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3413B1 -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413B1
KR101383413B1 KR1020147000731A KR20147000731A KR101383413B1 KR 101383413 B1 KR101383413 B1 KR 101383413B1 KR 1020147000731 A KR1020147000731 A KR 1020147000731A KR 20147000731 A KR20147000731 A KR 20147000731A KR 101383413 B1 KR101383413 B1 KR 10138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random acc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703A (ko
Inventor
요시아끼 오따
요시히로 가와사끼
데쯔야 야노
요시노리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4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38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using contention-free random access [CF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사용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무선 통신 장치(1, 2)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통신을 행한다. 무선 통신 장치(1)는,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무선 통신 장치(2)에 송신한다. 무선 통신 장치(2)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 장치(1)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전화 시스템이나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의 한층 더 고속화·대용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해서 계속적으로 활발한 논의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최대로 20M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한 LTE(Long Term Evolution)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LTE의 차세대 통신 규격으로서, 최대로 20MHz의 주파수 대역 5개(즉, 100MHz의 주파수 대역)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한 LTE-A(LTE-Advanced)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2 참조). LTE-A에서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수를, 트래픽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한쪽의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이동국)로부터, 무선 리소스의 할당 제어를 행하는 다른 쪽의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에 대하여, 랜덤 액세스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의 랜덤 액세스는, 예를 들면, (1) 이동국이 최초로 기지국에 액세스할 때, (2) 데이터 송신에 이용할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기지국에 요구할 때, (3)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에 있어서 동기를 확립할 때, (4) 핸드오버 시에 이동처 기지국과 동기를 취할 때 등에 실행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에는, 경합형(Contention Based) 랜덤 액세스와, 비경합형(Non-contention Based) 랜덤 액세스가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4의 제10.1.5절 및 비특허 문헌 5의 제5.1절 참조).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의 랜덤 액세스의 경우, 경합형 랜덤 액세스에서는, 복수대로의 신호 계열 중에서 이동국이 임의로 선택한 신호 계열을,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로서 기지국에 송신한다. 비경합형 랜덤 액세스에서는, 기지국이 이동국에 신호 계열을 지정한 정보를 통지하고,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에 따른 신호 계열을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로서 송신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quirements for further advancements for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LTE-Advanced)", 3GPP TR 36.913 V8.0.1, 2009-03.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Feasibility study for Further Advancements for E-UTRA(LTE-Advanced)", 3GPP TR 36.912 V9.0.0, 2009-09.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he need for additional activation procedure in carrier aggregation", 3GPP TSG-RAN WG2#67bis R2-095874, 2009-10.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Overall description", 3GPP TS 36.300 V9.0.0, 2009-06.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Medium Access Control(MA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36.321 V9.1.0, 2009-12.
그런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픽에 따라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수를 변경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특허 문헌 3의 기재와 같은 방법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통신이 개시된 후(랜덤 액세스의 수속이 완료된 후) 에, 재차, 통신을 개시한 주파수 대역 이외의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수속을 행하게 된다. 이 방법에서는, 통신 개시 전에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 판명되는 경우(예를 들면, 송신 데이터량이 큰 것이 판명되는 경우) 등에는, 수속이 비효율적으로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사용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한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이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부 및 제어부를 갖는다. 수신부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다른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이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부 및 송신부를 갖는다. 제어부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데이터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선택한다. 송신부는,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어부가 선택한 제2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갖는다. 제1 무선 통신 장치는,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통신을 행하는 제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무선 통신 방법에서는,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한다.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사용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예로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첨부의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경합형 랜덤 액세스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비경합형 랜덤 액세스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무선 통신에 이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지국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이동국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이동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제1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제2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제3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Msg0의 제1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Msg0의 제2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Msg0의 제3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Msg0의 제1 사이즈 조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Msg0의 제2 사이즈 조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Msg0의 제3 사이즈 조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의 기지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의 이동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의 제1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의 제2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제3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Msg2의 제1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Msg2의 제2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Msg2의 제3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4 실시 형태의 기지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8은 제4 실시 형태의 이동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9는 제4 실시 형태의 제1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제4 실시 형태의 제2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4 실시 형태의 제3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장치(1, 2)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1, 2)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통신을 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LTE-A 시스템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LTE-A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을,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무선 통신 장치(1)는, 무선 리소스의 할당 제어를 행한다. 무선 통신 장치(2)는, 무선 통신 장치(1)의 제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1)(또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1)를 기지국 또는 중계국, 무선 통신 장치(2)를 가입자국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장치(1)를 기지국, 무선 통신 장치(2)를 중계국으로서 실현해도 좋다. 무선 통신 장치(1, 2)는, 고정 무선 통신 장치이어도 이동 무선 통신 장치이어도 좋다.
무선 통신 장치(1)는, 제어부(1a) 및 송신부(1b)를 갖는다. 제어부(1a)는, 주파수 대역(#1)을, 무선 통신 장치(2)가 랜덤 액세스의 수속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주파수 대역(#2)을 무선 통신 장치(2)가 데이터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선택한다. 송신부(1b)는, 주파수 대역(#1)에서, 랜덤 액세스에 관한 제어 메시지를 무선 통신 장치(2)에 송신한다. 이 제어 메시지에는, 주파수 대역(#2)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삽입된다. 또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미리 식별 정보(예를 들면, 일의적인 번호)가 대응지어진다.
무선 통신 장치(2)는, 수신부(2a) 및 제어부(2b)를 갖는다. 수신부(2a)는, 주파수 대역(#1)에서, 랜덤 액세스에 관한 제어 메시지를 무선 통신 장치(1)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2b)는,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2)을 이용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무선 통신 장치(1)의 랜덤 액세스처 및 데이터 통신 상대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1)이다. 단, 무선 통신 장치(1)로부터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핸드오버하는 경우에는, 랜덤 액세스처 및 데이터 통신 상대는, 핸드오버처의 무선 통신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2)는, 랜덤 액세스로서 비경합형 랜덤 액세스 또는 경합형 랜덤 액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경합형의 경우, 제어 메시지로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신호 계열을 지정하는 메시지(Msg0),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Msg1)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레스펀스(Msg2)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경합형의 경우, 제어 메시지로서, 랜덤 액세스 레스펀스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2)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주파수 대역(#1)에서 수신하면, 그 후의 랜덤 액세스의 수속을 주파수 대역(#2)에서 계속 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주파수 대역(#2)이 비활성 상태일 경우, 무선 통신 장치(2)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에서, 주파수 대역(#2)을 활성 상태로 변경해도 좋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에서, 주파수 대역(#2)을 활성 상태로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 2)는, 주파수 대역(#2)을 활성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별도로 송수신하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에 의해, 주파수 대역(#2)이, 무선 통신 장치(2)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선택된다. 그리고,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주파수 대역(#1)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2)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가 무선 통신 장치(2)에 송신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2)에 의해,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주파수 대역(#1)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2)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가 무선 통신 장치(1)로부터 수신된다. 그리고,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2)을 이용해서 데이터 통신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랜덤 액세스의 수속 개시시에 이용한 주파수 대역(#1)과 다른 주파수 대역(#2)의 사용 허가를, 랜덤 액세스의 수속 사이에 무선 통신 장치(2)에 부여할 수 있다. 즉, 랜덤 액세스의 수속 중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랜덤 액세스의 수속 후에 별도로 주파수 대역(#2)의 사용 허가를 무선 통신 장치(2)에 부여하는 수속을 행하지 않아도 되고,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사용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하의 제2∼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방법을 LTE-A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방법은, LTE-A 이외의 통신 방식을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이나, 고정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2는, 제2 실시 형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 이동국(20) 및 중계국(30)을 포함한다. 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최대로 5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기지국(10)은, 이동국(20)과 직접 또는 중계국(30) 경유로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기지국(10)은, 상위국(도시 생략)과 유선으로 접속되고, 유선 구간과 무선 구간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지국(10)은, 기지국(10)과 이동국(20) 사이의 링크의 무선 리소스 및 기지국(10)과 중계국(30) 사이의 링크의 무선 리소스를 관리한다.
이동국(20)은, 기지국(10) 또는 중계국(30)에 액세스해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단말 장치이다. 이동국(20)으로서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나 휴대형의 정보 단말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동국(20)은, 기지국(10) 또는 중계국(30)에 대하여 랜덤 액세스를 행해서 동기를 확립하고, 그 후, 데이터의 송신이나 수신을 행한다.
중계국(30)은, 기지국(10)과 이동국(20) 사이에서 데이터 송신을 중계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중계국(30)은, 고정 통신 장치이어도 이동 통신 장치이어도 좋다. 중계국(30)은, 기지국(10)에 대하여 랜덤 액세스를 행해서 동기를 확립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계국(30)은, 중계국(30)과 이동국(20) 사이의 링크의 무선 리소스를 관리한다.
이하의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기지국(10)과 이동국(20) 사이에서 행해지는 랜덤 액세스의 수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10)과 중계국(30) 사이나 중계국(30)과 이동국(20)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인 랜덤 액세스의 수속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경합형 랜덤 액세스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시퀀스를 스텝 번호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국한해서 랜덤 액세스의 수속이 행해지는 경우를 생각한다.
(스텝 S11)
이동국(20)은, 상향 링크(UL)에서 송신하는 데이터가 발생하면, 미리 정의된 복수대로의 신호 계열 중에서 임의인 1개의 신호 계열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신호 계열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Msg1)을,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이용해서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이때, PRACH 상에서는, 복수의 이동국이 같은 신호 계열의 Msg1을 송신하는 것, 즉, 랜덤 액세스가 경합하는 것이 일어날 수 있다.
(스텝 S12)
기지국(10)은, PRACH 상에서 Msg1을 검출하면, 이동국(20)의 UL 송신 타이밍을 측정함과 함께, 이동국(20)에 대하여 UL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그리고, UL 타이밍을 동기시키기 위한 정보나 할당한 UL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레스펀스(Msg2)를 송신한다. 경합이 생긴 경우, Msg1을 송신한 이동국 각각이 Msg2를 수신한다.
(스텝 S13)
이동국(20)은, Msg2를 수신하면, 기지국(10)이 할당한 UL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이동국(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드 트랜스미션(Msg3)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경합이 생긴 경우, Msg1을 송신한(즉, Msg2를 수신한) 이동국 각각이, Msg3를 송신한다. 이 경우, 동일 무선 리소스 상에서 송신된 복수의 Msg3이 간섭한다.
(스텝 S14)
기지국(10)은, 스텝 S12에서 할당한 UL 무선 리소스 상에서, Msg3을 검출한다. Msg3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로부터, 랜덤 액세스를 행한 이동국(20)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10)은, 이동국(20)을 인식할 수 있었음을 나타내는 컨텐션 레졸루션(Msg4)을, 이동국(20)에 송신한다. 그 후, 기지국(10)과 이동국(20) 사이에서 동기가 확립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단, 경합이 생긴 경우에는, Msg3로부터 송신원인 이동국의 식별 정보를 추출 할 수 없다. 이 경우, 기지국(10)은, 경합이 생긴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국(20)은, 랜덤한 시간만 대기한 후, 스텝 S11로 되돌아가고, 랜덤 액세스의 수속을 재실행한다. 경합이 해소되면, 기지국(10)과 이동국(20) 사이에서 동기가 확립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비경합형 랜덤 액세스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시퀀스를 스텝 번호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국한해서 랜덤 액세스의 수속이 행해질 경우를 생각한다.
(스텝 S21)
기지국(10)은, 하향 링크(DL)에서 송신하는 데이터가 도착하면, 미리 정의된 복수대로의 신호 계열 중에서 미사용의 1개의 신호 계열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신호 계열을 지정하는 개별 프리앰블 통지(Msg0)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이때, 기지국(10)은, 복수의 이동국에 대하여, 동시기에 동일한 신호 계열을 할당하지 않도록, 배타 제어를 행한다.
(스텝 S22)
이동국(20)은, Msg0를 수신하고나서 일정 시간(유효 기한) 내에, Msg0로 지정된 신호 계열을 포함하는 Msg1을, PRACH를 이용해서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여기서, 지정된 신호 계열은, 유효 기한 내에서는 이동국(20)에 배타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의 경합은 생기지 않는다.
(스텝 S23)
기지국(10)은, PRACH 상에서 Msg1을 검출하면, 이동국(20)에 대하여 UL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그리고, 할당한 UL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Msg2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그 후, 기지국(10)과 이동국(2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경합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비경합형 랜덤 액세스에서는, Msg3, Msg4를 송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경합형 랜덤 액세스는, 예를 들면, (1) 이동국(20)이 최초로 기지국(10)에 액세스할 때, (2)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이동국(20)이 기지국(10)에 요구할 때에 실행될 수 있다. 비경합형 랜덤 액세스는, 예를 들면, (3) 이동국(20)이 기지국(1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에 있어서 동기를 확립할 때, (4) 이동국(20)이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10)에 핸드오버함에 있어서 기지국(10)과 동기를 확립할 때에 실행될 수 있다.
단, 비경합형 랜덤 액세스가 실행되어야 할 장면에서(예를 들면, 핸드오버 시나 이동국(20)이 기지국(1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에 있어서 동기를 확립할 때), 개별로 할당하는 신호 계열이 기지국(10)에서 고갈하고 있는 경우에는, 개별 프리앰블을 포함하지 않는 Msg0이 송수신된다. 이 경우, 경합형 랜덤 액세스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의 경우, Msg0은 핸드오버 전의 기지국이 이동국(20)에 송신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이, 비경합형 랜덤 액세스의 수속을 실행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5는, 무선 통신에 이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최대로 5개의 컴포넌트 캐리어(CC#1∼#5)를 사용해서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CC#1∼#5의 대역 폭은, 모두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CC#1∼#5에는, 각각, 3비트의 CI(Carrier Indicator)가 식별 정보로서 부여된다. 0b000(0)은 CC#1을 나타내고, 0b001(1)은 CC#2를 나타내고, 0b010(2)은 CC#3을 나타내고, 0b011(3)은 CC#4를 나타내고, 0b100(4)은 CC#5를 나타낸다. 0b101(5)과 0b110(6)은, 사용하지 않는 값(예약 값)이다. 0b111(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기 위해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기지국(10)은, 이동국마다 CC#1∼#5 각각의 상태를 설정한다. 이동국(20)은, CC#1∼#5의 상태에 기초하여,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무선 수신 처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CC#1∼#5는 그 상태에 따라서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 “Configured and Activated CC” 및 “PDCCH monitoring set”로 분류할 수 있다.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은, 현재는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지 않고 있지만 사용가능한 상태(비활성 상태)의 컴포넌트 캐리어이다. 이동국(20)은, 비활성 상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는,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링크 물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과, 데이터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링크 물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어느쪽도 모니터링하지 않아도 된다. 즉, 해당 주파수 대역의 무선 수신 처리를 정지해도 된다.
“Configured and Activated CC”는, 현재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상태(활성 상태)의 컴포넌트 캐리어이다. 이동국(20)은, 활성 상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서는, 적어도, 이동국(20) 앞의 PDSCH에 대해서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한다.
“PDCCH monitoring set”는, 활성 상태이며, 또한, 이동국(20) 앞의 PDCCH가 설정될 가능성이 있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집합이다. 이동국(20)은, 이 집합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는, PDCCH를 모니터링한다. PDCCH의 신호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이동국(20)은, PDCCH를 블라인드 복호한다. 즉, 취할 수 있는 신호의 길이에 따라서 복수대로의 복호를 실시함으로써,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PDCCH monitoring set”는 “Configured and Activated CC”의 서브세트로 정의할 수 있지만, 모든 “Configured and Activated CC”에서 PDCCH의 수신 처리를 행해야 할 경우도 있다. 이 경우, “PDCCH monitoring set”와 “Configured and Activated CC”는 같은 집합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PDCCH가 설정될 수 있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이동국마다 서로 달라도 좋다. 또한, 기지국(10)은, CC#1∼#5의 일부를 앵커 컴포넌트 캐리어(ACC)로 설정해도 좋다. ACC는, 이동국이 모니터링해야 할 컴포넌트 캐리어이다. ACC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PDCCH monitoring set”에는, 적어도 ACC가 포함된다. ACC에 설정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셀마다 지정해도 좋고, 이동국마다 지정해도 좋다.
또한,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쌍방향 통신을 행하기 위해, 시분할 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을 이용해도 좋고, 주파수 분할 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을 이용해도 된다. TDD를 이용했을 경우, CC마다 1개의 주파수 대역이 설정된다. FDD를 이용했을 경우, CC마다 UL용의 주파수 대역과 DL용의 주파수 대역의 페어가 설정된다. 후술하는 랜덤 액세스의 수속은, UL용의 주파수 대역과 DL용의 주파수 대역을 나눌 경우와 나누지 않을 경우의 어느 것이라도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기지국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기지국(10)은, 무선 통신부(11), 스케줄러(12), 유선 통신부(13), 제어부(14), 제어 플레인부(15), PDCCH 제어부(16), 데이터 플레인부(17) 및 RAR 제어부(18)를 갖는다.
무선 통신부(11)는, 이동국(20) 및 중계국(30)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통신부(11)는, 이동국(20) 또는 중계국(30)으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하여, 복조·복호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고,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이동국(20) 또는 중계국(30)에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에 대하여, 부호화·변조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고, 무선 송신한다.
스케줄러(12)는, 제어부(1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이동국(20) 및 중계국(30)으로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스케줄링)을 행한다. 예를 들면, 스케줄러(12)는,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 이동국(20)에 UL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고, 할당한 UL 무선 리소스를 무선 통신부(11)에 통지한다.
유선 통신부(13)는, 상위국과 유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유선 통신부(13)는, 상위국에서 이동국(20) 앞의 유저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한 유저 데이터는, 스케줄러(12)에 의한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이동국(20)에 전송된다. 또한, 유선 통신부(13)는, 무선 통신부(11)에서 추출된 유저 데이터를 상위국에 전송한다.
제어부(14)는, 무선 통신부(11), 스케줄러(12) 및 유선 통신부(13)의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14) 내에, 제어 플레인부(15)와 데이터 플레인부(17)가 설치된다. 제어 플레인부(15) 내에는, PDCCH 제어부(16)가 설치된다. 데이터 플레인부(17) 내에는, RAR 제어부(18)가 설치된다.
제어 플레인부(15)는, 이동국(20) 및 중계국(30) 사이의 제어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즉, 무선 통신부(11)에서 추출된 제어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제어 정보에 따른 통신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동국(20) 또는 중계국(30)에 송신하는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부(11)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 플레인부(15)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Protocol)의 처리를 행한다.
PDCCH 제어부(16)는, 랜덤 액세스 수속시의 PDCCH 시그널링을 제어한다. 즉, 이동국(20) 또는 중계국(30)에 PDCCH에서 송신하는 개별 프리앰블 통지(Msg0)에, 어떤 정보를 포함시킬지 결정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CI를 Msg0에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데이터 플레인부(17)는, 이동국(20) 및 중계국(30) 사이의 유저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플레인부(17)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Radio Link Control) 프로토콜 및 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의 처리를 행한다.
RAR 제어부(18)는, 랜덤 액세스 수속시의 MAC 시그널링을 제어한다. 즉, 이동국(20) 또는 중계국(30)에 PDSCH에서 송신하는 랜덤 액세스 레스펀스(Msg2)에, 어떤 정보를 포함시킬지 결정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CI를 Msg2에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도 7은, 이동국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동국(20)은, 무선 통신부(21), 크로스 캐리어 설정부(22), 제어부(23), 제어 플레인부(24), PDCCH 제어부(25), 데이터 플레인부(26) 및 RAR 제어부(27)를 갖는다.
무선 통신부(21)는, 기지국(10) 및 중계국(30)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통신부(21)는, 기지국(10) 또는 중계국(30)으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하여, 복조·복호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고,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기지국(10) 또는 중계국(30)에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에 대하여, 부호화·변조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고, 무선 송신한다.
크로스 캐리어 설정부(22)는, 제어부(2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 무선 통신부(21)가 신호 처리를 행하는 주파수 대역(컴포넌트 캐리어)의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한 Msg0 또는 Msg2에 CI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그 후는 CI가 나타내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Msg0에 CI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를 상정한다.
제어부(23)는, 무선 통신부(21) 및 크로스 캐리어 설정부(22)의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23) 내에, 제어 플레인부(24)와 데이터 플레인부(26)가 설치된다. 제어 플레인부(24) 내에는, PDCCH 제어부(25)가 설치된다. 데이터 플레인부(26) 내에는, RAR 제어부(27)가 설치된다.
제어 플레인부(24)는, 기지국(10) 및 중계국(30) 사이의 제어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즉, 무선 통신부(21)에서 추출된 제어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제어 정보에 따른 통신 제어를 행한다. 또한, 기지국(10) 또는 중계국(30)에 송신하는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부(21)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 플레인부(24)는, RRC의 처리를 행한다.
PDCCH 제어부(25)는, 랜덤 액세스 수속시의 PDCCH 시그널링을 제어한다. 즉, 기지국(10) 또는 중계국(30)으로부터 PDCCH에서 수신하는 Msg0을 해석하고, Msg0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Msg0에 CI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CI가 나타내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PDSCH의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수신 처리의 개시에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활성화, 수신한 유저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할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플레인부(26)는, 기지국(10) 및 중계국(30) 사이의 유저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PDCH, RLC 및 MAC의 처리를 행한다.
RAR 제어부(27)는, 랜덤 액세스 수속시의 MAC 시그널링을 제어한다. 즉, 기지국(10) 또는 중계국(30)으로부터 PDSCH에서 수신하는 Msg2를 해석하고, Msg2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Msg2에 CI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CI가 나타내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PDSCH의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또한, 중계국(30)에도, 기지국(10) 및 이동국(20)과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부나 제어부를 설치할 수 있다. 그 경우, 중계국(30)의 제어부는, 기지국(10) 사이의 무선 통신에 관해서는, 상기 이동국(20)의 제어부(23)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동국(20) 사이의 무선 통신의 제어에 관해서는, 상기 기지국(10)의 제어부(14)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처리를 스텝 번호에 따라 설명한다.
(스텝 S111)
제어부(14)는, 이동국(20)에 관한 CC#1∼#5의 상태를 설정한다. 즉, 전술의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 “Configured and Activated CC” 및 “PDCCH monitoring set”를 특정한다.
(스텝 S112)
제어부(14)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행할 것인가 아닌가 판단한다. 즉, 개별 프리앰블 통지(Msg0)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이외에 데이터 통신을 행할지 판단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행할지는, 예를 들면, 이동국(20)에 송신하는 데이터 사이즈나, Msg0을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통신 품질 등에 기초해서 판단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행하지 않을 경우, 처리를 스텝 S113으로 진행시킨다. 행할 경우, 처리를 스텝 S114로 진행시킨다.
(스텝 S113) 
PDCCH 제어부(16)는, Msg0에 포함되는 CI 필드(CIF)에 0b111을 설정한다. 이 비트 열은, Msg0이 송신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0b111 대신에, Msg0이 송신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3비트의 CI를 설정해도 좋다. 그리고, 처리를 스텝 S116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114)
제어부(14)는, CC#1∼#5 중에서, Msg0이 송신되는 컴포넌트 캐리어 이외에,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1개 또는 복수 선택한다. 컴포넌트 캐리어는, 예를 들면, 이동국(20)에 송신하는 데이터 사이즈나, CC#1∼#5의 통신 품질 등에 기초해서 선택한다.
(스텝 S115) 
PDCCH 제어부(16)는, Msg0에 포함되는 CIF에, 스텝 S114에서 선택된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3비트의 CIF를 설정한다. 또한, Msg0은 스텝 S114에서 선택한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송신된다.
(스텝 S116)
무선 통신부(11)는, 스텝 S113 또는 스텝 S115에서 설정된 CIF를 포함하는 Msg0을, “PDCCH monitoring set”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스텝 S114에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선택된 경우, 복수의 Msg0이 송신된다. 복수의 Msg0은, 동일한 무선 송신 단위(예를 들면, 동일 서브 프레임)로 송신해도 좋고, 다른 무선 송신 단위(예를 들면, 다른 서브 프레임)로 분산하여 송신해도 좋다.
(스텝 S117)
제어부(14)는, Msg0로 통지한 컴포넌트 캐리어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비활성 상태)일 경우, “Configured and Activated CC”(활성 상태)로 변경한다. 무선 통신부(11)는, Msg0로 통지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동국(20)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Msg1)을 수신한다.
(스텝 S118) 
RAR 제어부(18)는, CIF를 포함하지 않는 랜덤 액세스 레스펀스(Msg2)를 생성한다. 무선 통신부(11)는, Msg1이 수신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Msg2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그 후, Msg1, Msg2의 송수신에 이용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이동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처리를 스텝 번호에 따라 설명한다.
(스텝 S121)
제어부(23)는, CC#1∼#5의 상태를 설정한다. 즉,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 “Configured and Activated CC” 및 “PDCCH monitoring set”를 특정한다. 무선 통신부(21)는, “PDCCH monitoring set”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스텝 S122)
무선 통신부(21)는, “PDCCH monitoring set”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기지국(10)으로부터 Msg0을 수신한다. PDCCH 제어부(25)는, Msg0에 포함되는 CIF를 추출한다. 복수의 Msg0이 수신된 경우, Msg0마다 CIF를 추출한다.
(스텝 S123) 
PDCCH 제어부(25)는, 스텝 S122에서 추출한 CIF가 나타내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특정하고, 그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PDSCH의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CIF가 나타내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일 경우,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크로스 캐리어 설정부(22)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주파수 대역을 설정한다.
(스텝 S124)
무선 통신부(21)는, Msg0로 지정되어 있는 신호 계열을 이용한 Msg1을, CIF가 나타내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PRACH에서 기지국(10)에 송신한다. 복수의 Msg0이 수신되고,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스텝 S123에서 특정된 경우, 특정된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Msg1을 송신한다. 복수의 Msg1은, 동일 타이밍에서 송신해도 좋고 다른 타이밍에서 송신해도 좋다.
(스텝 S125)
무선 통신부(21)는, Msg1의 송신에 이용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기지국(10)으로부터 Msg2를 수신한다. RAR 제어부(27)는, Msg2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후, Msg1, Msg2의 송수신에 이용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제1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이동국(20)에 있어서, CC#1, #2가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설정되고, CC#3∼#5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로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PDCCH monitoring set”는 CC#1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131)
기지국(10)은, “PDCCH monitoring set”인 CC#1에서, CIF=0b001을 포함하는 Msg0을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스텝 S132)
이동국(20)은, CIF=0b001이 나타내는 CC#2에서 Msg1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CC#2는 “Configured and Activated CC”이기 때문에, CC#2의 상태 변경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스텝 S133)
기지국(10)은, Msg1을 수신한 CC#2에서, Msg2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그 후, CC#2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동국(20)이 기지국(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무선 신호의 전송 특성은 컴포넌트 캐리어마다(주파수 대역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Msg1, Msg2을 송수신 하는 것은, 데이터 통신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유효하다. 또한, 도 10에서는 설명의 간편화 때문에 CC#1만을 “PDCCH monitoring set”라고 하고 있지만, 어떤 CC도 “PDCCH monitoring set”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PDCCH monitoring set”로 설정된 CC로부터 Msg0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제2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랜덤 액세스 수속의 개시시의 CC#1∼#5의 상태는, 도 10과 같다.
(스텝 S141)
기지국(10)은, “PDCCH monitoring set”인 CC#1에서, CIF=0b010을 포함하는 Msg0을 이동국(20)에 송신한다.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이기 때문에,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해 둔다.
(스텝 S142)
이동국(20)은,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에서 Msg1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이때, 이동국(20)은, 기지국(10)과 마찬가지로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스텝 S143)
기지국(10)은, Msg1을 수신한 CC#3에서, Msg2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그 후, CC#3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동국(20)이 기지국(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Msg0, Msg1을 송수신하는 수속 중에, CC#3의 상태 변경을 행한다. 즉, Msg0, Msg1이, CC#3의 상태를 변경하는 시그널링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CC#3의 상태를 변경하는 시그널링을 별도로 행하지 않아도 된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제3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랜덤 액세스 수속의 개시시의 CC#1∼#5의 상태는, 도 10과 같다.
(스텝 S151)
기지국(10)은, “PDCCH monitoring set”인 CC#1에서, CIF=0b001을 포함하는 Msg0을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스텝 S152)
기지국(10)은, CC#1에서, CIF=0b010을 포함하는 Msg0을 이동국(20)에 송신한다.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이기 때문에,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해 둔다. 또한, 2개의 Msg0은 동일 타이밍에서 송신해도 좋다.
(스텝 S153)
이동국(20)은, CIF=0b001이 나타내는 CC#2에서 Msg1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154)
이동국(20)은,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에서 Msg1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이때, 이동국(20)은, 기지국(10)과 마찬가지로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또한, 2개의 Msg1은 동일 타이밍에서 송신해도 좋다.
(스텝 S155)
기지국(10)은, CC#2에 있어서, Msg1을 수신해 Msg2을 이동국(20)에 송신한다. 그 후, CC#2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동국(20)이 기지국(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스텝 S156)
기지국(10)은, CC#3에 있어서, Msg1을 수신해 Msg2을 이동국(20)에 송신한다. 그 후, CC#3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동국(20)이 기지국(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스텝 S151로 송신되는 Msg0이 지정하는 신호 계열과 스텝 S152로 송신되는 Msg0이 지정하는 신호 계열은, 동일해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즉, 이동국(20)이 스텝 S153으로 송신하는 Msg1과 스텝 S154로 송신하는 Msg1은, 동일한 신호 계열을 이용한 것이어도 다른 신호 계열을 이용한 것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예는, 기지국(10)이 이동국(20)의 CC#1∼#5의 상태를 인식하고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CC#1∼#5 중 일부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기지국(10) 또는 이동국(20)을 사용할 수 없는 사정이 있을 경우, 기지국(10)은, 그러한 컴포넌트 캐리어를 제외하고, 데이터 통신에 이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선택한다. 이상 설명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예를 들면, 이동국(20)이 커넥텟드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의 상태로부터 기지국(10)에 대하여 랜덤 액세스를 행할 때에 실행할 수 있다.
도 13은, Msg0의 제1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Msg0은, PDCCH에서 송신되는 제어 메시지이다. Msg0은, 필드로서 Flag, Local/Dist, Resource Block Assignment, Preamble Index, PRACH Mask Index, Carrier Indicator, CRC를 포함한다. 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의 비트장은, 컴포넌트 캐리어의 DL 대역 폭에 따라 상이하다. 도 13에서는, 대역 폭을 리소스 블록(RB)수에 의해 표현하고 있다. 100RB는 20MHz 폭에 상당한다.
Carrier Indicator 이외의 필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3GPP,  TS 36.212 V9.0.0, 2009-12)에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Flag는 1로 고정하고, Local/Dist는 0으로 고정하고, Resource Block Assignment는 모두 1으로 고정한다. 고정 비트를 삽입해서 Msg0을 길게 함으로써, 오류 검출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Preamble Index는, Msg1에 이용하는 신호 계열을 지정한 정보이다. PRACH Mask Index는, Msg1의 송신에 사용되는 정보이다. CRC는, Msg0의 오류 검출에 이용하는 패리티이다.
Carrier Indicator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에 이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지정하기 위한 3비트의 비트 열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PRACH Mask Index 필드와 CRC 필드 사이에, Carrier Indicator 필드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문헌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에는, PRACH Mask Index 필드와 CRC 필드 사이에 Padding 필드를 설치한 포맷이 기재되어 있다.
도 14는, Msg0의 제2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의 포맷 예에서는, 도 13의 포맷 예에서 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에 할당되어 있던 비트 열의 선두 3비트를, Carrier Indicator 필드에 할당한다. 즉, Local/Dist 필드와 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 사이에, Carrier Indicator 필드가 삽입된다. 또한, PRACH Mask Index 필드와 CRC 필드 사이에는 Padding 필드가 설치된다. Padding 은 모두 1로 고정한다.
도 15는, Msg0의 제3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포맷 예에서는, 도 13의 포맷 예에서 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에 할당되어 있던 비트 열의 말미 3비트를, Carrier Indicator 필드에 할당한다. 즉, 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와 Preamble Index 사이에, Carrier Indicator 필드가 삽입된다.
또한, 도 14, 15의 포맷 예 이외에, 도 13의 포맷 예에서 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에 할당되어 있던 비트 열의 도중 3비트를, Carrier Indicator 필드에 할당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포맷 예에서는, Msg0의 데이터장은 컴포넌트 캐리어의 DL 대역 폭에 따라 상이하다. 그 때문에, 데이터장이 상이한 복수의 Msg0이 CC#1에서 송신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CC#2의 DL 대역 폭이 20MHz이고 CC#3의 DL대역 폭이 10MHz라고 하자. 이 경우, CC#2에 대응하는 Msg0과 CC#3에 대응하는 Msg0은, 데이터장이 다른 것으로 된다.
한편, 이동국(20)은, PDCCH를 블라인드 복호해서 Msg0을 추출한다. 따라서, 블라인드 복호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서, DL 대역 폭이 컴포넌트 캐리어에 따라 상이해도 Msg0 사이즈가 일정하게 되도록, 사이즈 조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IF의 추출을 쉽게 하기 위해서, Msg0 전체 중에서의 CIF의 위치가 일정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Msg0의 제1 사이즈 조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의 사이즈 조정 예는, 도 13에 나타낸 포맷 예와 대응한다. 이 사이즈 조정 예에서는, 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와 Preamble Index 필드 사이에, DL 대역 폭에 따른 길이의 PADDING을 삽입한다. 이에 의해, DL 대역 폭에 관계없이 Msg0 사이즈가 일정해진다. 또한, CIF의 위치가 일정하기 때문에, Msg0의 복호 후, CIF를 추출해서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특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Preamble Index 필드와 PRACH Mask Index 필드의 위치도 일정하기 때문에, 이들 필드를 참조해서 Msg1을 생성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도 17은, Msg0의 제2 사이즈 조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사이즈 조정 예는, 도 14에 나타낸 포맷 예와 대응한다. 도 16의 사이즈 조정 예와 마찬가지로, 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와 Preamble Index 필드 사이에, DL 대역 폭에 따른 길이의 PADDING을 삽입한다. 이에 의해, DL 대역 폭에 관계없이 Msg0 사이즈가 일정해짐과 동시에 CIF의 위치가 일정해진다. 또한, Preamble Index 필드와 PRACH Mask Index 필드의 위치도 일정해진다.
도 18은, Msg0의 제3 사이즈 조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의 사이즈 조정 예는, 도 15에 나타낸 포맷 예와 대응한다. 이 사이즈 조정 예에서는, Local/Dist 필드와 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 사이에, DL 대역 폭에 따른 길이의 PADDING을 삽입한다. 이에 의해, DL 대역 폭에 관계없이 Msg0 사이즈가 일정해짐과 동시에 CIF의 위치가 일정해진다. 또한, Preamble Index 필드와 PRACH Mask Index 필드의 위치도 일정해진다.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기지국(10)은, Msg0을 송신한 컴포넌트 캐리어 이외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사용 허가를, Msg0을 송신함으로써 이동국(20)에 부여할 수 있다. 즉, Msg0을 이용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컴포넌트 캐리어의 사용 허가의 수속을 별도로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Msg0, Msg1의 송수신에 수반하여, 비활성 상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활성 상태로 변경한다. 따라서, 컴포넌트 캐리어의 상태 변경의 수속을 별도로 행하지 않아도 좋다. 이렇게,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사용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의 제2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인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Msg0을 이용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실현한 것에 반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Msg2을 이용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실현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2에 나타낸 제2 실시 형태의 이동 통신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시스템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기지국 및 이동국은, 도 6, 7에 나타낸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10) 및 이동국(20)과 마찬가지의 블록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 2 , 6, 7에서 사용한 부호를 이용하여,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의 기지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처리를 스텝 번호에 따라 설명한다.
(스텝 S211)
제어부(14)는, 이동국(20)에 관한 CC#1∼#5의 상태를 설정한다. 즉, 전술의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 “Configured and Activated CC” 및 “PDCCH monitoring set”를 특정한다.
(스텝 S212) 
PDCCH 제어부(16)는, CIF를 포함하지 않는 개별 프리앰블 통지(Msg0)를 생성한다. 무선 통신부(11)는, Msg0을 “PDCCH monitoring set〃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스텝 S213)
무선 통신부(11)는, Msg0의 송신에 이용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동국(20)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Msg1)을 수신한다.
(스텝 S214)
제어부(14)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행할지 판단한다. 즉, 랜덤 액세스 레스펀스(Msg2)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이외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할지 판단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행하지 않을 경우, 처리를 스텝 S215로 진행시킨다. 행할 경우, 처리를 스텝 S216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215) 
RAR 제어부(18)는, Msg2에 포함되는 CIF에 0b111을 설정한다. 이 비트 열은, Msg2가 송신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처리를 스텝 S218로 진행시킨다.
(스텝 S216)
제어부(14)는, CC#1∼#5 중에서, Msg2가 송신되는 컴포넌트 캐리어 이외에,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1개 또는 복수 선택한다.
(스텝 S217) 
RAR 제어부(18)는, 스텝 S216에서 선택된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3비트의 CIF를 설정한다. 또한, Msg2는 스텝 S216에서 선택된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송신된다.
(스텝 S218)
무선 통신부(11)는, 스텝 S215 또는 스텝 S217에서 설정된 CIF를 포함하는 Msg2를, “PDCCH monitoring set”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스텝 S216에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선택된 경우, 복수의 Msg2가 송신된다. 제어부(14)는, Msg2로 통지한 컴포넌트 캐리어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비활성 상태)일 경우, “Configured and Activated CC”(활성 상태)로 변경한다. 그 후, Msg2로 통지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의 이동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처리를 스텝 번호에 따라 설명한다.
(스텝 S221)
제어부(23)는, CC#1∼#5의 상태를 설정한다. 즉,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 “Configured and Activated CC” 및 “PDCCH monitoring set”를 특정한다. 무선 통신부(21)는, “PDCCH monitoring set”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스텝 S222)
무선 통신부(21)는, “PDCCH monitoring set”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CIF를 포함하지 않는 Msg0을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다.
(스텝 S223)
무선 통신부(21)는, Msg0로 지정되어 있는 신호 계열을 이용한 Msg1을, Msg0의 송신에 이용된 컴포넌트 캐리어의 PRACH에서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224)
무선 통신부(21)는, Msg1의 송신에 이용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기지국(10)으로부터 Msg2를 수신한다. RAR 제어부(27)는, Msg2에 포함되는 CIF를 추출한다. 복수의 Msg2가 수신된 경우, Msg2마다 CIF를 추출한다.
(스텝 S225) 
RAR 제어부(27)는, 스텝 S224에서 추출한 CIF가 나타내는 1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특정하고, 그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PDSCH의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CIF가 나타내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일 경우,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크로스 캐리어 설정부(22)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주파수 대역을 설정한다.
(스텝 S226)
무선 통신부(21)는, 스텝 S225에서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의 제1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이동국(20)에 있어서, CC#1, #2가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설정되고, CC#3∼#5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로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PDCCH monitoring set”는 CC#1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231)
기지국(10)은, “PDCCH monitoring set”인 CC#1에서, Msg0을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스텝 S232)
이동국(20)은, Msg0을 수신한 CC#1에서, Msg1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233)
기지국(10)은, Msg1을 수신한 CC#1에서, CIF=0b001을 포함하는 Msg2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또한, Msg2에는, CC#2의 UL 주파수 대역에 관한 타이밍 조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스텝 S234)
이동국(20)은, CIF=0b001이 나타내는 CC#2에 있어서, 예를 들면, 기지국(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CC#2은 “Configured and Activated CC”이기 때문에, CC#2의 상태 변경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의 제2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랜덤 액세스 수속의 개시시의 CC#1∼#5의 상태는, 도 21과 같다.
(스텝 S241)
기지국(10)은, “PDCCH monitoring set”인 CC#1에서, Msg0을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스텝 S242)
이동국(20)은, Msg0을 수신한 CC#1에서, Msg1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243)
기지국(10)은, Msg1을 수신한 CC#1에서, CIF=0b010을 포함하는 Msg2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이기 때문에,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해 둔다. 또한, Msg2에는, CC#3의 UL 주파수 대역에 관한 타이밍 조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스텝 S244)
이동국(20)은,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에 있어서, 예를 들면, 기지국(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이동국(20)은, 기지국(10)과 마찬가지로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제3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랜덤 액세스 수속의 개시시의 CC#1∼#5의 상태는, 도 21과 같다.
(스텝 S251)
기지국(10)은, “PDCCH monitoring set”인 CC#1에서, Msg0을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스텝 S252)
이동국(20)은, Msg0을 수신한 CC#1에서, Msg1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253)
기지국(10)은, Msg1을 수신한 CC#1에서, CIF=0b001을 포함하는 Msg2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또한, 이 Msg2에는, CC#2의 UL 주파수 대역에 관한 타이밍 조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스텝 S254)
기지국(10)은, Msg1을 수신한 CC#1에서, CIF=0b010을 포함하는 Msg2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이기 때문에,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해 둔다. 또한, 이 Msg2에는, CC#3의 UL 주파수 대역에 관한 타이밍 조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스텝 S255)
이동국(20)은, CIF=0b001이 나타내는 CC#2에 있어서, 예를 들면, 기지국(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스텝 S256)
이동국(20)은,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에 있어서, 예를 들면, 기지국(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이동국(20)은, 기지국(10)과 마찬가지로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도 24는, Msg2의 제1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의 포맷 예에서는, Msg2은, 3비트의 Carrier Indicator, 6비트의 Timing Advance Command, 20비트의 UL grant 및 16비트의 Temporary C-RNTI를 포함한다.
Carrier Indicator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에 이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식별하는 값이다. Timing Advance Command는, 이동국(20)에 UL 송신 타이밍을 보정시킬 때의 보정량을 나타내는 값이다. UL grant는, 이동국(20)에 할당한 UL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Temporary C-RNTI는, 기지국(10)이 이동국(20)에 동적으로 할당한 식별자이다. 또한, Timing Advance Command는, Carrier Indicator가 나타내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관한 보정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동국(20)은, Timing Advance Command를 이용하여, 랜덤 액세스의 수속 후의 UL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여기서, Timing Advance Command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3GPP TS 36.213 V9.0.1, 2009-12)에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Timing Advance Command로서, 타이밍 어긋남의 절대값과, 현재의 보정 완료 타이밍을 기준으로 한 상대값 2종류가 정의되어 있다. 절대값은, 최초로 Timing Advance Command가 통지될 때나, 전회 통지된 Timing Advance Command의 유효 기한이 끝난 경우에 이용된다. 상대값은, 전회 통지된 Timing Advance Command의 유효 기한이 끝나지 않은 경우에 이용된다. 절대값은 11비트, 상대값은 6비트로 표현된다. 도 24의 포맷 예는, 상대값을 이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이 포맷 예에서는, 선두의 예약(Reserved) 비트를 1로 설정하고 있다. CIF를 포함하지 않는 Msg2의 선두의 R비트는 0으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이동국(20)은 CIF를 포함하는 Msg2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25는, Msg2의 제2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의 포맷 예에서는, Msg2는, 11비트의 Timing Advance Command, 20비트의 UL grant, 3비트의 Carrier Indicator 및 13비트의 Temporary C-RNTI를 포함한다. 이 포맷 예의 경우, Timing Advance Command로서 절대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4의 경우보다도, Temporary C-RNTI가 3비트 작다. 기지국(10)은, 13비트 이하로 표현할 수 있는 식별자를 이동국(20)에 할당하게 된다.
도 26은, Msg2의 제3 포맷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의 포맷 예에서는, Msg2는, 11비트의 Timing Advance Command, 20비트의 UL grant, 16비트의 Temporary C-RNTI 및 3비트의 Carrier Indicator를 포함한다. 이 포맷 예의 경우, Timing Advance Command로서 절대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지국(10)은, 도 25의 경우보다도 큰 값의 식별자를 이동국(20)에 할당할 수 있다. 단, 도 24, 25의 포맷 예보다도, Msg2 사이즈가 커진다. 또한, 도 26에서는 말미에 CIF를 설치하고 있지만, 다른 위치에 CIF를 삽입해도 좋다.
이러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기지국(10)은, Msg2를 송신한 컴포넌트 캐리어 이외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사용 허가를, Msg2를 송신함으로써 이동국(20)에 부여할 수 있다. 즉, Msg2를 이용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컴포넌트 캐리어의 사용 허가 수속을 별도로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Msg2의 송수신에 수반하여, 비활성 상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활성 상태로 변경한다. 따라서, 컴포넌트 캐리어의 상태 변경 수속을 별도로 행하지 않아도 좋다. 이렇게,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사용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의 제2, 제3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인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Msg2를 이용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실현한다. 단,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비경합형 랜덤 액세스의 경우를 생각한 것에 반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경합형 랜덤 액세스의 경우를 생각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2에 나타낸 제2 실시 형태의 이동 통신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시스템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기지국 및 이동국은, 도 6, 7에 나타낸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10) 및 이동국(20)과 마찬가지의 블록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 2, 6, 7에서 사용한 부호를 이용하여,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27은, 제4 실시 형태의 기지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처리를 스텝 번호에 따라 설명한다.
(스텝 S311)
제어부(14)는, 이동국(20)에 관한 CC#1∼#5의 상태를 설정한다. 즉, 전술의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 “Configured and Activated CC” 및 “PDCCH monitoring set”를 특정한다.
(스텝 S312)
무선 통신부(11)는, “PDCCH monitoring set”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동국(20)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Msg1)을 수신한다. Msg1에 이용되는 신호 계열은, 이동국(20)이 랜덤하게 선택한 것이다.
(스텝 S313)
제어부(14)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행할지 판단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행하지 않을 경우, 처리를 스텝 S314로 진행시킨다. 행할 경우, 처리를 스텝 S315로 진행시킨다.
(스텝 S314) 
RAR 제어부(18)는, Msg2에 포함되는 CIF에 0b111을 설정한다. 그리고, 처리를 스텝 S317로 진행시킨다.
(스텝 S315)
제어부(14)는, CC#1∼#5 중에서, Msg2가 송신되는 컴포넌트 캐리어 이외에,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1개 또는 복수 선택한다.
(스텝 S316) 
RAR 제어부(18)는, 스텝 S315에서 선택된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3비트의 CIF를 설정한다. 또한, Msg2는 스텝 S315에서 선택된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송신된다.
(스텝 S317)
무선 통신부(11)는, 스텝 S314 또는 스텝 S316에서 설정된 CIF를 포함하는 Msg2를, Msg1을 수신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송신한다. 스텝 S315에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선택된 경우, 복수의 Msg2가 송신된다.
(스텝 S318)
무선 통신부(11)는, Msg2로 통지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이동국(20)으로부터 Msg3을 수신한다. 이때, 제어부(14)는, Msg2로 통지한 컴포넌트 캐리어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비활성 상태)일 경우, “Configured and Activated CC”(활성 상태)로 변경한다.
(스텝 S319)
무선 통신부(11)는, Msg3이 수신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Msg4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그 후, Msg3, Msg4의 송수신에 이용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도 28은, 제4 실시 형태의 이동국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처리를 스텝 번호에 따라 설명한다.
(스텝 S321)
제어부(23)는, CC#1∼#5의 상태를 설정한다. 즉,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 “Configured and Activated CC” 및 “PDCCH monitoring set”를 특정한다. 무선 통신부(21)는, “PDCCH monitoring set”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스텝 S322)
무선 통신부(21)는, 랜덤하게 선택한 신호 계열을 이용한 Msg1을, “PDCCH monitoring set”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PRACH에서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323)
무선 통신부(21)는, Msg1의 송신에 이용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기지국(10)으로부터 Msg2를 수신한다. RAR 제어부(27)는, Msg2에 포함되는 CIF를 추출한다. 복수의 Msg2가 수신된 경우, Msg2마다 CIF를 추출한다.
(스텝 S324) 
RAR 제어부(27)는, 스텝 S323에서 추출한 CIF가 나타내는 1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특정한다. CIF가 나타내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일 경우,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크로스 캐리어 설정부(22)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주파수 대역을 설정한다.
(스텝 S325)
무선 통신부(21)는, CIF가 나타내는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기지국(10)에 Msg3을 송신한다. 복수의 Msg2가 수신되고,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스텝 S324로 특정된 경우, 특정된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Msg3을 송신한다. 복수의 Msg3은, 동일 타이밍에서 송신해도 좋고 다른 타이밍에서 송신해도 좋다.
(스텝 S326)
무선 통신부(21)는, Msg3의 송신에 이용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기지국(10)으로부터 Msg4를 수신한다. 그 후, Msg3, Msg4의 송수신에 이용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도 29는, 제4 실시 형태의 제1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이동국(20)에 있어서, CC#1, #2가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설정되고, CC#3∼#5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PDCCH monitoring set”는 CC#1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331)
이동국(20)은, “PDCCH monitoring set”인 CC#1에서, 랜덤하게 선택한 신호 계열을 이용한 Msg1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332)
기지국(10)은, Msg1을 수신한 CC#1에서, CIF=0b001을 포함하는 Msg2를 송신한다.
(스텝 S333)
이동국(20)은, CIF=0b001이 나타내는 CC#2에서, Msg3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334)
기지국(10)은, Msg3을 수신한 CC#2에서, Msg4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그 후, CC#2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동국(20)이 기지국(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 랜덤 액세스의 경합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국(20)은, Msg1의 송신부터 다시 한다.
도 30은, 제4 실시 형태의 제2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랜덤 액세스의 수속의 개시시의 CC#1∼#5의 상태는, 도 29와 같다.
(스텝 S341)
이동국(20)은, “PDCCH monitoring set”인 CC#1에서, 랜덤하게 선택한 신호 계열을 이용한 Msg1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342)
기지국(10)은, Msg1을 수신한 CC#1에서, CIF=0b010을 포함하는 Msg2를 송신한다.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이기 때문에,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스텝 S343)
이동국(20)은,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에서, Msg3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이동국(20)은, 기지국(10)과 마찬가지로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스텝 S344)
기지국(10)은, Msg3을 수신한 CC#3에서, Msg4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그 후, CC#3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동국(20)이 기지국(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31은, 제4 실시 형태의 제3 랜덤 액세스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랜덤 액세스의 수속의 개시시의 CC#1∼#5의 상태는, 도 29와 같다.
(스텝 S351)
이동국(20)은, “PDCCH monitoring set”인 CC#1에서, 랜덤하게 선택한 신호 계열을 이용한 Msg1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352)
기지국(10)은, Msg1을 수신한 CC#1에서, CIF=0b001을 포함하는 Msg2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스텝 S353)
기지국(10)은, Msg1을 수신한 CC#1에서, CIF=0b010을 포함하는 Msg2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은 “Configured but Deactivated CC”이기 때문에,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스텝 S354)
이동국(20)은, CIF=0b001이 나타내는 CC#2에서, Msg3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스텝 S355)
이동국(20)은, CIF=0b010이 나타내는 CC#3에서 Msg3을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이때, 이동국(20)은, 기지국(10)과 마찬가지로 CC#3을 활성화시켜서 “Configured and Activated CC”로 변경한다.
(스텝 S356)
기지국(10)은, Msg3을 수신한 CC#2에서, Msg4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스텝 S357)
기지국(10)은, Msg3을 수신한 CC#3에서, Msg4를 이동국(20)에 송신한다.
제4 실시 형태의 Msg2의 포맷으로서는,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포맷 예를 이용할 수 있다. 단, 경합형 랜덤 액세스에서는, Msg2의 송신 시점에서 기지국(10)이 이동국(20)을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절대값의 Timing Advance Command를 송신할 수 있는 도 25, 26과 같은 포맷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 때문에,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국(20)이 모두 또는 소정의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합형 랜덤 액세스의 경우, 복수의 이동국이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를 집중해서 사용하지 않도록 부하를 분산하는 것, 셀간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랜덤 액세스의 수속에 이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분산되게 하는 것, 경합 확률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Msg3의 송신에 이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분산되게 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지국(10)은 Msg2를 이용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컴포넌트 캐리어의 사용 허가 수속을 별도로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Msg2, Msg3의 송수신에 수반하여, 비활성 상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활성 상태로 변경한다. 따라서, 컴포넌트 캐리어의 상태 변경의 수속을 별도로 행하지 않아도 좋다. 이렇게, 기지국(10) 및 이동국(20)은, 제2,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사용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에 대해서는 간단히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변형, 변경이 당업자에 있어서 가능해서, 본 발명은 상기에 나타내고,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응용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응하는 모든 변형 예 및 균등물은, 첨부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된다.
1, 2 무선 통신 장치
1a, 2b 제어부
1b 송신부
2a 수신부

Claims (4)

  1.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행하도록 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랜덤 액세스의 수속의 최후에 송신되는 메시지로서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어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선택하는 제어부와,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가 선택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행하도록 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랜덤 액세스의 수속의 최후에 송신되는 메시지로서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행하도록 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랜덤 액세스의 수속의 최후에 송신되는 메시지로서 송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제1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랜덤 액세스의 수속시에,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행하도록 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랜덤 액세스의 수속의 최후에 송신되는 메시지로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어 메시지의 수신에 응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47000731A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Active KR101383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2103 WO2011099151A1 (ja) 2010-02-12 2010-02-12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937A Division KR101383487B1 (ko)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703A KR20140017703A (ko) 2014-02-11
KR101383413B1 true KR101383413B1 (ko) 2014-04-08

Family

ID=44367451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731A Active KR101383413B1 (ko)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47000728A Active KR101383431B1 (ko)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47000730A Active KR101383494B1 (ko)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47000729A Active KR101383388B1 (ko)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27020937A Active KR101383487B1 (ko)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728A Active KR101383431B1 (ko)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47000730A Active KR101383494B1 (ko)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47000729A Active KR101383388B1 (ko)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27020937A Active KR101383487B1 (ko) 2010-02-12 2010-02-12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5) US8780855B2 (ko)
EP (3) EP3432668B1 (ko)
JP (1) JP5447538B2 (ko)
KR (5) KR101383413B1 (ko)
CN (5) CN105228253B (ko)
AU (1) AU2010345902B2 (ko)
BR (1) BR112012019883A2 (ko)
CA (3) CA2789637C (ko)
ES (2) ES2720732T3 (ko)
MX (3) MX341457B (ko)
RU (4) RU2510792C1 (ko)
TW (3) TWI495309B (ko)
WO (1) WO2011099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413B1 (ko) * 2010-02-12 2014-04-0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825431B1 (ko) * 2010-04-05 2018-0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케리어 통신 시스템과 그의 적응적 케리어 선택 및 링크 품질 보고 방법
JP5265616B2 (ja) * 2010-05-18 2013-08-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3229532B (zh) * 2011-02-25 2016-04-20 夏普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基站装置以及无线通信路径选择方法
CN102123516B (zh) * 2011-03-31 2013-11-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多个上行定时提前量的随机接入方法和设备
US9642161B2 (en) 2011-05-11 2017-05-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ross-scheduling for random access response
WO2013043007A2 (ko) * 2011-09-23 201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EP2760243B1 (en) 2011-09-25 2017-03-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US20150163847A1 (en) * 2011-12-05 2015-06-11 Srikathyayani Srikanteswara Techniques for managing the transfer of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wireless networks, channels or bands
CN106572543B (zh) * 2012-02-15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20140341120A1 (en) * 2013-05-16 2014-11-20 Carlos Cordeiro Wireless st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a multi-band session in wi-fi direct services
EP3085188A1 (en) * 2013-12-18 2016-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ting and receving wireless devices and respective methods performed thereby for transmission of data in a contention based wireless network
EP3073797B1 (en) * 2013-12-20 2021-04-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Auxiliary carrier changing methods, terminal, network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110218A4 (en) * 2014-03-21 2017-03-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9820179B2 (en) * 2014-05-22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uplink transmissions on two or more carriers
JP6375726B2 (ja) * 2014-06-30 2018-08-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DE102014223597B4 (de) * 2014-10-08 2019-02-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olle für einen Rollenstößel einer Kraftstoffhochdruckpumpe, Rollenstößel, Kraftstoffhochdruckpumpe und Brennkraftmaschine
US9736864B2 (en) * 2015-05-11 2017-08-15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system information
CN113194514A (zh) 2015-10-13 2021-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子带切换的方法、设备及系统
KR102131366B1 (ko) * 2015-12-29 2020-07-09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통신 수행 방법
US10798225B2 (en) 2016-01-29 2020-10-0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Simultaneous transmission method across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CN109565876B (zh) 2016-08-10 2024-05-14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支持下一代通信系统中灵活的ue带宽的方法和装置
EP3498007B1 (en) * 2016-08-12 2019-12-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ad distribution for random access
US10721769B2 (en) 2016-12-01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Listen-before-talk techniques in synchronous systems
JP7203736B2 (ja) * 2017-01-05 2023-01-13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ランダム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US10448421B2 (en) * 2017-03-20 2019-10-15 Qualcomm Incorporated Cross-carrier scheduling for wireless devices
CN107820723B (zh) 2017-04-01 2021-11-26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频率选择方法、随机接入方法和装置
GB2563453A (en) 2017-06-16 2018-12-19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N116528370A (zh) 2017-06-16 2023-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19028753A1 (en) * 2017-08-10 2019-02-14 Zte Corporation RANDOM ACCESS CONFIGURATIONS
US11546941B2 (en) 2017-08-18 2023-01-03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procedure with cross band downlink/uplink pairing
CN110636613B (zh) * 2018-06-21 2023-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终端、基站、存储介质、电子装置
CN110691421B (zh) * 2018-07-06 2023-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0010498A1 (en) * 2018-07-10 2020-01-16 Zte Corporation Random access resource allocation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s
EP3864912A4 (en) * 2018-10-10 2022-06-15 ZTE Corporation ISSUING AND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EP4518575A2 (en) * 2019-07-09 2025-03-05 Sony Group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CN113973372B (zh) 2020-07-24 2025-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3333B2 (en) * 2003-10-16 2006-01-31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improving inter-sector and/or inter-cell handoffs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092353B2 (en) * 2003-10-17 2006-08-15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earch methods and apparatus
JP4012167B2 (ja) * 2004-03-31 2007-11-2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
US6990324B2 (en) * 2004-04-15 2006-01-24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etween multiple carriers using a single receiver chain tuned to a single carrier
KR100590896B1 (ko) * 2004-11-26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경쟁과 무경쟁을 위한 매체접속방법
PL1938647T3 (pl) * 2005-10-21 2017-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ka wykonywania procedury swobodnego dostępu przez interfejs radiowy
US20070099669A1 (en) * 2005-10-26 2007-05-03 Sadri Ali S Communication signaling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in a wireless network
HUE036741T2 (hu) * 2006-01-11 2018-07-30 Qualcomm Inc Vezeték nélküli kommunikációs eljárások és berendezés szinkronizálás támogatására
JP4819911B2 (ja) * 2006-01-20 2011-11-24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強化サービス範囲を有するランダムアクセス手続
JP4732948B2 (ja) * 2006-05-01 2011-07-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並びに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法
KR101151817B1 (ko) * 2006-05-03 2012-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KR20070121513A (ko) * 2006-06-21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접속 방법
CN101128047B (zh) * 2006-08-15 201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核心网业务重分配的方法
KR100963513B1 (ko) * 2006-12-04 2010-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JP5167760B2 (ja) * 2007-10-24 2013-03-2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り通信方法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無線基地局
CN102612162B (zh) * 2008-01-07 2015-09-09 三星电子株式会社 传输随机接入前导信号的设备和方法
KR100913473B1 (ko) * 2008-03-20 2009-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모니터링 방법
EP2272278B1 (en) * 2008-03-21 2017-03-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fallback to circuit switched domain from packet switched domain
US8711811B2 (en) * 2008-06-19 2014-04-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dentifying multi-component carrier cells
CN101616484B (zh) * 2008-06-24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分配的方法、系统和装置
JP2010050514A (ja) * 2008-08-19 2010-03-04 Sony Corp 無線通信装置と無線通信システム
JP5227938B2 (ja) * 2008-12-26 2013-07-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WO2010094325A1 (en) * 2009-02-18 2010-08-26 Nokia Siemens Networks Oy Controlling transmissions on composite carriers
JP5322832B2 (ja) * 2009-08-06 2013-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
JP5470075B2 (ja) * 2010-02-05 2014-04-1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主通信装置、従通信装置、およびチャネル割当情報通知方法
KR101383413B1 (ko) * 2010-02-12 2014-04-0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3GPP TS 36.300 V9.2.0 2009.12.
‘Random access with carrier aggregation’, 3GPP TSG-RAN WG2 #68bis, R2-100429, 2010. 01.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3GPP TS 36.300 V9.2.0 2009.12. *
'Random access with carrier aggregation', 3GPP TSG-RAN WG2 #68bis, R2-100429, 2010. 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40032A (zh) 2015-10-16
US8902847B2 (en) 2014-12-02
EP2536235A1 (en) 2012-12-19
CN105228256B (zh) 2018-11-02
CA2982693C (en) 2018-08-14
RU2012138171A (ru) 2014-03-20
KR101383388B1 (ko) 2014-04-08
US9198168B2 (en) 2015-11-24
JP5447538B2 (ja) 2014-03-19
EP2536235A4 (en) 2015-07-01
KR20140014314A (ko) 2014-02-05
CA3010159A1 (en) 2011-08-18
ES2886154T3 (es) 2021-12-16
CN105228253A (zh) 2016-01-06
JPWO2011099151A1 (ja) 2013-06-13
WO2011099151A1 (ja) 2011-08-18
KR101383487B1 (ko) 2014-04-08
RU2557794C1 (ru) 2015-07-27
US9826533B2 (en) 2017-11-21
US20180027566A1 (en) 2018-01-25
KR101383494B1 (ko) 2014-04-17
TW201145932A (en) 2011-12-16
TW201709705A (zh) 2017-03-01
KR20140017703A (ko) 2014-02-11
US20160029390A1 (en) 2016-01-28
MX341457B (es) 2016-08-18
EP3435717B1 (en) 2021-07-07
KR20140015621A (ko) 2014-02-06
CN105228253B (zh) 2018-11-09
CN102771168B (zh) 2015-11-25
KR20140014315A (ko) 2014-02-05
RU2635550C1 (ru) 2017-11-14
CN105228254A (zh) 2016-01-06
CA2789637C (en) 2018-03-06
EP3435717A1 (en) 2019-01-30
ES2720732T3 (es) 2019-07-24
CN105228255B (zh) 2018-09-11
MX2012009337A (es) 2012-11-29
AU2010345902B2 (en) 2015-06-04
RU2510792C1 (ru) 2014-04-10
US20150055604A1 (en) 2015-02-26
CA2982693A1 (en) 2011-08-18
CN105228254B (zh) 2019-02-19
US20140241283A1 (en) 2014-08-28
CA2789637A1 (en) 2011-08-18
EP3432668A1 (en) 2019-01-23
BR112012019883A2 (pt) 2016-04-26
EP2536235B1 (en) 2018-11-07
US8780855B2 (en) 2014-07-15
CN102771168A (zh) 2012-11-07
MX337699B (es) 2016-03-14
CN105228255A (zh) 2016-01-06
RU2014100170A (ru) 2015-07-20
US10251176B2 (en) 2019-04-02
TWI495309B (zh) 2015-08-01
CA3010159C (en) 2020-10-27
EP3432668B1 (en) 2024-08-07
CN105228256A (zh) 2016-01-06
TWI618385B (zh) 2018-03-11
RU2597883C1 (ru) 2016-09-20
KR20120127444A (ko) 2012-11-21
US20130195071A1 (en) 2013-08-01
AU2010345902A1 (en) 2012-08-23
TWI551096B (zh) 2016-09-21
KR101383431B1 (ko)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413B1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JP5447732B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447731B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447729B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447730B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AU2018201610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AU2016200035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4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