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0131B1 - 종이 기저귀 - Google Patents

종이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131B1
KR101390131B1 KR1020097004089A KR20097004089A KR101390131B1 KR 101390131 B1 KR101390131 B1 KR 101390131B1 KR 1020097004089 A KR1020097004089 A KR 1020097004089A KR 20097004089 A KR20097004089 A KR 20097004089A KR 101390131 B1 KR101390131 B1 KR 10139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iaper
absorbent body
side flap
elastic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889A (ko
Inventor
케이지 토리고시
코스케 무라이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09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14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37020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8753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4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4Straps, belts, ties or endles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5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hoo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테이프식 및 팬티형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면서 피트성이 우수한 종이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중간부(10c)와 그 양측으로 돌출된 사이드 플랩부(11, 12)를 가지며, 장착자의 몸통 둘레에 감기는 띠 형상의 몸통 둘레부(10)와, 후단부(20B)가 몸통 둘레부(10)의 중간부(10c)에 연결되고 등쪽에서 고간부를 지나 배쪽까지 덮도록 장착되는 흡수성 본체(20)와, 몸통 둘레부(10)에 있어서의 양 사이드 플랩부(11, 12)의 내면에 각각 마련된 후크 테이프(15, 15)와 흡수성 본체(20)의 전단부의 외면에 마련된 외장 부직포를 구비하고, 양 사이드 플랩부 내면의 후크 테이프(15, 15)가 흡수성 본체(20) 외면의 부직포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양 사이드 플랩부(11, 12) 각각에 선단 가장자리의 상하방향 중간에서 제품 폭방향을 따라 중간부(10c)측으로 연장되는 절취선(16, 16)을 구비한 종이 기저귀를 제공한다.
테이프식, 팬티형, 피트성, 사이드 플랩부, 흡수성 본체, 후크 테이프

Description

종이 기저귀{PAPER DIAPER}
본 발명은 테이프식으로도 또한 팬티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종이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팬티형 일회용 종이 기저귀는 앞몸판의 양측부와 뒷몸판의 양측부가 각각 접합됨으로써 양측에 접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웨이스트 개구부 및 좌우 한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장착자의 양다리를 웨이스트 개구부를 통해 레그 개구부에 삽입시켜 장착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사용시 등쪽 및 배쪽이 접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착자에게 맞도록 등쪽의 양측부에 마련된 걸림편의 선단부를 배쪽 외면에 고정하는 고정식 또는 테이프식이라 불리는 형태도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2703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팬티형으로도 고정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겸용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종이 기저귀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이 기저귀는 등부와 이 등부로부터 폭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앞띠부와, 상기 등부로부터 고간을 통해 착용자의 복부측으로 접어 올릴 수 있는 흡수성 본체를 가지며, 몸통 둘레에 감겨 있는 앞띠부와 접어 올린 흡수성 본체를 착용자의 복부측에서 고정시킨 형태로 착용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270359호에 기재된 것은 실질적으로 몸통 둘레부에서만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확보한 것이었기 때문에 팬티형 전용 제품과 비교하면 피트성, 특히 고간측에서의 흡수체의 피트성이나 비표준적인 체형의 장착자에 대한 피트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테이프식 및 팬티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피트성이 우수한 종이 기저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
중간부와 그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신축성의 사이드 플랩부를 갖는 장착자의 몸통 둘레에 감기는 띠 형상의 몸통 둘레부와,
전후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몸통 둘레부의 상기 중간부에 연결되고 등쪽에서 고간부를 지나 배쪽까지 덮도록 장착된 흡수성 본체와,
상기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의 양 사이드 플랩부의 내면에 각각 마련된 연결부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부의 외면에 마련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사이드 플랩부 내면의 연결부가 상기 흡수성 본체 외면의 연결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종이 기저귀로서,
상기 신축성 사이드 플랩부는 상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품 폭방향 신축응력과,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품 폭방향 신축응력이 다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발명에서는 흡수성 본체의 전측부분을 배쪽으로 가져오고 그 위에 양 사이드 플랩을 가져와 양 사이드 플랩 내면의 연결부를 흡수성 본체 외면의 연결부에 연결함으로써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플랩부가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양 사이드 플랩부를 흡수성 본체에 연결한 후에 장착하는 팬티형으로서의 사용형태가 용이하게 된다. 특징적으로는 상하에 있어서의 신축응력을 다르게 함으로써 웨이스트 측의 조임 및 고간측의 조임을 개별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시 인장응력이라 함은 폭방향의 최대 신장시에 있어서의 앞몸판에 대하여 15% 수축하였을 때의 인장응력을 의미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의 사이드 플랩부의 각각에 선단 가장자리의 상하방향 중간에서 제품 폭방향을 따라 상기 중간부측에 연장되어 있는 절취선을 마련한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발명에서는 절취선을 절취함으로써 양 사이드 플랩부를 상하 2단으로 분할할 수 있으므로 각 사이드 플랩부를 복수 부위에 연결할 수 있고 또한 상하 2단으로 분할한 부분을 서로 다른 각도로 흡수성 본체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자의 체형에 따라 피트성을 조정할 수 있고 특히 상하 2단으로 분할한 부분 중 하단의 부분을 보다 고간측에 가까운 부위에 연결함으로써 흡수성 본체를 들어올려 신체에 피트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을 상기 신축성 사이드 플랩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하로 신축응력이 다른 경계선상에 마련한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절취선을 절취함으로써 양 사이드 플랩부를 상하 2단으로 분할하는 경우 절취선의 위치를 본 항 기재의 위치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부에는 내면에도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고,
각 상기 사이드 플랩부에는 외면에도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품 내면측의 연결부와 제품 외면측의 연결부 중 일측의 연결부의 전체를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로 하고 타측의 연결부 전체를 메카니컬 패스너의 피메일부재로 함으로써 제품 내면측의 연결부와 제품 외면측의 연결부가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의 발명의 포인트는 흡수성 본체의 전단부, 사이드 플랩부 각각의 양면에 각각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제품 내면 측의 연결부와 제품 외면측의 연결부가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수순으로 조립할 수 있어 장착자의 몸 자세 등에 따라 용이한 조립 수순을 채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일측의 사이드 플랩을 배쪽으로 가져오고 이어서 타측의 사이드 플랩을 가져와 타측의 사이드 플랩 내면의 연결부를 일측의 사이드 플랩 외면의 연결부에 연결시킨 후 이어서 그 위로 흡수성 본체의 전측부분을 가져와 그 전단부의 연결부를, 타측 사이드 플랩 외면의 연결부 및 일측 사이드 플랩 외면의 연결부 중 적어도 일측에 연결하는 수순을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타측의 사이드 플랩을 배쪽으로 가져오고 이어서 일측의 사이드 플랩을 가져와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흡수성 본체의 전측부분을 배쪽으로 가져오고 이어서 일측의 사이드 플랩을 가져와 일측의 사이드 플랩 내면의 연결부를 흡수성 본체 외면의 연결부에 연결시킨 다음 이어서 그 위에 타측의 사이드 플랩을 가져와 그 내면의 연결부를 일측의 사이드 플랩 외면의 연결부 및 흡수성 본체 외면 연결부 중 적어도 일측에 연결하는 수순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일측의 사이드 플랩보다 먼저 타측의 사이드 플랩을 배쪽으로 가져와 흡수성 본체에 연결시키고 이어서 일측의 사이드 플랩을 가져와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컬 패스너의 피메일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수성 본체 또는 상기 양사이드 플랩부의 외면을 이루는 부직포인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나 사이드 플랩부의 외면을 부직포로 형성하고 여기에 메카니컬 테이프의 메일부재가 결합하도록 구성하면 연결부의 부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절취선으로 분할한 사이드 플랩부의 연결부 부위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특히 본 발명에 적합하다. 또한, 광범위하게 메카니컬 패스너의 피메일부재 등의 타깃 테이프를 마련할 수도 있으나 그 경우 통기성 및 유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통기성 및 유연성의 관점에서도 본 항 기재의 연결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연결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피복하는 피복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의 연결부에는 메카니컬 패스너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으나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는 감촉이 부드럽지 않기 때문에 제품 내면측에 이용하면 착용감을 악화시키기 쉽다. 따라서, 제품 내면측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본 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별도의 피복 시트로 착탈 가능하게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메일부재를 연결에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복 시트로 덮는 것이 가능하여 장착감의 악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피복 시트를 이용하여 제품 내면측에 마련된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를 피복하지 않고, 발상을 전환하여 제품 내면측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피메일부재를 마련하고 제품 외면측에 메일부재를 마련함으로써도 장착감의 악화를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이것만으로는 제품 외면에 노출되는 메일부재가 그 위에 착용하는 의복에 걸려 탈의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의복의 옷감을 상하게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피복 시트를 마련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품 외면에 노출되는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를 피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품 외면에 접촉하는 의복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피복 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흡수성 본체의 전단에서 연장되는 피복 시트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피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전후방향 앞쪽에 위치하는 전측부분과 뒤쪽에 위치하는 후측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전측부분과 후측부분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 기재의 종이 기저귀에서는 장착시 미리 허벅지부에 있어서의 전측부분과 후측부분을 분리하고 전측부분과 후측부분을 분할한 통형 상태에서 우선 장착자의 양 다리를 몸통 둘레부를 통과시키고 이어서 허벅지부에 있어서의 전측부분과 후측부분을 장착자의 고간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다리씩 삽입할 수밖에 없었던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장착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측부분 및 후측부분 각각의 내면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연결되는 부위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까지의 범위에 걸쳐 신체측으로 기립하는 배리어 커프스가 마련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이와 같이 배리어 커프스가 마련됨으로써 전측부분 및 후측부분의 연결부위에서의 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커프스의 상기 연결되는 부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신체측 면에 상기 전측부분과 상기 후측부분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전측부분 및 후측부분의 연결부위에서의 샘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1기 재의 발명>
청구항 1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몸통 둘레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항에 기재된 발명의 종이 기저귀는 허벅지부에 있어서 전측부분과 후측부분을 분할할 수 있으므로 본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허벅지부를 몸통 둘레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면 허벅지부의 전측부분 및 후측부분을 각각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허벅지부 중 배설물에 의해 더럽혀진 부분만 혹은 손상된 부분만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항 기재의 종이 기저귀에 의하면 장착자의 자세 등에 대응하는 용이한 형태에서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반듯이 누운 대상자에 대하여 장착할 경우, 몸통 둘레부를 허리까지 통과시키고 허벅지부의 전측부분을 몸통 둘레부에 부착한 다음 대상자를 돌려 엎드리게 하고 이어서 허벅지부의 후측부분을 몸통 둘레부에 부착한 후 허벅지부에 있어서의 전측부분과 후측부분을 장착자의 고간을 통해 연결하는 장착형태를 채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식 및 팬티형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면서 피트성이 우수하며 장착자의 자세 등에 따라 조립 수순을 변경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내면측 평면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외면측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3-3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4-4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5-5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6-6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7-7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8-8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9-9 단면도이고,
도 10은 조립 도중인 정면도이고,
도 11은 종이 기저귀의 장착상태 또는 팬티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다른 종이 기저귀의 장착상태 또는 팬티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몸통 둘레부의 제조요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내면측 평면도이고,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외면측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3-3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4-4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의 5-5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4의 6-6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4의 7-7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4의 8-8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14의 9-9 단면도이고,
도 23은 조립 도중인 정면도이고,
도 24는 제2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장착상태 또는 팬티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5는 다른 조립 도중인 정면도이고,
도 26은 다른 조립 도중인 정면도이고,
도 27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도 14의 7-7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고,
도 28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도 14의 9-9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고,
도 29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도 14의 5-5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고,
도 30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도 14의 5-5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고,
도 31은 다른 제2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의 전개상태의 내면측 평면도이고,
도 32는 다른 제2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의 전개상태의 외면측 평면도이고,
도 33은 제3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내면측 평면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3-3 단면도이고,
도 35는 도 33의 4-4 단면도이고,
도 36은 도 33의 5-5 단면도이고,
도 37은 제3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측면도이고,
도 38은 제3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9는 요부 평면도이고,
도 40은 제3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내면측 평면도이고,
도 41은 도 40의 6-6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몸통 둘레부, 14...탄성신축부재, 15...메일부재, 16...절취선, 17...탄성신축부재, 20...흡수성 본체, 21...탑 시트, 22...흡수체, 23...액체 불투과성 시트, 24...부직포, 25...엠보스 오목부, 26...타깃 테이프, 27...탄성신축부재.
(제1 실시형태)
도 1은 팬티형으로도 고정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종이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내면측 평면도이고, 도 2는 전개상태의 외면측 평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장착상태 또는 팬티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는 중간부(10c)와 그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사이드 플랩부(11, 12)를 가지며, 장착자의 몸통 둘레에 감기는 띠 형상의 몸통 둘레부(10)와 후단부가 몸통 둘레부(10)의 중간부(10c)에 연결되고, 등쪽에서 고간부를 통과하여 배쪽까지 덮도록 장착되는 흡수성 본체(2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20)는 제품의 전후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을 이루며 장착자의 복부, 고간부 및 둔부를 덮도록 제품의 폭방향 중앙을 따라 마련되어 있고 그 후단부(20B)는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몸통 둘레부(10)의 중간부(10c)의 내면에 착탈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0)의 후단부(20B)를 점착 테이프, 타깃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몸통 둘레부(10)의 중간부(10c)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기저귀 교환시에 더러워진 흡수성 본체(20)만을 분리시키고 새로운 흡수성 본체(20)를 장착하는 사용방법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흡수성 본체(20)는 배설물을 받아 액체성분을 흡수 유지시키는 것으로,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와 접촉하는 사용면을 이루는 액체 투과성 탑 시트(21)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23),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22)를 갖고 주변부에 있어서 탑 시트(21)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23)가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접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20)의, 몸통 둘레부(10)가 부착된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10)보다 작고 신축성을 갖지 않는 플랩 형성부재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몸통 둘레부(10)의 대향측 흡수성 본체 단부 근방의 양측부에 작은 플랩을 마련하면 고정식으로 장착할 때 연결부들간의 위치 맞춤시의 연결부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탑 시트(21)는 부직포, 액체 투과홀을 갖는 필름, 네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가 있고, 액체 불투과성 시트(23)는 폴리에틸렌 시트 등의 플라스틱제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23)의 외면에는 발수성 부직포 등의 외장 부직포(24)가 부착되어 있고 도시된 형태에서는 이 외장 부직포(24)가 몸통 둘레부(10)의 연결부가 된다. 이 외장 부직포(24)는 충분한 결합력을 발휘하는 관점에서 중량이 15~50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종류로서는 에어스루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판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장 부직포(24)에서의 적어도 연결부분(예를 들면 전후방향의 중앙보다 전측부분 등. 전체도 가능)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보강할 수 있다. 도면에서 부호 25는 엠보스 가공에 의한 오목부를 나타내고 있다. 엠보스 가공은 외장 부직포(24)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23)을 부착시킨 후 외장 부직포(24)측에서 볼록 엠보스롤로 눌려지도록 한다. 볼록 엠보스롤에 대향하는 롤은 볼록 엠보스롤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오목 엠보스롤일 수도 있고 볼록 엠보스롤의 볼록부가 눌려 들어갈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고무롤일 수도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볼록 엠보스롤의 볼록부의 접착점 면적인 엠보스 면적은 5~50%, 바람직하게는 5~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로 한다. 엠보스 면적이 5% 미만이면 접착력이 불충분해지고 50%보다 크면 엠보스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시트가 딱딱해져 부드러움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연결부로서 제공되는 엠보스의 패턴은 도트 형상, 지그재그 형상, 격자 형상, 선형 등 임의의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외장을 부직포로 구성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별도로 시트 내면에 후크가 걸리는 루프가 다수 형성된 타깃 테이프(26)를 마련하고 이것을 연결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깃 테이프(26)는 예를 들면 전후방향의 중앙보다 앞쪽의 부분 등 일부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체에 걸쳐 마련할 수도 있다.
흡수체(22)로는 면상(綿狀) 펄프 등과 같이 단섬유를 적섬한 것 이외에 필라멘트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필라멘트 집합체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의 토(tow)(섬유속)를 개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흡수체(22)에는 필요에 따라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함유시키거나 크레이프지나 부직포 등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20)의 폭방향 양측부에는 장착시에 있어서 탑 시트(21)에 대하여 기립하는 배리어 커프스(30, 3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성 본체(20)의 양측부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띠 형상을 이루는 배리어 시트(31)의 폭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부(31a)가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탑 시트(21) 표면에 고정되고, 폭방향 중앙측의 부분(31b)은 흡수성 본체(20)의 전후단부에서는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탑 시트(21) 표면에 고정되며 길이방향 중간부에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 비고정 부분(31b)은 선단측 부분을 접어 후단측부분에 부착함으로써 2중 구조가 되고 이 2중 구조 부분의 시트 사이에 고무줄 등의 세장형 탄성신축부재(32)가 신장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이 탄성신축부재(32)의 신축력에 의해 배리어 시트(31)의 비고정 부분(31b)이 탑 시트(21)로부터 이격되도록 기립하고 그 선단부가 장착자의 다리 둘레에 밀착된다. 그 결과 탑 시트(21) 위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설물이 저지되어 옆샘이 방지된다. 배리어 시트(31)로서는 발수성 부직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몸통 둘레부(10)는 장착자의 몸통이 통과되는 웨이스트 개구부에서 장착자의 다리가 통과되는 레그 개구부까지의 부분에 해당하는 띠 형상의 부재이다. 몸통 둘레부(10)는 제품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20)와 대응하는 중간부(10c)와 그 양측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사이드 플랩부(11, 12)를 가지고 있으며 각 사이드 플 랩부(11, 12)는 후단측의 신축부분(11x, 12x)과 선단측의 연결부(11f, 12f)를 가지고 있다. 신축부분(11x, 12x)은 제품 양측에 있어서 몸통 둘레 방향의 신축성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며 연결부(11, 12f)는 팬티형으로 조립할 때 연결되는 부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 ~ 도 9의 각 단면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몸통 둘레부(10)는 그 전체에 걸쳐서 본체 시트(13)를 기본으로 하고 부재의 부가에 의해 각부에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시트(13)는 복수개 부직포(13a, 13b)를 서로 중첩시켜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부직포(13a, 13b)들 사이에는 몸통 둘레부의 중간부(10c) 및 신축부분(11x, 12x)에 걸쳐 탄성신축부재(14)가 폭방향을 따라 신축상태로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형태의 몸통 둘레부에서는 상단가장자리(웨이스트 개구부의 테두리가 됨)에서 흡수성 본체(20)의 상단 근방까지의 상하방향 범위로서 정의되는 웨이스트부(W)에서는 몸통 둘레부의 중간부(10c) 및 신축부분(11x, 12x)의 몸통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탄성신축부재(14)가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음에 반해 웨이스트부(W)보다 하측 부분으로서 정의되는 요하부(U)에서는 탄성신축부재(14)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지는 폭방향 중간부(10c)를 제외한 그 양측으로만 신축력이 작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양측으로만 신축력이 작용하는 형태로는 양측에만 탄성신축부재(14)가 존재하는 형태 외에도 몸통 둘레부(10)의 중간부(10c) 및 신축부분(11x, 12x)의 몸통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탄성신축부재(14)가 존재하되 중간부(10c)에서는 탄성신축부재(14)가 절단되어 있어 신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탄성신축부재(14)의 배치영역은 흡수성 본체(20) 의 외형선에 정확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고 그 근방이라면 탄성신축부재(14)는 흡수성 본체(20)와 겹쳐져 있어도 떨어져 있어도 상관없다.
탄성신축부재(14)로는 고무줄이나 탄성 발포체의 띠 형상물, 필름 형상의 탄성체, 그물 형상의 탄성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다수의 고무줄을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 평행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두께 300~1200dtex 바람직하게는 400~1000dtex 정도의 고무줄을 웨이스트부(W)에는 4~6mm의 간격으로 5~7개 정도, 또한 요하부(U)에는 3~8mm의 간격으로 10~30개 정도, 각각 신장율 150~400% 바람직하게는 200~300% 정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사이드 플랩부(11, 12)의 각 연결부(11f, 12f)에 있어서는 본체 시트(13)의 내면에, 표면에 버섯 모양, J자 형상 등의 후크 형상 돌기가 다수 배열된 후크 테이프(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15)가 상하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쳐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특징적으로는 각 사이드 플랩부(11, 12)에 있어서 선단 가장자리의 상하방향 중간에서 폭방향을 따라 중간부(10c) 측으로 연장되는 절취선(16)이 형성되어 있다. 절취선(16)은 중간부(10c)와의 경계까지 연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도시된 예와 같이 신축부분(11x, 12x)의 폭방향 중간까지, 구체적으로는 선단 가장자리측으로부터 1/3 ~ 1/2의 범위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취선(16)의 상하방향 위치는 도시된 예에서는 상하방향 중앙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웨이스트부(W)와 요하부(U)와의 경계를 따라 형성하는 것 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줄의 절취선(16)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복수의 절취선(16)을 갖은 형태를 제외하는 것은 전혀 아니며 복수의 절취선(16)을 갖는 형태의 경우에는 더욱 자유로운 사이즈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절취선을 마련한 경우에는 복수의 절취선의 절취선 형태(절취선 폭, 절취선 피치 등)를 모두 동일한 절취선 형태로 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절취선 형태로 할 수도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 절취선(16)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절취선(16)의 상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품 폭방향의 신축응력과 절취선의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품 폭방향의 신축응력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도 제안된다. 예를 들면 절취선(16)의 상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품 폭방향의 신축응력을 절취선(16)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절취선(16)의 상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품 폭방향 신축응력을 절취선(16)의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품 폭방향 신축응력의 1.5~2.5배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신축응력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신축응력에 대소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절취선(16)의 상측과 하측에 있어서 탄성신축부재의 수, 두께, 신장율 등을 다르게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사이드 플랩부(11, 12)의 하측 가장자리부는 흡수성 본체(20)의 근방에서 흡수성 본체(20)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서히 고간측으로 방향이 바뀌도록 곡선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사이드 플랩부(11, 12)의 하측 가장자리부과 흡수성 본체(20)의 측부 가장자리와의 교차부 근방이 장착자의 다리 둘레에 피트하게 된다. 또한 각 사이드 플랩부(11, 12)의 곡선형 부분을 따라 고무줄 등의 세장형 탄성신축부재(17)가 신장상태로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흡수성 본체(20)의 양측부에 있어서의 탑 시트(21)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23)와의 사이에, 전후방향을 따라 적어도 레그 개구부(LO)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부분 즉 도시된 형태에서는 몸통 둘레부(10)의 앞몸판 부분과의 교차위치에서 몸통 둘레부(10)의 뒷몸판 부분과의 교차위치까지의 부분에 고무줄 등의 세장형 탄성신축부재(27)가 신장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그 개구부(LO)의 가장자리 부분 전체가 다리 둘레 방향으로 신축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팬티형으로도 고정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종이 기저귀는 다음과 같이 조립할 수 있고 전개상태에서 신체에 맞춰 각부를 연결하는 사용법 뿐만 아니라 미리 팬티형으로 형성한 것에 양다리를 통과시켜 입는 사용법도 가능하다.
즉 전자의 사용법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부에서의 흡수성 본체(20)의 폭방향 중앙을 등쪽 요부의 좌우방향 중앙에 맞춘 다음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흡수성 본체(20)의 전측부분을 배쪽으로 가져오고 이어서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플랩부(11) 및 제2 사이드 플랩부(12)를 가져와 내면의 메일부재(15, 16)를 흡수성 본체(20) 외면에 걸림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몸통 둘레에 몸통 둘레부(10)가 감기고 흡수성 본체(20)에 의해 고간부 및 그 전후 양측이 덮여 장착이 완료된다.
미리 팬티형으로 형성하는 사용법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흡수성 본체(20)의 전측부분을 배쪽으로 가져오고 이어서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플랩부(11) 및 제2 사이드 플랩부(12)를 가져와 내면의 메일부재(15, 16)를 흡수성 본체(20) 외면에 걸림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환형의 몸통 둘레부 및 몸통 개구부(WO)가 형성됨과 아울러 흡수성 본체(20)의 하부 양측에 다리 개구부(LO)가 형성된다. 장착자는 몸통 개구부(WO)에서 양측 다리 개구부(LO)에 양측 다리를 통과시켜 장착한다.
특징적으로는 상기 사용 형태들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절취선(16)을 분리함(찢음)으로써 양 사이드 플랩부(11, 12)를 상하 2단으로 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사이드 플랩부(11, 12)를 복수 부위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2단으로 분할한 부분(11u, 11b, 12u, 12b)을 서로 다른 각도로 흡수성 본체(20)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시된 형태와 같이 상하 2단으로 분할한 부분 중 상단의 부분(11u, 12u)을 폭방향을 따라 흡수성 본체(20)의 전단부에 연결하는 한편, 하단의 부분(11b, 12b)을 보다로 고간측에 가까운 부위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결하면 흡수성 본체(20)를 서혜부를 따라 들어올려 신체에 피트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내면측 평면도이고 도 15i는 전개상태의 외면측 평면도이며 도 24는 장착상태 또는 팬티상태의 정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본체(20)의 전단부의 내면에는 폭방향의 거의 전 체에 걸쳐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26i)가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고 외면에는 폭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메카니컬 패스너의 피메일부재(26x)가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26i)로서는 시트 표면의 전체에 버섯 모양, J자 형상 등의 후크가 다수 배열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피메일부재(26x)로서는 시트 표면의 전체에 메일부재의 후크가 걸리는 루프가 다수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일부재가 걸림 결합되는 부분을 부직포에 의해 형성해 둠으로써 이 부직포를 피메일부재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메일부재가 되는 부직포 부분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보강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몸통 둘레부(10)는 도 19~도 22의 각 단면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장착자의 몸통 둘레보다 어느 정도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사이드 플랩부(11, 12)에 있어서의 각 연결부(11f, 12f)에 있어서는 본체 시트(13)의 내면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15i)가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접착되고 외면에는 메카니컬 패스너의 피메일부재(15x)가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서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피메일부재(15x)로서는 시트 표면의 전체에 메일부재인 후크가 걸리는 루프가 다수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일부재가 걸림 결합되는 부분을 부직포에 의해 형성해 둠으로써 이 부직포를 피메일부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메일부재가 되는 부직포 부분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사이드 플랩부(11)에서의 연결부(11f)의 몸통 둘레 방향의 길이가 흡수성 본체(2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2 사이드 플랩부(12)의 몸통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조립시 맨먼저 제1 사이드 플랩부(11)를 배쪽으로 가져오는 수순을 주된 수순으로 상정한 것으로, 다른 수순으로도 조립할 수 있으나 주된 수순으로 수행했을 때에 보다 적절한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사이드 플랩부(11, 12)를 좌우대칭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좌우대칭의 경우, 어느쪽에서나 쉽게 장착할 수 있거나 혹은 어느쪽에서나 장착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좌우 비대칭의 경우에는 특정 대상자나 특정 사용방법인 경우에 특별히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면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른손잡이 사람에게 보다 사용하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밖의 점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도면에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부호를 사용하며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제2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는 다음과 같이 조립할 수 있으며 전개상태에서 신체에 맞도록 각부를 연결하는 사용법 뿐 아니라 미리 팬티형으로 형성한 것에 양측 다리를 통과시켜 차는 사용법도 가능하다.
즉, 전자의 사용법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20)의 폭방향 중앙을 등쪽 요부에서의 좌우방향 중앙에 맞춘 후,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 사이드 플랩부(11)를 배쪽으로 돌리고 그 외면의 피메일부재(15x)의 몸통 둘레 방향 중앙을 복부 좌우방향 중앙에 맞추어 누른 다음 제2 사 이드 플랩부(12)를 배쪽으로 돌려 그 내면의 메일부재(15i)를 제1 사이드 플랩부(11) 외면의 피메일부재(15x)에 걸림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사이드 플랩부(11, 12)가 선단부에서 연결되어 환형의 몸통 둘레부 및 웨이스트 개구부(WO)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복부의 좌우방향 중앙의 외면에 제1 사이드 플랩부(11) 외면의 피메일부재(15x) 및 제2 사이드 플랩부(12) 외면의 피메일부재(15x)로 이루어지는 일체적인 피메일부재 부분이 형성된다. 그 후 흡수성 본체(20)를 장착자의 고간부를 지나 배쪽으로 돌리고 그 전단부 내면에 마련된 메일부재(26i)를 이 피메일부재 부분(15x, 15x)에 걸림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개구부(LO)가 형성됨과 아울러 흡수성 본체(20)에 의해 고간부 및 그 전후 양측이 덮여 장착이 완료된다.
미리 팬티형으로 형성하는 사용법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 사이드 플랩부(11)를 흡수성 본체(20) 측으로 접고 그 외면의 피메일부재(15x)의 몸통 둘레 방향 중앙을 흡수성 본체(20)의 폭방향 중앙에 맞춘 다음 제2 사이드 플랩부(12)를 흡수성 본체(20)측에 접어 그 내면의 메일부재(15i)를 제1 사이드 플랩부(11) 외면의 피메일부재(15x)에 걸림 결합시킨다. 이 때 신축부분이 좌우대칭이 되도록 위치 결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사이드 플랩부(11, 12)가 선단부에서 연결되어 환형의 몸통 둘레부 및 웨이스트 개구부(WO)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앞몸판의 몸통 둘레 방향 중앙의 외면에 제1 사이드 플랩부(11) 외면의 피메일부재(15x) 및 제2 사이드 플랩부(12) 외면의 피메일부재(15x)로 이루어진 일체적인 피메일부재 부분이 형성된다. 그 후 흡수성 본 체(20)를 고간부를 지나 앞몸판 쪽으로 돌려 그 전단부 내면에 마련된 메일부재(26i)를 이 피메일부재 부분에 걸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수순에 있어서 제2 사이드 플랩을 먼저 앞몸판측으로 가져오고 이어서 제1 사이드 플랩부(11)를 가져와 그 내면의 메일부재(15i)를 제2 사이드 플랩부(12) 외면의 피메일부재(15x)에 걸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흡수성 본체(20)의 전측부분을 앞몸판 쪽으로 가져오고 이어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플랩부(11)를 가져와 제1 사이드 플랩부(11) 내면의 메일부재(15i)를 흡수성 본체(20) 외면의 피메일부재(26x)에 걸림 결합시킨 후 이어서 그 위에 제2 사이드 플랩부(12)를 가져와 그 내면의 메일부재(15i)를 제1 사이드 플랩부(11) 외면의 피메일부재(15x)에 걸림 결합시키는 수순을 채용할 수도 있다.
반대로 제1 사이드 플랩부(11)보다 앞서 제2 사이드 플랩부(12)를 가져와 그 내면의 메일부재(15i)를 흡수성 본체(20) 외면의 피메일부재(26x)에 걸림 결합시킨 후 이어서 그 위에 제1 사이드 플랩부(11)를 가져와 그 내면의 메일부재(15i)를 제2 사이드 플랩부(12) 외면의 피메일부재(15x) 및 흡수성 본체(20) 외면의 피메일부재(26x)로 이루어진 일체적인 피메일부재 부분에 걸림 결합시키는 수순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예에서는 제품 내면측 연결부의 전체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어떠한 수순으로 조립하여도 어느 하나의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가 신체에 접촉하므로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메 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로서 유연한 감촉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도 27~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내면측에 마련된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26i, 15i)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복 시트(4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피복하는 것을 제안한다. 피복 시트(40)로는 상술한 피메일부재나 부직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은 피복 시트(40)를 부착함으로써 메카니컬 패스너에 의한 장착감의 악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피복 시트(40)를 사용하지 않고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0)의 전단에서 피복 시트(24x)를 연장시켜 이 피복 시트(24x)를 내면측으로 접어 기저귀 장착시에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메일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피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시된 형태의 피복 시트(24x)는 흡수성 본체(20)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직포(24)를 연장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나 피메일부재 등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상을 전환하여 제품 내면측에 마련하는 것을 전부 피메일부재로 하고 제품 외면측에 마련하는 것을 모두 메일부재로 하는 것도 제안된다. 이 경우, 제품 외면측에 마련된 메일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별도의 피복 시트로 착탈 가능하게 피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장착감의 악화를 회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품 외면에 노출되는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를 피복 시트로 피복할 수 있어 제품 외면에 접촉하는 의복과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메일부재를 제품 내면측에 마련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흡수성 본체(20)의 전단에서 피복 시트를 연장시켜 이 피복 시트를 외면측으로 접어 기저귀 장착시에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메일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피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33은 제3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를 도시하고 있으며 특징적으로는 흡수성 본체(20)가 전후방향 앞쪽에 위치하는 전측부분(20F)과 뒤쪽에 위치하는 후측부분(20B)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 각각은 도 34 ~ 도 36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신체에 접촉하는 사용면을 이루는 액체 투과성 탑 시트(21)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23)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22)로 구성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23)의 외면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외장 부직포를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특징적으로는 도 36, 도 37 및 도 38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측부분(20F)의 후단부(F1)와 후측부분(20B)의 전단부(F2)가 연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수단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메카니컬 패스너(면 패스너)나 점착재 등이 바람직하다. 메카니컬 패스너의 경우, 시트 표면의 전체에 버섯 모양, J자 형상 등의 후크가 다수 배열된 메일부재를 일측의 연결부(F1)에 마련하고 이 메일부재가 엉켜 걸림 결합되는 피메일부재를 타측의 연결부(F2)에 마련할 수 있다. 피메일부재로서는 시트 표면의 전체에 다수의 루프가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일부재가 걸림 결합되는 연결부(F2)를 부직포에 의해 형성해 둠으로써 이 부직포를 피메일부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 및 피메일부재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전측 부분(20F) 또는 후측부분(20B)에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점착재를 이용하는 경우,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의 각 연결부(F1, F2) 중 어느 일측에 점착재층을 마련하고 타측의 연결부는 소재 자체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점착재가 박리 및 재접착 가능하도록 점착할 수지 필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은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전측부분(20F) 또는 후측부분(20B)에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전측부분(20F)과 후측부분(20B)의 연결위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으나 고간부(CR)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에 있어서의 고간부(CR)는 일괄적이지는 않으나 통상의 제품에서는 전후방향 중앙부 및 그 근방의 부분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결위치는 제품을 길이방향으로 3등분 했을 때의 중앙영역에 포함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후측부분(20B)을 내측, 전측부분(20F)을 외측으로 하여 후측부분(20B)의 외면과 전측부분(20F)의 내면을 서로 중첩시켜 접합하는 형태를 채용하고 있으나 내외는 반대로 할 수도 있고 또한 합장 상태에서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형태와 같이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을 중첩시키는 경우, 전측부분(20F)의 흡수체(12)와 후측부분(20B)의 흡수체(12)는 연결부를 말끔히 하기위해서는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간부(CR)의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느 정도, 예를 들면 1~5cm 정도 중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종이 기저귀의 경우에는 도 35 및 도 38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부분(20B)이 외면 상단부(F3)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10) 내면의 폭 방향 중앙부의 하단부(F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후측부분(20B)을 몸통 둘레부(10)의 내면에 겹쳐 연결하고 있으나, 반대로 몸통 둘레부(10)의 외면에 겹쳐 연결할 수도 있다.
몸통 둘레부(10)에 대한 연결수단으로서는 상술한 전측부분(20F)과 후측부분(20B)과의 연결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카니컬 패스너(면 패스너)나 점착재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메카니컬 패스너의 경우 뒷몸판(B) 및 후측부분(20B)의 각 연결부(F4,F3) 중 어느 일측에 메일부재를 각각 고정하고 이 메일부재가 엉켜 걸림 결합되는 피메일부재를 타측에 고정할 수 있다. 타측에 있어서의 메일부재 걸림부분을 부직포에 의해 형성해 둠으로써 이 부직포를 피메일부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점착재를 이용하는 경우, 뒷몸판(B) 및 후측부분(20B)의 각 연결부(F4, F3) 중 어느 일측에 점착재층을 마련하고 타측은 소재에 자체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점착제가 박리 및 재접착 가능하도록 점착할 수지 필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흡수성 본체(20)를 몸통 둘레부(10)에 대하여 착탈 불가능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인 종이 기저귀는 옆샘 방지를 목적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배리어 커프스를 제품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하고 있으나 제3 실시형태에서도 이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흡수성 본체(20)의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가 분할되므로 이 배리어 커프스들은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의 각각에 마련된다. 그러나, 단순히 범용 타입의 배리어 커프스를 마련한 경우, 배리어 커프스의 전후 단부는 기립하지 않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의 경계부분 근방 즉 특히 샘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에 있어서 전측부분(20F)의 배리어 커프스와 후측부분(20B)의 배리어 커프스가 기립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또한,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의 연결부를 통해 샘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33 ~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 각각의 내면에 대하여 폭방향 양측부에 있어서의 연결부(F1, F2) 측의 단부에서 웨이스트부(W)측의 단부까지, 또한 연결부(F1, F2)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폭방향 일측의 단부에서 타측 단부까지를 포함하는 U자형의 가장자리 둘레 범위를 따라 신체측에 기립하는 배리어 커프스(30, 30)가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의 각각에 있어서의 U자형의 가장자리 둘레 범위를 따라 소정 폭의 U자 띠 모양의 배리어 시트(31)가 배치되어 있고 이 배리어 시트(31)의 외측 가장자리부(31a)는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탑 시트(21) 표면에 고정되고 내측 가장자리부분(31b)은 웨이스트부(W)측의 양단부(33, 33)에서는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탑 시트(21) 표면에 고정되며 중간부에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배리어 시트(31)는 적어도 이 비고정 부분(또는 전체)이 2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2중 시트 사이에 고무줄 등의 세장형 탄성신축부재(32)가 신장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배리어 시트(31)로서는 발수성 부직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시에는 탄성신축부재(32)의 수축력에 의해 배리어 시트(31)의 비고정 부분이 탑 시트(21)와 이격되도록 기립하고 폭방향 양측부를 따라 형성되는 부분(30L, 30L)이 장착자의 다리 둘레에 밀착되고 연결부(F1, F2) 측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부분(30C)도 장착자의 신체에 밀착된다. 그 결과, 전자의 부분(30L, 30L)에 의해 탑 시트(21)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설물이 저지되어 옆샘이 방지됨과 아울러 후자의 부분(30C)에 의해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의 연결부(F1, F2)을 통해 새는 것도 방지된다.
도 39는 연속 제조를 고려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의 각각에 있어서 폭방향 양측의 탄성신축부재(32, 32)가 내면측에 위치하는 부분(도시된 예에서는 전측부분(20F))에 있어서의 연결부(F1) 측의 가장자리에 접근할수록 폭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만곡되고 또한 그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폭방향 중앙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만곡 교차 배치를 채용하면 제품 전후방향을 MD방향으로 하여 배리어 시트(31)의 소재를 라인 이송하면서 이 배리어 시트 소재 상에 탄성신축부재(32, 32)를 CD방향의 폭방향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왕복 요동시키면서 공급하여 배치하고 또 그 위에 배리어 시트 소재를 씌운 후 전측부분용과 후측부분용의 경계에서 순차 절단함으로써 배리어 커프스(30, 30)를 제조라인에서 연속 제조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형태의 배리어 커프스(30)에서는 폭방향 양측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0L, 30L)과 연결부측 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0C)을 U자형으로 일체 형성하고 있으나 직선형의 범용적인 배리어 커프스를 폭방향 양측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0L, 30L) 및 연결부 측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0C)으로 별도 구 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폭방향 양측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배리어 시트의 연결부측 단부를, 연결부 측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배리어 시트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도 직선적인 부재의 조합에 의해 배리어 커프스가 구성되므로 제조라인에서의 연속 생산에 적합하다.
한편,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부분(20F)의 배리어 커프스(30)에 있어서의 연결부측 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1C)의 신체측 면과 후측부분(20B)의 배리어 커프스(30)에 있어서의 연결부측 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1C)의 신체측 면을 합장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F1, F2)을 마련하면 양자가 서로 잡아당기며 기립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이 구조를, 폭방향 양측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0L, 30L)과 연결부측 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0C)을 U자형으로 일체 형성하는 경우, 또한 직선상의 범용적인 배리어 커프스를 폭방향 양측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0L, 30L) 및 연결부측 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0C)으로 별도 구비하고 양자를 접속하는 경우에 적용하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부분(20F)의 배리어 커프스(30)와 후측부분(20B)의 배리어 커프스(30)가 연결부측 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30C)을 통해 일체화되어 서로 잡아당기며 각각 기립하므로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거의 H자형의 기립부가 형성되어 옆샘과 연결부를 통해 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형태와 달리 각 연결부의 연결수단으로서 메카니컬 패스너 및 점착재를 함께 마련할 수 있다. 메카니컬 패스너는 접합력(박리.전단)은 강하지만 밀폐성은 떨어진다. 점착재는 접합력은 약하지만 접합부분의 밀폐성이 높다. 따라 서, 양자를 병용함으로써 메카니컬 패스너에 의해 강력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점착재에 의해 연결부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이러한 병용은 전측부분(20F)과 후측부분(20B)의 연결부(F1, F2)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재층이 연결부(F1, F2)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재층(N)은 전측부분(20F)의 연결부(F1) 및 후측부분(20B)의 연결부(F2) 중 내면측에 중첩된 쪽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후단측에 메카니컬 패스너(F)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측부분(20F) 및 후측부분(20B)의 적어도 일측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배설을 알리는 표시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수단은 예를 들면 액체 불투과성 시트(23)의 내면(흡수체(22)측면)에 수분에 의해 변색되는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마련할 수 있다.
이외의 점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도면에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기타)
(1) 상기 예에서의 메카니컬 패스너의 피메일 부재(후크 테이프와 부직포 혹은 타깃 테이프)를 반대로 마련한다. 즉, 메일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에 피메일부재를 마련하고 피메일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에 메일부재를 마련할 수 있다.
(2) 상기 예에서는 연결부의 연결수단으로서 메카니컬 패스너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를 대신하여 점착재층 등 다른 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점착재를 이용하는 경우, 일측의 연결부에 점착재층을 마련하고 이와 연결되는 타측의 연결 부에 아무것도 마련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점착재가 박리 및 재접착 가능하도록 점착할 수지 필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몸통 둘레부(10)의 연결부에 점착재층을 마련하고 흡수성 본체(20)의 외면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 수지 필름을 고정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같은 동종 물질에서만 접착되고 다른 물질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접착되지 않는 자착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상기 예와는 반대로 흡수성 본체(20)의 전단부는 핫멜트 접착 등에 의해 몸통 둘레부(10)의 중간부(10c)의 내면에 고정하고 흡수성 본체(20)의 후측부분의 외면에 몸통 둘레 부분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4) 몸통 둘레부(10)의 제조시에 소위 트림리스(trimless)에 의한 소재 수율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16)의 상하 양측에 있어서 상하방향 중앙의 부분(18a)을 각각 제품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각 돌출부분(18a)과, 인접하는 돌출부분(18a) 사이의 부분(18b)가 점대칭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위 트림리스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몸통 둘레부(10)의 2배 폭의, 제품 전후방향으로 연속하는 본체 시트 원지(130)을 미리 제조하고 이 본체 시트 원지(130)을 풀어 중앙위치에 연속적으로 후크 테이프(15)를 접착한 후 CD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횡단하고 또한 MD방향으로 연속하는 파상 주기곡선(19a)에 의해 절단함과 아울러 각 몸통 둘레부(10)마다 분할하기 위한 절단선(19b)을 긋고 또한 각 몸통 둘레부(10)마다 소정위치에 절취선(16)을 긋도록 한다.
본 발명은 종이 기저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중간부와 그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신축성의 사이드 플랩부를 갖는 장착자의 몸통 둘레에 감기는 띠 형상의 몸통 둘레부와,
    전후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몸통 둘레부의 상기 중간부에 연결되고 등쪽에서 고간부를 지나 배쪽까지 덮도록 장착된 흡수성 본체와,
    상기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의 양 사이드 플랩부의 내면에 각각 마련된 연결부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부의 외면에 마련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사이드 플랩부 내면의 연결부가 상기 흡수성 본체 외면의 연결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종이 기저귀로서,
    상기 신축성 사이드 플랩은 상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품 폭방향 신축응력과,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품 폭방향 신축응력이 다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의 사이드 플랩부의 각각에 선단 가장자리의 상하방향 중간에서 제품 폭방향을 따라 상기 중간부측으로 연장되는 절취선을 마련한 종이 기저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을 상기 신축성 사이드 플랩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하로 신축응력이 다른 경계선상에 마련한 종이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부에는 내면에도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고,
    각 상기 사이드 플랩부에는 외면에도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품 내면 측의 연결부와 제품 외면 측의 연결부 중 일측의 연결부 전체를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로 하여 타측의 연결부 전체를 메카니컬 패스너의 피메일부재로 함으로써 제품 내면측의 연결부와 제품 외면측의 연결부가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컬 패스너의 피메일부재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수성 본체 또는 상기 양 사이드 플랩부의 외면을 이루는 부직포인 종이 기저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연결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메카니컬 패스너의 메일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피복하는 피복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종이 기저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전후방향 앞쪽에 위치하는 전측부분과 뒤쪽에 위치하는 후측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앞측부분과 후측부분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부분 및 후측부분 각각의 내면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연결되는 부위측의 단부에서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까지의 범위에 걸쳐 신체측으로 기립하는 배리어 커프스가 마련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커프스의, 상기 연결되는 부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신체 측면에 상기 전측부분과 상기 후측부분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몸통 둘레부의 중간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종이 기저귀.
KR1020097004089A 2006-07-31 2007-07-31 종이 기저귀 KR101390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09230 2006-07-31
JP2006209230A JP4451420B2 (ja) 2006-07-31 2006-07-31 パンツ型紙おむつ
JP2006237020A JP4528753B2 (ja) 2006-08-31 2006-08-31 紙おむつ
JPJP-P-2006-237020 2006-08-31
JP2006269690 2006-09-29
JPJP-P-2006-269690 2006-09-29
PCT/JP2007/064925 WO2008016021A1 (fr) 2006-07-31 2007-07-31 Couche en pap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889A KR20090046889A (ko) 2009-05-11
KR101390131B1 true KR101390131B1 (ko) 2014-04-28

Family

ID=3899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089A KR101390131B1 (ko) 2006-07-31 2007-07-31 종이 기저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0131B1 (ko)
WO (1) WO2008016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3603A (ja) * 2017-07-10 2019-01-31 紀元 石塚 紙おむ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356A (ja) * 1992-05-22 1993-12-03 Uni Charm Corp 使い捨てオムツ
JP2005279006A (ja) 2004-03-30 2005-10-13 Daio Paper Corp 展開型紙おむつ
US20060070701A1 (en) 2004-10-01 2006-04-06 Kao Corporation Process of producing breathable sheet and process of producing absorbent article
JP2006247364A (ja) 2005-02-09 2006-09-21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3U (ko) * 1987-12-25 1990-01-05
DE68919339T2 (de) * 1988-12-20 1995-06-08 Procter & Gamble Unterhose.
JP2511419Y2 (ja) * 1990-04-12 1996-09-25 株式会社資生堂 使捨ておむつ
JP2000210320A (ja) * 1999-01-27 2000-08-02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JP3916853B2 (ja) * 2000-06-28 2007-05-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オープン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122881U (ja) * 2006-03-27 2006-06-29 啓子 光吉 紙おむ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356A (ja) * 1992-05-22 1993-12-03 Uni Charm Corp 使い捨てオムツ
JP2005279006A (ja) 2004-03-30 2005-10-13 Daio Paper Corp 展開型紙おむつ
US20060070701A1 (en) 2004-10-01 2006-04-06 Kao Corporation Process of producing breathable sheet and process of producing absorbent article
JP2006247364A (ja) 2005-02-09 2006-09-21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889A (ko) 2009-05-11
WO2008016021A1 (fr)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2724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I584792B (zh) Discarded dia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451474B2 (ja) 紙おむつ
KR101605580B1 (ko)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착용 물품
JP5027466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H0743075U (ja) 使い捨てアンダーガーメント
US20150182389A1 (en) Pull-on wearing article
TWI272939B (en) Wearing article
JP4481899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399376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284216B2 (ja) 開閉式使い捨てパンツ
JP4528753B2 (ja) 紙おむつ
KR101390131B1 (ko) 종이 기저귀
WO2005016215A1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4769679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502882B2 (ja)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4724628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81445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77364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5051176A (ja) 吸収性物品
JP5584058B2 (ja) 吸収性物品
JP5453827B2 (ja) ウエスト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5647877B2 (ja) 吸収性物品
JP5615116B2 (ja) 止着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05270347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