианты)
RU106552U1 (ru) 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CN211705746U (zh) 带秋千的组合式木质幼儿拓展训练装置
KR102208038B1 (ko) 실내 키즈카페 시설
CN108522338A (zh) 多楼层猫玩攀登塔
CN211328131U (zh) 一种双塔游乐设施
KR200429892Y1 (ko) 미끄럼틀이 장치된 안전놀이시스템
CN103669476B (zh) 非耗电能的取水设施
CN210543302U (zh) 一种丛林魔网结构的多人团体休闲娱乐设备
US8647213B2 (en) Apparatus for a playground bouldering slide
DK200200292U3 (da) Fritstående tunnelrutschebane
JP7242016B2 (ja) 複合遊具
CN113426063A (zh) 定制化户外环保游戏屋及其安装方法
KR102281533B1 (ko) 보행로 양측 부위에 체험시설이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CN217119223U (zh) 一种游乐场用爬网
RU106551U1 (ru) 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4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5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6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