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4679B1 -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밀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밀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679B1
KR101434679B1 KR1020087002646A KR20087002646A KR101434679B1 KR 101434679 B1 KR101434679 B1 KR 101434679B1 KR 1020087002646 A KR1020087002646 A KR 1020087002646A KR 20087002646 A KR20087002646 A KR 20087002646A KR 101434679 B1 KR101434679 B1 KR 10143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length
adjacent
ribs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361A (ko
Inventor
요한네스 알프레드 비일리
Original Assignee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filed Critical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3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6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적어도 하나의 튜브 또는 덕트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의 길이방향과 적어도 하나의 튜브 또는 덕트의 길이방향은 실제로 서로 평행하며, 시스템은 상기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는 밀봉플러그를 형성하도록 2개 이상의 분절형 길이부로 이루어지는데, 길이부는 다수의 외부 리브와 다수의 내부 리브를 구비되며, 내부 리브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있다.

Description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시스템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n inner wall of a tubular opening and at least one tube or duct at least partly received in the opening}
본 발명은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의 길이방향과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의 길이방향은 실제로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시스템은 상기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밀봉플러그를 형성하도록 2개 이상의 분절형 길이부로 이루어지는데, 길이부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소재로 되어있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외부 리브로 이루어진 외측을 구비하는바, 사용중에 환형상의 접촉면이 밀봉플러그와 개구부의 내벽 사이의 원주방향에서 자체적으로 차폐되고 추가로 각각의 길이부는 다수의 내부리브로 이루어진 내측을 구비하는바, 사용중에 환형상의 접촉면이 밀봉플러그와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원주방향에서 자체적으로 차폐되되, 각각의 외부 리브는 교차방향으로 임의의 내부 리브보다 길게 되어 있으며, 각각의 내부 리브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인접면을 구비하고 사용중에 튜브 혹은 덕트 중 하나에 인접하게 놓여지며, 각각의 내부 리브는 인접면에서 이격되게 뻗어 있는 경사면을 인접면의 양 측면 상에 구비 하는데, 각 경사면의 경사는 분절형 길이부의 교차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져, 길이부가 상기 공간으로 삽입될 때 각각의 내부 리브의 만곡이 실제로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의 길이방향과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의 길이방향이 실제로 서로 평행하며, 이 시스템은 상기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밀봉플러그를 형성하도록 2개 이상의 분절형 길이부로 이루어지는데, 길이부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외부 리브로 이루어진 외측을 구비하는데, 사용중에 환형상의 접촉면이 밀봉플러그와 개구부의 내벽 사이의 원주방향에서 자체적으로 폐쇄되고, 추가로 각각의 길이부는 다수의 내부 리브로 이루어진 내측을 구비하는데, 사용중에 환형상의 접촉면이 밀봉플러그와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원주방향에서 자체적으로 폐쇄되며, 각각의 외부 리브는 교차방향으로 임의의 내부 리브보다 길게 되어 있고, 각각의 길이부는 개구부에 삽입될 제1단부와 사용중에 개구부의 외측에 있는 제2단부를 구비하며, 추가로 하나 이상의 외부 리브는 실제로 제2단부를 향해 세워져 있는 상승면을 구비한 톱니모양을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관형 개구부는 마루, 바닥, 벽 또는 격벽에 관형 통로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가능성은 다른 튜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튜브로 되어 있다. 또한, 길이부는 용기부로 언급되어 있다. 실제로, 임의의 경우에서 평행은 개구부의 축과 개구부에 수용된 튜브 혹은 덕트의 축과 약 5°의 각도를 갖는 상황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컨대 유체가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게 연결된 2개의 튜브를 사용한다. 예컨대, 하나의 튜브는 하우스 면 연결을 형성하고 이의 주선로 혹은 분지선로를 형성하는 튜브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튜브는 예컨대 물, 가스, 기름, 액상 화학물 등의 이송용으로 사용된다. 그런 다음에, 튜브 사이에 위치된 공간은 전술된 시스템으로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전화, 전기 및, 텔레비전용 케이블이 서로 연결된 튜브를 관통하여 공급된다. 다른 가능성으로는 유리섬유 케이블 및 보호튜브 사이를 밀봉하는 시스템에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유실된 플라스틱 튜브부를 수단으로 하여 건축물의 벽, 특히 기초벽과 마루뿐만 아니라 지붕에 사용되되, 통로는 퍼부어진 콘크리트에 개구부로 남겨지는데, 물 혹은 가스, 혹은 케이블용 튜브와 같이 덕트들이 관통하여 공급된다. 물론, 통로는 천공의 도움으로 단단한 플레이트에 구비된다. 덕트와 손실된 튜브부 혹은 시추공 사이의 공간은 이러한 시스템으로 추후에 밀봉된다.
추가로, 이러한 시스템은 새로운 건축물 및 선박의 유지 및 해양설비의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에 색션(section)은 조선소의 도크에서 미리 결정된 계획에 따라 조립식 격벽을 안착시켜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격벽이 안착되기 전에, 관통공급되는 튜브는 예컨대 용접방법의 도움으로 격벽에 구비될 수 있다. 덕트가 관통공급되는 튜브를 통해 공급된 후에, 서두에 기술된 시스템이 관통공급되는 튜브와 관통공급되는 덕트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밀봉플러그는 예컨대 화염 혹은 폭발 동안에 격벽의 변형으로 가능해지는 이동을 흡수토록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밀봉플러그는 진동흡수기능을 갖춰, 피로증상이 제거된다. 밀봉플러그는 추가로 방음효과를 갖는다. 덧붙여서, 단열효과가 달성되되, 특히 공기가 이러한 2개의 플러그 사이로 관통공급되는 튜브 내에서 갇혀질 때에 일어난다. 케이블 혹은 튜브를 관통공급하는 튜브 및 덕트는 상이한 금속함유 소재로 제작된다. 이는 케이블 혹은 튜브를 관통공급하는 튜브 및 덕트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이 적어도 실제로 발생하지 않는다.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환형상의 공간은 아래에 기술되듯이 단순히 "공간"으로 종종 기술된다. 공간 내부로 길이부를 삽입하는 것은 종종 "삽입"으로서 간단하게 기술된다.
국제특허 제WO 2004/111513 A1호는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쉽게 심지어는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어도 상당한 압력을 견딜 수 있다. 하지만,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으로 시스템이 적용되면, 다시 말하자면 분절형 길이부가 삽입될 수 있다면, 시스템이 종종 수동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서도 더욱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시스템이 압력에 지탱할 수 있을 때 혹은 사용중에 견딜 수 있을 때, 압력은 시스템의 일부, 다시 말하자면 맨 먼저 삽입된 밀봉플러그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국제특허 제WO 2004/111513 A1호에 기재된 시스템보다 더욱 큰 장잠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서두에 따르는 밀봉시스템으로 달성되며, 추가로 내부 리브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상기 공간으로 더욱 쉽게 삽입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완전히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다. 부수적인 도구들이 플러그를 삽입하는 동안에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하지만, 작업자는 자신의 손을 사용하는 대신에 부수적인 도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리브가 서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내측은 더욱 견고해진다.
내부 리브가 구비된 내측의 부분은 실제로 내부 리브를 완전하게 구비한다. 내부 리브의 밀도는 높다.
어떠한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내부 리브의 길이방향으로의 밀도가 높아지면 삽입중에 길이부의 만곡 또는 휘어짐을 억제한다. 심지어 약간만 휘어지더라도 길이부의 삽입에 대해서 추가의 저항을 제공한다. 휘어짐이나 만곡이 줄어든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길이부는 상기 공간으로 더욱 쉽게 삽입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 리브는 길이부가 삽입될 때 상당한 저항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는 교차방향으로 외부 리브의 비교적 긴 길이와 내부 리브의 길이방향으로의 고밀도의 결과로 이루어진다. 길이부를 삽입할 때, 외부 리브가 길이부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주입될 때 저항이 나타난다. 수동 혹은 도구의 도움으로 길이부를 삽입하는 작업자는 그 순간에 더 큰 노력으로 밀어넣어야 할 것이다. 큰 노력 때문에, 압입력이 저항력을 초과할 때 길이부가 공간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것이다. 외부 리브를 밀치기 위해 필요한 힘이 내부 리브를 밀치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더욱 크기 때문에, 내부 리브에 대해 압입력의 "나머지"이므로 내부 리브는 작업자의 저항 증가 없이도 공간으로 삽입한다.
또한, 작업자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를 더욱 쉽게 삽입할 수 있는데, 작업자는 외부 리브가 공간 속으로 들어가고 있는 것을 보면서 의도적으로 압입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삽입 작업은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필요로 할 때 추가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잘 정돈된 유형으로 실행될 수 있어 만족스런 결과를 갖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경사면의 경사는 인접면에서부터 뻗어 인접한 내부 리브의 경사면과 만나는 지점까지 실제로 일정하다. 그러므로 일정한 경사의 경사면을 갖춘 내부 리브는 개별적인 길이부가 삽입될 때 내부 리브가 쉽게 만곡되는 지점에서 제거한다. 또한, 저항의 증가 없이 상대적으로 쉽고 부드러운 삽입을 갖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사는 실제로 동일하다. 또한, 길이부를 삽입할 때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외력은 약간 미리 예상될 수 있고 갑자기 상승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길이부를 삽입할 때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외력은 길이부의 내측으로 많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추가로, 각 경사와 특히 인접면의 양측면 상의 경사가 실제로 동일할 때, 인접면은 실제로 교차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병진운동과 동시에 일어나는 외력이 실제로 교차방향으로 방향설정되므로 길이부와 대향되게 삽입되지 않는다. 인접면에 가해진 평균 외력에 종속되는 마찰력은 물론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잔존하고 길이부를 삽입할 때 극복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경사와 길이방향으로 둘러싸인 각도는 약 60°~80°사이이다. 이러한 경사는 길이부의 부드러운 삽입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완만하다. 덧붙여서, 내부 리브의 굽힘, 만곡이나 구부러짐이 억제된다. 바람직하기로, 각도는 65°~75°이다. 이는 길이부가 더욱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각도는 70°~75°이다. 길이부의 내측은 압입력이 가해질 때 상기 공간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길이부를 상기 공간으로 삽입하는 작업자는 내부 리브로 야기되는 삽입에 대한 저항을 받게 되는데, 이 저항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다. 밀봉시스템이 삽입되고 상기 공간에 플러그를 형성할 때 밀봉시스템이 견딜 수 있는 압력은 이러한 내부 리브로 감소되지 않는다. 후술되듯이, 내부 리브의 드러나지 않게 조금만 삽입되더라도 내부 리브가 삽입에 저항을 주게 될 것이다. 비록 거의 두드러지지 않아도, 내부 리브는 삽입에 대해서 저항을 갖고 있는 것으로 측정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밀봉시스템은, 각각의 길이부가 개구부에 우선 삽입된 제1단부에 내측에서 내부 리브를 제거하고 있다. 이는 길이부의 제1단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여, 길이부가 공간 내로 추가 삽입되도록 정렬될 수 있으며, 추가 삽입이 발생할 때 길이부의 만곡을 억제한다.
바람직하기로, 제1단부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제1내부면을 구비한다. 길이부의 제1단부의 최초 삽입이 발생할 때 저항이 있다 하더라도 매우 적은 저항이 나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분절형 길이부의 외측은 2개의 인접한 외부 리브 사이에서 이루어지데, 외부면은 길이방향으로 뻗는다. 길이부의 외측에, 외부 리브로 점유되지 않은 공간은 외부 리브들 사이에 위치된 길이부의 일부의 외부이동을 위해 사용한다. 매우 작을지라도, 길이부의 일부가 위치선정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가상의 제1교차평면은 외부면과 인접면을 교차한다. 외부 리브가 내부 리브로 외부를 향해 가압되게 일부가 가압될 수 있는 공간의 가용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내부 리브는 더욱 쉽게 교차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덧붙여서, 외부면의 위치와 비교하여 내부 리브의 인접면의 위치에서, 적당한 공간으로 외부 리브의 삽입 후에 내부 리브가 공간으로 주입되다. 길이부가 공간 속으로 밀어넣어질 때, 외부 리브가 길을 제공하도록, 즉, 외부 리브가 공간에 끼워 넣어져 굽혀지도록 밀어넣어질 때, 이어서 주입된 내부 리브는 내부 리브의 삽입에 대하여 증가된 저항을 받지 않는다. 다시 말하자면, 내부 리브는 더욱 쉽게 공간으로 들어간다.
바람직하기로, 동일한 가상의 교차평면을 교차하는 외부면과 인접면은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길이부의 외측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과 길이부로부터 내측에서 외부를 향해 가압될 소재는 균형을 이루게 된다. 삽입하는 동안에, 길이부는 교차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시스템이 삽입과 압력이라는 관점에서 최적화되는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갖춘 공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는, 길이부가 제2단부에서 개구부의 외부 가장자리에 대해서 사용중에 안착되는 칼라를 구비하고 추가로 하나 이상의 외부 리브는 실제로 제2단부를 향해 세워져 있는 상승면을 구비한 톱니모양을 갖는다. 이러한 외부 리브를 갖춘 길이부는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개구부의 내벽과 덕트 혹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 제공되어 플러그가 매우 높은 고압에서도 견딜 수 있다.
톱니모양의 상부에 인접한 상승면의 일부는 상부에서 이격되게 위치된 상승면의 일부에 대해 레벨링(leveling)을 구비하는데, 레벨링은 길이방향으로 각도를 갖는다. 이러한 레벨링 때문에, 개구부의 직경의 허용오차는 더욱 커진다. 이러한 결과에 위해서, 시스템의 "크기", 다시 말하자면 외부 리브의 "직경"은 다수의 다른 크기의 개구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시스템의 길이부를 제작하는 주형의 비용을 절감한다. 개구부 직경의 부정확한 측정이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는데, 시스템은 개구부 직경의 편차에 대처할 수 있다. 덧붙여서, 예컨대 조선소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비축의 운영이 더욱 용이해질 것이다. 시스템의 특정한 크기는 다양한 적용예에 적합하게 될 것이다. 이는 경상비를 저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는, 가상의 제2교차평면이 인접한 내부 리브와 레벨링 사이의 지점을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공간이 각각의 길이부의 내측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각각의 길이부가 삽입될 때 길이부의 일부는 공간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레벨링을 구비한 외부 리브의 일부는 내부를 향해 교차방향으로 가압될 것이다. 인접해 있는 2개의 내부 리브 사이의 가용가능한 공간은 이러한 이동을 수용할 수 있다. 실제로, 이는 내부 리브의 경사의 변경을 초래한다. 각도(γ)는 약간 커질 것이다. 즉, 가상의 제2교차평면의 위치에서 길이부를 삽입할 때 길이부는 비교적 용이하게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덧붙여서, 레벨링의 위치와 인접해 있는 2개의 내부 리브의 위치는, 길이부가 공간으로 밀어 넣을 때 고정되게 하여, 레벨링이 후퇴하여, 다시 말하자면, 외부 리브가 만곡되어 공간으로 끼워 넣어지고, 연속적으로 다른 내부 리브가 들어가 공간은 즉시 뒤를 잇게 될 것이다. 외부 리브를 공간으로 주입하는데 필요한 외력은 통상적으로 다음의 내부 리브를 공간으로 주입하기 위해서 충분하다. 결국, 외부 리브를 공간으로 주입하기 위해 필요한 외력은 종종 여전히 외부 리브가 공간으로 주입될 때 가해진다.
국제특허 제WO 2004/111513 A1호는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삽입될 때 상당한 압력에서 견딜 수 있고 심지어는 쉽게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작동한다. 하지만, 만약 시스템이 사용되면, 다시 말하자면, 분절형 길이부가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으로 더욱 쉽고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여전히 공지된 시스템보다 고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국제특허 제WO 2004/111513 A1호에 기재된 시스템보다 더 좋은 장점을 갖고 사용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20항에 기술된 밀봉시스템을 성취하는 것이다.
길이부를 삽입할 때, 외부 리브는 길이부가 안착된 공간으로 주입하면 약간의 저항이 나타난다. 수동 혹은 도구를 사용하여 길이부를 삽입하는 작업자는 더 크게 노력하여 밀어 넣을 것이며, 이 압입력은 저항력을 초과하고, 길이부는 내부로 이동하기 시작할 것이다. 외부 리브가 완전하게 공간으로 삽입될 때에 여전히 큰 압입력이 가해지고, 이 압입력은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가장 높은 높이를 갖는 내부 리브가 삽입될 때 수반되는 저항력을 초과할만큼 크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갖는 내부 리브의 삽입 혹은 내부 리브 일부의 삽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내부 리브의 큰 높이로부터 발생하는 삽입의 저항은 외부 리브의 상부로부터 발생하는 저항에 비교하여 무시할 정도이다. 외부 리브가 공간으로 주입하는 것을 작업자가 보면서, 작업자가 압입력을 천천히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삽입 작업은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필요로 할 때 추가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잘 정돈된 유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외력은 내부 리브의 삽압을 충분히 허용할 수 있어서, 작업자는 오로지 시각적으로 필요할 때 압입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매번 외력을 증가하여 외부 리브가 공간에 주입되자 마자 능동적으로 공동작용되어 삽입작업을 효율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는, 톱니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되되 외부 리브가 상기 공간으로 삽입되지 않을 때에 상부는 외부 리브의 큰 교차 높이를 갖는 부분보다 제1단부를 향해 더욱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삽입하는 동안에 상부와 내부 리브의 큰 높이가 함께 고압으로 주입되는 장점을 갖으므로, 그런 다음에 상부는 제2단부를 향해 미끄러지면서 만곡될 것이다.
삽입하는 동안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 리브의 상부와 내부 리브의 가장 높은 부분이 근접할수록, 내부 리브의 높이가 삽입하는 동안에 필요로 한 압입력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시스템의 실시예의 한 내부 리브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인접면을 구비하고 사용중에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중 하나와 인접해지며, 각각의 분절형 길이부의 외측은 인접해 있는 2개의 외부 리브 사이의 길이방향으로 실제로 뻗은 외부면을 구비하는데, 가상의 제1교차평면은 외측에 외부면과 인접면을 교차한다.
이 실시예는 길이부의 일부가 가압된 내부 리브로 가압될 때 길이부의 일부가 가압될 수 외부면이 공간의 가용성을 보장하므로 내부 리브가 교차방향에서 외부를 향해 더욱 쉽게 가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길이부가 교차방향으로 더욱 "얇게"되면 더욱 쉬워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시스템이 삽입과 압력세기의 견지에서 최적화되는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갖는 공간에서 사용하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톱니는 하향면(falling surface)을 구비하는데, 제1교차평면은 외부면이 외부 리브의 하향면에 인접해 있는 지점에서 외부면과 교차한다. 덧붙여서, 내부 리브는 큰 교차 높이를 갖는 일부를 향해 뻗어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제1교차평면은 경사면이 인접면과 인접해 있는 위치에서 인접면과 교차한다.
발명자는 각 실시예에서 외부 리브와 내부 리브가 시스템의 큰 유용성을 위해 서로에 대해 최적위치를 갖으며, 관형 개구부 혹은 덕트 또는 튜브의 크기는 이상적인 시스템과는 다른 크기를 갖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시스템은 이러한 상황에서 다른 삽입성과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반면에, 시스템은 여전히 만족스럽게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외부 리브가 시스템을 삽입할 때 필요하고 경험된 압입력의 증가를 주요하게 결정할지라도, 내부 리브가 시스템을 삽입할 때 생성되는 저항으로 제역활을 하지 못하다고 결정 내릴 수는 없다. 아래의 설명에서, 이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나 이상의 실례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길이부의 단면도이다.
도 1a는 도 1의 A부분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제1부분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로 수용된 하나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으로 수용되도록 도 1a에 따른 길이부의 제2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길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한 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b 내지 도 4e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3실시예, 제4실시예,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를 길이방향(L)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a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바람직한 크기를 갖춘 도 1에 따른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5b는 도 5a의 B부분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도 5a의 C부분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유사한 부재는 유사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크기의 길이는 도면에 도시되되, 여기서 길이는 밀리미터로 표시되고 특정한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종종 다른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분절형 길이부(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의 길이부(1)의 일례는 도 1에서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해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적용은 도 2a의 제1부분 단면도와 도 2b의 제2부분 단면도로 도시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적용은 도 3의 사시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각각의 길이부(1)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소재로 되어 있다. 추가로, 각각의 길이부(1)는 외측(2)을 구비하는데, 외측은 사용중에 환형 접촉면(4)이 길이부(1)의 도움으로 형성된 밀봉플러그(5)와 관형 개구부(7)의 내벽(6) 사이의 원주방향(도 2a에 도시함)으로 폐쇄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외부 리브(3)로 이루어진다. "떨어져 있는" 이라는 용어는 리브의 실질적인 부분이 연결되지 않은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리브의 부분들 사이에서 공간이 가용될 수 있다. 하지만, "떨어져 있는" 이라는 용어는 리브가 서로 인접해 있는 상황을 배제하고 있지는 않다. 각각의 길이부(1)는 추가로 내측(29)을 구비하는바, 내측은 사용중에 환형 접촉면(31)이 밀봉플러그(5)와 튜브(17) 사이의 원주방향(도 2b에 도시함)으로 폐쇄되도록 다수의 내부 리브(30)로 이루어진다. 튜브 또는 덕트는 개구부에 수용되되, 개구부(7)의 길이부와 튜브(17)의 길이부는 실제로 서로 평행하다.
각각의 외부 리브(3)는 임의의 내부 리브(30)보다 횡방향(T)으로 더 길다.
각각의 내부 리브(3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내부 리브(30)는 인접면(32)을 구비한다. 이는 길이방향(L)으로 뻗어 있고 사용중에는 튜브(17)와 인접한다. 각각의 내부 리브(30)는 인접면(32)의 양 측면상으로 인접면(32)에서 뻗은 경사면(52)을 구비한다. 각 경사면의 경사는 분절형 길이부(1)의 횡방향(T)과 각도(γ,도 1a에 도시함)로 이루어지는바, 실제로 길이부(1)가 삽입될 때 각각의 내부 리브(30)의 만곡이 억제된다. 삽입은 추후에 기술될 것이다.
경사면(52)의 경사는 인접면(32)으로부터 인접해 있는 내부 리브(30)의 경사면과 만나는 지점까지 일정하게 뻗는다. 내부 리브(30)의 경사면(52)의 경사는 실제로 동일하다. 인접해 있는 2개의 내부 리브(30)의 경사면이 V자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례에서, 모든 내부 리브의 모든 경사는 실제로 동일하다. 각도(γ)는 60°~80°, 바람직하게는 65°~77°, 더욱 바람직하게는 70°~75°이다.
개구부에서 튜브가 시스템이 요구하는 두께보다 두꺼운 상황에서 시스템이 사용될 때, 이러한 내부 리브는 비교적 쉽게 횡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접촉면은 이러한 경우에 얇은 튜브가 사용되는 경우보다 더 길게 될 것이다. 환형 접촉면은 인접해서 더 얇게되되, 다시 말하자면 내부 리브 사이의 길이부의 내측이 접촉면에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튜브는 제1내부면(53)과 제2내부면(56)에 맞닿는다. 형성된 플러그가 이러한 상황에서 견딜 수 있는 압력은 별도의 환형 접촉면과 비교하여 더 높다.
각각의 길이부(1)는 우선 삽입될 제1단부(37)에 내측(29) 상에서 내부 리브(30)를 제거한다. 제1단부(37)에서, 내측(29)은 길이방향(L)으로 뻗은 제1내부면(53)을 구비한다. 제1내부면(53)과 2개의 내부 리브(30)의 접합점(54)은 가상선(VL1)에 일치한다.
각각의 길이부(1)는 시스템이 삽입되는 개구부 외측에 사용시 남아있는 제2단부(55)에 내측(29) 상에서 내부 리브(30)를 제거하고 있다. 제2단부(55)에서, 내측(29)은 길이방향(L)으로 뻗은 제2내부면(56)을 구비한다. 제2내부면(56)과 2개의 내부 리브(30)의 접합점(54)은 가상선(VL1)에 일치한다. 제2단부(55)에 인접해 있는 내부 리브의 결여의 장점은 길이부, 개구부의 내벽 및 튜브 사이의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개구부의 외측에 사용시 남아 있는 플러그의 일부를 향해 뻗지 않은 국부적인 변형을 갖는다. 사용시 개구부의 외측에 남아 있는 플러그의 일부는 칼라(9)와 플랜지(99)로 이루어지되, 이는 추후에 설명될 것이며, 이러한 일부들은 압력과 응답이 개구부와 튜브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균형을 이룬다면 변형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관형 개구부(7)의 내벽(6)과 이 개구부(7)에 적어 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튜브(17)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16)을 밀봉하는 2개 이상의 분절형 길이부(1)로 이루어지는바, 이의 축은 개구부(7)의 축과 실제로 평행하다. 또한, 밀봉플러그(5)는 튜브(17) 또는 덕트(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함)를 확실하게 밀봉한다. 각각의 분절형 길이부(1)의 외측(2)은 인접해 있는 2개의 외부 리브(3) 사이에서 길이방향(L)으로 뻗은 외부면(2a)을 구비한다.
도 5a에 도시되듯이, 가상의 제1 횡방향평면(Ⅰ)은 외측(2) 상에 외부면(2a)과 내측(29) 상에 인접면(32)을 교차한다. 동일한 가상의 횡방향평면(Ⅰ)을 교차하는 외부면(2a)과 인접면(32)은 길이방향(L)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동일한 가상의 횡방향평면(Ⅰ)을 교차하는 외부면(2a)과 인접면(32)의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외부면(2a)과 인접면(32)이 서로 연이어져 위치된다.
제2단부(55)에서, 길이부(1)는 사용시 개구부(7)의 외부가장자리(10)에 대해서 안착될 수 있게 외부칼라(9)를 구비한다. 칼라(9)는 플랜지(99)의 일부로, 외력이 길이부(1)를 삽입하기 위해 플랜지에 가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플랜지(99)는 개구부(7)의 외부가장자리(10)에 대해서 안착될 수 있게 설계된다. 플랜지는 설계자가 원하는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실례는 도 4a에 도시된다. 삽입후에, 플랜지는 대부분의 모든 사용중에 보여지게 될 것이다. 플랜지는 안정성을 허여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임의의 크기로 된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로, 두께는 5 mm 이상이고, 플러그가 커지면 두께도 확장된다.
외부 리브(3)은 실제로 제2단부(55)를 향해 세워져 있는 상승면(12)을 갖춘 톱니(11)의 형태로 되어 있다. 물론, 하나의 외부 리브만이 톱니모양을 갖거나 모든 외부 리브가 톱니모양 이외의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이 실례에서, 모든 외부 리브는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다. 톱니(11)의 상부(13)에 인접해 있는 상승면(12)의 일부(14)는 상부(13)에서 더 멀리 위치된 상승면(12)의 일부(20)에 비해서 길이방향(L)으로 소정의 각도를 구비한 레벨링(15)을 구비한다. 각 상승면(12)은 톱니(11)의 상부(13)에 인접해 있는 가압면을 구비한다. 가압면은 길이방향(L)으로 각도(α)를 구비하는데, 각도(α)는 상부(13)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상승면(12)의 일부(21)와 길이방향(L)으로 이루어진 각도(β)보다 작다. 각도(α)는 임의의 경우에서 0보다는 큰다.
레벨링(15)과 상부(13)에서 더 멀리 떨어져 위치된 상승면(12)의 일부(21)의 접합점(22)은 상승면(12)에 위치된 외부를 향해 있는 만곡부(23)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례에서, 비록 만곡부가 편평면의 접합점으로 형성되었어도, 만곡부는 면들의 방위에 대해서 더욱 점차적으로 합병되는 면들의 접합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11)의 하강면(24)은 상부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일부(25)를 구비하는바, 이는 상부(13)에 인접해 있는 하강면(24)의 일부(26)에 대해서 제2단부(55)를 행해 경사져 있게 되어 있다. 톱니(11)의 상부(13)에 인접해 있는 하강면(24)의 일부(26)는 길이방향(L)으로 각도(θ)를 구비하고, 상부(13)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하강면(24)의 일부(25)와 길이방향(L)으로 구비되어진 각도(ω)보다 크다.
톱니(11)의 상부(13)에 인접해 있는 하강면(24)의 일부(26)와 상부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하강면(24)의 일부(25)의 접합점(27)은 하강면(24)에서 내부를 향해 있는 만곡부(28)를 구비한다. 상승면(12)에 위치된 만곡부(23)는 하강면(24)에 위치된 만곡부(28)보다 외측(2)에서 더 떨어져 있다. 만곡부(23)를 위한 전술된 내용은 만곡부(28)에 대해서도 동일하고, 상부에 인접해 있는 하강면의 일부로부터 상부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하강면의 일부로 점차적으로 합쳐지는 것은 본 명세서는 만곡부 또는 굽힘부의 의미로 이해될 것이다. 추가로, 레벨링을 구비하는 톱니의 상승면 없이 하강면에 만곡부(28)를 갖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하강면의 구조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상승면의 특징을 갖지 않는 구조로도 설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어떠한 방식으로 길이부(1)가 개구부(7)의 내벽(6)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튜브(17)와의 상호작동을 더욱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관형 개구부(7)의 내벽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길이부(1)의 도움으로 형성된 밀봉플러그(5)는 관형 개구부(7)의 절반부가 제거되었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형 개구부(7) 외측에서 길이부는 튜브(17) 둘레를 단단하게 둘러싸고, 그런 다음에 길이방향(L)으로 이동함으로써 관형 개구부(7)의 내벽(6)과 튜브(17) 사이의 공간(16)으로 미끄러진다. 제1단부(37)에서, 각각의 길이부(1)는 외측에 런인(run-in) 리브(36)를 구비한다. 런인 리브(36)는 외부 리브(3)가 이어지는 제2외부원주레벨보다 횡방향으로 더욱 근접하는 형태로 제1외부원주레벨로 이어진다(도 5b 및 도 5c에 도시함). 그런 다음에, 런인 리브(36, run-in rib)는 우선 관형 개구부(7)의 내벽(6)에 접촉될 것이다. 길이방향(L)으로 가압되면, 더욱 내부 리브(30)는 관형 개구부(7)의 내벽에 접촉될 것이다. 특히, 상부(13)와 레벨링(15)의 일부 면은 내벽(6)과 접촉될 것이다. 이러한 삽입중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해서, 길이부와 관형 개구부의 내벽 및 튜브(17)는 예컨대 바세린(Vaseline) 또는 연성 비누와 같은 윤활제를 구비할 필요가 종종 있다. 특히 내벽이 콘크리트로 제작되었다면, 이는 높은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좋은 해결책이다. 길이부는 수동으로 삽입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의 경우에서 예컨대 해머로 관형 개구부(7) 내로 길이방향(L)의 방향으로 밀봉플러그(5)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밀봉플러그(5)는 외부칼라(9)가 개구부(7)의 외부가장자리(10)에 대해서 안착되면 길이방향(L)으로 더 이상의 이동을 할 수 없다. 이는 외부칼라의 직경이 길이방향(L)으로 더 이상의 이동을 방해한다. 이 경우에, 각 레벨링(15)의 일부 면은 관형 개구부(7)의 내벽(6)에 대해서 가압될 것이다.
도 2b는 또한 관형 개구부(7)의 내벽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관형 개구부(7)에 수용된 밀봉플러그(5)는 동일한 단면으로 도시된다. 관형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튜브(17)에서, 길이부(1)로 조립된 밀봉플러그(5)의 내부 리브(3)의 도움으로 형성된 환형 접촉면(31)을 도시하고 있다. 길이방향(L)과 반대방향으로 관형 개구부(7)에 수용된 밀봉플러그(5)는 내부 리브(30)와 튜브(17) 사이의 환형 접촉면(31)에 마찰과 각각의 레벨링(15)의 적어도 일부와 관형 개구부(7)의 내벽(6) 사이를 폐쇄하는 접촉면(4)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방해된다. 극복하기 위한 마찰력은 상부(13)의 위치에서 더 커질 것이다. 레벨링(15) 때문에, 제2단부(55)를 향하는 방향으로 톱니의 압축으로, 접촉면(4)의 면 영역은 증가될 것이며, 여전히 큰 외력이 제2단부(55)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형 개구부(7)의 플러그를 빼내기 위해 압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몇몇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조립된 밀봉플러그(5)는 제1단부(37)에 가해진 7 바아(bar)의 압력 이상에서도 유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용예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길이부(1)로 조립된 밀봉플러그(5)는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튜브(17) 사이의 공간으로 수용된다. 튜브(17)의 축은 실제로 개구부의 축과 평행하다. 개구부는 개구부의 외부가장자리에 인접한 밀봉플러그(5)의 제1단부에 위치된 외부칼라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관형 개구부의 외벽(50)만이 도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관형 개구부는 도시된 외벽(50)의 튜브의 일부이다. 하지만, 관형 개구부는 벽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의 길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2개, 3개, 4개, 5개, 6개 혹은, 그 이상의 길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는 2개의 길이부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서, 밀봉플러그에 조립된 길이부(1)의 제2단부(55)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 내지 도 4e는 3개, 5개, 6개 및, 9개의 길이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길이부(1)는 2개 이상의 내부면(41)을 구비하는 한편, 각각의 내부면(41)은 길이방향(L)으로 뻗은 오목부(42)를 구비하여 개구부(7)로 수용된 하나의 튜브(1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싼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길이부(1)는 실제로 서로 동일하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일부와 유사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특히, 도 5a는 60mm의 직경을 갖는 개구부와 28mm의 직경을 갖는 튜브를 위한 플러그를 형성하도록 바람직한 크기를 갖춘 시스템이다.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B"와 "C" 부분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길이부의 크기는 바람직하기로 개구부의 크기와 이 개구부에 수용된 튜브의 갯수와 크기에 종속된다. 예컨대, 내부 리브와 외부 리브가 더 사용되어 큰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a는 인접해 있는 2개의 내부 리브(30)와 라벨링(15) 사이의 위치(45)를 교차하는 가상의 제2횡방향평면을(Ⅱ) 추가로 도시한다.
도 5a는 하나의 외부 리브(3)가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중에 공간(16, 도 2a 참조)으로 완전히 삽입될 때 길이방향(L)을 따르는 위치에서 가장 큰 횡방향높이를 갖춘 내부 리브(30, 도 1 참조) 중 하나를 도시한 것으로, 하나의 내부 리브의 높은 횡방향높이를 갖는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간(16)으로 삽입되거나 공간(16)에 삽입되려 한다. 높은 횡방향높이를 갖는 부분은 인접면(32, 도 1 참조)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 리브와 외부 리브의 가장 높은 횡방향높이 사이의 위치는 사다리꼴 형상과는 다른 형상의 내부 리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리브와 내부 리브의 가장 큰 횡방향높이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관계는 서로 인접해 있는 내부 리브를 갖추지 않은 실시예를 사용할 수도 있다.
러그(5)가 내벽(6)과 튜브(17)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때, 내벽(6)과 튜브(17) 및 플러그(5) 사이의 상호작용을 시각화하기 위해서, 도 2a 및 도 2b가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강면(24, 도 5a 참조)은 횡방향과 평행하게 도 2a 및 도 2b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지만, 하강면(24)은 실제로 상승면(12, 도 5a 참조)과 다소 평행하고 결과적으로 삽입도중에 외부 리브와 내벽(6) 사이에서 최초로 형성된 환형 외부접촉면이 길이방향으로 내부 리브와 튜브(17) 사이의 환형 내부접촉면에 밀착되게 덮는다.
이러한 실시예를 위해서, 톱니는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된 상부(13)를 구비하는데, 하나의 외부 리브(3)가 공간(16)으로 삽입되지 않을 때에, 상기 상부(13)는 하나의 내부 리브(30)의 큰 횡방향높이의 부분보다는 제1단부(37) 쪽으로 더욱 가까이 위치된다. 길이부가 삽입될 때, 상부(13)는 제2단부(55)를 향해 약간 만곡되게 강제로 밀어부쳐질 것이다. 그런 다음에, 상부(13)와 내부 리브의 가장 큰 횡방향높이가 제2 혹은 제1단부에서 유사한 거리만큼 위치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부(13)를 삽입하는 동안에, 가상의 횡방향평면은 내부 리브의 가장 큰 횡방향높이를 교차한다. 이에 따라, 삽입하는 동안에, 외부 리브만이 삽입 시에 삽입에 대한 저항을 갖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길이부를 삽입하는 작업자는 외부 리브의 삽입에 대응되게 압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작업을 처리한다.
추가로, 하나의 내부 리브(30)는 길이방향(L)으로 뻗고 사용시 튜브(17)에 인접하는 인접면(32)을 구비한다. 각각의 분절형 길이부의 외측은 실제로 길이방향(L)으로 뻗은 외부면(2a)에 인접해 있는 2개의 외부 리브(3) 사이에 구비되되, 가상의 제1횡방향평면(Ⅰ)은 외측(2)에 외부면(2a)과 인접면(32)을 교차한다. 제1횡방향평면(Ⅰ)은, 외부면(2a)이 외부 리브(3)의 하강면에 인접해 있는 위치에서 외부면(2a)과 교차한다.
추가로, 내부 리브(30)는 가장 큰 횡방향높이를 갖는 부분을 향해 뻗은 경사면(52)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제1횡방향평면(Ⅰ)은, 경사면이 인접면(32)에 인접해 있는 위치에서 인접면(32)과 교차한다. 이러한 위치관계는 공간으로 외부 리브를 삽입할 때 작업자가 공급하는 나머지 압입력을 최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위에서, 내부 리브는 길이부를 삽입하는 동안에 길이부의 삽입에 대한 저항을 경험하지 못한다. 길이부를 삽입하는 데에 필요한 외력을 나타내는 실험은, 외부 리브가 삽입될 때 뚜렷하게 증가한다. 이러한 증가는 내부 리브가 삽입될 때에는 관찰되지 않는다. 하지만, 길이부가 우선적으로 삽입되고 아직 튜브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에, 그런 다음에 튜브는 길이부로 개구부에 형성된 바와 같이 밀봉 플러그(단순히 플러그로 표기하기도 함) 내로 가압되어, 튜브의 삽입에 필요한 외력이 뚜렷하게 증가하여, 매번 튜브가 내브 리브를 가압한다. 다시 말하자면, 비록 경험하지는 않았어도 내부 리브는 저항을 구비한다. 이상적인 시스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개구부에 시스템이 사용될 때, 이러한 결과는 더욱 명백해진다. 이상적인 시스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개구부에 시스템이 사용될 때, 결과는 다소 불명확해지는바, 즉 내부 리브의 저항은 최소로 나타난다. 이상적인 시스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튜브로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해 시스템이 사용될 때, 내부 리브는 현저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저항을 제공한다. 이상적인 시스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튜브로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해 시스템이 사용될 때, 결과는 다소 불명확해지는바, 즉 내부 리브의 저항은 최소로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장점은 이러한 실험을 하는 동안에 명백해진 다. 길이부로 형성된 플러그는 비록 튜브가 플러그 내로 삽입되지 않더라도 이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장점은 튜브의 축이동에 사용되나 축을 벗어나서는 이동하지 않는 것로 판명된다. 튜브가 압력세기 혹은 플러그 혹은 튜브의 삽입성에 타협하지 않고 플러그 내로 이동하는 상황에서 사용가능하다.
길이부(1)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압축성을 갖는 소재, 예컨대 고무, 바람직하게는 65°로부터 75°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68°~72°,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의 경도 윈도우 범위에 쇼어 경도(shore hardness)로 제작될 것이다. 고무의 장점은 부피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갖는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중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의 길이부는 공간을 차지하기 위해 압력세기와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고무는 내화성을 갖는다. 고무는 상승하는 온도에 노출될 때 팽창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실리콘 고무도 사용할 수 있다. 전기전도성 고무도 역시 사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적당한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시스템은 기밀성과 수밀성을 갖출 뿐만 아니라 내화성, 기밀성 및 수밀성을 갖도록 한다. 길이부(1)를 제작하는 동안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적당한 몰드가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생산공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사출성형 몰드와 압축성형 몰드가 사용된다.
시스템의 사용가능한 실례는 국제특허 제WO 2004/111513 A1호의 도 7 및 도 7의 설명을 참조로 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외부칼라는 임의의 바람직한 형상을 갖는다. 예컨대, 외부칼라는 밀봉플러그가 사각 형상의 외부칼라, 예컨대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정사각형의 외부칼라를 구비한다. 외부칼라의 두께, 외부칼라가 길이방향(L)으로 뻗은 거리는 바람직하기로 외부칼라 근처에 밀봉플러그의 형상이 사용시 보호되고 밀봉플러그는 관형 개구부 내로 가압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 리브는 또한 서로 인접해 있다. 이는 서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비록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더라도, 서로에 대해서 내부 리브의 형상과 위치는 외부 리브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기로, 밀봉플러그(5)는 실제로 실린더형상을 갖는데, 이 형상으로부터 벗어날 가능성도 있다. 그러므로, 시스템은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관형 개구부에 적합한 시스템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각형의 관형 개구부에 적합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비원형, 예컨대 타원형의 관형 개구부도 사용가능하다. 관형 개구부를 관통하여 공급되는 케이블, 덕트 혹은 튜브에 대한 안정성을 동일하게 유지한다. 시스템은 사용중에 튜브와 원형상에서 벗어난 단면을 갖춰서 밀봉플러그로 둘러싸이도록 할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인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Claims (26)

  1.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상기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개구부의 길이방향과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의 길이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밀봉플러그를 형성하는 2개 이상의 분절형 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길이부는 각각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상기 길이부는 상기 밀봉플러그와 상기 개구부의 내벽 사이의 원주방향에서 사용시 자체적으로 각각 폐쇄되는 환형 접촉면을 실현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외부 리브로 이루어진 외측을 구비하고, 추가로 상기 밀봉플러그와 상기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원주방향에서 사용시 자체적으로 각각 폐쇄되는 환형 접촉면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다수의 내부 리브로 이루어진 내측을 구비하여, 상기 각각의 외부 리브는 횡방향에서 내부 리브보다 길게 되어 있고, 각각의 내부 리브는 길이방향으로 뻗고 사용중에 상기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중 하나에 인접하는 인접면을 구비하며, 각 내부 리브는 인접면의 양 측면 상으로 이 인접면에서 뻗어 있는 경사면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각 경사면의 경사는 상기 분절형 길이부의 횡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져, 상기 길이부가 상기 공간으로 삽입될 때 각 내부 리브의 구부러짐이 억제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리브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있고,
    상기 내부 리브가 형성된 내측 부분은 내부 리브로 완전히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는 인접면에서부터, 인접해 있는 내부 리브의 경사면과의 접합점까지 일정하게 뻗어 있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리브 하나의 경사면들의 각각의 경사는 동일하게 되어 있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해 있는 2개의 내부 리브의 2개의 경사면은 V자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모든 경사는 동일하게 되어 있는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60°~ 80°로 되어 있는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길이부는 개구부에 먼저 삽입되는 제1단부에서 내측의 내부 리브가 제거되어 있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은 제1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내부 면을 구비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면과 2개의 내부 리브의 접합점은 하나의 가상직선에 일치하는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길이부는 사용중에 개구부 외측에 남아 있는 제2단부에서 내측의 내부 리브가 제거되어 있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은 제2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내부면을 구비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면과 2개의 내부 리브의 접합점은 하나의 가상직선에 일치하는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분절형 길이부의 외측은 인접해 있는 2개의 외부 리브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은 외부면을 구비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과 인접면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동일한 가상의 제1 횡방향 평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외부면과 인접면은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하는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외부면과 인접면이 서로 교대로 위치되는 시스템.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길이부는 먼저 삽입되는 제1단부의 반대측의 제2단부에서 사용시 개구부의 외부가장자리에 대해 안착되는 외부칼라를 구비하고, 추가로 하나 이상의 외부 리브는 상기 제2단부를 향해 세워져 있는 상승면을 갖춘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의 상부에 인접해 있는 상승면의 일부는 상부에서 멀리 위치된 상승면의 일부에 대해서 레벨링(leveling)을 구비하며, 상기 레벨링은 길이방향으로 각도를 구비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인접해 있는 2개의 내부 리브 사이의 위치와 레벨링을 가상의 제2 횡방향 평면이 교차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시스템.
  20.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상기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를 구비하는 시스템으로서, 개구부의 길이방향과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의 길이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내벽과 적어도 하나의 튜브 또는 덕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덕트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밀봉플러그를 형성하는 2개 이상의 분절형 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길이부는 각각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부는 상기 밀봉플러그와 상기 개구부의 내벽 사이의 원주방향에서 사용시 자체적으로 각각 폐쇄되는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외부 리브로 이루어진 외측을 구비하고, 추가로 밀봉플러그와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원주방향에서 사용시 자체적으로 각각 폐쇄되는 환형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내부 리브로 이루어진 내측을 구비하여, 상기 각각의 외부 리브는 횡방향에서 내부 리브보다 길게 되어 있고, 각각의 길이부는
    - 개구부에 우선 삽입되는 제1단부와 사용중 개구부의 외측에 남아 있는 제2단부,
    - 상기 제1단부에 근접한 제1 외부 리브, 및
    - 상기 제1단부에 근접한 제1 내부 리브를 포함하고,
    추가로 하나 이상의 외부 리브는 제2단부를 향해 세워져 있는 상승면을 갖춘 톱니형상의 외부 리브로 되어 있으며, 길이부가 상기 공간으로 삽입하는 동안에, 상기 제1 외부 리브가 상기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제1 내부 리브의 가장 높은 횡방향높이를 갖는 부분이 상기 공간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되었거나 삽입되려고 할 때, 각각의 상기 제1 내부 리브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위치에서 가장 큰 횡방향높이를 갖는 부분을 구비하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톱니형 외부 리브는, 하나의 내부 리브의 가장 큰 횡방향높이를 갖는 부분보다 제1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더욱 밀접하게 위치된 상부를 갖추는 시스템.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내부 리브는 길이방향으로 뻗고 사용중에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중 하나에 인접해 있는 인접면을 구비하며, 각각의 분절형 길이부의 외측은 인접해 있는 외부 리브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은 외부면을 구비하며, 가상의 제1 횡방향 평면이 외측에서 상기 외부면, 및 인접면과 교차하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외부 리브는 하강면을 구비하며, 가상의 제1 횡방향 평면은 외부면이 외부 리브의 하강면에 인접해 있는 위치에서 외부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리브는 가장 큰 횡방향높이를 갖는 부분을 향해 뻗어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가상의 제1횡방향평면은 경사면이 인접면과 인접해 있는 위치에서 인접면과 교차하는 시스템.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65°~ 77°로 되어 있는 시스템.
  2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70°~ 75°로 되어 있는 시스템.
KR1020087002646A 2005-07-13 2006-07-13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밀봉하는 시스템 Active KR101434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76609.6 2005-07-13
EP05076609 2005-07-13
PCT/EP2006/006858 WO2007028443A1 (en) 2005-07-13 2006-07-13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n inner wall of a tabular opening and at least one tube or duct at least partly received in the ope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361A KR20080031361A (ko) 2008-04-08
KR101434679B1 true KR101434679B1 (ko) 2014-08-26

Family

ID=3526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646A Active KR101434679B1 (ko) 2005-07-13 2006-07-13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밀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62094B2 (ko)
EP (1) EP1902241B1 (ko)
JP (2) JP2009501303A (ko)
KR (1) KR101434679B1 (ko)
CN (1) CN101263330B (ko)
AT (1) ATE514028T1 (ko)
ES (1) ES2366224T3 (ko)
NO (1) NO342187B1 (ko)
WO (1) WO2007028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7573B1 (en) 2006-03-20 2012-09-12 Beele Engineering B.V. System for dynamically sealing a conduit sleeve through which a pipe or cable extends
US9566454B2 (en) 2006-09-18 2017-02-14 Guided Therapy Systems, Llc Method and sysem for non-ablative acne treatment and prevention
EP2006589B1 (en) * 2007-06-22 2011-08-31 Tenaris Connections Aktiengesellschaft Threaded joint with energizable seal
EP2017507B1 (en) 2007-07-16 2016-06-01 Tenaris Connections Limited Threaded joint with resilient seal ring
GB0901678D0 (en) * 2009-02-02 2009-03-11 Beele Eng Bv Assembly for sealing a round tubular opening through which a tube, duct or cable extends
EP2243920A1 (en) 2009-04-22 2010-10-27 Tenaris Connections Aktiengesellschaft Threaded joint for tubes, pipes and the like
EP2325435B2 (en) 2009-11-24 2020-09-30 Tenaris Connections B.V. Threaded joint sealed to [ultra high]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EP2372208B1 (en) * 2010-03-25 2013-05-29 Tenaris Connections Limited Threaded joint with elastomeric seal flange
EP2372211B1 (en) 2010-03-26 2015-06-03 Tenaris Connections Ltd. Thin-walled pipe joint and method to couple a first pipe to a second pipe
EP2390544B1 (en) 2010-05-25 2012-08-29 Beele Engineering B.V.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 an opening a sealing system
ES2460875T3 (es) 2010-08-10 2014-05-14 Beele Engineering B.V. Sistema para embeber un conducto sellable para la canalización de un tubo o un cable en una pared o en un suelo que van a ser producidos mediante un procedimiento de moldeo, y procedimiento para embeber tal conducto
JP5963759B2 (ja) * 2010-10-19 2016-08-0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ケーブル接続部用エンクロージャ
US9163296B2 (en) 2011-01-25 2015-10-20 Tenaris Coiled Tubes, Llc Coiled tube with varying mechanical properties for superior performance and methods to produce the same by a continuous heat treatment
GB2501774A (en) * 2012-05-04 2013-11-06 Control Tech Ltd A sealing element for sealing between planar surfaces
CN102767647B (zh) * 2012-08-09 2014-11-26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密封管套
EP2703705B1 (en) 2012-08-30 2017-03-29 Beele Engineering B.V. Sealing system for an annular space
JP2014070678A (ja) * 2012-09-28 2014-04-21 Inaba Denki Sangyo Co Ltd 貫通孔防火措置具
US9777859B2 (en) * 2012-11-19 2017-10-03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Purging and sealing-reductant delivery unit fo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s
MX2015008990A (es) 2013-01-11 2015-10-14 Tenaris Connections Ltd Empalme para herramientas de tuberia de perforacion resistente a la excoriacion y tuberia de perforacion correspondiente.
NL2010304C2 (en) 2013-02-14 2014-08-18 Beele Eng Bv System for sealingly holding cables which extend through an opening.
US9889323B2 (en) * 2013-03-13 2018-02-13 The Boeing Company Fire seal end cap and associated multi-member assembly and method
US9803256B2 (en) 2013-03-14 2017-10-31 Tenaris Coiled Tubes, Llc High performance material for coiled tubing applications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2976562A1 (en) * 2013-03-22 2016-01-27 Ngi A/S Coupling and use
EP2789700A1 (en) 2013-04-08 2014-10-15 DALMINE S.p.A. Heavy wall quenched and tempered seamless steel pipes and relate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teel pipes
EP2789701A1 (en) 2013-04-08 2014-10-15 DALMINE S.p.A. High strength medium wall quenched and tempered seamless steel pipes and relate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teel pipes
KR102197204B1 (ko) 2013-06-25 2021-01-04 테나리스 커넥션즈 비.브이. 고크롬 내열철강
US9989252B2 (en) * 2013-08-22 2018-06-05 Noritz Corporation Exhaust adapter, exhaust structure for water heater, and method for installing exhaust adapter
US9360140B2 (en) * 2013-12-10 2016-06-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ling device for a vehicle
JP2015186296A (ja) * 2014-03-20 2015-10-22 住友電装株式会社 絶縁被覆電線の止水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5209933A (ja) * 2014-04-28 2015-11-24 日動電工株式会社 防火区画壁貫通孔に使用する耐火処理具および耐火処理構造
CN104390066B (zh) * 2014-11-14 2016-06-22 中通客车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管线路过孔保护件
US9528643B2 (en) 2014-12-02 2016-12-27 Cnh Industrial Canada, Ltd. Air grommet connector
US20160305192A1 (en) 2015-04-14 2016-10-20 Tenaris Connections Limited Ultra-fine grained steels having corrosion-fatigue resistance
EP3150891A1 (de) * 2015-09-29 2017-04-05 HILTI Aktiengesellschaft Leitungsdurchführung zum durchführen von leitungen durch ein bauteil
JP6140257B1 (ja) * 2015-12-07 2017-05-31 東尾メック株式会社 漏れ防止具
DE102016104129A1 (de) * 2016-03-07 2017-09-07 Gabo Systemtechnik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und Abdichten einer Leitungsdurchführung in einem Wanddurchgang einer Gebäudewand
DE102016205621B3 (de) * 2016-04-05 2017-03-23 Festo Ag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 Fluidleitung und diesbezügliches Montageverfahren
US11124852B2 (en) 2016-08-12 2021-09-21 Tenaris Coiled Tubes,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coiled tubing
US10557573B2 (en) * 2016-11-04 2020-02-1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eed through seals and fittings
US10434554B2 (en) 2017-01-17 2019-10-08 Forum U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ed tubing string
JP6577977B2 (ja) 2017-06-14 2019-09-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パッキン
WO2019055746A1 (en) * 2017-09-14 2019-03-21 Operations Technology Development, Nfp SAFETY CAP WITH CLOSED CAP
NL2019585B1 (en) 2017-09-20 2019-03-28 Beele Eng Bv System for sealing in an opening a space around a pipe
US10722324B2 (en) * 2018-01-08 2020-07-28 Stoma Ventures, LLC Adapter for a tailpiece for a dental valve
US11906099B2 (en) 2018-03-21 2024-02-20 Phoenix Environmental, Inc. Seal on the interstice of double-walled fiberglass pipe
US20200090832A1 (en) * 2018-09-19 2020-03-19 Michael Revilak Direction indicating cord assembly
US11015749B2 (en) * 2018-09-25 2021-05-25 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Fluid system connector
USD906487S1 (en) 2018-09-25 2020-12-29 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Universal connector
US11141577B2 (en) 2018-09-25 2021-10-12 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Fluid system connector
EP3734782B1 (de) * 2019-05-02 2021-07-21 BEGA Gantenbrink-Leuchten KG Kabeldurchführung
NL2028436B1 (en) * 2021-06-11 2022-12-20 Beele Eng Bv Elements and a sealant for use as part of a sealing system for sealing off a conduit
US12146339B1 (en) * 2022-01-19 2024-11-19 Mike Francisco Underwater sheath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CN218992603U (zh) * 2022-12-16 2023-05-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管线过孔密封装置和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870A (ja) * 1983-10-19 1985-06-10 ピドウ・ベー・ブイ 多重部分からなるシーリングシステム
WO2004111513A1 (en) 2003-06-18 2004-12-23 Beele Engineering B.V.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 tubular opening and a tub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2492A (en) * 1934-10-31 1936-03-03 Goodrich Co B F Pipe joint assembly
US2896974A (en) * 1957-04-02 1959-07-28 Gen Motors Corp Bell and spigot joint with plural flexible lip type seal
US3165324A (en) * 1963-09-30 1965-01-12 William L Zopfi Molded pipe joint seal
US3580988A (en) * 1969-08-12 1971-05-25 Ampex Grommet for speaker enclosure
US3702193A (en) * 1971-02-22 1972-11-07 Josam Mfg Co Self-retaining and sealing joint gasketing sleeve
BE794441A (fr) 1972-01-25 1973-05-16 Wunderlich Heinz Dispositif pour l'ancrage de sorties de tuyauteries dans les murs
DE2203370A1 (de) 1972-01-25 1973-08-02 Heinz Wunderlich Vorrichtung zum verankern von rohrleitungsaustritten in der wand
US3913928A (en) * 1973-05-09 1975-10-21 Seiichi Yamaguchi Resilient joint
US3893919A (en) * 1973-10-31 1975-07-08 Josam Mfg Co Adjustable top drain and seal
NL177516C (nl) * 1978-09-12 1985-10-01 Pidou Bv Afdichtmanchet.
US4426095A (en) * 1981-09-28 1984-01-17 Concrete Pipe & Products Corp. Flexible seal
US4429886A (en) * 1982-09-29 1984-02-07 Concrete Pipe & Products Corp. Flexible pipe gasket
US5020810A (en) * 1985-10-09 1991-06-04 Jogler, Inc. Liquid sight monitor with multi-contact insert
US4915422A (en) * 1989-01-06 1990-04-10 The American Brass & Iron Foundry Pipe coupling
JPH0332272A (ja) * 1989-06-29 1991-02-12 Nec Corp 信号送信装置
JPH0755423Y2 (ja) * 1989-08-09 1995-12-20 株式会社信明産業 マンホールと管渠間の継手部構造
DE4313957C2 (de) * 1993-04-28 1995-04-20 Thyssen Polymer Gmbh Rohrverbindung mit einem Luftpolsterdichtring
SE515100C2 (sv) * 1994-06-08 2001-06-11 Forsheda Ab Anordning för avtätning av en spalt
DE29604662U1 (de) 1996-03-13 1997-07-17 PT - POLY - TEC GmbH Vertrieb und Herstellung von Dichtungssystemen, 63150 Heusenstamm Anschlußvorrichtung
US5954345A (en) * 1996-10-10 1999-09-21 Chrysler Corporation Grommet for transmission oil fill tube
NL1008522C2 (nl) * 1998-03-06 1999-09-07 Beele Eng Bv Doorvoerinrichting.
DE20103785U1 (de) 2001-03-05 2001-08-09 DTS-PRO-SYS GmbH, 18107 Rostock Dichtungsmanschette
NL1023687C2 (nl) 2003-06-18 2004-12-21 Beele Eng Bv Systeem voor het afdichten van een ruimte tussen een binnenwand van een buisvormige opening en tenminste een althans voor een deel in de opening opgenomen buis of leiding waarvan de as in hoofdzaak evenwijdig is aan de as van de opening.
DE20310390U1 (de) 2003-07-04 2004-11-11 Pt-Poly-Tec Gmbh Vertrieb Und Herstellung Von Dichtungssystemen Anschlussdichtung mit Ratschenzähnen
US7410174B2 (en) * 2004-03-04 2008-08-12 S & B Technical Products, Inc. Restraining mechanical joint gasket for ductile iron pi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870A (ja) * 1983-10-19 1985-06-10 ピドウ・ベー・ブイ 多重部分からなるシーリングシステム
WO2004111513A1 (en) 2003-06-18 2004-12-23 Beele Engineering B.V.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 tubular opening and a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80735L (no) 2008-04-03
JP2009501303A (ja) 2009-01-15
CN101263330A (zh) 2008-09-10
ES2366224T3 (es) 2011-10-18
JP2013047568A (ja) 2013-03-07
EP1902241A1 (en) 2008-03-26
EP1902241B1 (en) 2011-06-22
WO2007028443A1 (en) 2007-03-15
US8262094B2 (en) 2012-09-11
NO342187B1 (no) 2018-04-16
JP5607700B2 (ja) 2014-10-15
KR20080031361A (ko) 2008-04-08
ATE514028T1 (de) 2011-07-15
CN101263330B (zh) 2012-02-22
US20090315275A1 (en)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679B1 (ko) 관형 개구부의 내벽과 이 개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수용된 하나 이상의 튜브 혹은 덕트 사이의 공간을밀봉하는 시스템
CN100394093C (zh) 用于密封管状开口和管之间的间隙的系统
JP5346067B2 (ja) パイプやケーブルが挿入される導管スリーブを動的に封止するシステム
JP4890617B2 (ja) パイプ又はケーブルが延在する少なくとも1つの導管を動的に封止するシステム
KR101953728B1 (ko) 개구를 통하여 연장하는 케이블을 밀봉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KR102157778B1 (ko) 환상 공간에 대한 실링 시스템
JP2007519872A (ja) 相異なるフレームに適合できるパイプ貫入等のための圧縮ユニット
NL1023687C2 (nl) Systeem voor het afdichten van een ruimte tussen een binnenwand van een buisvormige opening en tenminste een althans voor een deel in de opening opgenomen buis of leiding waarvan de as in hoofdzaak evenwijdig is aan de as van de opening.
JP2007292269A (ja) 流体管の移動防止手段
JP2001115471A (ja) 沈埋トンネルの可撓性継手構造
KR100696402B1 (ko) 내진형 관 연결구
JP2018198513A (ja) 管路口防水装置及びシール部材
JP2007046415A (ja) 目地止水用シール材及び目地止水方法
JP2005344841A (ja) スリーブの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