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82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7823B1 KR101367823B1 KR1020120116412A KR20120116412A KR101367823B1 KR 101367823 B1 KR101367823 B1 KR 101367823B1 KR 1020120116412 A KR1020120116412 A KR 1020120116412A KR 20120116412 A KR20120116412 A KR 20120116412A KR 101367823 B1 KR101367823 B1 KR 101367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ed
- support member
- actuator
- supported portion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2는, 도1의 커넥터의 삽입구 부근(일점쇄선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접속 대상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커넥터의 홀드다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도1의 커넥터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액추에이터를 VIII-VI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도7의 액추에이터를 IX-I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도7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1은, 도7의 액추에이터를 VIII-VI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별도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제2피지지부 및 회전 피지지부의 안 보이는 외형이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12는, 도1의 커넥터를 XII-X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액추에이터는 개방위치에 있다.
도13은, 도1의 커넥터를 XIII-XI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액추에이터는 개방위치에 있다.
도14는, 도1의 커넥터를 XIV-XIV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액추에이터는 개방위치에 있다.
도15는, 도12의 커넥터를, 액추에이터를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즉 액추에이터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3의 커넥터를 액추에이터를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7은, 도14의 커넥터를 액추에이터를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8은, 도15의 커넥터를 액추에이터를 더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즉 액추에이터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 있는 별도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9는, 도16의 커넥터를 액추에이터를 더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0은, 도17의 커넥터를 액추에이터를 더 전방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1은, 도18의 커넥터를 액추에이터를 완전하게 쓰러뜨린 상태(즉 액추에이터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2는, 도19의 커넥터를 액추에이터를 완전하게 쓰러뜨린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3은, 도20의 커넥터를 액추에이터를 완전하게 쓰러뜨린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4는, 도21의 커넥터와 도4의 플러그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가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5는, 도22의 커넥터와 도4의 플러그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가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6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13)
- 삭제
- 삽입된 접속 대상물(接續對象物)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er)로서,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1支持部材)와, 제2지지부재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회전 지지부(回轉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대응하는 회전 피지지부(回轉被支持部)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1피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2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 접속상태로 유지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변위할 때 상기 회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받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일시적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커넥터로서,
2개의 상기 회전 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돌출하고 있고,
상기 제1피지지부 및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피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삽입된 접속 대상물(接續對象物)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er)로서,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1支持部材)와, 제2지지부재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회전 지지부(回轉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대응하는 회전 피지지부(回轉被支持部)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1피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2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 접속상태로 유지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변위할 때 상기 회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받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일시적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피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그룹과,
상기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2피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2그룹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삽입된 접속 대상물(接續對象物)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er)로서,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1支持部材)와, 제2지지부재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회전 지지부(回轉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대응하는 회전 피지지부(回轉被支持部)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1피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2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 접속상태로 유지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변위할 때 상기 회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받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일시적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또는 경사진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회전 지지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까지 변위할 때에,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직립(直立)한 직립상태를 경유하고,
상기 직립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피지지부는 하방으로 일시적으로 변위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하방으로 일시적으로 변위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삽입된 접속 대상물(接續對象物)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er)로서,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1支持部材)와, 제2지지부재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회전 지지부(回轉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대응하는 회전 피지지부(回轉被支持部)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1피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2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 접속상태로 유지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변위할 때 상기 회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받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일시적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커넥터로서,
복수의 상기 콘택트는 제1콘택트와 제2콘택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콘택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콘택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는 제1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콘택트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콘택트 및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삽입된 접속 대상물(接續對象物)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er)로서,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1支持部材)와, 제2지지부재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회전 지지부(回轉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대응하는 회전 피지지부(回轉被支持部)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1피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2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 접속상태로 유지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변위할 때 상기 회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받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일시적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前端)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단(後端)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에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피지지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삽입된 접속 대상물(接續對象物)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er)로서,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1支持部材)와, 제2지지부재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회전 지지부(回轉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대응하는 회전 피지지부(回轉被支持部)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1피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2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 접속상태로 유지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변위할 때 상기 회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받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일시적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피지지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삽입된 접속 대상물(接續對象物)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er)로서,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1支持部材)와, 제2지지부재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회전 지지부(回轉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대응하는 회전 피지지부(回轉被支持部)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1피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2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 접속상태로 유지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변위할 때 상기 회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받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일시적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조작 가능하고,
상기 제1피지지부 및 상기 제2피지지부의 각각은, 상기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서 분리된 단면(斷面)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삽입된 접속 대상물(接續對象物)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er)로서,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1支持部材)와, 제2지지부재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회전 지지부(回轉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대응하는 회전 피지지부(回轉被支持部)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1피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2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 접속상태로 유지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변위할 때 상기 회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받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일시적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피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모서리가 둥굴게 된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삽입된 접속 대상물(接續對象物)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er)로서,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제1지지부재(第1支持部材)와, 제2지지부재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회전 지지부(回轉支持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피치방향(pitch方向)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대응하는 회전 피지지부(回轉被支持部)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1피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제2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 접속상태로 유지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쌍방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변위할 때 상기 회전 지지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방을 향하는 반력을 받고, 상기 제1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피지지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반력을 받았을 때에 일시적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커넥터로서,
록부(lock部)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 대상물은,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피치방향의 양단에는 2개의 상대측 록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부는, 상기 접속상태를 상기 상대측 록부와 함께 록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2항에 있어서,
기판에 접속되어 고정되는 홀드다운(hold-down)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부는 상기 홀드다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240042A JP5746953B2 (ja) | 2011-11-01 | 2011-11-01 | コネクタ |
JPJP-P-2011-240042 | 2011-11-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8150A KR20130048150A (ko) | 2013-05-09 |
KR101367823B1 true KR101367823B1 (ko) | 2014-02-26 |
Family
ID=4817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64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7823B1 (ko) | 2011-11-01 | 2012-10-19 |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936479B2 (ko) |
JP (1) | JP5746953B2 (ko) |
KR (1) | KR101367823B1 (ko) |
TW (1) | TWI50147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47569B2 (ja) * | 2009-10-01 | 2011-12-2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362084B2 (ja) * | 2014-05-15 | 2018-07-25 | Smk株式会社 | コネクタの接続構造 |
KR102165737B1 (ko) * | 2015-01-16 | 2020-10-1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플랫 케이블 커넥터용 홀드다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JP6575898B2 (ja) * | 2015-06-26 | 2019-09-1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512551B2 (ja) * | 2015-06-26 | 2019-05-1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当該コネクタ組立体で用いられるケーブル |
CN107565273B (zh) * | 2017-07-18 | 2019-09-06 | 泰州镭昇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卡锁式电连接器 |
JP6729640B2 (ja) * | 2018-06-28 | 2020-07-22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7630453B2 (ja) * | 2022-01-06 | 2025-02-17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93045A (ja) | 2002-12-13 | 2004-07-08 | Molex Inc | Fpc用コネクタ |
JP2005183010A (ja) * | 2003-12-16 | 2005-07-07 |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 コネクター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2178B1 (ko) * | 2003-10-16 | 2008-05-23 |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 평면 회로 커넥터 |
JP2006100057A (ja) * | 2004-09-29 | 2006-04-13 | Hosiden Corp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JP4388879B2 (ja) * | 2004-10-26 | 2009-12-24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915759B2 (ja) * | 2004-12-22 | 2012-04-11 | Smk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
JP2006196424A (ja) * | 2005-01-17 | 2006-07-27 | Jst Mfg Co Ltd | Fpc用コネクタ |
JP4303736B2 (ja) | 2006-04-28 | 2009-07-29 | エフシーアイ コネクターズ シンガポー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 電気コネクタ |
JP4707609B2 (ja) * | 2006-05-31 | 2011-06-22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5070884B2 (ja) | 2007-03-06 | 2012-11-14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4192203B1 (ja) * | 2007-12-26 | 2008-12-10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4425987B1 (ja) * | 2009-06-10 | 2010-03-03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7727006B1 (en) * | 2009-07-23 | 2010-06-01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JP4792518B2 (ja) * | 2009-07-27 | 2011-10-1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917129B2 (ja) * | 2009-07-28 | 2012-04-1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057592B2 (ja) * | 2010-02-03 | 2012-10-24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5090506B2 (ja) * | 2010-08-18 | 2012-12-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112484B2 (ja) * | 2010-08-19 | 2013-01-0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634179B2 (ja) * | 2010-09-09 | 2014-12-0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保持部材及び組立体 |
JP5093340B2 (ja) * | 2010-12-27 | 2012-12-12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US8672698B2 (en) * | 2011-07-22 | 2014-03-18 | Hosiden Corporation | Card connector |
-
2011
- 2011-11-01 JP JP2011240042A patent/JP574695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10-18 TW TW101138370A patent/TWI50147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10-19 KR KR1020120116412A patent/KR10136782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0-23 US US13/658,032 patent/US893647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93045A (ja) | 2002-12-13 | 2004-07-08 | Molex Inc | Fpc用コネクタ |
JP2005183010A (ja) * | 2003-12-16 | 2005-07-07 |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 コネクター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338277A (zh) | 2013-09-16 |
TWI501471B (zh) | 2015-09-21 |
US20130109218A1 (en) | 2013-05-02 |
KR20130048150A (ko) | 2013-05-09 |
US8936479B2 (en) | 2015-01-20 |
JP5746953B2 (ja) | 2015-07-08 |
JP2013098025A (ja) | 2013-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7823B1 (ko) | 커넥터 | |
CN101154776B (zh) | 连接器 | |
JP5943774B2 (ja) | コネクタ | |
CN101110503B (zh) |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 |
KR101235237B1 (ko) | 커넥터 | |
US8678844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 action automatic mechanism | |
US8371880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board connection leg portion with a locking portion to engage a signal transmission medium and a connector main body with an unlocking portion | |
JP7467236B2 (ja) |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 |
US8317533B2 (en) | Electric connector with a lock member on an elastically displaceable lock arm | |
KR101472663B1 (ko) | 전기 커넥터 | |
JP5645312B2 (ja) | コネクタ | |
US20130095687A1 (en) | Connector | |
JP5460037B2 (ja) | 電線対基板コネクタ | |
JP5779078B2 (ja) | コネクタ | |
JP4675200B2 (ja) | 電気コネクタ | |
KR20080076901A (ko) | 전기 커넥터 | |
US20140113462A1 (en) | Connector | |
CN102983457A (zh) | 连接器 | |
JP4723308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7283971B2 (ja) |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 |
US20170141500A1 (en) | Connector | |
CN103474801A (zh) | 扁平电缆连接器 | |
JP4558562B2 (ja) | コネクタ | |
JP4528605B2 (ja) | コネクタ | |
JP7393132B2 (ja) |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