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예 I - 20-
OTES
-
캄프토테신
캄프토테신(0.100 g, 0.287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3 mL)에 현탁시키고, 그 결과 생성된 현탁액에 이미다졸(0.980 g, 1.44 mmol)을 첨가한다. 얻은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뒤이어 트리에틸실릴 클로라이드(TES-Cl)(0.193 mL, 1.15 mmol)를 적가하고, 뒤이어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0.040 g 0.287 mmol)을 첨가한다. 46시간 후에, 얻은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킨다(반응 시약의 완벽한 소멸을 TLC로 조절, 용리액 CH2C l2/MeOH = 30/1). 뒤이어 얻은 고형물을 CH2Cl2에서 다시 현탁시키고 H2O 및 포화된 NH4Cl로 세척하였다. 수용액 층을 CH2Cl2(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여과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목표로 하는 생성물(0.133 g, 0.287 mmol)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37 (s, 1 H, Ar, H-7), 8.25 (d, 1 H, J = 8.4 Hz, Ar), 7.92 (d, 1 H, J = 8.0 Hz, Ar), 7.82 (t, 1 H, J= 8.0 Hz, Ar), 7.65 (t, 1 H, J= 8.4 Hz, Ar), 7.57 (s, 1 H, H-14), 5.67 (d, 1 H, J = 16.4 Hz, H-17), 5.29 (s, 2H, H-5), 5.25 (d, 1 H, J= 16.4 Hz, H-17), 2.00-1.84 (m, 2H, H-19), 1.03-0.93 (m, 12 H), 0.80-0.71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7, 157.6, 152.5, 151.5, 149.0. 145.9, 130.9, 130.4, 130.0. 128.4, 128.1, 128.0, 127.9, 118.9, 94.4, 75.3, 66.0. 50.0. 33.2, 7.9, 7.2, 6.4.
실시예
II
- 20-
OTES
-
티오
-
캄프토테신
캄프토테신 20-OTES (0.664 g, 1.44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자일렌(20 mL)에 용해시킨다. 뒤이어 로에슨 시약 (LR), (0.523 g, 1.29 mmol)을 첨가하고, 얻은 반응을 90℃까지 가열한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1/1)에 의해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90℃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얻은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4/1 그런 다음 7/2), 목표로 하는 생성물(0.578 g, 1.21 mmol, 84%)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는다.
1H NMR (CDCl3, 400 MHz) δ 8.46 (s, 1 H, Ar, H-7), 8.29 (d, 1 H, J = 8.4 Hz, Ar), 8.03 (s, 1 H, H-14), 7.97 (d, 1 H, J = 8.4 Hz, Ar), 7.86 (t, 1 H, J = 21.8 Hz, Ar), 7.69 (t, 1 H, J = 8.4 Hz, Ar), 6.15 (d, 1 H, J = 16.9 Hz, H-17), 5.62 (d, 1 H, J = 21.0 Hz, H-5), 5.57 (d, 1 H, J = 21.0 Hz, H-5), 5.34 (d, 1 H, J = 16.9 Hz, H-17), 1.94 (d, 1 H, J= 7.6 Hz, H-19), 1.90 (d, 1 H, J= 7.6 Hz, H-19), 1.05-0.91 (m, 12 H, 0.82-0.71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2.3, 171.5, 151.9, 149.1, 148.3, 147.2, 130.8, 130.6, 130.6, 130.1, 128.3, 128.2, 128.2, 128.0. 104.5, 75.0. 68.8, 56.3, 33.5, 7.7, 7.2, 6.4.
실시예
III
-
티오
-
캄프토테신(IDN 6070)의
제조
20-OTES 티오-캄프토테신(0.150 g, 0.314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 (10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0.140 mL, 0.816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1/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2/1 그런 다음 1/1 ), 목표로 하는 생성물(0.112 g, 0.307 mmol, 98%)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46 (s, 1 H, Ar, H-7), 8.27 (d, 1 H, J = 8.4 Hz, Ar), 8.13 (s, 1 H, H-14), 7.97 (d, 1 H, J = 8.4 Hz, Ar), 7.86 (t, 1 H, J = 21.8 Hz, Ar), 7.70 (t, 1 H, J = 8.4 Hz, Ar), 6.25 (d, 1 H, J = 16.9 Hz, H-17), 5.62 (d, 1H, J = 21.0 Hz, H-5), 5.58 (d, 1 H, J = 21.0 Hz, H-5), 5.37 (d, 1 H, J = 16.9 Hz, H-17), 3.80 (s, 1 H, OH), 1.90 (q, 2H, H-19), 1.03 (t, 3 H, J = 7.2 Hz,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5, 172.6, 151.8, 149.1, 148.7, 145.5, 130.9, 130.8, 130.5, 129.9, 128.3 (2 C), 128.2, 128.0. 104.3, 72.3, 69.2, 56.3, 32.0. 7.8.
실시예
IV
- 20-
OTES
SN
-38
SN-38(0.100 g, 0.255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 mL)에 현탁시켰고, 그 결과 얻은 현탁액에 이미다졸(0.087 g, 1.28 mmol)을 첨가한다. 얻은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고, 뒤이어 트리에틸실릴 클로라이드(TES-Cl)(0.171 mL, 1.02 mmol)를 적가하였고, 뒤이어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0.031 g, 0.255 mmol)을 첨가하였다. 52시간 후에, TLC(CH2Cl2/MeOH = 10/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얻은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뒤이어, 얻은 고체를 CH2Cl2에 다시 용해시켰고, H2O 및 포화된 NH4Cl로 세척하였다. 수용액 층을 CH2Cl2(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여과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목표로 하는 생성물(0.121 g, 0.240 mmol, 94%)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9.26 (br s, 1 H, OH), 8.14 (d, 1 H, J = 9.2 Hz, Ar, H-12), 7.58 (s, 1 H, H-14), 7.49 (dd, 1 H, J1 = 9.2 Hz J2 = 2.2 Hz, H-11), 7.46 (d, 1 H, J = 2.2 Hz, H-9), 5.70 (d, 1 H, J = 16.5 Hz, H-17), 5.28 (d, 1 H, J = 16.5 Hz, H-17), 5.23 (s, 2H, H-5), 3.05 (q, 2H, J= 7.5 Hz), 1.97-1.81 (m, 2H, H-19), 1.32 (t, 3 H, J = 7.5 Hz, Me), 0.98-0.88 (m, 12 H), 0.77-0.68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2.1, 157.9, 156.6, 152.1 , 149.0. 146.7, 144.6, 143.6, 131.9, 128.7, 126.9, 122.8, 117.9, 105.5, 98.5, 75.4, 65.9, 49.5, 32.9, 23.2, 13.5, 7.8, 7.2, 6.4.
실시예
V- 10-
OTBDMS
-20-
OTES
SN
-38
20-OTES SN-38(0.121 g, 0.240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CH2Cl2/THF = 1:1 (8 ml) 무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이미다졸(0.081 g, 1.20 mmol)을 첨가하였고, 10분 후에 터트-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TBDMS-Cl)(0.144 mg, 0.957 mmol), 그런 다음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DMAP)(0.029 g 0.240 mmol)을 첨가하였다. 18시간 후에, TLC(헥산/AcOEt = 1/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얻은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용매 증발시켰다. 뒤이어, 얻은 고체를 CH2Cl2에 다시 용해시켰고, H2O 및 포화된 NH4Cl로 세척하였다. 수용액 층을 CH2Cl2 (2 X 10 mL)로 추출하였고,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여과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1/1), 목표로 하는 생성물(0.127 g, 0.205 mmol, 85%)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14 (d, 1 H, J = 8.8 Hz, Ar, H-12), 7.49 (s, 1 H, H-14), 7.40 (d, 1 H, J = 2.2 Hz, H-9), 7.38 (dd, 1 H, J1 = 8.8 Hz J2 = 2.5 Hz, H-11), 5.67 (d, 1 H, J = 16.5 Hz, H-17), 5.25 (d, 1 H, J = 16.5 Hz, H-17), 5.23 (s, 2H, H-5), 3.11 (q, 2H, J= 7.6 Hz), 1.99-1.82 (m, 2H, H-19), 1.38 (t, 3 H, J= 7.6 Hz, Me), 1.04 (s, 9 H), 1.00-0.92 (m, 12 H), 0.78-0.69 (m, 6 H), 0.30 (s,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9, 157.7, 155.1, 151.5, 150.1, 146.8, 145.6, 143.5, 132.2, 128.2, 126.9, 125.9, 118.0. 110.5, 97.7, 75.4, 66.0. 49.3, 33.2, 25.6, 23.1 , 18.3, 13.7, 7.9, 7.2, 6.4, -4.3.
실시예 VI - 10-OTBDMS 20-OTES 티오SN-38
SN-38 10-OTBDMS 20-OTES(0.127 g, 0.205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자일렌(6 mL)에 용해시켰다. 뒤이어 로에슨 시약(LR), (0.075 g, 0.184 mmol)을 첨가하였고 반응을 90℃까지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2/1)에 의해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90℃에서 2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5/1), 목표로 하는 생성물(0.042 g, 0.066 mmol, 32%)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17 (d, 1 H, J = 8.9 Hz, Ar, H-12), 7.96 (s, 1 H, H-14), 7.43 (d, 1 H, J = 2.6 Hz, H-9), 7.41 (dd, 1H, J1 = 8.8 Hz J2 = 2.6 Hz, H-11), 6.16 (d, 1 H, J= 17.1 Hz, H-17), 5.56 (d, 1 H, J= 20.0 Hz, H-5), 5.50 (d, 1 H, J= 20.0 Hz, H-5), 5.33 (d, 1 H, J = 16.5 Hz, H-17), 3.18 (q, 2H, J= 7.6 Hz, 1.91 (q, 2H, J = 7.4 Hz, H-19), 1.41 (t, 3 H, J= 7.6 Hz, Me), 1.05 (s, 9 H), 1.03-0.92 (m, 12 H), 0.81- 0.72 (m, 6 H), 0.31 (s,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2.1, 171.5, 155.4, 149.4, 149.3, 147.4, 145.7, 143.6, 132.4, 129.9, 128.5, 126.5, 126.2, 110.5, 104.1, 75.0. 68.8, 55.8, 33.5, 25.7, 23.2, 18.4, 13.9, 7.8, 7.2, 6.5, -4.3.
실시예
VII
- 20-
OTES
티오SN
-38
10-OTBDMS 20-OTES 티오SN-38 (0.042 g, 0.066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 (4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 (0.013 mL, 0.080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2/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2/1 그런 다음 1/1), 목표로 하는 생성물(0.034 g, 0.065 mmol, 99%)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19 (d, 1 H, J = 9.2 Hz, Ar, H-12), 7.96 (s, 1 H, H-14), 7.44 (dd, 1 H, J1 = 8.8 Hz J2 = 2.6 Hz, H-11), 7.43 (d, 1 H, J = 2.6 Hz, H-9), 6.16 (d, 1 H, J= 17.1 Hz, H-17), 6.02 (br s, 1 H, OH), 5.55 (d, 1 H, J= 19.7 Hz, H-5), 5.49 (d, 1 H, J = 19.7 Hz, H-5), 5.33 (d, 1 H, J = 16.9 Hz, H-17), 3.16 (q, 2H, J = 7.8 Hz), 1.91 (q, 2H, J = 7.6 Hz, H-19), 1.39 (t, 3 H, J = 7.9 Hz, Me), 1.03-0.92 (m, 12 H), 0.81 -0.72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2.0. 171.7, 155.6, 149.1, 149.0. 147.3, 145.2, 143.7, 132.5, 130.0. 128.7, 126.7, 122.4, 105.5, 104.2, 75.1, 68.9, 55.8, 33.5, 23.1 , 13.7, 7.7, 7.2, 6.4.
실시예
VIII
-
티오SN
-38 (
IDN
6156)
20-OTES 티오SN-38(0.034 g, 0.065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4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0.025 ml, 0.150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헥산/AcOEt = 1/1), 실온에서 4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1/3), 목표로 하는 생성물(0.026 g, 0.064 mmol, 98%)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THF-d8, 400 MHz) δ 9.23 (br s, 1H, OH), 8.06 (d, 1 H, J = 9.2 Hz, Ar, H-12), 7.88 (s, 1 H, H-14), 7.41 (d, 1H, J = 2.8 Hz, H-9), 7.38 (dd, 1H, J1 = 9.2 Hz J2 = 2.8 Hz, H-11), 6.08 (d, 1 H, J= 17.2 Hz, H-17), 5.67 (br s, 1 H, OH), 5.50 (s, 2H, H-5), 5.33 (d, 1 H, J = 16.8 Hz, H-17), 3.22 (q, 2H, J= 7.8 Hz), 1.90 (q, 2H, J = 7.6 Hz, H-19), 1.42 (t, 3 H, J= 7.6 Hz, Me), 0.97 (t, 3 H, J= 7.6 Hz, Me). 13C NMR (THF-d8, 100 MHz) δ 173.0. 172.1, 157.5, 149.6, 149.2, 146.1, 145.0. 142.6, 132.3, 130.1, 128.9, 127.6, 122.3, 104.9, 102.3, 72.3, 68.5, 55.8, 31.7, 22.7, 13.1 , 7.3.
실시예
IX
- 20-
OTES
토포테칸
토포테칸(0.100 g, 0.238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 mL)에 현탁시켰고, 그 결과 얻은 현탁액에 이미다졸(0.081 g, 1.19 mmol)을 첨가하였다. 얻은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고, 뒤이어 트리에틸실릴 클로라이드(TES-Cl)(0.160 mL, 0.952 mmol)를 적가하였고, 뒤이어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0.029 g 0.238 mmol)을 첨가하였다. 52시간 후에, TLC(CH2Cl2/MeOH = 10/1)로 시약의 완벽한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뒤이어, 얻은 고체를 CHCl3, H2O 및 포화된 NH4Cl에 다시 용해시켰고, 수용액 층을 CHCl3(2 X 1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여과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목표로 하는 생성물(0.120 g, 0.224 mmol, 94%)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9.65 (br s, 1 H), 8.26 (s, 1 H, Ar, H-7), 8.14 (d, 1 H, J = 8.8 Hz, Ar, H-12), 7.80 (d, 1 H, J = 8.8 Hz, Ar, H-11), 7.58 (s, 1 H, H-14), 5.67 (d, 1 H, J= 16.5 Hz, H-17), 5.25 (d, 1 H, J= 16.5 Hz, H-17), 5.20 (s, 2H, H-5), 4.71 (s, 2 H), 2.81 (S, 6H, 2 Me), 1.97-1.81 (m, 2H, H-19), 0.98-0.88 (m, 12 H), 0.77-0.68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2.1, 157.9, 156.6, 152.1, 150.8, 146.8, 144.3, 134.3, 131.2 129.9, 127.9, 123.0, 118.9, 110.1, 98.5, 75.4, 65.9, 51.1, 50.0, 43.1, 32.9, 7.8, 7.2, 6.4.
실시예
X - 10-
OTBDMS
20-
OTES
토포테칸
20-OTES 토포테칸(0.120 g, 0.224 m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CH2Cl2/THF = 1:1 무수 혼합물(8 mL)에 용해시켰다. 이미다졸(0.076 g, 1 ,12 mmol)을 첨가하였고, 뒤이어 10분 후에, 터트-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TBDMS-Cl), (0.135 mg, 0.896 mmol)를 첨가하였고, 그런 다음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DMAP) (0.027 g 0.224 mmol)을 첨가하였다. 21시간 후에, TLC(헥산/AcOEt = 1/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얻은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뒤이어 얻은 고체를 CHCl3, H2O 및 포화된 NH4Cl에 다시 용해시켰고, 수용액 층을 CHCl3 (2 X 15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여과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1/1), 목표로 하는 생성물(0.116 g, 0.179 mmol, 80%)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26 (s, 1 H, Ar, H-7), 8.14 (d, 1 H, J = 8.8 Hz, Ar, H-12), 7.81 (d, 1 H, J = 8.8 Hz, Ar, H-11), 7.59 (s, 1 H, H-14), 5.64 (d, 1 H, J = 16.5 Hz, H-17), 5.22 (d, 1 H, J = 16.5 Hz, H-17), 5.19 (s, 2H, H-5), 4.71 (s, 2 H), 2.81 (s, 6H, 2 Me), 1.97-1.81 (m, 2H, H-19), 1.04 (s, 9 H), 0.98-0.88 (m, 12 H), 0.77-0.68 (m, 6 H), 0.30 (s,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7, 157.7, 155.1, 151.5, 150.0, 146.8, 144.3, 134.3, 131.2 129.9, 127.9, 123.0, 118.9, 110.1, 98.5, 75.4, 65.9, 51.1, 50.0. 43.9, 32.9, 25.6, 18.3, 7.8, 7.2, 6.4, -4.3.
실시예
XI
- 10-
OTBDMS
20-
OTES
티오
-
토포테칸
10-OTBDMS 20-OTES 토포테칸(0.116 g, 0.179 m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자일렌(6 ml)에 용해시켰다. 뒤이어, 로에슨 시약(LR), (0.065 g, 0.161 mmol)을 첨가하였고, 반응을 90℃까지 가열시켰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2/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90℃에서 2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5/1), 목표로 하는 생성물(0.047 g, 0.072 mmol, 40%)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35 (s, 1 H, Ar, H-7), 8.17 (d, 1 H, J = 8.8 Hz, Ar, H-12), 7.96 (s, 1 H, H-14), 7.85 (d, 1H, J = 8.8 Hz, Ar, H-11), 6.16 (d, 1 H, J = 16.5 Hz, H-17), 5.52 (d, 1 H, J = 21.0 Hz, H-5), 5.48 (d, 1 H, J= 21.0 Hz, H-5), 5.33 (d, 1 H, J= 16.5 Hz, H-17), 4.73 (s, 2 H), 2.81 (s, 6H, 2 Me), 1.92 (q, 2H, J= 7.6 Hz, H-19), 1.04 (s, 9 H), 0.98-0.88 (m, 12 H), 0.77-0.68 (m, 6 H), 0.30 (s,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2.5, 171.5, 155.1, 149.9, 149.4, 147.2, 144.3, 134.3, 132.1 129.9, 127.9, 126.5, 123.0. 110.1, 104.2, 75.4, 67.9, 55.1, 50.0. 43.9, 32.9, 25.6, 18.3, 7.8, 7.2, 6.4, -4.3.
실시예
XII
- 20-
OTES
티오
-
토포테칸
10-OTBDMS 20-OTES 티오-토포테칸(0.047 g, 0.072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4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0.014 mL, 0.086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2/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2/1 그런 다음 1/1), 목표로 하는 생성물(0.039 g, 0.071 mmol, 99%)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36 (s, 1 H, Ar, H-7), 8.17 (d, 1 H, J = 8.8 Hz, Ar, H-12), 7.96 (s, 1 H, H-14), 7.85 (d, 1 H, J = 8.8 Hz, Ar, H-11), 6.16 (d, 1 H, J = 16.5 Hz, H-17), 6.02 (br s, 1 H, OH), 5.52 (d, 1 H, J= 21.0 Hz, H-5), 5.48 (d, 1 H, J = 21.0 Hz, H-5), 5.33 (d, 1 H, J = 16.5 Hz, H-17), 4.73 (s, 2 H), 2.81 (s, 6H, 2 Me), 1.92 (q, 2H, J = 7.2 Hz, H-19), 0.98-0.88 (m, 12 H), 0.77-0.68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2.5, 171.5, 155.1, 149.9, 149.4, 147.2, 144.3, 134.3, 132.1 129.9, 127.9, 126.5, 123.0, 110.1, 104.2, 75.4, 67.9, 55.1, 50.0. 43.9, 32.9, 7.8, 7.2, 6.4.
실시예
XIII
-
티오
-
토포테칸
(
IDN
6180)
티오-토포테칸 10-OH 20-OTES(0.039 g, 0.071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4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0.026 mL, 0.163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1/2)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4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1/3), 목표로 하는 생성물(0.030 g, 0.069 mmol, 98%)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36 (s, 1H, Ar, H-7), 8.17 (d, 1 H, J = 8.8 Hz, Ar, H-12), 7.96 (s, 1H, H-14), 7.85 (d, 1 H, J = 8.8 Hz, Ar, H-11), 6.16 (d, 1 H, J = 16.5 Hz, H-17), 6.02 (br s, 1 H, OH), 5.52 (d, 1 H, J= 21.0 Hz, H-5), 5.48 (d, 1 H, J = 21.0 Hz, H-5), 5.33 (d, 1H, J = 16.5 Hz, H-17), 4.73 (s, 2 H), 3.84 (br s, 1 H, OH), 2.81 (s, 6H, 2 Me), 1.92 (q, 2H, J= 7.6, Hz H-19), 1.03 (t, 3 H1 J= 7.6 Hz,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2.5, 171.5, 155.1, 149.9, 149.4, 147.2, 144.3, 134.3, 132.1 129.9, 127.9, 126.5, 123.0, 110.1, 104.2, 72.4, 67.9, 55.1, 50.0. 43.9, 32.9, 7.8.
실시예
XIV
- 20-
OTES
10-
히드록시캄프토테신의
제조
10-히드록시캄프토테신(0.100 g, 0.275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5 ml)에 현탁시켰고, 그 결과 얻은 현탁액에 이미다졸(0.225 g, 3.31 mmol)을 첨가하였다. 얻은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고, 뒤이어 트리에틸실릴 클로라이드(TES-Cl)(0.460 mL, 2,75 mmol)를 적가하였고, 뒤이어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0.068 g, 0.550 mmol)을 첨가하였다. 24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TLC(CH2Cl2/MeOH = 20/1)로 시약의 완벽한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뒤이어 얻은 고체를 CH2Cl2에 다시 용해시켰고, H2O 및 포화된 NH4Cl로 세척하였다. 수용액 층을 CH2Cl2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여과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목표로 하는 생성물(0.124 g, 0.259 mmol, 94%)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 5% CD3OD, 400 MHz) δ 8.10 (s, 1 H, Ar, H-7), 8.05 (d, 1 H, J = 9.2 Hz, Ar), 7.50 (s, 1 H, H-14), 7.39 (dd, 1 H, J1 = 9.2 Hz J2 = 2.4 Hz, H-11), 7.11 (d, 1 H, J = 2.2 Hz, H-9), 5.60 (d, 1 H, J= 16.4 Hz, H-17), 5.21 (d, 1 H, J= 16.4 Hz, H-17), 5.15 (s, 2H, H-5), 1.97-1.81 (m, 2H, H-19), 0.98-0.88 (m, 12 H), 0.76-0.68 (m, 6 H). 13C NMR (CDCl3 + 5% CD3OD, 100 MHz) δ 172.2, 157.8, 156.7, 151.8, 149.2, 146.1, 144.1, 130.9, 129.8, 129.0, 128.6, 123.2, 117.8, 108.8, 98.1, 75.4, 65.8, 50.0. 32.9, 7.7, 7.1, 6.3.
실시예
XV
- 10-
OTBDMS
-20-
OTES
캄프토테신
10-히드록시-20-OTES-캄프토테신(0.105 g, 0.219 mmol)을 비활성 분위기에서 CH2Cl2/THF = 1:1 무수 혼합물(4 mL)에서 용해시켰다. 이미다졸(0.097 g, 1.42 mmol)을 첨가하였고, 10분 후에, 터트-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TBDMS-Cl), (0.164 mg, 1.10 mmol)를 첨가하였고, 그 다음에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DMAP) (0.040 g, 0.329 mmol)을 첨가하였다. 18시간 후에,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시클로헥산/AcOEt = 1/3)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뒤이어 얻은 고체를 CH2Cl2에서 다시 용해시켰고, H2O 및 포화된 NH4Cl로 세척하였고, 수용액 층을 CH2Cl2(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여과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시클로헥산/AcOEt = 1/3), 목표로 하는 생성물(0.117 g, 0.197 mmol, 90%)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22 (s, 1 H, Ar, H-7), 8.13 (d, 1 H, J = 9.2 Hz, Ar, H-12), 7.51 (s, 1 H, H-14), 7.39 (dd, 1 H, J1 = 9.2 Hz J2 = 2.8 Hz, H-11), 7.22 (d, 1 H, J= 2.8 Hz, H-9), 5.66 (d, 1H, J= 16.5 Hz, H-17), 5.25 (s, 2H, H-5), 5.24 (d, 1 H, J = 16.5 Hz, H-17), 1.99-1.82 (m, 2H, H-19), 1.03 (s, 9 H), 1.00-0.92 (m, 12 H), 0.78-0.69 (m, 6 H), 0.29 (s,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2.0. 157.7, 155.1, 151.5, 150.6, 146.1, 145.1 , 131.4, 129.4, 129.3, 128.7, 126.7, 118.3, 114.5, 97.7, 75.3, 66.0. 49.9, 33.1, 25.6, 18.3, 7.9, 7.2, 6.4, -4.3.
실시예
XVI
- 10-
OTBDMS
-20-
OTES
티오
-
캄프토테신
10-OTBDMS 20-OTES 캄프토테신(0.350 g, 0.589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자일렌(10 ml)에 용해시켰다. 뒤이어, 로에슨 시약(LR), (0.590 g, 1 ,47 mmol)을 첨가하였고, 얻은 반응을 90℃까지 가열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시클로헥산/AcOEt = 1/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95℃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시클로헥산/AcOEt = 4/1), 목표로 하는 생성물(0.323 g, 0.530 mmol, 90%)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28 (s, 1 H, Ar, H-7), 8.16 (d, 1 H, J = 8.8 Hz, Ar, H-12), 7.97 (s, 1 H, H-14), 7.40 (dd, 1 H, J1 = 9.2 Hz J2 = 2.8 Hz, H-11), 7.26 (d, 1 H, J= 2.8 Hz, H-9), 6.15 (d, 1H, J= 16.8 Hz, H-17), 5.58 (d, 1 H, J= 20.0 Hz, H-5), 5.53 (d, 1 H, J= 20.0 Hz, H-5), 5.33 (d, 1 H, J= 16.8 Hz, H-17), 1.91 (q, 2H, J= 7.4 Hz, H-19), 1.04 (s, 9 H), 1.02-0.92 (m, 12 H), 0.82-0.72 (m, 6 H), 0.30 (s,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2.1, 171.5, 155.5, 149.8, 148.6, 147.3, 145.3, 131.5, 130.1, 129.8, 129.1, 128.3, 127.0. 114.5, 104.0. 75.0. 68.8, 56.3, 33.5, 25.6, 18.3, 7.8, 7.2, 6.4, -4.3.
실시예
XVII
- 10-히드록시-
티오
-
캄프토테신(IDN 6181)의
제조
티오-캄프토테신 10-OTBDMS 20-OTES(0.320 g, 0.524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 (8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 (0.670 mL, 4.19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CH2Cl2/MeOH = 25/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CH2Cl2/Me0H = 25/1 그런 다음 20/1), 목표로 하는 생성물(0.189 g, 0.498 mmol, 95%)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THF-d8, 400 MHz) δ 9.20 (br s, 1 H, OH), 8.37 (s, 1 H, Ar, H-7), 8.05 (d, 1 H, J = 9.2 Hz, Ar, H-12), 7.89 (s, 1H, H-14), 7.39 (dd, 1 H, J1 = 9.2 Hz J2 = 2.8 Hz, H-11), 7.22 (d, 1H, J= 2.8 Hz, H-9), 6.07 (d, 1 H, J = 17.2 Hz, H-17), 5.70 (br s, 1 H, OH), 5.47 (S, 2 H, H-5), 5.33 (d, 1 H, J = 16.8 Hz, H-17), 1.89 (q, 2H, J= 7.6 Hz, H-19), 0.97 (t, 3 H, J = 7.6 Hz, Me). 13C NMR (THF-d8, 100 MHz) δ 173.0, 172.1, 157.4, 149.7, 149.0. 146.1, 144.5, 131.3, 130.5, 130.2, 129.7, 128.6, 123.0. 108.9, 102.3, 72.3, 68.5, 56.5, 31.7, 7.3.
실시예
XVIII
-
티오
-
토포테칸
히드로클로라이드
(
IDN
6180)
10-히드록시-티오-캄프토테신(0.150 g, 0.421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CH2Cl2 (3.5 mL)와 n-프로판올(1.8 mL)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뒤이어, 비스(디메틸아미노)메탄(0.092 g, 0.905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CH2Cl2/MeOH = 25/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약 5시간 후에, n-프로판올 1 ml 중 농축된 HCl 0.125 g의 혼합물을 첨가하였고, 얻은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였고, CH2Cl2와 Et2O로 반복적으로 세척하여, 목표로 하는 생성물(0.168 g, 0.370 mmol, 88%)을 붉은-오렌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DMSO-d6, 400 MHz) δ 11.51 (br s, 1 H, OH), 9.78 (br s, 1 H, OH), 9.06 (s, 1 H, Ar, H-7), 8.21 (d, 1 H, J= 8.8 Hz, Ar), 7.76 (s, 1 H, H-14), 7.72 (d, 1 H, J = 8.8 Hz, Ar), 5.91 (d, 1 H, J = 16.4 Hz, H-17), 5.50 (d, 1H, J= 16.4 Hz, H-17), 5.49 (s, 2H, H-5), 4.73 (s, 1 H, CH2NMe2), 4.72 (s, 1 H, CH2NMe2), 2.83 (s, 3 H, Me), 2.82 (s, 3 H, Me), 1.87 (q, 2H, J = 7.6 Hz, H-19), 0.85 (t, 3 H, J = 7.6 Hz, Me). 13C NMR (DMSO-d6, 100 MHz) δ 172.7, 172.1, 158.8, 149.6, 148.8, 147.0, 144.2, 133.7, 130.6, 130.6, 129.9, 127.5, 123.2, 109.1, 103.6, 72.8, 68.6, 57.4, 51.1, 43.1, 31.2, 8.3.
실시예
XIX
- 5-F-20-
OTES
-
캄프토테신
캄프토테신 20-OTES (0.100 g, 0.216 mmol)을 비활성 분위기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 (6 ml)에 용해시켰고, 그런 다음 -78℃의 농도까지 냉각시켰고, THF 중 1.0 M LiHMDS 용액(0.260 mL, 0.260 mmol)을 적가하였다. 20분 후에, 무수 THF (2 mL) 중 NFSI(0.089 g, 0.281 mmol)을 첨가하였다. -78℃에서 2시간 후에, 온도를 25℃까지 높여 유지시켰고, 시약의 소멸을 TLC(헥산/AcOEt = 1/2)로 모니터하였다. 두 개의 부분 입체이성질체의 생성을 관찰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후에, 포화된 NH4Cl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수용액 층을 CH2Cl2(3 x 15 mL)로 추출하였고,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여과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3/1, 그런 다음 2/1 및 최종적으로 1/1), 이성질체 두 개의 혼합물(0.101 g, 0.210 mmol, 97%,) (1:1 이성질체 비율)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이성질체 두 개를 추가적인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용리되는 순서에 따름:
첫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 1H NMR (CDCl3, 400 MHz) δ 8.52 (s, 1 H, Ar, H-7), 8.25 (d, 1 H, J= 8.4 Hz, Ar), 7.96 (d, 1H, J= 8.4 Hz, Ar), 7.87 (t, 1 H, J= 8.4 Hz, Ar), 7.69 (t, 1 H, J = 8.4 Hz, Ar), 7.47 (d, 1 H, 1JHF = 61.2 Hz, H-5), 7.45 (s, 1 H, H-14), 5.62 (d, 1 H, J = 16.8 Hz, H-17), 5.22 (d, 1 H, J = 16.8 Hz, H-17), 2.02-1.84 (m, 2H, H-19), 1.03-0.93 (m, 12 H), 0.80- 0.71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4, 157.5, 152.3, 151.1, 150.2 (d, J = 1.5 Hz), 150.3 (d, J = 1.5 Hz), 143.6 (d, J = 5.3 Hz), 133.7, 131.7, 130.2, 128.9, 128.4, 127.9 (d, J = 15.0 Hz), 126.3 (d, J = 15.0 Hz), 121.8, 98.9, 93.8 (d, 1JCF = 213.2 Hz, C-5), 75.1, 65.7, 33.1, 7.8, 7.2, 6.4.
두 번째 부분 입체 이성질체: 1H NMR (CDCl3, 400 MHz) δ 8.51 (s, 1 H, Ar, H-7), 8.25 (d, 1 H, J= 8.4 Hz, Ar), 7.96 (d, 1 H, J= 8.4 Hz, Ar), 7.87 (t, 1 H, J= 8.4 Hz, Ar), 7.68 (t, 1 H, J = 8.4 Hz, Ar), 7.51 (d, 1 H, 1JHF = 60.8 Hz, H-5), 7.42 (s, 1 H, H-14), 5.62 (d, 1 H, J = 17.2 Hz, H-17), 5.20 (d, 1 H, J = 17.2 Hz, H-17), 2.02-1.82 (m, 2H, H-19), 1.04-0.93 (m, 12 H), 0.80-0.71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2, 157.8, 152.5, 151.2, 150.3, 143.7, 133.7 (d, J= 2.4 Hz), 131.7, 130.2, 128.9, 128.3, 127.9 (d, J = 2.3 Hz), 126.3 (d, J = 16.7 Hz), 121.8 (d, J = 1.5 Hz), 99.0, 93.8 (d, 1JCF = 214.8 Hz, C-5), 75.0, 65.8, 33.3, 7.9, 7.1, 6.4.
실시예
XX
- 5-F-20-
OH
-
캄프토테신의
첫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5-F-20-OTES-캄프토테신(0.025 g, 0.052 mmol)의 첫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를 비활성 분위기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 (5 ml)에서 용해시켰다. 뒤이어, Et3N· 3HF (0.060 ml, 0.368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1/2)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2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SiO2, 헥산/AcOEt = 1/1), 목표로 하는 생성물(0.019 g, 0.051 mmol, 98%)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52 (s, 1H, Ar, H-7), 8.25 (d, 1 H, J = 8.4 Hz, Ar), 7.96 (d, 1 H, J= 8.4 Hz, Ar), 7.87 (t, 1 H, J= 8.4 Hz, Ar), 7.69 (t, 1 H, J= 8.4 Hz, Ar), 7.59 (s, 1 H, H-14), 7.46 (d, 1 H, 1JHF = 61.2 Hz, H-5), 5.69 (d, 1 H, J = 16.8 Hz, H-17), 5.26 (d, 1 H, J= 16.8 Hz, H-17), 3.87 (br s, 1 H, OH), 2.01-1.81 (m, 2H1 H-19), 1.05 (t, 3 H, J = 7.6 Hz,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5, 157.6, 151.1, 151.0. 150.2, 144.1, 133.9, 131.9, 130.0. 129.0. 128.5, 127.8, 126.4, 121.7, 98.8, 93.8 (d, 1JCF = 214.0 Hz, C-5), 72.5, 66.0, 31.5, 7.8.
실시예
XXI
- 5-F-20-
OH
-
캄프토테신의
두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5-F-20-OTES-캄프토테신의 두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0.025 g, 0.052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 (5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0.060 mL, 0.368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1/2)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2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SiO2, 헥산/AcOEt = 1/1), 목표로 하는 생성물(0.018 g, 0.050 mmol, 97%)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52 (s, 1 H, Ar, H-7), 8.24 (d, 1 H, J = 8.4 Hz, Ar), 7.96 (d, 1 H, J= 8.4 Hz, Ar), 7.88 (t, 1 H, J= 8.4 Hz, Ar), 7.69 (t, 1 H, J= 8.4 Hz, Ar), 7.56 (s, 1H, H-14), 7.51 (d, 1 H, 1JHF = 60.4 Hz, H-5), 5.69 (d, 1 H, J= 16.4 Hz, H-17), 5.25 (d, 1 H, J= 16.4 Hz, H-17), 3.87 (br s, 1 H, OH), 1.98-1.78 (m, 2H, H-19), 1.04 (t, 3 H, J = 7.6 Hz,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3, 157.7, 151.2, 151.2, 150.2, 144.2, 133.8, 131.9, 130.0, 129.0, 128.5, 127.8, 126.4, 121.6, 98.9, 93.7 (d, 1JCF = 214.0 Hz, C-5), 72.5, 66.1 , 31.6, 7.8.
실시예
XXII
- 5-
N3
-20-
OTES
-
캄프토테신의
제조
캄프토테신 20-OTES (0.100 g, 0.216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6 ml)에 용해시켰고, 그런 다음 -78℃의 온도까지 냉각시켰고, THF 중 1.0 M LiHMDS 용액(0.260 mL, 0.260 mmol)을 적가하였다. 20분 후에, 무수 THF (2 mL) 중 토실 아지드(TsN3) (0.055 g, 0.281 mmol)를 첨가하였다. -78℃에서 2시 간 후에, 온도를 25℃까지 높여 유지하였고, 시약의 소멸을 TLC(헥산/AcOEt = 2/1)로 모니터하였다. 부분 입체이성질체 두 개의 생성이 관찰되었다. 실온에서 2시간 30분 후에, 포화된 NH4Cl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수용액 층을 CH2Cl2 (3 x 15 mL)로 추출하였고,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부분 입체이성질체 두 개로 구성되는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3/1, 그런 다음 2/1 및 최종으로 1/1), 이성질체 두 개의 혼합물(0.106 g, 0.210 mmol, 97%)(이성질체 비율 1 :1)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이성질체 두 개를 추가적인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용리 순서에 따름:
첫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 1H NMR (CDCl3, 400 MHz) δ 8.45 (s, 1 H, Ar, H-7), 8.25 (d, 1 H, J= 8.4 Hz, Ar), 7.95 (d, 1 H, J= 8.4 Hz, Ar), 7.86 (t, 1 H, J= 8.4 Hz, Ar), 7.68 (t, 1H, J = 8.4 Hz, Ar), 7.49 (s, 1 H, H-14), 6.97 (s, 1H, H-5), 5.65 (d, 1H, J = 16.8 Hz, H-17), 5.26 (d, 1H, J = 16.8 Hz, H-17), 2.01-1.84 (m, 2H, H-19), 1.03-0.94 (m, 12 H), 0.80-0.71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6, 158.3, 152.2, 150.8, 150.0. 144.0. 132.9, 131.4, 130.1, 128.6, 128.3, 128.2, 128.1, 120.8, 98.7, 75.4, 75.2, 65.7, 33.1, 7.9, 7.2, 6.4.
두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 1H NMR (CDCl3, 400 MHz) δ 8.45 (s, 1 H, Ar, H-7), 8.24 (d, 1 H, J = 8.4 Hz, Ar), 7.95 (d, 1 H, J= 8.4 Hz, Ar), 7.86 (t, 1 H, J = 8.4 Hz, Ar), 7.68 (t, 1 H, J = 8.4 Hz, Ar), 7.46 (s, 1 H, H-14), 6.99 (s, 1 H, H-5), 5.66 (d, 1 H, J = 16.8 Hz, H-17), 5.22 (d, 1 H, J = 16.8 Hz, H-17), 2.02-1.84 (m, 2H, H-19), 1.03-0.94 (m, 12 H), 0.80-0.71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4, 158.4. 152.3, 150.9, 150.0, 144.0, 132.9, 131.4, 130.1, 128.6, 128.3, 128.2, 128.1, 120.8, 98.7, 75.3, 75.1, 65.8, 33.3, 7.9, 7.2, 6.4.
실시예
XXIII
- 5-
N3
-20-
OH
-
캄프토테신의
첫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5-N3-20-OTES-캄프토테신(0.070 g, 0.139 mmol)의 부분 입체이성질체 1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 (6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 (0.170 mL, 1,016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1/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2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1/1), 목표로 하는 화합물(0.053 g, 0.136 mmol, 98%)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44 (s, 1 H, Ar, H-7), 8.24 (d, 1 H, J = 8.4 Hz, Ar), 7.93 (d, 1 H, J= 8.4 Hz, Ar), 7.85 (t, 1 H, J= 8.4 Hz, Ar), 7.67 (t, 1 H, J= 8.4 Hz, Ar), 7.63 (s, 1 H, H-14), 6.97 (s, 1 H, H-5), 5.70 (d, 1 H, J = 16.8 Hz, H-17), 5.29 (d, 1 H, J= 16.8 Hz, H-17), 3.99 (br s, 1 H, OH), 2.00-1.84 (m, 2H, H-19), 1.04 (t, 3 H, J = 7.6 Hz,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6, 158.3, 150.8, 150.7, 149.8, 144.4, 133.1, 131.5, 129.9, 128.6, 128.3, 128.3, 128.1, 120.6, 98.6, 75.4, 72.7, 66.0, 31.5, 7.8.
실시예
XXIV
- 5-
N3
-
캄프토테신의
두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5-N3-20-OTES-캄프토테신의 부분 입체이성질체 2(0.055 g, 0.109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 (6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 (0.135 ml, 0.820 mmol)를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1/1)로 출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2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1/1), 목표로 하는 생성물(0.042 g, 0.107 mmol, 98%)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8.45 (s, 1 H, Ar, H-7), 8.23 (d, 1 H, J = 8.4 Hz, Ar), 7.95 (d, 1 H, J = 8.4 Hz, Ar), 7.85 (t, 1 H, J= 8.4 Hz, Ar), 7.68 (t, 1 H, J= 8.4 Hz, Ar), 7.60 (s, 1 H, H-14), 7.00 (s, 1 H, H-5), 5.74 (d, 1 H, J = 16.8 Hz, H-17), 5.28 (d, 1 H, J= 16.8 Hz, H-17), 3.86 (br s, 1 H, OH), 1.98-1.82 (m, 2H, H-19), 1.04 (t, 3 H, J = 7.6 Hz,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4, 158.4, 150.9, 150.7, 149.8, 144.5, 133.0, 131.5, 129.9, 128.6, 128.4, 128.3, 128.1, 120.6, 98.6, 75.3, 72.6, 66.1, 31.6, 7.8.
실시예 XXV - 5-NH2-캄프토테신의 제조
5-N3-20-OH-캄프토테신의 부분 입체이성질체 2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무수 THF (1.5 mL)와 무수 MeOH (6 mL)의 혼합물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Pd/C (14 mg ~ 10%)를 첨가하였고, 진공/H2 (H2 압력 풍선)의 두 번의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1/3)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그런 다음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고 CH2Cl2 (2 x 15 mL)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미정제된 반응물의 1H NMR 분광 결과는 5번 위치에서 두 개의 에피머의 1:1 혼합물로 목표로 하는 생성물의 존재를 보여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SiO2, CH2Cl2/MeOH = 35/1 그런 다음 25/1)는 두 개의 부분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0.046 g, 0.126 mmol, 98%)의 회수를 가능하게 한다.
1H NMR (CDCl3, 400 MHz) δ 8.48 (s, 1 H, Ar, H-7), 8.22-8.17 (m, 1 H, Ar), 7.95-7.90 (m, 1 H, Ar), 7.85-7.78 (m, 1 H, Ar), 7.68-7.60 (m, 1 H, Ar), 7.58 (s, 0.5 H, H-14), 7.54 (s, 0.5 H, H-14) 6.50 (s, 0.5 H, H-5), 6.47 (s, 0.5 H, H-5), 5.74-5.64 (m, 1 H, H-17), 5.28-5.22 (m, 1 H, H-17), 4.00-2.40 (br s, 3 H, OH + NH2), 1.98-1.82 (m, 2H, H-19), 1.07-1.01 (m, 3 H,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8 (2 C), 158.5 (2 C), 151.2 (2 C), 150.4 (2 C), 149.7 (2 C), 144.5 (2 C), 132.7 (2 C), 131.0 (2 C), 129.8 (2 C), 128.5 (2 C), 128.3 (2 C), 128.0 (2 C), 127.8 (2 C), 120.2 (2 C), 113.8 (2 C), 97.7 (2 C), 72.7 (2 C), 66.3, 66.0, 31.5 (2 C), 7.8, 7.8.
실시예
XXVI
- 5-디-t-
부톡시카르보닐히드라지노
-20-
OTES
-
캄프토테신
캄프토테신 20-OTES(0.100 g, 0.216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 (6 mL)에 용해시켰고, 그런 다음 -78℃의 온도까지 냉각시켰고, THF 중 1.0 M LiHMDS 용액(0.281 mL, 0.281 mmol)을 적가하였다. 20분 후에, 무수 THF (2 mL) 중 디-터트-부틸아조 디카르복실레이트(DTBAC) (0.075 g, 0.324 mmol)를 첨가하였다. -78℃에서 4시간 후에, 시약의 소멸을 TLC (헥산/AcOEt = 3/1)로 모니터하였다. 부분 입체이성질체 두 개의 생성을 관찰하였다. 포화된 NH4Cl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수용액 층을 CH2Cl2 (3 x 15 mL)로 추출하였고,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여과하였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3/1), 이성질체 두 개의 혼합물(0.145 g, 0.210 mmol, 97%)을 얻었다. 이성질체 두 개를 추가적인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용리되는 순서에 따름:
첫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 1H NMR (CDCl3, 400 MHz) δ 8.80 (br s, 1 H, Ar), 8.23 (d, 1 H, J = 8.4 Hz, Ar), 8.01 (br d, 1 H, Ar), 7.90-7.71 (m, 2 H, Ar), 7.70-7.45 (m, 2H, Ar + H-14), 6.52 (br s, 1 H, H-5), 5.61 (d, 1 H, J = 16.8 Hz, H-17), 5.23 (d, 1 H, J= 16.8 Hz, H-17), 2.03-1.81 (m, 2H, H-19), 1.79-1.08 (br s, 18 H), 1.06-0.92 (m, 12 H), 0.80-0.70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7, 157.8, 155.5, 155.5, 152.0, 152.0, 151.2, 149.4, 145.0, 132.1, 130.6, 130.0, 128.7, 128.4, 127.9, 119.9, 98.2, 82.7, 81.5, 79.7, 75.2, 65.7, 33.2, 28.3, 27.6, 7.7, 7.2, 6.4.
두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 1H NMR (CDCl3, 400 MHz) δ 8.79 (br s, 1 H, Ar), 8.23 (d, 1 H, J= 8.4 Hz, Ar), 8.01 (br d, 1 H, Ar), 7.85-7.76 (m, 2H, Ar), 7.65 (br t, 1 H, J= 8.4 Hz, Ar), 7.52 (s, 1 H, H-14), 6.54 (br s, 1 H, H-5), 5.61 (d, 1 H, J = 16.8 Hz, H-17), 5.22 (d, 1 H, J = 16.8 Hz, H-17), 2.03-1.82 (m, 2H, H-19), 1.76-1.08 (br s, 18 H), 1.04-0.92 (m, 12 H), 0.80-0.70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5, 157.9, 155.5, 155.5, 152.3, 152.0, 151.2, 149.4, 145.1, 132.1, 130.6, 130.0, 128.7, 128.4, 127.9, 119.9, 98.2, 82.9, 81.5, 79.6, 75.2, 65.8, 33.3, 28.3, 27.4, 7.8, 7.2, 6.4.
실시예
XXVII
- 5-디-t-
부톡시카르보닐히드라지노
-20-
OH
-
캄프토테신의
첫 번 째 부분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5-디-t-부톡시카르보닐히드라지노-20-OTES-캄프토테신의 첫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0.050 g, 0.072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4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0.088 mL, 0.542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3/2)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3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3/2), 목표로 하는 화합물(0.041 g, 0.071 mmol, 98%)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얻은 생성물을 CH2Cl2/펜탄 = 1/50으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해 추가적으로 정제하였다.
1H NMR (CDCl3, 400 MHz) δ 8.77 (br s, 1 H, Ar), 8.16 (br d, 1 H, J = 8.0 Hz, Ar), 7.97 (br s, 1 H, Ar), 7.86-7.50 (m, 4 H, Ar), 6.51 (br s, 1 H, H-5), 5.66 (d, 1 H, J = 16.4 Hz, H-17), 5.24 (d, 1 H, J= 16.4 Hz, H-17), 3.86 (br s, 1 H, OH), 2.00-1.80 (m, 2H, H-19), 1.79-1.13 (br s, 18 H), 1.03 (t, 3 H, J = 7.6 Hz,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7, 157.9, 155.5, 155.5, 152.1, 151.3, 150.7, 149.6, 145.7, 132.3, 130.7, 129.9, 128.7, 127.9, 127.6, 120.0, 97.9, 82.8, 81.6, 79.7, 72.7, 66.1, 31.8, 28.3, 27.7, 7.7.
실시예
XXVIII
- 5-디-t-
부톡시카르보닐히드라지노
-20-
OH
-
캄프토테신의
두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5-디-t-부톡시카르보닐히드라지노-20-OTES-캄프토테신의 두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0.050 g, 0.072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4,5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0.088 ml, 0.542 mmol)를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3/2)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3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3/2), 목표로 하는 화합물(0.040 g, 0.069 mmol, 96%)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얻은 생성물을 CH2Cl2/펜탄 = 1/50으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해 추가적으로 정제하였다.
1H NMR (CDCl3, 400 MHz) δ 8.79 (br s, 1H, Ar), 8.22 (br d, 1 H, J = 8.4 Hz, Ar), 7.99 (br s, 1 H, Ar), 7.88-7.50 (m, 4 H, Ar), 6.53 (br s, 1 H, H-5), 5.65 (d, 1 H, J = 16.4 Hz, H-17), 5.26 (d, 1H, J = 16.4 Hz, H-17), 3.80 (br s, 1 H, OH), 2.00-1.80 (m, 2H, H-19), 1.79-1.13 (br s, 18 H), 1.03 (t, 3 H, J = 7.2 Hz,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6, 157.9, 155.4, 155.4, 152.1, 151.3, 150.8, 149.5, 145.6, 132.3, 130.8, 129.8, 128.7, 127.9, 127.8, 119.8, 98.0, 83.0, 81.5, 79.7, 72.7, 66.3, 31.8, 28.3, 27.7, 7.8.
실시예
XXIX
- 5-
디벤질옥시카르보닐히드라지노
-20-
OTES
-
캄프토테신의
제조
캄프토테신 20-OTES(0.100 g, 0.216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6 mL)에 용해시켰고, 그런 다음 -78℃의 온도까지 냉각시켰고, THF 중 1.0 M LiHMDS 용액(0.281 mL, 0.281 mmol)을 적가하였다. 20분 후에, 무수 THF (2 mL) 중 디벤질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0.097 g, 0.324 mmol)를 첨가하였다. -78℃에서 3시간 후에, 온도를 25℃까지 높여 유지하였고, 시약의 소멸을 TLC(헥산/AcOEt = 3/1)로 모니터하였다. 부분 입체이성질체 두 개의 생성이 관찰되었다. 실온에서 90분 후에, 포화된 NH4Cl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수용액 층을 CH2Cl2 (3 x 15 mL)로 추출하였고, 유기층을 합하였고, Na2SO4로 물을 제거하였고, 여과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4/1 그런 다음 7/2), 연한 노란색 고체(0.161 g, 0.212 mmol, 98%)를 얻었다. 이성질체 두 개를 추가적인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용리되는 순서에 따름:
첫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 1H NMR (CDCl3, 400 MHz) δ 8.70 (br s, 1 H, Ar), 8.39 (br s 1 H, Ar), 8.22 (br d, 1 H, J = 7.6 Hz, Ar), 7.95 (br d, 1H, J = 7.6 Hz, Ar), 7.83 (br t, 1 H, J = 7.6 Hz, Ar), 7.65 (br t, 1 H, J = 7.6 Hz, Ar), 7.64-7.00 (m, 11 H, Ar + H-14), 6.49 (br s, 1 H, H-5), 5.57 (d, 1 H, J = 16.4 Hz, H-17), 5.47-4.44 (m, 5 H), 1.98-1.82 (m, 2H, H-19), 1.02-0.89 (m, 12 H), 0.80-0.70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6, 158.0, 156.3, 156.3, 153.0, 152.2, 151.0, 149.6, 144.8, 135.3, 132.1, 130.6, 130.0, 128.6-127.8 (11 C), 119.9, 98.4, 79.5, 75.2, 68.4, 67.9, 65.6, 33.0, 7.9, 7.2, 6.4.
두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 1H NMR (CDCl3, 400 MHz) δ 8.85 (br s, 1 H, Ar), 8.58 (br s 1 H, Ar)1 8.20 (br s, 1 H, Ar), 7.93 (br s, Ar), 7.81 (br t, 1 H, J= 7.6 Hz, Ar), 7.63 (br t, 1 H, J = 7.6 Hz, Ar), 7.56-6.90 (m, 11 H, Ar + H-14), 6.52 (br s, 1 H, H-5), 5.55 (d, 1 H, J = 16.8 Hz, H-17), 5.44-4.71 (m, 5 H), 1.98-1.80 (m, 2H, H-19), 1.05-0.90 (m, 12 H), 0.81-0.70 (m, 6 H). 13C NMR (CDCl3, 100 MHz) δ 171.5, 157.9, 156.4, 156.4, 152.9, 152.4, 150.9, 149.4, 144.8, 135.3, 132.1, 130.6, 129.9, 128.6-127.8 (11 C), 119.9, 98.5, 79.3, 75.2, 68.4, 67.8, 65.6, 32.9, 7.8, 7.2, 6.4.
실시예
XXX
- 5-
디벤질옥시카르보닐히드라지노
-20-
OH
-
캄프토테신의
첫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5-디벤질옥시카르보닐히드라지노-20-OTES-캄프토테신의 첫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0.140 g, 0.184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6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0.225 ml, 1,380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1/3)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5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1/1 그런 다음 2/3), 연한 노란색 고체(0.113 g, 0.175 mmol, 95%)를 얻었다. 얻은 생성물을 CH2Cl2/펜탄 = 1/50으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해 추가적으로 정제하였다.
1H NMR (CDCl3, 400 MHz) δ 8.67 (br s, 1 H, Ar), 8.39 (br s 1 H, Ar), 8.12 (br d, 1 H, J = 7.6 Hz, Ar), 7.95 (br s, 1 H, Ar), 7.74 (br t, 1 H, J = 7.6 Hz, Ar), 7.65-6.66 (m, 12H, Ar + H-14), 6.48 (br s, 1 H, H-5), 5.55 (d, 1 H, J= 16.0 Hz, H-17), 5.42-4.44 (m, 5 H), 3.86 (br s, 1 H, OH), 1.92-1.72 (m, 2H, H-19), 0.95 (t, 3 H, J= 7.6 Hz,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5, 158.0, 156.2, 156.0, 153.0, 150.9, 150.9, 149.5, 145.3, 135.4, 132.2, 130.7, 129.8, 128.7-127.8 (11 C), 119.9, 98.2, 79.6, 72.7, 68.5, 68.0, 65.9, 31.6, 7.8.
실시예
XXXI
- 5-
디벤질옥시카르보닐히드라지노
-20-
OH
-
캄프토테신의
두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5-디벤질옥시카르보닐히드라지노-20-OTES-캄프토테신의 두 번째 부분 입체이성질체(0.140 g, 0.184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6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0.150 mL, 0.921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3/2)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5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1/1), 목표로 하는 화합물(0.113 g, 0.175 mmol, 95%)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생성물을 CH2Cl2/펜탄 = 1/50으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해 추가적으로 정제하였다.
1H NMR (CDCl3, 400 MHz) δ 8.71 (br s, 1H, Ar), 8.34 (br s 1 H, Ar), 8.18 (br s, 1 H, Ar), 7.94 (br s, 1 H, Ar), 7.79 (br t, 1 H, J= 7.6 Hz, Ar), 7.70-6.70 (m, 12H, Ar + H-14), 6.52 (br s, 1H, H-5), 5.53 (d, 1 H, J = 16.4 Hz, H-17), 5.44-4.48 (m, 5 H), 3.87 (br s, 1 H, OH), 1.90-1.70 (m, 2H, H-19), 0.99 (t, 3 H, J= 7.6 Hz, M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4, 158.0, 156.3, 156.1, 153.0. 151.0. 150.9, 149.6, 145.3, 135.5, 132.3, 130.8, 129.8, 128.7, 127.8 (11 C), 119.8, 98.4, 79.5, 72.7, 68.5, 67.8, 66.0. 31.6, 7.7.
실시예 XXXII - 20-OTES-지마테칸의 제조
지마테칸(0.040 g, 0.089 mmol)을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4 mL)에 용해시켰고, 이미다졸(0.030 g, 0.445 mmol)을 첨가하였다. 얻은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고, 뒤이어 트리에틸실릴 클로라이드(TES-Cl) (0.060 mL, 0.358 mmol)를 적가하였고, 뒤이어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0.01 1 g 0.089 mmol)을 첨가하였다. 75시간 후에,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1/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뒤이어, 얻은 고체를 CH2Cl2 및 H2O 및 포화된 NH4Cl에 다시 용해시켰고, 수용액 층을 CH2Cl2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 산/AcOEt = 1/1), 목표로 하는 생성물(0.048 g, 0.085 mmol, 95%)(혼합물 E/Z = 70130)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9.02 (s, 1 H, CH=N E) 8.29 (d, 1 H, J = 8.42 Hz, Ar, H-12E + H-12Z), 8.23 (d, 1 H, J = 7.6 Hz, H-9E), 8.00 (s, 1 H, CH=N Z), 7.99 (d, 1 H, J = 7.6 Hz, H-9Z), 7.83 (t, 1 H, J = 7.4 Hz, H-11 E + H-11Z), 7.68 (t, 1 H, J= 7.4 Hz, H-1OE + H-10Z), 7.57 (s, 1 H, H-14E + H-14Z, 5.67 (d, 1 H, J= 16.4 Hz, H-17E + H-172), 5.43 (s, 2H, H-5/E), 5.26 (d, 1 H, J= 16.4 Hz, H-17E), 5.25 (d, 1 H, J= 16.4 Hz, H-172), 5.20 (s, 2H, H-5Z), 2.00-1.84 (m, 2H, H-19E+ H-19Z), 1.50 (s, 9 H, otBuE), 1.35 (S, 9 H, OtBUZ), 1.02-0.94 (m, 12H, E+Z), 0.80-0.70 (m, 6H, E + Z). 13NMR (CDCl3, 100 MHz) δ 171.9 (E + Z, C-21), 157.5 (E + Z, C-16a), 152.5 (E), 152.3 (Z), 151.3 (E+ Z), 149.7 (E), 149.0 (Z), 145.7 (E+Z), 142.2 (CH=N E), 139.4 (CH=N Z), 132.9 (E), 132.1(Z), 130.9 (E, CH, Ar), 130.6 (Z, CH, Ar), 130.3 (Z, CH; Ar), 130.1 (E, CH, Ar), 128.1 (E + Z, CH, Ar), 125.6 (Z), 125.4 (E), 124.7 (Z, CH, Ar), 122.8 (E, CH, Ar), 119.1 (Z), 118.9 (E), 98.3 (Z, C-14), 98.1 (E, C- 14), 81.4 (E, OC(CH3)3), 81.2 (Z, OC(CH3)3), 75.3 (E+Z, C-20), 66.0 (E+Z, C-17), 52.7 (E, C-5), 51.2 (Z, C-5), 33.3 (E, C-19), 33.2 (Z, C-19), 27.6 (OC(CH3)3 E), 27.5 (OC(CH3)3 Z), 7.9 (E+Z C-18), 7.2 (E+Z), 6.4 (E+Z).
실시예
XXXIII
- 20-
OTES
-
티오
-
지마테칸의
제조
지마테칸 20-OTES (0.080 g, 0.143 mmol)을 비활성 분위기 및 교반 하에서 무수 자일렌(6 mL)에 용해시켰다. 뒤이어, 로에슨 시약 (LR), (0.087 g, 0.214 mmol)을 첨가하였고, 얻은 반응을 90℃까지 가열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헥산/AcOEt = 3/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90℃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제거하였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4/1), 목표로 하는 생성물(0.060 g, 0.102 mmols, 71 %)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9.06 (s, 1 H, CH=N E), 8.33 (d, 1 H, J = 8.4 Hz, Ar, H-12E), 8.27 (d, 1 H, J = 7.6 Hz, H-9E), 8.02 (s, 1 H, H-14 E), 7.87 (t, 1 H, J= 7.4 Hz, H-11E), 7.73 (t, 1H, J = 7.4 Hz, H-10E), 7.57 (s, 1H, H-14E + H-142), 6.18 (d, 1 H, J = 17.2 Hz, H-17E), 5.73 (s, 2H, H-5E), 5.35 (d. 1 H, J= 17.2 Hz, H-ME), 1.93 (q, 2H, J = 7.2 Hz, H-19E), 1.55 (s, 9 H, OtBUE), 1.06-0.92 (m, 12H, E), 0.82-0.72 (m, 6H, E). 13C NMR (CDCl3, 100 MHz) δ 172.4, 171.5, 151.8, 149.8, 148.0, 146.9, 141.9, 132.3, 131.0, 130.7, 130.3, 128.4, 125.6, 125.1, 122.9, 104.3, 81.8, 75.0, 68.9, 59.2, 33.6, 27.6, 7.8, 7.2, 6.5.
실시예 XXXIV - 티오-지마테칸의 제조
티오-지마테칸 20-OTES(0.060 g, 0.104 mmol)를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무수 THF (8 mL)에 용해시켰고, 뒤이어 Et3N·3HF (0.127 mL, 0.780 mmol)을 적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TLC(CH2Cl2/MeOH = 25/1)로 시약의 소멸을 모니터하면서,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켰고, 얻은 잔여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SiO2, 헥산/AcOEt = 211), 목표로 하는 생성물(0.048 g, 0.102 mmols, 95%)을 진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9.02 (s, 1 H, CH=N E) 8.28 (d, 1 H, J = 8.42 Hz, Ar, H-12E + H-12Z), 8.23 (d, 1 H, J= 7.6 Hz, H-9E), 8.09 (brs, 1 H, H-14E + H-142), 8.08 (s, 1 H, CH=NZ), 8.04 (d, 1 H, J= 7.6 Hz, H-92), 7.85 (t, 1 H, J= 7.4 Hz, H-11 E + H-112), 7.70 (t, 1 H, J = 7.4 Hz, H-1OE + H-1O2), 6.26 (d, 1 H, J = 16.8 Hz, H-17E), 6.24 (d, 1 H, J= 16.8 Hz, H-17Z), 5.67 (s, 2H, H-5E), 5.51 (s, 2H, H-5Z), 5.37 (d, 1 H, J = 16.4 Hz, H-17E+H-17Z), 3.87 (br s, 1H, OH), 1.89 (q, 2H, H-19E+ H-19Z), 1.55 (s, 9H, OtBuZ), 1.42 (s, 9H, OtBuZ), 1.03 (t, 3 H, J = 7.2 Hz, H-18 Z), 1.02 (t, 3 H, J= 7.2 Hz, H-18 E). 13C NMR (CDCl3, 100 MHz) δ 173.5, 172.5, 151.7, 149.7, 148.4, 145.2, 141.9 (CH=N E), 139.0 (CH=N Z), 132.3, 130.8, 130.6, 130.5, 128.5, 125.5, 125.0, 122.9, 104.0, 81.8, 72.3, 69.3, 59.2, 32.1, 27.6, 7.7.
실시예
XXXV
- 세포 성장 억제 분석
인간 거대 세포 폐 종양으로부터의 H460 세포를 소 태아 혈청 10%를 포함하는 RPMI-1640 배지에서 배양시켰다. 1시간 또는 72시간 약물 노출 이후에 세포 성장 억제 분석법에 의해 세포 민감도(cell sensitivity)를 결정하였다. 지수 성장을 보이는 세포들을 수집하였고, 6-웰 플레이트에서 2회 시딩(seeding)하였다. 시딩하고 24시간 후에, 세포를 약물에 노출시켰고, 약물에 노출하고 72시간 후에 카오울터 카운터(Coulter conter)로 세포를 계수하여, IC50s을 결정하였다. IC50은 미처리된 대조군 성장에 비해 50%로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농도로 정의된다.
실시예
XXXVI
-
토포이소머라제
-I-의존성
DNA
파괴 분석
751-bp BamHI-EcoRI DNA SV40 정제된 겔(Beretta GL1 Binaschi M, Zagni AND, Capuani L, Capranico G. Tethering a type IB topoisomerase to a DNA site by enzyme fusion to a heterologous site-selective DNA-binding protein domain. Cancer Res 1999; 59:3689-97)을 사용하여 DNA 파괴를 결정하였다. DNA 단편을 3'에서만 라벨링하였다. DNA 파괴 반응(20,000 cpm/시료)을 10 mM Tris-HCl(pH 7.6), 150 mM KCl, 5 mM MgCl2, 15 ㎍/mL BSA, 0.1 mM 티오트레이톨, 및 인간 재조합 효소(전장 top1)의 20 ml에서 37℃에서 30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을 0.5% SDS 및 0.3 mg/mL K 프로테인아제를 사용하여 45분 동안 42℃에서 차단하였다. 30분 후에 0.6 M NaCl을 첨가하고 약물 10 μM과 함께 배양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DNA 손상 지속성을 테스트하였다. 침전 이후에, DNA를 변성 겔(TBE 버퍼 중 7% 폴리아크릴아미드)에서 시딩하기 전에, 변성 버퍼(denaturation buffer)(80% 포름아미드, 10 mM NaOH, 0.01 M EDTA 및 1 mg/mL 염료)에서 다시 현탁시켰다. 모든 DNA 파괴 수준을 Phospholmager 모델 425(Molecular Dynamics)(Dallavalle S, Ferrari A, Biasotti B, et al. Novel 7-oxyiminomethyl camptothecin derivatives with potent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J Med Chem 2001; 44:3264-74)로 측정하였다.
DNA 손상의 지속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