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8589B1 -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589B1
KR101388589B1 KR1020120157041A KR20120157041A KR101388589B1 KR 101388589 B1 KR101388589 B1 KR 101388589B1 KR 1020120157041 A KR1020120157041 A KR 1020120157041A KR 20120157041 A KR20120157041 A KR 20120157041A KR 101388589 B1 KR101388589 B1 KR 10138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contact portion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춘
Original Assignee
박경춘
주식회사 제일텔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춘, 주식회사 제일텔레텍 filed Critical 박경춘
Priority to KR102012015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5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기기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 필름, 양면 인쇄회로기판, 중간 필름, 탄성판, 고정 테이프, 제1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제2 양면 접착 테이프로 구성되고, 커버 필름 준비 단계, 양면 인쇄회로기판 준비 단계, 중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탄성판을 정렬하는 단계, 고정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중간 필름을 양면 인쇄회로기판에 부착하는 단계, 제1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필름과 고정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이면에 제2 양면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따라, 얇고 가벼운 조작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Membrane switch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기기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멤브래인 스위치는 미소한 스트로크로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얇은 막 형태의 스위치로서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멤브래인 스위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043382호(1989.11.04.)에 개재된 바와 같이 가요성 절연필름으로 이루어진 상부시트(1)와 하부시트(2) 사이에 스페이스(3)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시트에는 상부전극(4)이 인쇄되고 하부시트에는 하부전극(5)이 인쇄되어 있어 상기 스페이스를 사이에 두고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이 대향하는 상태로 이격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상부시트를 누르면 상기 상부전극이 하부전극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멤브래인 스위치는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상부시트가 처지면서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이 근접하여 스위치를 누르는 사용감이 떨어지고 쉽게 단락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스페이스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고안이 제안되기도 했으나, 이 경우 상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 사이의 거리가 커지기 때문에 멤브래인 스위치가 갖는 본래의 얇고 가벼운 조작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기기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되, 멤브래인 스위치가 갖는 본래의 얇고 가벼운 조작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회로의 두께를 줄이면서 스위칭의 접촉성을 높이도록 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기기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투명한 투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을 커버하는 불투명한 인쇄부로 형성되면서, 상기 인쇄부에는 돔 형태로 돌출된 다수개의 버튼부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 필름; 상기 인쇄부에 대응하는 박판 형태로 형성하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돌출된 끝단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에 대응하는 각 지점의 표면에는 폐쇄된 링 형태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 내부에 원 형태의 제2 접촉부가 형성되며, 표면과 이면을 통해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각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라인이 형성된 양면 인쇄회로기판;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접착하되, 상기 각 제1,2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1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스페이스 사이를 절개하여 제1 통로를 형성한 중간 필름; 상기 중간 필름의 제1 스페이스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 스페이스 위로 돌출되는 돔 형태로 형성하되, 테두리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접촉부 위에 밀착하고, 중앙 저면에는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서 상부 눌림에 의해 상기 제2 접촉부에 접촉하도록 돌기가 형성된 탄성판; 상기 중간 필름의 표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탄성판의 표면과 함께 접착하여 상기 탄성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 상기 커버 필름의 인쇄부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필름과 상기 고정 테이프를 접착하되, 상기 탄성판이 수용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2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스페이스 사이를 절개하여 제2 통로를 형성한 제1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이면을 보호하도록 커버하면서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에 접착하기 위한 제2 양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PCB)은 유연한 연성의 양면 인쇄회로기판(FPCB)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기기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주변을 커버하도록 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을 커버하는 부분의 이면에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투명한 투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을 커버하는 불투명한 인쇄부를 형성하고, 열 압착 성형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을 커버하는 부분에 돔 형태로 돌출된 다수개의 버튼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커버 필름 준비 단계; 상기 인쇄부에 대응하는 박판 형태로 형성하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돌출된 끝단에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에 대응하는 각 지점의 표면에는 폐쇄된 링 형태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 내부에 원 형태의 제2 접촉부를 형성하며, 표면과 이면을 통해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각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라인이 형성된 양면 인쇄회로기판 준비 단계;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하되, 상기 각 제1,2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1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스페이스 사이를 절개하여 제1 통로를 형성한 후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이형지 위에 부착하는 중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중간 필름의 제1 스페이스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 스페이스 위로 돌출되는 돔 형태로 형성하되, 테두리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접촉부 위에 밀착되도록 하고, 중앙 저면에는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서 상부 눌림에 의해 상기 제2 접촉부에 접촉하도록 돌기가 형성된 탄성판을 상기 중간 필름의 제1 스페이스에 정렬하는 단계; 상기 중간 필름의 표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탄성판의 표면과 함께 고정 테이프를 접착하여 상기 탄성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 테이프에 의해 제1 스페이스에 탄성판이 정렬된 중간 필름의 이형지를 제거하고 상기 중간 필름의 이면을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커버 필름의 인쇄부에 대응하면서 상기 탄성판이 수용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2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스페이스 사이를 절개하여 제2 통로를 형성한 제1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필름과 고정 테이프 사이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이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에 접착하기 위한 제2 양면 접착 테이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기기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되 얇고 가벼운 조작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은 두께를 줄이면서 스위칭의 접촉성을 높임으로써, 제품의 취급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멤브래인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을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을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을 도시한 요부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포함하는 기기(10)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로서 커버 필름(100), 양면 인쇄회로기판(200), 중간 필름(300), 탄성판(400), 고정 테이프(500), 제1 양면 접착 테이프(600) 및 제2 양면 접착 테이프(70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기기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커버하는 투명한 투시부(1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을 커버하는 불투명한 인쇄부(120)로 형성되면서, 상기 인쇄부(120)에는 돔 형태로 돌출된 다수개의 버튼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주변에 얇게 밀착되도록 하면서 조작감을 높이기 위해 상기 버튼부(130)를 돔 형태로 돌출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에 밀착하도록 상기 커버 필름(100)의 인쇄부(120)에 대응하는 박판 형태로 형성하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돌출된 끝단에 단자(210)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130)에 대응하는 각 지점의 표면에는 폐쇄된 링 형태의 제1 접촉부(220)와 상기 제1 접촉부(220) 내부에 원 형태의 제2 접촉부(230)가 형성되며, 표면과 이면을 통해 상기 단자(210)로부터 상기 각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라인(240)이 형성된다.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에 밀착하는 인쇄부(120)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필름(100)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에 밀착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부착 후 상기 커버 필름(100)의 표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접촉부(2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쇄된 링 형태로 형성하여 후술하는 탄성판(400)의 테두리와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 경우 상기 단자(210)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220)로 연결하는 라인(240)은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단자(210)로부터 상기 제2 접촉부(230)로 연결하는 라인(240)은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표면과 이면을 통해 형성한다. 이때, 상기 단자(210)로부터 제2 접촉부(230)로 연결되는 라인(240)은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을 관통하여 표면과 이면 사이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PCB: 200)은 유연한 연성의 양면 인쇄회로기판(FPCB)으로 구성함으로써, 취급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중간 필름(300)은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표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접착하되, 상기 각 제1,2 접촉부(220, 230)가 노출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1 스페이스(3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스페이스(310) 사이를 절개하여 제1 통로(320)를 형성한다. 상기 중간 필름(300)은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후술하는 탄성판(400)의 위치를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탄성판을 누를 때 압축된 공기가 상기 제1 통로(320)를 통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탄성판(400)은 상기 중간 필름(300)의 제1 스페이스(310)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 스페이스(310) 위로 돌출되는 돔 형태로 형성하되, 테두리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접촉부(220) 위에 밀착하고, 중앙 저면에는 상기 제2 접촉부(23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서 상부 눌림에 의해 상기 제2 접촉부(230)에 접촉하도록 돌기(4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탄성판(400)은 도전성 금속재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탄성판(400)은 상기 중간 필름(300)보다 돌출되도록 하면서 후술하는 제1 양면 접착 테이프(600) 보다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테이프(500)는 상기 중간 필름(300)의 표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탄성판(400)의 표면과 함께 접착하여 상기 탄성판(40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 테이프(5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탄성판(400)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양면 접착 테이프(600)는 상기 커버 필름(100)의 인쇄부(120)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필름(100)과 상기 고정 테이프(500)를 접착하되, 상기 탄성판(400)이 수용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2 스페이스(610)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스페이스(610) 사이를 절개하여 제2 통로(620)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양면 접착 테이프(600)는 상기 커버 필름(100)과 고정 테이프(500) 사이를 접착하면서 상기 제2 스페이스(610)를 통해 커버 필름(100)의 버튼부(130)에서 상기 탄성판(400)을 간편하게 누르도록 하는 한편, 상기 버튼부(130)에서 탄성판(400)을 누를 때 압축된 공기가 상기 제2 통로(620)를 통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 양면 접착 테이프(700)는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이면을 보호하도록 커버하면서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에 접착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양면 접착 테이프(700)는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이 볼팅 등의 수단으로 상기 기기에 고정할 필요 없이 접착을 통해 간편하게 기기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의 제조방법은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필름 준비 단계, 양면 인쇄회로기판 준비 단계, 중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탄성판을 정렬하는 단계, 고정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중간 필름을 양면 인쇄회로기판에 부착하는 단계, 제1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필름과 고정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이면에 제2 양면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 필름(100) 준비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주변을 커버하도록 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을 커버하는 부분의 이면에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투명한 투시부(110)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을 커버하는 불투명한 인쇄부(120)를 형성한 후에 열 압착 성형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을 커버하는 부분에 돔 형태로 돌출된 다수개의 버튼부(130)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 준비 단계는 상기 인쇄부(120)에 대응하는 박판 형태로 형성하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돌출된 끝단에 단자(210)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130)에 대응하는 각 지점의 표면에는 폐쇄된 링 형태의 제1 접촉부(220)와 상기 제1 접촉부(220) 내부에 원 형태의 제2 접촉부(230)를 형성하며, 표면과 이면을 통해 상기 단자(210)로부터 상기 각 제1 접촉부(220)와 제2 접촉부(230)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라인(240)이 형성된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을 준비한다.
상기 제1 접촉부(2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쇄된 링 형태로 형성하여 후술하는 탄성판(400)의 테두리와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 경우 상기 단자(210)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220)로 연결하는 라인(240)은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단자(210)로부터 상기 제2 접촉부(230)로 연결하는 라인(240)은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표면과 이면을 통해 형성한다. 이때, 상기 단자(210)로부터 제2 접촉부(230)로 연결되는 라인(240)은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을 관통하여 표면과 이면 사이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PCB: 200)은 유연한 연성의 양면 인쇄회로기판(FPCB)으로 구성함으로써, 취급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중간 필름(300) 준비 단계는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하되, 상기 각 제1,2 접촉부(220, 230)가 노출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1 스페이스(3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스페이스(310) 사이를 절개하여 제1 통로(320)를 형성한 후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30) 위에 부착한다.
상기 탄성판(400)을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 필름(300)의 제1 스페이스(310)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 스페이스(310) 위로 돌출되는 돔 형태로 형성하되, 테두리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접촉부(220) 위에 밀착되도록 하고, 중앙 저면에는 상기 제2 접촉부(23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서 상부 눌림에 의해 상기 제2 접촉부(230)에 접촉하도록 돌기(410)가 형성된 탄성판(400)을 상기 중간 필름(300)의 제1 스페이스(310)에 정렬한다.
상기 고정 테이프(500)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 필름(300)의 표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탄성판(400)의 표면과 함께 고정 테이프를 접착하여 상기 탄성판의 위치를 고정한다.
중간 필름(300)을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에 부착하는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테이프(500)에 의해 제1 스페이스(310)에 탄성판(400)이 정렬된 중간 필름(300)의 이형지(30)를 제거하고 상기 중간 필름(300)의 이면을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표면에 부착한다. 이때, 상기 탄성판(400)이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제1,2 접촉부(220, 230) 위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양면 접착 테이프(600)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필름(100)과 고정 테이프(500)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 필름(100)의 인쇄부(120)에 대응하면서 상기 탄성판(400)이 수용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2 스페이스(610)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스페이스(610) 사이를 절개하여 제2 통로(620)를 형성한 제1 양면 접착 테이프(600)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필름(100)과 고정 테이프(500) 사이를 부착한다. 이때, 상기 제1 양면 접착 테이프(600)의 제2 스페이스(610)가 상기 탄성판 위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페이스(610) 위에는 상기 커버 필름(100)의 버튼부(130)가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이면에 제2 양면 접착 테이프(700)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의 이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200)을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에 접착하기 위한 제2 양면 접착 테이프 부착(700)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모듈은 기기에 간편하게 부착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과 제조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기기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되 얇고 가벼운 조작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두께를 줄이면서 스위칭의 접촉성을 높임으로써, 제품의 취급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100: 커버 필름
200: 양면 인쇄회로기판
300: 중간 필름
400: 탄성판
500: 고정 테이프
600: 제1 양면 접착 테이프
700: 제2 양면 접착 테이프

Claims (3)

  1.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기기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투명한 투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을 커버하는 불투명한 인쇄부로 형성되면서, 상기 인쇄부에는 돔 형태로 돌출된 다수개의 버튼부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 필름;
    상기 인쇄부에 대응하는 박판 형태로 형성하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돌출된 끝단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에 대응하는 각 지점의 표면에는 폐쇄된 링 형태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 내부에 원 형태의 제2 접촉부가 형성되며, 표면과 이면을 통해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각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라인이 형성된 양면 인쇄회로기판;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접착하되, 상기 각 제1,2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1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스페이스 사이를 절개하여 제1 통로를 형성한 중간 필름;
    상기 중간 필름의 제1 스페이스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 스페이스 위로 돌출되는 돔 형태로 형성하되, 테두리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접촉부 위에 밀착하고, 중앙 저면에는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서 상부 눌림에 의해 상기 제2 접촉부에 접촉하도록 돌기가 형성된 탄성판;
    상기 중간 필름의 표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탄성판의 표면과 함께 접착하여 상기 탄성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
    상기 커버 필름의 인쇄부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필름과 상기 고정 테이프를 접착하되, 상기 탄성판이 수용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2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스페이스 사이를 절개하여 제2 통로를 형성한 제1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이면을 보호하도록 커버하면서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에 접착하기 위한 제2 양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PCB)은 유연한 연성의 양면 인쇄회로기판(F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3.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기기의 조작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주변을 커버하도록 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을 커버하는 부분의 이면에 인쇄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투명한 투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을 커버하는 불투명한 인쇄부를 형성하고, 열 압착 성형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변을 커버하는 부분에 돔 형태로 돌출된 다수개의 버튼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커버 필름 준비 단계;
    상기 인쇄부에 대응하는 박판 형태로 형성하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돌출된 끝단에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에 대응하는 각 지점의 표면에는 폐쇄된 링 형태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 내부에 원 형태의 제2 접촉부를 형성하며, 표면과 이면을 통해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각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라인이 형성된 양면 인쇄회로기판 준비 단계;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을 커버하도록 하되, 상기 각 제1,2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1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스페이스 사이를 절개하여 제1 통로를 형성한 후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이형지 위에 부착하는 중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중간 필름의 제1 스페이스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 스페이스 위로 돌출되는 돔 형태로 형성하되, 테두리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접촉부 위에 밀착되도록 하고, 중앙 저면에는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서 상부 눌림에 의해 상기 제2 접촉부에 접촉하도록 돌기가 형성된 탄성판을 상기 중간 필름의 제1 스페이스에 정렬하는 단계;
    상기 중간 필름의 표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탄성판의 표면과 함께 고정 테이프를 접착하여 상기 탄성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 테이프에 의해 제1 스페이스에 탄성판이 정렬된 중간 필름의 이형지를 제거하고 상기 중간 필름의 이면을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커버 필름의 인쇄부에 대응하면서 상기 탄성판이 수용되도록 천공된 다수개의 제2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스페이스 사이를 절개하여 제2 통로를 형성한 제1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필름과 고정 테이프 사이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이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에 접착하기 위한 제2 양면 접착 테이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제조방법.
KR1020120157041A 2012-12-28 2012-12-28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38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041A KR101388589B1 (ko) 2012-12-28 2012-12-28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041A KR101388589B1 (ko) 2012-12-28 2012-12-28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589B1 true KR101388589B1 (ko) 2014-04-23

Family

ID=5065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041A Active KR101388589B1 (ko) 2012-12-28 2012-12-28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5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0873A (zh) * 2018-12-26 2019-03-22 东莞市沃德精密机械有限公司 膜片的切割定型机
KR102627912B1 (ko) * 2023-07-13 2024-01-23 주식회사 타보스 컨버터용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895A (ja) 2001-02-14 2002-08-30 Yazaki Corp ドームスイッチ
JP2004281252A (ja) 2003-03-17 2004-10-07 Sumitomo Bakelite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携帯電話端末
JP2008140755A (ja) 2006-11-09 2008-06-19 Shin Etsu Polymer Co Ltd 操作スイッチ用シート部材、操作スイッチ、及び操作スイッチ用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2013534710A (ja) 2010-07-28 2013-09-05 イ チャン ホ Pcbタクト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895A (ja) 2001-02-14 2002-08-30 Yazaki Corp ドームスイッチ
JP2004281252A (ja) 2003-03-17 2004-10-07 Sumitomo Bakelite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携帯電話端末
JP2008140755A (ja) 2006-11-09 2008-06-19 Shin Etsu Polymer Co Ltd 操作スイッチ用シート部材、操作スイッチ、及び操作スイッチ用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2013534710A (ja) 2010-07-28 2013-09-05 イ チャン ホ Pcbタクトスイッ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0873A (zh) * 2018-12-26 2019-03-22 东莞市沃德精密机械有限公司 膜片的切割定型机
CN109500873B (zh) * 2018-12-26 2024-02-20 广东沃德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膜片的切割定型机
KR102627912B1 (ko) * 2023-07-13 2024-01-23 주식회사 타보스 컨버터용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7820B2 (en) Protective panel with touch input function superior in surface flatnes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protective panel
JP5881804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6906275B2 (en) Movable contact unit, panel switch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panel switch
JP2003141969A (ja) スイッチ
JPH0917273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1388589B1 (ko) 멤브래인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7329823B2 (en) Movable contact element and panel switch formed using the same
JP5529179B2 (ja) 押し釦装置及び保護カバー
JP2635424B2 (ja) 操作パネル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2010040473A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
US7679016B2 (en) Panel switch
KR101208261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101266679B1 (ko)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
AU2021266234B2 (en) Portable radio with button over speaker
JP2020095117A (ja) 保護部材及び電子機器
JP3631926B2 (ja) 電気部品の封止構造
WO2012048457A1 (zh) 一种通讯设备的按键结构及其制备工艺
JP2009170155A (ja) タッチパネル
JP2006024450A (ja) 可動接点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スイッチ
KR101307643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CN201408689Y (zh) 一种软性键盘板及具有该键盘板的键盘装置
JP2005183302A (ja) 二段スイッチ
JP2006172974A (ja) 可動接点体およびそれを用いて構成したパネルスイッチ
JP2019207756A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およびメンブレン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201208441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実装基板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