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1131B1 -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131B1
KR101341131B1 KR1020130004696A KR20130004696A KR101341131B1 KR 101341131 B1 KR101341131 B1 KR 101341131B1 KR 1020130004696 A KR1020130004696 A KR 1020130004696A KR 20130004696 A KR20130004696 A KR 20130004696A KR 101341131 B1 KR101341131 B1 KR 101341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assembly
transmission lever
bearing spindle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1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는, 베이스 브라켓(10)과; 도중(途中)에 삽입부(25)를 가지는 자동 변속기 로드(20)와; 상기 삽입부(25)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베어링 스핀들(30)과;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의 제1 방향 회전축 부재(40)과;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에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제2 방향 회전축이 되는 한 쌍의 제1 디텐트 핀(51, 52)과; 상기 제1 방향 회전축 부재(40)의 내측에서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에 단부가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한 쌍의 제2 디텐트 핀(61, 62)과; 상기 자동 변속기 로드(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이동자(70)와; 상기 자석(70)에 대향하여 고정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자석의 이동을 검지하는 단일의 센서(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Assembly}
본 발명은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 회전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변속기로서 자동 변속기가 널리 사용되는데 이 자동 변속기의 조작은 운전석 옆에 제공되는 자동변속기 레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자동변속기에서는 변속기 보호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 방지를 위해서 시프트록 장치 또는 변속 구간 이동시 특정 동작, 예를 들어 로킹해제 버튼을 누르거나 게이트방식의 경우 특정 경로를 따라서 변속기 레버를 이동시키는 등의 조작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경우에는 그러한 별도 조작없이 ECU 또는 TCU가 현재의 변속단을 인지하고 오작동을 전자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지며 조작 스트로크 역시 현격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자동변속기의 변속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센서가 필요한데 종래의 자동 변속기는 각각의 변속단에 대응하는 센서를 장착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한 복수 개의 센서 장착의 일례가 2008년 10월 28일에 등록공고된 미국특허 제7,441,47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종래 기술의 불리한 점을 극복하고 단일의 센서만을 이용하여 변속단을 검지할 수 있는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는, 베이스 브라켓(10)과; 도중(途中)에 삽입부(25)를 가지는 자동 변속기 로드(20)와; 상기 삽입부(25)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베어링 스핀들(30)과;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의 제1 방향 회전축 부재(40)과;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에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제2 방향 회전축이 되는 한 쌍의 제1 디텐트 핀(51, 52)과; 상기 제1 방향 회전축 부재(40)의 내측에서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에 단부가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한 쌍의 제2 디텐트 핀(61, 62)과; 상기 자동 변속기 로드(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이동자(70)와; 상기 자석(70)에 대향하여 고정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자석의 이동을 검지하는 단일의 센서(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을 외측에서 감싸며 내측에 제1 그루브(91)가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볼 부재(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의 외측에는 상기 제2 디텐트 핀(61, 62)의 단부가 접촉하는 제2 그루브(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루브(91)는 자동 변속기 로드(2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한 쌍의 제1 디텐트 핀(51, 52)의 경로를 안내하여 조작감을 생성하며, 상기 제2 그루브(32)는 자동 변속기 로드(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한 쌍의 제2 디텐트 핀(61, 62)의 경로를 안내하여 조작감을 생성한다.
상기 베어링 볼 부재(90)에는, 상기 제2 디텐트 핀(61, 62)가 통과하는 개구(9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자가 자석인 경우, 상기 단일의 센서는 3D 홀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자가 전도체인 경우, 상기 단일의 센서는 인덕티브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5)는 제1 방향 전후방으로는 구형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이며, 제2 방향 좌우방으로는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는 중앙측으로 내측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센서로 시프트 방향 및 셀렉트 방향으로의 조작을 모두 검지할 수 있는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차지하는 공간 역시 축소시킬 수 있는 레버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셀렉트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시프트 방향에서 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프트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셀렉트 방향을 제2 방향으로서 설명하지만, 그 반대로 규정되는 구성도 설명의 범위 및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 관련이 없는 구성요소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셀렉트 방향에서 본 단면도가, 도 3에는 시프트 방향에서 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1)는, 베이스 브라켓(10)과, 자동변속기 로드(20)와, 베어링 스핀들(30)과, 제1 방향 회전축 부재(40)와, 한 쌍의 제1 디텐트 핀(51, 52)와, 한 쌍의 제2 디텐트 핀(61, 62)과, 이동자(70)와, 단일의 센서(80)를 포함한다.
자동변속기 로드(20)의 도중(途中)에는 삽입부(25)가 제공된다. 삽입부(25)는, 제1 방향 전후방으로는 구형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이며(도 3 참조), 제2 방향 좌우방으로는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을 취한다.(도 2 참조)
베어링 스핀들(30)은 삽입부(25)의 외측을 감싸도록 제공되며, 외측에는 제2 디텐트 핀(61, 62)의 단부가 접촉하는 제2 그루브(3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그루브(32)는 로드(2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한 쌍의 디텐트 핀(61, 62)의 경로를 안내하여 조작감을 생성한다.
베어링 볼 부재(90)는 베어링 스핀들(30)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제공되며, 내측에는 제1 그루브(9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그루브(91)는 로드(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한 쌍의 제1 디텐트 핀(51, 52)의 경로를 안내하여 조작감을 생성한다. 베어링 볼 부재(90)에는 제2 디텐트 핀(61, 62)이 통과하는 개구(9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그루브(91)와 제2 그루브(32)는, 중앙으로 내측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중앙에서는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 안정 위치가 된다. "안정 위치"라 함은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를 제1 방향이나 제2 방향으로 조작한 이후에 복귀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제1 디텐트 핀(51, 52)은 베어링 스핀들(30)에 외측으로 탄성적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어 제공되며, 로드(20)의 제2 방향 회전축의 역할을 한다.
제2 디텐트 핀(61, 62)은 제1 방향 회전축 부재(40)의 내측 장착부(41)에 장착되는 리턴 스프링(63)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그 단부는 베어링 스핀들(30)의 제2 그루브(32)에 접촉한다.
이동자(70)는 로드(20)의 하측 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데, 로드(20)의 제1 방향 이동 및 제2 방향 이동을 구분지어 연동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곳에 부착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동자(70)로는 자석 또는 전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자(70)에 대향하는 고정 위치에느 단일의 센서(80)가 제공되어 이동자(70)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이동을 검지한다. 이동자(70)가 자석이면 센서로는 2D 홀센서 또는 3D 홀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동자(70)가 전도체인 경우에는 인덕티브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자가 로드(20)를 제1 방향 즉 시프트 방향으로 조작하면, 도 3의 좌우 방향으로 로드(20)가 회전하며, 제2 디텐트 핀(61, 62)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한다. 그러면, 제1 디텐트 핀(51, 52)이 제1 그루브(91)를 따라서 이동하여 조작감을 부여한다. 조작 후에는, 제1 디텐트 핀(51, 52)이 안정 위치로 복귀하면서 로드(20)로 원위치로 복귀한다.
조작자가 로드(20)를 제2 방향 즉 셀렉트 방향으로 조작하면, 도 2의 좌우 방향으로 로드(20)가 회전하며, 제1 디텐트 핀(51, 52)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한다. 그러면, 제2 디텐트 핀(61, 62)이 제2 그루브(32)를 따라서 이동하여 조작감을 부여한다. 조작 후에는, 제 2 디텐트 핀(61, 62)이 안정 위치로 복귀하면서 로드(20)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로드(20)가 이와 같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조작되어 이동하면, 이동자(70) 역시 그에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며, 그러한 이동은 단일의 센서(80)에 의해서 검지되어 변속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송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베이스 브라켓
20: 자동 변속기 로드
30: 베어링 스핀들
40: 제1 방향 회전축 부재

Claims (7)

  1. 차량용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에 있어서,
    베이스 브라켓(10)과,
    도중(途中)에 삽입부(25)를 가지는 자동 변속기 로드(20)와,
    상기 삽입부(25)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베어링 스핀들(30)과,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의 제1 방향 회전축 부재(40)과,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에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제2 방향 회전축이 되는 한 쌍의 제1 디텐트 핀(51, 52)과,
    상기 제1 방향 회전축 부재(40)의 내측에서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에 단부가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한 쌍의 제2 디텐트 핀(61, 62)과,
    상기 자동 변속기 로드(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이동자(70)와,
    상기 이동자(70)에 대향하여 고정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이동자의 이동을 검지하는 단일의 센서(80)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을 외측에서 감싸며 내측에 제1 그루브(91)가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볼 부재(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스핀들(30)의 외측에는 상기 제2 디텐트 핀(61, 62)의 단부가 접촉하는 제2 그루브(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그루브(91)는 자동 변속기 로드(2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한 쌍의 제1 디텐트 핀(51, 52)의 경로를 안내하여 조작감을 생성하며,
    상기 제2 그루브(32)는 자동 변속기 로드(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한 쌍의 제2 디텐트 핀(61, 62)의 경로를 안내하여 조작감을 생성하는,
    차량용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볼 부재(90)에는, 상기 제2 디텐트 핀(61, 62)가 통과하는 개구(95)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는 자석이고, 상기 단일의 센서는 2D 홀센서 또는 3D 홀센서인,
    차량용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는 전도체이고, 상기 단일의 센서는 인덕티브 센서인,
    차량용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5)는 제1 방향 전후방으로는 구형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이며, 제2 방향 좌우방으로는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인,
    차량용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는 중앙측으로 내측 경사진 형상인,
    차량용 전자식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KR1020130004696A 2013-01-16 2013-01-16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Active KR101341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696A KR101341131B1 (ko) 2013-01-16 2013-01-16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696A KR101341131B1 (ko) 2013-01-16 2013-01-16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131B1 true KR101341131B1 (ko) 2013-12-13

Family

ID=4998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696A Active KR101341131B1 (ko) 2013-01-16 2013-01-16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1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152B1 (ko) * 2014-04-02 2014-07-04 (주)에스엠씨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
EP3054196A1 (en) * 2015-02-05 2016-08-10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hift device
KR101902417B1 (ko) 2018-02-05 2018-09-28 주식회사 엠스코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US20190219165A1 (en) * 2018-01-16 2019-07-18 Kyung Chang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shift control device
CN110073308A (zh) * 2016-12-14 2019-07-30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操作装置
KR102050332B1 (ko) * 2018-06-14 2019-12-02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버 장치
KR20200054736A (ko) * 2018-11-12 2020-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클러치용 변속레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161A (ko) * 2003-10-17 2005-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3650784B2 (ja) * 1995-07-05 2005-05-25 津田工業株式会社 手動式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の支持装置
KR100803069B1 (ko) 2006-07-05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케이블 소켓과 브래킷의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0784B2 (ja) * 1995-07-05 2005-05-25 津田工業株式会社 手動式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の支持装置
KR20050037161A (ko) * 2003-10-17 2005-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803069B1 (ko) 2006-07-05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케이블 소켓과 브래킷의 조립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566A1 (ko) * 2014-04-02 2015-10-08 주식회사 에스엠씨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
CN105682971A (zh) * 2014-04-02 2016-06-15 Smc有限公司 电子式变速操纵杆装置
CN105682971B (zh) * 2014-04-02 2017-11-14 Smc有限公司 电子式变速操纵杆装置
KR101415152B1 (ko) * 2014-04-02 2014-07-04 (주)에스엠씨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
EP3054196A1 (en) * 2015-02-05 2016-08-10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hift device
CN105864417A (zh) * 2015-02-05 2016-08-17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换档装置
EP3557368A4 (en) * 2016-12-14 2020-07-29 Alps Alpine Co., Ltd. CONTROL DEVICE
CN110073308A (zh) * 2016-12-14 2019-07-30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操作装置
US20190219165A1 (en) * 2018-01-16 2019-07-18 Kyung Chang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shift control device
US10871222B2 (en) * 2018-01-16 2020-12-22 Kyung Chang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shift control device
KR101902417B1 (ko) 2018-02-05 2018-09-28 주식회사 엠스코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KR102050332B1 (ko) * 2018-06-14 2019-12-02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버 장치
KR20200054736A (ko) * 2018-11-12 2020-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클러치용 변속레버장치
KR102602960B1 (ko) 2018-11-12 2023-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클러치용 변속레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131B1 (ko)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EP3056768B1 (en) Shift device
KR101637949B1 (ko)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KR101509940B1 (ko) 차량용 전자식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치
CN105682970A (zh) 换挡装置
US10352435B2 (en) Integrated electronic shift lever assembly for vehicle
JP2010234950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US8857287B2 (en) Vehicle shifter
US10724626B2 (en) Shift control device using double hinge
EP3054196B1 (en) Shift device
KR20160128823A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659246B1 (ko)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US20140000403A1 (en)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assembly having shift-lock cam using electromagnet
KR101341128B1 (ko)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JP2012067885A (ja) 変速機のシフトアンドセレクトシャフトアッセンブリ
US8171817B2 (en) Control shift assembly for manual transmission
JP6003785B2 (ja) 車両のシフト装置
JP5921421B2 (ja) シフト装置
JP6129661B2 (ja) シフト装置
KR101418869B1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JP2019064312A (ja) シフトレバー位置検出装置
JP6723070B2 (ja) シフト装置
KR10131616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디텐트 기구
JP6689682B2 (ja) シフト装置
US9458931B2 (en)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