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0440B1 -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440B1
KR101380440B1 KR1020097008473A KR20097008473A KR101380440B1 KR 101380440 B1 KR101380440 B1 KR 101380440B1 KR 1020097008473 A KR1020097008473 A KR 1020097008473A KR 20097008473 A KR20097008473 A KR 20097008473A KR 101380440 B1 KR101380440 B1 KR 10138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rod
guide
division
rod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905A (ko
Inventor
다카히로 오카다
겐지로우 하야시
류이치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ublication of KR20090079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44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4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forces disturbing the intended course of the vehicle, e.g. forces acting transversely to the direction of vehicle tra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646Rotary shaft
    • Y10T70/565Locked stationary
    • Y10T70/5655Housing-carried lock
    • Y10T70/5664Latching bo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56Steering mechanism with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프레임 본체(4)에 로드 가이드부(5)를 돌출 설치하고, 로드 가이드부(5) 내에 로크 로드(10)를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다. 로드 가이드부(5)와 로크 로드(10)에 가이드측 취약부(13), 로드측 취약부(14)를 각각 설치한다. 가이드측 취약부(13), 로드측 취약부(14)의 위치에서 로드 가이드부(5)와 로크 로드(10)가 분단되면, 로크 로드(10)의 로드측 취약부(14)로부터 분단된 선단측을 분단 시점의 위치에 로크하는 데드 로크 기구(15A)를 구비한다.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가 가이드측 취약부(13), 로드측 취약부(14)에서 분단되었을 때에, 로크 로드(10)의 로드측 취약부(14)로부터 기단측의 상부 로드부(10a)를 언로크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는 로크 위치 유지 장치(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탑재되어, 이른바 데드 로크 기구(dead lock mecahnism)를 구비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종래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1)과 이 프레임(101)의 상면을 덮는 커버(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01)은, 프레임 본체(102)와 이 프레임 본체(102)로부터 돌출 설치된 로드 가이드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로 덮여진 프레임 본체(102)의 상면에는,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의 이그니션 키 실린더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와, 이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캠 부재(도시 생략) 등이 수용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부(103) 내에는, 상단측이 프레임 본체(102) 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로크 로드(105)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로크 로드(105)는, 상부 로드부(105a)와 이것에 연결된 하부 로드부(105b)로 구성되고, 상기한 캠 부재(도시 생략)의 회전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110)의 회전을 저지하는 로크 위치(도 1의 위치)와 스티어링 샤프트(110)의 회전을 허용하는 언로크 위치(도 2의 위치)로 이동한다.
로드 가이드부(103)의 기단 개소와 로크 로드(105)의 상부 로드부(105a)의 중간 개소에는, 다른 개소보다 두께가 얇은 취약부(106, 107)가 설치되어 있다.
데드 로크 기구(120)는, 로드 가이드부(103)의 취약부(106)보다 아래쪽 위치에 수용된 로크 핀(121)과, 이 로크 핀(121)을 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스프링(122)과, 로크 핀(121)의 돌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로크 제어 부재(123)와, 로크 제어 부재(123)를 위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 스프링(124)과, 로크 제어 부재(123)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프레임 본체(102)측의 스토퍼(125)와, 상부 로드부(105a)에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 홈(126, 12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 이그니션 키 실린더를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 하면, 구동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해 로크 로드(105)가 이동하여,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가 도 1의 스티어링 로크 상태로부터 도 2의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가 된다. 그 후, 이그니션 키를 엔진 시동 위치까지 회전하면, 엔진이 시동된다. 차량 주행 중에 급격 감속하여, 그 때에 드라이버의 무릎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에 닿거나 하여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103) 및 로크 로드(105)가 취약부(106, 107)의 개소에서 분단되고, 이에 의해 드라이버가 받는 충격이 경감된다.
그리고, 로드 가이드부(103) 및 로크 로드(105)가 취약부(106, 107)에서 분단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제어 부재(123)가 제2 스프링(124)의 스프링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고, 로크 핀(121)이 로크 로드(105)의 제2 걸림 홈(127)에 걸린다. 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가 분단된 후에도, 스티어링 샤프트(110)의 언로크 상태가 유지되어, 운전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 주차하기 위해 이그니션 키 실린더를 엔진 시동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되돌리면, 엔진이 정지됨과 더불어, 구동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해 로크 로드(105)가 이동하여,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가 도 2의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로부터 도 1의 스티어링 로크 상태가 된다.
이 스티어링 로크 상태에 있어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를 부정하게 해제하려고 하는 사람이 외부로부터 어택하여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에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103) 및 로크 로드(105)가 취약부(106, 107)의 개소에서 분단된다. 그러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제어 부재(123)가 제2 스프링(124)의 스프링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여, 로크 핀(121)이 로크 로드(105)의 제1 걸림 홈(126)에 걸린다. 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가 분단된 후에도 스티어링 샤프트(110)의 로크 상태가 유지되므로, 도난 방지성이 우수하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4-23112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에서는, 부정하게 해제하는 사람이 어택하여, 로드 가이드부(103) 및 로크 로드(105)가 분단되어 데드 로크 기구(120)가 작동한 경우에 있어서, 그 후, 전자 키를 휴대하는 사람이 이그니션 키 실린더를 회전시키면, 구동 모터(도시 생략)가 구동하여 로크 로드(105)의 상부 로드부(105a)의 상단측만이긴 하지만 언로크 위치로 변위하고, 제어부(도시 생략)는 언록크 위치로 변위하였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스티어링 로크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엔진의 시동이 허용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데드 로크 기구가 작동하여 스티어링 로크 상태인 경우에, 엔진이 시동된다는 문제점을 방지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원 발명의 제1 애스펙트는, 차량의 구동 장치를 시동하는 시동원과, 커버로 덮여진 프레임 본체에 배치된 전기식 구동원과, 상기 프레임 본체에 돌출 설치된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로드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측 취약부와, 상기 로드 가이드부 내에 상기 전기식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로크 로드와, 상기 로크 로드에 형성된 로드측 취약부와, 상기 로드 가이드부 및 상기 로크 로드가, 상기 가이드측 취약부 및 상기 로드측 취약부의 위치에서 분단되었을 때에, 상기 로크 로드의 상기 취약부로부터 선단측에 위치하는 로드 선단측 부위를 분단 시점의 위치에 유지하는 데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데드 로크 수단이 작동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로드의 상기 로드측 취약부로부터 기단측에 위치하는 로드 기단측 부위가 로크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로크 로드가 상기 로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시동원을 시동 불가로 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데드 로크 기구가 작동하여 실질적으로 스티어링 로크 상태가 된 경우에는, 로크 로드가 로크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데드 로크 기구가 작동하여 스티어링 로크 상태인 경우에, 엔진이 시동된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스티어링 로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에서 데드 로크 기구가 작동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스티어링 로크 상태에서 데드 로크 기구가 작동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5의 6-6선을 따른 스티어링 언로크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5의 6-6선을 따른 스티어링 로크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데드 로크 기구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8의 B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데드 로크 기구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제어계의 개략 회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일련의 동작 개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A)는,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의 상면을 덮는 커버(3)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2)은, 프레임 본체(4)와 이 프레임 본체(4)의 아래쪽에 돌출 설치된 로드 가이드부(5)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 가이드부(5)에는, 차체측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삽입관통 구멍(6)이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3)로 덮여진 프레임 본체(4)의 상면에는,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회전 조작할 수 있는 시동 스위치인 이그니션 키 실린더와, 이 이그니션 키 실린더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식 구동원인 모터 유닛(7)과, 이 모터 유닛(7)의 출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 부재(8) 등이 수용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부(5) 내에는, 로드 슬라이드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로 드 슬라이드 구멍(9)의 일단측은 커버(3)로 덮여진 프레임 본체(4)의 상면으로 개구하고, 타단측은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로크 로드(10)는, 상부 로드부(10a)와 이것에 연결된 하부 로드부(10b)로 이루어지고, 로드 슬라이드 구멍(9)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부 로드부(10a)의 기단측은 프레임 본체(4) 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4) 상으로 돌출된 상부 로드부(10a)의 상단에는 행거부(1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부 로드부(10a)의 상면에는 로크 로드(10)를 로크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12)이 배치되고, 이 스프링(12)의 스프링력에 의해 행거부(11)의 하면이 캠 부재(8)에 압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로드(10)는, 캠 부재(8)의 캠면에 추종 이동하여,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의 회전을 저지하는 로크 위치(도 7의 위치)와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의 회전을 허용하는 언로크 위치(도 6의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로드 가이드부(5)의 기단 개소와, 로크 로드(10)의 상부 로드부(10a) 및 하부 로드부(10b)의 연결 개소에는, 다른 개소로부터 강도적으로 약한 가이드측 취약부(13) 및 로드측 취약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에 소정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가 모두 가이드측 취약부(13) 및 로드측 취약부(14)의 개소에서 분단하도록 되어 있다.
데드 로크 기구(15A)는, 로드 가이드부(5)의 가이드측 취약부(13)로부터 선단측에 배치된 로크 핀(16)과, 이 로크 핀(16)을 로드 슬라이드 구멍(9)측으로 탄 성 가압하는 제1 스프링(17)과, 프레임 본체(4)에 나사에 의해 상단이 지지되고, 로크 핀(16)의 돌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로크 제어 부재(18)와, 로크 로드(10)의 하부 로드부(10b)에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 홈(19, 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제어 부재(18)는 프레임 본체(4)와 별도 부재로 하고 있지만, 프레임 본체(4)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로크 제어 부재(18)는, 로드 가이드부(5)가 가이드측 취약부(13)에서 분단되면, 프레임 본체(4)로부터 로드 가이드부(5)가 이간하여 로크 핀(16)을 규제하지 않게 된다. 제1 걸림 홈(19)은, 로크 로드(10)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로크 핀(16)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제2 걸림 홈(20)은, 로크 로드(10)가 언로크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로크 핀(16)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로크 위치 유지 장치(30)는, 해제 저지 부재인 데드 로크 기구(15A)의 로크 제어 부재(18)와, 로크 로드(10)의 로드측 취약부(14)로부터 기단측에서 돌출 설치된 피걸림부인 걸림 돌기(31)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 제어 부재(18)는, 해제 저지 부재를 겸용하기 위해, 스프링재로 형성되고, 또한, 걸림부인 걸림 클로우(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제어 부재(18)의 하단측은, 스프링성을 이용하여 휨 변형시킨 상태로 로드 가이드부(5)의 가이드 구멍(33)에 삽입되어 있다. 이렇게 휨 변형됨으로써 로크 제어 부재(18)의 걸림 클로우(32)는 로크 로드(10)의 이동을 허용하는 대기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부(5)가 가이드측 취약부(13)의 개소에서 분단되면, 로크 제어 부재(18)의 하단측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휨 복귀 변형하여, 걸림 클로우(32)가 로크 로드(10)의 상부 로드부(10a)의 걸림 돌기(31)에 걸리는 유지 걸어 맞춤 위치로 변위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 이그니션 키 실린더(도시 생략)를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 회전하면, 모터 유닛(7)의 구동에 의해 로크 로드(10)가 이동하여 도 7의 로크 위치로부터 도 6의 언로크 위치로 변위한다. 그 후, 이그니션 키 실린더를 엔진 시동 위치까지 이동하면, 스티어링 로크를 해제한 것이 차체측 제어부에 송신되고, 시동원인 셀 모터에 의해 차량의 구동 장치인 엔진이 시동된다.
또한, 시동 스위치인 이그니션 키 실린더는, 실린더 자물쇠(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고, 전자 키가 어떠한 이유로 기능하지 않는 비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실린더 자물쇠에 끼워 넣어지는 실린더 키(도시 생략)에 의해 기계적으로 승차자의 인증을 행하여,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의 회전을 허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상 사태를 상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온 오프식의 스위치를 시동 스위치에 이용할 수 있다.
차량 주행 중에 급격 감속하여, 그 때에 드라이버의 무릎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A)에 닿아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에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가 가이드측 취약부(13), 로드측 취약부(14)의 개소에서 분단되고, 이에 의해 드라이버가 받는 충격이 경감된다.
그리고,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가 가이드측 취약부(13), 로드측 취약부(14)에서 분단되면, 로크 제어 부재(18)가 로크 핀(16)을 규제하지 않게 되어, 로크 핀(16)이 로크 로드(10)의 제2 걸림 홈(20)에 걸린다. 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A)는 분단된 후에도,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의 언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의 언로크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차량 주행 중에 자유롭게 핸들을 꺾을 수 있어, 운전 안전성이 확보된다.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 주차하기 위해 이그니션 키 실린더를 엔진 시동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되돌리면, 엔진이 정지됨과 더불어, 모터 유닛(7)의 구동에 의해 로크 로드(10)가 이동하여, 도 6의 언로크 위치로부터 도 7의 로크 위치로 변위한다.
이 스티어링 로크 상태에 있어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A)를 부정하게 해제하려고 하는 사람이 외부로부터 어택하여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에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가 가이드측 취약부(13), 로드측 취약부(14)의 개소에서 분단된다. 그러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제어 부재(18)가 로크 핀(16)을 규제하지 않게 되어, 로크 핀(16)이 로크 로드(10)의 하부 로드부(10b)의 제1 걸림 홈(19)에 걸린다. 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A)는 분단된 후에도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의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A)가 어택으로 분단된 후에도, 스티어링 샤프트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으므로, 도난 방지성이 우수하다.
또,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가 가이드측 취약부(13), 로드측 취약부(14)의 개소에서 분단되면, 로크 제어 부재(18)의 하단측이 도 8의 a 화살표 방향으로 휨 복귀 변형한다. 그리고, 도 9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제어 부재(18)의 걸림 클로우(32)가 로크 로드(10)의 상부 로드부(10a)의 걸림 돌기(31)에 걸리는 유지 걸어 맞춤 위치까지 변위한다.
상기한 부정 어택을 받은 후에,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 이그니션 키 실린더를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 회전하면, 제어부는 모터 유닛(7)의 구동에 의해 로크 로드(10)를 언로크 방향 b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로크 로드(10)의 상부 로드부(10a)는, 그 걸림 돌기(31)가 로크 제어 부재(18)의 걸림 클로우(32)에 이동이 저지되므로 언로크 방향 b로 이동할 수 없다. 제어부는, 모터 유닛(7)의 구동에 의한 언로크 위치로의 이동을 몇 차례 시도하고, 그 결과, 로크 로드(10)를 언로크 위치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A)에 어떠한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고장 표시 등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데드 로크 기구(15A)가 작동하여 실질적으로 스티어링 로크 상태가 된 경우에는, 로크 로드(10)의 언로크 위치측으로의 이동이 로크 위치 유지 장치(30)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데드 로크 기구(15A)가 작동하여 스티어링 로크 상태인 경우에, 엔진이 시동된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위치 유지 장치(3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로드(10)의 로드측 취약부(14)로부터 선단측인 상부 로드부(10a)를 분단 시점의 위치에 유지하는 구성이므로, 로크 위치 유지 장치(30)를 메카니컬한 부품만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메카니컬한 로크 위치 유지 장치(30)는, 프레임 본 체(4)측에 지지되고, 걸림 클로우(32)를 갖는 로크 제어 부재(18)와, 로크 로드(10)의 로드측 취약부(14)로부터 기단측인 상부 로드부(10a)에 설치된 걸림 돌기(31)로 구성되며, 로크 제어 부재(18)가 로드 가이드부(5)의 분단 전에서는 로크 로드(10)의 이동을 허용하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로드 가이드부(5)의 분단 후에는 걸림 돌기(31)에 걸리는 유지 걸어 맞춤 위치로 변위하여 상부 로드부(10a)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위치 유지 장치(30)에 의해 로크 로드(10)의 이동 자체가 저지되므로, 구동 모터의 제어계의 설계 변경 없이 엔진 시동을 저지할 수 있다.
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데드 로크 기구(15A)는, 로드 가이드부(5)의 가이드측 취약부(13)로부터 선단측에 배치된 로크 핀(16)과, 로크 핀(16)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로크 제어 부재(18)로 구성되고, 로드 가이드부(5)의 분단 전의 상태에서는, 로크 제어 부재(18)가 로크 핀(16)의 데드 로크 걸어 맞춤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로드 가이드부(5)가 가이드측 취약부(13)에서 분단되면, 로크 제어 부재(18)가 로크 핀(16)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여 로크 핀(16)이 로크 로드(10)의 선단측을 로크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유지 부재는, 데드 로크 기구(15A)의 로크 제어 부재(18)가 겸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위치 유지 장치(30)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구성의 간략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유지 부재를 데드 로크 기구(15A)의 로크 제어 부재(18) 이외의 부재로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 저지 부재인 로크 제어 부재(18)는, 스프링재 로 구성되고, 또한, 걸림 클로우(32)를 가지며, 로드 가이드부(5)의 분단 전에서는, 휨 변형된 상태로 로드 가이드부(5)에 장착됨으로써 걸림 클로우(32)가 로크 로드(10)의 이동을 허용하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로드 가이드부(5)가 분단되면, 로크 제어 부재(18)의 휨 복귀 변형에 의해 걸림 클로우(32)가 로크 로드(10)의 이동을 저지하는 유지 걸어 맞춤 위치로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위치 유지 장치(30)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구조의 간략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해제 저지 부재는, 로크 제어 부재(18) 이외의 부재로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0∼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데드 로크 기구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제어계의 개략 회로 블록도, 도 13은 일련의 동작 개요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B)는, 로크 위치 유지 장치(41)가 데드 로크 기구(5B)의 작동 후에, 로크 로드(10)의 언로크 위치로의 이동을 전기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A)와 비교하여, 데드 로크 기구(15B)의 로크 제어 부재(40)는, 단순한 플레이트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로크 위치 유지 장치(41)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개소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요컨대, 도 10∼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위치 유지 장치(41)는, 로 드 가이드부(5)의 분단을 검지하는 분단 검지 장치인 분단 검지 스위치(42)와, 분단 검지 스위치(42)가 분단의 검지를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면, 모터 유닛(7)의 언로크 위치측으로의 이동 지령을 무시하고 모터 유닛(7)의 구동을 실행하지 않는 모터 제어부(44)를 구비하고 있다.
분단 검지 스위치(42)는, 로드 가이드부(5)의 가이드측 취약부(13)로부터 선단측에 수용되고, 로크 제어 부재(40)의 규제의 해제 유무에 따라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의 분단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단 검지 스위치(42)는, 로드 가이드부(5)의 분단 전의 상태에서는 로크 제어 부재(40)로 가압됨으로써 온 상태이고, 로드 가이드부(5)가 분단되면, 로크 제어 부재(40)로 가압되지 않게 되어 오프 상태가 된다.
분단 검지 스위치(42)와 모터 제어부(44) 사이를 접속하는 전선(W)은, 로드 가이드부(5)의 분단에 의해 단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단선 상태에서는 분단 검지 스위치(42)가 분단을 검지한 경우의 출력, 요컨대, 오프 신호를 모터 제어부(44)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오프 신호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B) 전체를 제어하는 상위 제어부(47)에도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터 제어부(44)는, 모터 구동 회로(45)를 제어함으로써 모터 유닛(7)을 정역(正逆) 방향으로 구동한다.
상위 제어부(47)는, 시동 스위치인 이그니션 키 실린더(46)와, 모터 제어부(44) 및 차체측 제어부(48)에 통하고 있고, 차체측 제어부(48)는 시동원인 차체측 제어부(49)에, 차체측 제어부(49)는 차량의 구동 장치인 차체측 제어부(50)에 각각 통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티어링 로크 상태에 있는 차량의 차체측 제어부(50)가 작동할 때까지의 일련의 대략적인 흐름을 도 9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 이그니션 키 실린더(46)를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 회전하면, 이그니션 키 실린더(46)로부터 상위 제어부(47)로 온 신호가 출력된다(단계 S10). 다음에, 상위 제어부(47)가 분단 검지 스위치(42)의 출력으로부터 프레임(2)이 분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다(단계 S20). 다음에, 상위 제어부(47)가 휴대된 전자 키와 교신하여, ID 인증을 행하고, 올바른 전자 키인 것을 확인한다(단계 S30). 그리고, 모터 유닛(7)의 구동에 의해 로크 로드(10)를 도 6의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도시 생략)로 변위한다(단계 S40). 그 후, 이그니션 키 실린더(46)를 엔진 시동 위치까지 이동하면, 스티어링 로크를 해제한 것이 차체측 제어부(48)에 송신되고, 차체측 제어부(48)가 시동원(49)에 시동 지령을 출력하여, 시동원(49)이 구동 장치(50)를 시동한다(단계 S50).
또, 스티어링 로크 상태에 있어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B)를 부정하게 해제하려고 하는 사람이 외부로부터 어택하여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프레임(2)에 가해지면,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가 가이드측 취약부(13) 및 로드측 취약부(14)의 개소에서 분단된다. 그러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제어 부재(40)가 로크 핀(16)을 규제하지 않게 되어, 로크 핀(16)이 로크 로드(10)의 제1 걸림 홈(19)에 걸린다. 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B)가 분단된 후에도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의 로크 상태가 유지되므로, 도난 방지성이 우수하 다.
또, 로드 가이드부(5) 및 로크 로드(10)가 가이드측 취약부(13) 및 로드측 취약부(14)의 개소에서 분단되면, 로크 제어 부재(40)가 분단 검지 스위치(42)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분단 검지 스위치(42)가 오프 신호를 모터 제어부(44)에 출력한다.
이러한 부정 어택을 받은 후에,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 이그니션 키 실린더를 오프 위치에서 온 위치로 회전하면, 로크 로드(10)를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지령이 모터 제어부(44)에 출력되지만, 모터 제어부(44)는 그 이동 지령을 무시하고 모터 유닛(7)을 구동하지 않는다. 전자 키를 휴대한 사람이 이그니션 키 실린더(46)의 회전 조작을 몇 차례 반복하면, 로크 로드(10)를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지령이 몇 차례 오고 그때마다 지령을 무시한다. 지령 무시를 몇 차례 반복하면, 드라이버에 인식시키기 위해 고장 표시 등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데드 로크 기구(15B)가 작동하여 실질적으로 스티어링 로크 상태가 된 경우에는, 로크 로드(10)의 언로크 위치측으로의 이동이 로크 위치 유지 장치(41)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데드 로크 기구(15B)가 작동하여 스티어링 로크 상태인 경우에, 엔진이 시동된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위치 유지 장치(41)는, 로드 가이드부(5)의 분단을 검지하는 분단 검지 스위치(42)와, 분단 검지 스위치(42)가 분단의 검지를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면, 모터 유닛(7)의 언로크 위치측으로의 이동 지령을 무시하고 실행하지 않는 모터 제어부(44)를 구비하였으므로, 분단 검지 스위치(42)를 부 설하고, 구동 모터(43)의 제어 소프트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엔진 시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분단 검지 장치는 분단 검지 스위치(42)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분단 검지 장치는, 스위치 이외의 수단, 예를 들면 물체 검지 센서, 근접 센서 등의 센서에 의해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분단 검지 스위치(42)는, 로크 제어 부재(40)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지 분단 검지 스위치(42)를 추가하면 되므로, 설계 변경이 간단하고, 또한,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분단 검지 스위치(42)는, 로크 제어 부재(40) 이외의 부재에 의해 온·오프하도록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제어부(44)와 분단 검지 스위치(42) 사이를 접속하는 전선(W)은, 로드 가이드부(5)의 분단에 의해 단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단선 상태에서는 분단 검지 스위치(42)의 분단 검지의 신호와 동일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 제어부(44)와 분단 검지 스위치(42) 사이를 접속하는 전선(W)의 단선도 분단 검지 장치의 일종으로 기능하므로, 분단 시에 있어서 분단 검지 스위치(42)가 정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데드 로크 기구(15B)의 작동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로드(10)는, 서로 연결된 상부 로드부(10a)와 하부 로드부(10b)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로드측 취약부(14)를 갖는 1부품으로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9)

  1. 차량의 구동 장치를 시동하는 시동원과,
    커버로 덮여진 프레임 본체에 배치된 전기식 구동원과,
    상기 프레임 본체에 돌출 설치된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로드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측 취약부와,
    상기 로드 가이드부 내에 상기 전기식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로크 위치(lock postion)와 언로크 위치(unlock position)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로크 로드(lock rod)와,
    상기 로크 로드에 형성된 로드측 취약부와,
    상기 로드 가이드부 및 상기 로크 로드가, 상기 가이드측 취약부 및 상기 로드측 취약부의 위치에서 분단되었을 때에, 상기 로크 로드의 상기 로드측 취약부로부터 선단측에 위치하는 로드 선단측 부위를 분단 시점의 위치에 유지하는 데드 로크 기구(dead lock mechanism)를 구비하고,
    상기 데드 로크 기구가 작동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로드의 상기 로드측 취약부로부터 기단측에 위치하는 로드 기단측 부위가 로크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로크 로드가 상기 로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시동원을 시동 불가로 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 기단측 부위와 상기 프레임 본체로 이루어지는 로크 위치 유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 기단측 부위와 상기 프레임 본체를 걸어 맞춤으로써, 상기 로크 로드의 상기 로드 기단측 부위를 로크 위치에 유지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크 위치 유지 장치는,
    상기 프레임 본체측에 지지된 유지 부재로서 걸림부를 갖는 것과,
    상기 로드 기단측 부위에 설치된 피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로드 가이드부가 분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 로드의 이동을 허용하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 가이드부가 분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가 걸어 맞춰지는 유지 걸어 맞춤 위치로 변위하며,
    상기 로크 위치 유지 장치는, 상기 걸림부를 통해, 상기 로드 기단측 부위와 상기 프레임 본체를 걸어 맞추도록 구성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데드 로크 기구는,
    상기 로드 선단측 부위와 상기 로드 가이드부의 어느 한쪽에 배치된 로크 오목부와,
    상기 로드 선단측 부위와 상기 로드 가이드부의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로크 오목부를 향해 탄성 가압 배치되며, 또한 상기 로크 오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하게 형성된 로크 핀과,
    상기 로드 가이드부 및 상기 로크 로드가 상기 가이드측 취약부 및 상기 로드측 취약부에서 분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 오목부와 상기 로크 핀이 걸어 맞춰지는 데드 로크 걸어 맞춤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또한 상기 로드 가이드부 및 상기 로크 로드가 상기 가이드측 취약부 및 상기 로드측 취약부에서 분단된 상태에서는, 데드 로크 걸어 맞춤 위치로의 상기 로크 핀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는 로크 제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데드 로크 기구의 상기 로크 제어 부재가 겸용되도록 구성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크 제어 부재는, 상기 걸림부를 갖는 스프링재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 가이드부 및 상기 로크 로드가 상기 가이드측 취약부 및 상기 로드측 취약부에서 분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휨 변형된 상태로 상기 로드 가이드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로크 제어 부재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 가이드부 및 상기 로크 로드가 상기 가이드측 취약부 및 상기 로드측 취약부에서 분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 제어 부재가 상기 유지 걸어 맞춤 위치로 변위하도록 구성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 가이드부의 분단을 검지하는 분단 검지 장치와,
    상기 전기식 구동원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크 위치 유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분단 검지 장치로부터 분단의 검지가 입력되며, 또한 상기 로크 로드를 로크 위치측으로부터 언로크 위치측으로 이동하는 이동 지령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경우에, 당해 이동 지령을 상기 제어부가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로크 로드의 상기 로드 기단측 부위를 로크 위치에 유지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단 검지 장치는, 분단 검지 스위치로 구성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단 검지 스위치는, 상기 로크 제어 부재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구성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분단 검지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선은, 상 기 로드 가이드부의 분단에 의해 단선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단선 상태에서는 상기 분단 검지 장치의 분단의 검지 신호와 동일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1020097008473A 2006-11-10 2007-11-08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80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05371 2006-11-10
JP2006305371 2006-11-10
PCT/JP2007/071688 WO2008056727A1 (fr) 2006-11-10 2007-11-08 Dispositif antivol électrique sur la dir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905A KR20090079905A (ko) 2009-07-22
KR101380440B1 true KR101380440B1 (ko) 2014-04-01

Family

ID=3936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4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0440B1 (ko) 2006-11-10 2007-11-08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33148B2 (ko)
EP (1) EP2090477B1 (ko)
JP (1) JP4980853B2 (ko)
KR (1) KR101380440B1 (ko)
CN (1) CN101535098B (ko)
AT (1) ATE548232T1 (ko)
WO (1) WO2008056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1759B1 (fr) * 2004-06-17 2007-10-19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Dispositif antivol de direction a verrou inserabl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7730752B2 (en) * 2006-03-13 2010-06-0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Theft prevention apparatus for leisure vehicle
JP5147217B2 (ja) * 2006-11-10 2013-02-20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980853B2 (ja) * 2006-11-10 2012-07-18 株式会社アルファ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07034481A1 (de) * 2007-07-20 2009-0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mit Arretierungsteil
JP4629751B2 (ja) * 2008-04-09 2011-02-09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856686B2 (ja) 2008-10-03 2012-01-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及びモータ制振構造
JP5205296B2 (ja) * 2009-01-23 2013-06-05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ITTO20090105A1 (it) * 2009-02-13 2010-08-14 Trw Automotive Italia S P A Bloccasterzo elettrico per veicoli
JP4952751B2 (ja) * 2009-07-24 2012-06-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FR2952005B1 (fr) * 2009-11-05 2016-03-25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antivol pour colonne de direction de vehicule a super condamnation assuree par bascule
FR2952332B1 (fr) * 2009-11-06 2013-11-29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antivol pour colonne de direction de vehicule a super condamnation assuree par bascule intermediaire
JP5480615B2 (ja) * 2009-12-24 2014-04-23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および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補助ロック部材組付構造
JP5352654B2 (ja) * 2011-03-30 2013-11-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5809831B2 (ja) * 2011-04-04 2015-11-11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FR2978403A1 (fr) * 2011-07-25 2013-02-01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antivol pour colonne de direction et colonne de direction associee
FR2984822B1 (fr) * 2011-12-21 2014-04-11 Valeo Securite Habitacle Antivol de direc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a supercondamnation et procede de montage associe
US8966948B2 (en) * 2012-12-03 2015-03-03 Hyundai Motor Company Electrical steering column lock
JP5986909B2 (ja) * 2012-12-05 2016-09-06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6168694B2 (ja) * 2013-08-09 2017-07-26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WO2015049952A1 (ja) * 2013-10-03 2015-04-09 株式会社 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6258125B2 (ja) * 2014-05-27 2018-01-10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14112816A1 (de) 2014-09-05 2016-03-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Lenkradverriegelung
DE102014114410A1 (de) * 2014-10-02 2016-04-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esicherte Verriegelungsvorrichtung
JP6536879B6 (ja) * 2015-03-09 2019-07-31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10124828B2 (en) * 2016-06-15 2018-1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nomous vehicle steering control methods and systems
US11724733B2 (en) * 2020-09-23 2023-08-1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Torque-based directional control in steer-by-wire steering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313A (ja) * 1993-09-30 1995-04-18 Asahi Denso Kk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H11310104A (ja) * 1998-04-27 1999-11-09 Toyot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4231122A (ja) * 2003-01-31 2004-08-19 Tokai Rika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6232136A (ja) * 2005-02-25 2006-09-07 Alpha Corp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23027Z2 (it) * 1991-07-09 1995-05-25 Trw Sipea Spa Bloccasterzo antieffrazione per autoveicoli
US5554891A (en) * 1993-03-30 1996-09-10 Asahi Denso Kabushiki Kaisha Antitheft device for a vehicle
JP3183588B2 (ja) * 1993-06-23 2001-07-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490210B2 (ja) * 1996-03-25 2004-01-2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デッドロック制御装置
DE69721942T2 (de) * 1996-11-13 2004-05-19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Lenkschloss
JP3592883B2 (ja) * 1997-03-24 2004-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FR2788477B1 (fr) * 1999-01-15 2001-02-16 Valeo Securite Habitacle Antivol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FR2788478B1 (fr) * 1999-01-15 2001-04-06 Valeo Securite Habitacle Antivol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JP3688494B2 (ja) * 1999-02-02 2005-08-3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9906267C2 (de) * 1999-02-15 2001-03-15 Valeo Deutschland Gmbh & Co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Verriegelung der Lenkspindel einer Kraftfahrzeug-Lenkeinrichtung
DE10041984B4 (de) * 2000-08-26 2006-02-23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der Lenkspindel eines Fahrzeuges
US6516640B2 (en) * 2000-12-05 2003-02-11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teering column lock apparatus and method
DE10156335C2 (de) * 2001-11-16 2003-12-24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3808789B2 (ja) * 2002-03-22 2006-08-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47803B3 (de) * 2002-10-14 2004-01-2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DE10247802B3 (de) * 2002-10-14 2004-02-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2004231123A (ja) * 2003-01-31 2004-08-19 Tokai Rika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643152B2 (ja) * 2004-01-30 2011-03-0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JP4348245B2 (ja) * 2004-07-08 2009-10-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831391B2 (ja) * 2004-07-08 2006-10-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04043898B3 (de) * 2004-09-10 2005-12-0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3819925B2 (ja) * 2004-10-29 2006-09-13 株式会社アルファ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6282033A (ja) * 2005-04-01 2006-10-19 Tokai Rika Co Ltd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4980853B2 (ja) * 2006-11-10 2012-07-18 株式会社アルファ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147217B2 (ja) * 2006-11-10 2013-02-20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932511B2 (ja) * 2007-01-30 2012-05-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組立方法
JP4991329B2 (ja) * 2007-01-30 2012-08-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組立方法
JP4856686B2 (ja) * 2008-10-03 2012-01-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及びモータ制振構造
JP5118079B2 (ja) * 2009-02-03 2013-01-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キ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313A (ja) * 1993-09-30 1995-04-18 Asahi Denso Kk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H11310104A (ja) * 1998-04-27 1999-11-09 Toyot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4231122A (ja) * 2003-01-31 2004-08-19 Tokai Rika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6232136A (ja) * 2005-02-25 2006-09-07 Alpha Corp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37644A (ja) 2008-06-19
JP4980853B2 (ja) 2012-07-18
CN101535098B (zh) 2011-06-15
CN101535098A (zh) 2009-09-16
ATE548232T1 (de) 2012-03-15
KR20090079905A (ko) 2009-07-22
US20090266122A1 (en) 2009-10-29
EP2090477A1 (en) 2009-08-19
WO2008056727A1 (fr) 2008-05-15
EP2090477B1 (en) 2012-03-07
EP2090477A4 (en) 2011-03-30
US8033148B2 (en)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440B1 (ko)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101390031B1 (ko) 스티어링 로크 장치
US8099986B2 (en) Steering means locking apparatus
KR101506365B1 (ko) 스티어링 록 장치
KR20090125116A (ko)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20090056837A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JP5883261B2 (ja) 始動制御タイプのオートレバー装置
US5965955A (en) Steering locking device
WO2008050664A1 (fr) Dispositif de serrure à pêne blocage
US6914347B2 (en) Electronic starter and steering lock device for a motor vehicle
EP2540582B1 (en) Steering lock driving circuit and steering lock device
US7100557B2 (en) Engine star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60048065A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JP4881777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886475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4072035B2 (ja) 電子式車両盗難防止装置
JP4680056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システム
KR100716363B1 (ko) 조향칼럼의 록킹장치
KR100591304B1 (ko)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
JP2005145162A (ja) プッシュスタートスイッチ
JPH10129419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