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00977U -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977U
KR20220000977U KR2020200003859U KR20200003859U KR20220000977U KR 20220000977 U KR20220000977 U KR 20220000977U KR 2020200003859 U KR2020200003859 U KR 2020200003859U KR 20200003859 U KR20200003859 U KR 20200003859U KR 20220000977 U KR20220000977 U KR 202200009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frame
overpass
playground
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강만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2020200003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977U/ko
Publication of KR20220000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77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4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63B2009/006Playgroun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네와 구름다리 그리고 철봉을 하나의 놀이시설로 제작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시공 공간이 작더라도 쉽게 시공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고안은 그네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제작할 때 그네가 회전하는 반지름을 고려해서 그네를 타는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그네를 이용할 수 있게 제작함으로써, 다른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어린이들과의 안전하고가 발생하지 않게 다른 놀이시설을 배치하여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놀이를 경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구름다리가 그네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그네와의 간섭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도 복합 놀이 기구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구름다리 끝에 철봉을 갖춰서 구름다리와 철봉을 함께 이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COMBINED PLAY STRUCTURE FOR PLAYGROUND}
본 고안은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네와 철봉 그리고 구름다리를 하나의 복합 놀이 기구로 이루어지게 하여 설치 공간이 작은 곳에서도 다양한 놀거리를 제공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기존에 설치 공간이 좁아 여러 가지 놀이기구를 설치할 수 없는 곳에도 쉽게 설치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그네가 움직이는 반지름을 고려하여 구름다리와 철봉을 구성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어울려서 놀때도 서로 안전하게 놀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놀이터에는 어린이들이 함께 놀거나 혼자서도 놀 수 있도록 다양한 놀이기구가 설치된다. 특히, 이러한 놀이기구는 어린이들에게 호기심을 끌게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어린이들과 함께 놀면서 협동심과 사회성 등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이에, 놀이터에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놀이기구가 설치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20-0371030호
놀이터에 설치되어 어린이들이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놀이기구의 외형을 구성하기 위한 지지 기둥과 흔들봉 지지대, 흔들봉, 발판 및 대기부 등으로 구성된 흔들봉 놀이기구는 하단에 발판에 구비된 흔들봉이 흔들봉 지지대에 연결이 되어 지지 기둥을 통해 안전하게 설치되며, 대기부에 또는 반대편에서 어린이가 흔들거리는 흔들봉의 발판을 징검다리와 같이 건널 수 있도록 한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금속재에 내구성이 강한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제조된 각 부는 어린이의 부상을 최소화하고, 놀이기구의 색상을 다양화할 수 있다. 각 부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제품을 실내 또는 실외의 놀이터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조립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성의 놀이기구로 꾸밀 수 있다. 또한, 상기 놀이기구를 통해 어린이의 운동능력, 민첩성 및 균형감각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존의 획일적인 놀이기구에 식상한 아이들에게 좋은 대체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887310호
가변형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놀이기구의 지붕 부분을 이루는 지붕 블록; 상기 지붕 블록을 지지하는 기둥 블록; 상기 기둥 블록을 수용하며, 상기 놀이기구의 난간을 이루는 난간 블록; 상기 난간 블록의 어느 한 측면에 결합하는 미끄럼틀 블록; 상기 미끄럼틀 블록이 미끄럼 경사각을 갖도록 상기 난간 블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난간 블록을 지지하는 벽판 블록; 상기 난간 블록의 다른 한 측면에 결합하는 계단 블록; 및 상기 미끄럼틀 블록, 상기 벽판 블록 및 상기 계단 블록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난간 블록에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블록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형 놀이기구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7966호
회전 및 승강용 놀이기구가 개시된다. 이러한 회전 및 승강용 놀이기구는, 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는 회전기둥; 회전기둥 일측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회전기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하는 몸체; 몸체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한 페달; 몸체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한 의자; 페달의 회전에 따라 몸체가 회전기둥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페달과 회전기둥을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및 페달의 회전에 따라 의자가 승강하도록 페달과 의자를 연결하는 승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안착하여 페달을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기둥을 중심으로 몸체가 회전하면서 장치의 전체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몸체를 기준으로 한 의자의 승강이 이루어짐으로써 다채로운 동작이 이루어지는 놀이기구를 형성할 수 있고, 사용자 1인에 의하여 작동하는 놀이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놀이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놀이 기구가 각각 따로 만들어져서 놀이터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여러 종류의 놀이 기구를 한 곳에 설치하려면 놀이터의 설치 공간이 넓어야 한다.
(2) 이에, 놀이터의 설치 공간이 넓지 않으면 여러 종류의 놀이기구를 설치할 수가 없다.
(3) 특히, 건물과 건물 사이처럼 충분한 넓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놀이터는 여러 가지 놀이 시설을 설치할 수 없어 놀이터로 활용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공간을 놀이터로 활용하더라도 여러 종류의 놀이시설을 설치할 수 없어 공간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4) 이러한 문제는 놀이터를 시설하려고 하는 곳의 지가(地價)가 높을 때 상대적으로 놀이터 면적을 줄여야 하므로, 그만큼 한정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놀이시설의 종류에 제약을 받는다.
(5) 또한, 한정된 공간에 여러 종류의 놀이시설을 설치할 수 있게 놀이시설 사이의 공간을 좁혀서 놀이시설을 설치할 수는 있으나, 이처럼 설치된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어린이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6) 놀이시설의 형상에 따라 하나의 놀이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이 넓거나 그네처럼 움직이는 놀이시설은 그네가 움직이는 반지름을 고려해야 하므로, 좁은 공간에서는 움직이는 놀이시설을 설치할 수 없거나 설치 개수가 줄어들게 된다.
한국등록실용 제20-0371030호 (등록일: 2004.12.14) 한국등록특허 제10-1887310호 (등록일: 2018.08.0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7966호 (공개일: 2017.03.13)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그네와 구름다리 그리고 철봉을 하나의 놀이시설로 제작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시공 공간이 작더라도 쉽게 시공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한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그네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제작할 때 그네가 회전하는 반지름을 고려해서 그네를 타는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그네를 이용할 수 있게 제작함으로써, 다른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어린이들과의 안전하고가 발생하지 않게 다른 놀이시설을 배치하여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놀이를 경험할 수 있게 한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름다리가 그네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그네와의 간섭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도 복합 놀이 기구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구름다리 끝에 철봉을 갖춰서 구름다리와 철봉을 함께 이용할 수 있게 한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놀이터에 설치되는 것으로, 놀이터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네(110)가 설치된 프레임(100); 및 상기 프레임(100)에 상기 그네(110)와 마주하여 설치하되, 상기 프레임(100) 상부에 회전하는 상기 그네(110)에 걸리지 않게 장착되고, 상부에 철봉(210)이 구성된 구름다리(20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프레임(100)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그네(110)를 지지할 수 있게 바닥에 설치되는 지점에서 상기 구름다리(200)를 고정한 지점까지의 반지름(R)이 상기 그네(110)를 탈 때의 반지름(r)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름다리(200)는, 상기 그네(1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지점이나 그네(100)가 바닥에 설치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그네(110)가 회전하는 반지름(r)보다 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철봉(210)은, 상기 프레임(100) 위에 위치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프레임(100) 밖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하나의 놀이기구에 여러 가지 놀이기구를 복합해서 제작함으로, 넓이가 작은 놀이터에도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놀이기구를 장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2) 또한, 이처럼 하나의 복합 놀이기구를 통해 한 지점에서 여러 가지 놀이기구를 경험하거나 친구들과 함께 놀 수 있어 하나의 놀이기구를 이용해서 여러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3) 특히, 건물과 건물 사이처럼 충분한 넓이의 놀이터를 확보할 수 없는 곳에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놀이기구를 장착함에 따라, 어린이들이 한 곳에서 여러 종류의 놀이 기구를 경험할 수 있어 마치 넓은 놀이터에 여러 가지 놀이기구를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놀이터가 아닌 공간이나 자투리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놀이터가 아닌 공간에도 쉽게 장착하여 여러 가지 놀이기구를 이용할 수 있게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철봉이 프레임 안에 위치하도록 제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철봉이 프레임 안에 위치하도록 제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철봉이 프레임 위에 위치하도록 제작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구름다리에 구성된 철봉이 프레임 측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복합 놀이기구의 구성]
본 고안에 따른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에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프레임(100), 그리고 구름다리(20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100)은 그네(110)를 갖추고, 상기 구름다리(200)는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 되게 구성하되 상부에는 철봉(210)을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놀이 기구를 이용해서 그네(110), 구름다리(200), 그리고 철봉(210) 놀이를 함께 즐길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은 직육면체나 정육면체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그 안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그네(110)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게 설치하면서도 구름다리(20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구름다리(200)는 그네(110)를 지지하는 바닥 지점에서 구름다리(200)를 고정하는 프레임(100) 지점 사이의 반지름(D)이 그네(110)가 움직이는 반지름(r)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그네(110)를 탈 때 그네(110)가 구름다리(200)에 부딪히지 않게 해서 안심하고 그네(110)를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름다리(200)는 그네(110)를 고정한 지점이나 그네(110)가 설치되는 바닥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그네(110)와 일체감을 느끼게 하면서도 안심하고 놀이기구를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철봉(210)은 상기 프레임(100) 위에 오도록 형성하거나 프레임(100) 밖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놀이기구의 전체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프레임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그네(110)를 안전하게 탈 수 있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구름다리(200)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한쪽에 고정된 그네(110)를 안정적으로 타고 동시에 이 그네(110)와 마주하게 설치된 구름다리(200)를 함께 이용하더라도 그네(110)와 구름다리(200)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0)은 직사각형 형태나 정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프레임(100)의 구조적 강성을 갖게 해서, 프레임(100)의 한쪽에 가장자리 부분에 그네(110)가 설치되게 하고 이와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구름다리(200)가 설치되게 하여 무게 중심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양쪽에서 어린이들이 함께 놀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0)은, [도 1]과 같이, 상하보다 옆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쪽 가장자리에 장착된 그네(110)를 타는 어린이가 구름다리(200)에 부딪힐 것 같은 공포감이나 불안감을 없애면서도 안심하고 그네(110)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은, [도 3]과 같이, 그네(110)를 지지할 수 있게 바닥에 설치되는 지점에서 상기 구름다리(200)를 고정한 지점까지의 반지름(R), 즉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한쪽 면의 대각선 길이가 그네(110)가 회전하는 반지름(r)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그네(110)를 안심하고 탈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한쪽 면의 상부 가장자리에 그네(110)가 설치된다. 그네(110)는 놀이터에 장착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나. 구름다리
구름다리(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프레임(100)에 지지가 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름다리(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한쪽을 바닥이나 지면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이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하여 지지가 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름다리(2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프레임(100)에 지지가 되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든지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름다리(200)가 프레임(100)의 한쪽 가장자리에 걸쳐서 프레임(100) 안에 끼워진 상태가 되게 제작하거나, [도 3] 및 [도 4]와 같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름다리(200)의 한쪽이 지면이나 바닥에 고정되고 프레임(100)의 한쪽 가장자리에 걸쳐져서 지지가 되되 프레임(100) 위로 돌출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하부가 프레임(100) 하부에 함께 고정되게 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름다리(2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소정의 반지름을 가진 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프레임(100)과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하면서도 놀이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구름다리(200)는, [도 3]과 같이, 상기 그네(110)를 지지 고정하는 프레임(100) 하부에서 구름다리(200)가 고정되는 지반이나 바닥 지점을 기에 고정되는 상기 구름다리(200) 사이의 거리(L)가 상기 그네(110)가 회전하는 반지름(r)보다 긴 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 어린이가 그네(110)를 이용할 때 다른 어린이가 구름다리(200)를 사용하더라도 서로 부딪히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구름다리(200)에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부에 철봉(21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철봉(200)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으면서도 프레임(100)에 장착되는 구름다리(200)를 이용해서 추가 구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여러 가지 놀이기구를 하나로 조합해서 좁은 공간에 더 많은 개수의 놀이기구를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철봉(2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구름다리(200)의 구성 일부를 개조하거나 그대로 사용해서 철봉(200)으로 이용할 수도 있어 추가 구성이나 구조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봉(200)은, [도 4]와 같이, 구름다리(200)를 호 형상으로 제작함에 따라 구름다리(200)의 바와 간섭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도 철봉(200)을 이용하는데 방해를 받지 않고 철봉(200)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철봉(20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구름다리(200)의 형상에 따라 프레임(100) 안에서 이용하게 하거나 프레임(100) 밖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에 그네, 철봉을 갖춘 구름다리를 장착하여 놀이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좁은 공간에 설치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도 여러 명의 어린이가 함께 놀이를 안전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100: 프레임
110: 그네
200: 구름다리
210: 철봉

Claims (5)

  1. 놀이터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네(110)가 설치된 프레임(100); 및
    상기 프레임(100)에 상기 그네(110)와 마주하여 설치하되, 상기 프레임(100) 상부에 회전하는 상기 그네(110)에 걸리지 않게 장착되고, 상부에 철봉(210)이 구성된 구름다리(20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100)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3.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그네(110)를 지지할 수 있게 바닥에 설치되는 지점에서 상기 구름다리(200)를 고정한 지점까지의 반지름(R)이 상기 그네(110)를 탈 때의 반지름(r)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4. 제1항에서,
    상기 구름다리(200)는,
    상기 그네(1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지점이나 그네(100)가 바닥에 설치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그네(110)가 회전하는 반지름(r)보다 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철봉(210)은,
    상기 프레임(100) 위에 위치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프레임(100) 밖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KR2020200003859U 2020-10-27 2020-10-27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Ceased KR202200009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59U KR20220000977U (ko) 2020-10-27 2020-10-27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59U KR20220000977U (ko) 2020-10-27 2020-10-27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77U true KR20220000977U (ko) 2022-05-04

Family

ID=8158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859U Ceased KR20220000977U (ko) 2020-10-27 2020-10-27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97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52676S1 (en) * 2024-08-09 2024-11-26 Ningbo Tolead International Business Co., Ltd. Climbing toy for kids
USD1062965S1 (en) * 2024-05-17 2025-02-18 Qiuhong JIANG Climbing structure
USD1065402S1 (en) * 2023-07-24 2025-03-04 Hangzhou Right Play Kids Product Co., Ltd. Climbing arch
USD1065409S1 (en) * 2023-04-25 2025-03-04 XinHao Zhu Climbing fr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030Y1 (ko) 2004-05-17 2004-12-29 주식회사 해비타트 어린이 놀이터용 조립식 흔들봉 놀이기구
KR20170027966A (ko) 2015-09-03 2017-03-13 송성준 회전 및 승강용 놀이기구
KR101887310B1 (ko) 2017-07-12 2018-08-09 허준 가변형 놀이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030Y1 (ko) 2004-05-17 2004-12-29 주식회사 해비타트 어린이 놀이터용 조립식 흔들봉 놀이기구
KR20170027966A (ko) 2015-09-03 2017-03-13 송성준 회전 및 승강용 놀이기구
KR101887310B1 (ko) 2017-07-12 2018-08-09 허준 가변형 놀이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65409S1 (en) * 2023-04-25 2025-03-04 XinHao Zhu Climbing frame
USD1065402S1 (en) * 2023-07-24 2025-03-04 Hangzhou Right Play Kids Product Co., Ltd. Climbing arch
USD1062965S1 (en) * 2024-05-17 2025-02-18 Qiuhong JIANG Climbing structure
USD1052676S1 (en) * 2024-08-09 2024-11-26 Ningbo Tolead International Business Co., Ltd. Climbing toy for ki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0977U (ko) 놀이터용 복합 놀이 기구
KR101442558B1 (ko) 복합 체험 시설물
EP2067510A1 (en) Family swing
KR101376703B1 (ko) 타워형 익스트림 레저 스포츠 구조물
KR200426581Y1 (ko) 스카이 챌린지 타워 시설물
KR101077744B1 (ko) 나사블록을 이용한 미끄럼틀
US4251069A (en) Child recreation structure
KR101855415B1 (ko) 네트 놀이대
KR102787202B1 (ko) 체험시설물이 구비된 전망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공원 구조
CN108271710A (zh) 登高冒险休闲多功能猫玩架
CN107654109B (zh) 摩天塔
CN211659147U (zh) 用于儿童体能闯关的攀爬装置
JP2006211919A (ja) 猫用遊具
US9403098B1 (en) Polygonal swing assembly
KR200429892Y1 (ko) 미끄럼틀이 장치된 안전놀이시스템
KR102832108B1 (ko) 복합 전망타워
KR200371027Y1 (ko) 조합놀이대
JP7242016B2 (ja) 複合遊具
CN106807033B (zh) 游乐设施
CN108261768B (zh) 一种游乐滑梯
KR200371030Y1 (ko) 어린이 놀이터용 조립식 흔들봉 놀이기구
CN221637319U (zh) 一种汽车主题体能组合玩具
KR102190107B1 (ko) 2인 협력식 익사이팅 체험시설
CN213220888U (zh) 带有球状构筑的游乐设施
KR20220160959A (ko) 직교 또는 교차하는 부재의 연결용 유닛 클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조합 놀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010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2071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2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