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8869B1 -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869B1
KR101418869B1 KR1020130004692A KR20130004692A KR101418869B1 KR 101418869 B1 KR101418869 B1 KR 101418869B1 KR 1020130004692 A KR1020130004692 A KR 1020130004692A KR 20130004692 A KR20130004692 A KR 20130004692A KR 101418869 B1 KR101418869 B1 KR 101418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al transmission
pair
grooves
transmission rod
lever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8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지지되며 내측에 절도감 부여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형상의 베어링 볼 부재(20)와; 수동 변속기 로드(30)와;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30)의 도중(途中)에 제공되며, 상기 베어링 볼 부재(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43)를 포함하는 인서트 아우터(40)와; 상기 수용부(43)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수용되며, 시프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을 포함한다. 시프트 방향으로 수동 변속기 로드(30)가 작동될 때에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은 상기 절도감 부여 그루브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Manual Transmission Lever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의 회전력은 변속기를 거쳐서 바퀴에 전달되어 차량을 구동하게 되는데 수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운전석 옆에 제공되는 수동 변속기 레버를 조작하여 그 변속단을 결정한다. 2003년 1월 23일에 공개된 한국특허출원공개 제10-2003-0005964호에 그러한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조작할 때에 조작감을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구조가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향상된 조작감을 전달할 수 있는 수동 변속기 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지지되며 내측에 절도감 부여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형상의 베어링 볼 부재(20)와; 수동 변속기 로드(30)와;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30)의 도중(途中)에 제공되며, 상기 베어링 볼 부재(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43)를 포함하는 인서트 아우터(40)와; 상기 수용부(43)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수용되며, 시프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을 포함한다. 시프트 방향으로 수동 변속기 로드(30)가 작동될 때에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은 상기 절도감 부여 그루브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절도감 부여 그루브는,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가 전방측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이 각각 이동하는 제1 홈(1a, 1b)과;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가 후방측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이 각각 이동하는 제2 홈(2a, 2b)과;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가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이 접촉하여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의 회전축이 되며 중립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의 단부가 접촉하여 수용되는 제3 홈(3a, 3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볼 부재(20)의 측벽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서트 아우터(40)로부터 연자아는 연장부(41)가 상기 개구부(21)를 통과하며, 상기 연장부(41)의 단부는 측판 부재(60)의 셀렉트 방향 유동부(6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1a, 1b)과 제3 홈(3a, 3b)의 경계 및 제2 홈(2a, 2b)과 제3 홈(3a, 3b)의 경계에는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이 넘어가는 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에서 조작자에게 조작감을 전달할 수 있으며, 셀렉트 방향 중립 위치에서도 유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베이스(10)와 수동 변속기 로드(30)의 경계부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의 주요부 일부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분의 일부 절결 단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베이스(10)와 수동 변속기 로드(30)의 경계부의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의 A-A 방향의 주요부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부분의 일부 절결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속단으로의 로드(30) 이동 방향을 "시프트 방향"으로 정의하고, 그에 직교하는 방향을 "셀렉트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1)는, 베이스(10)와, 베어링 볼 부재(20)와, 수동 변속기 로드(30)와, 인서트 아우터(40)와,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와, 측판 부재(60)를 포함한다.
베어링 볼 부재(20)는 베이스(10)에 지지되며, 내측에 절도감 부여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다. 절도감 부여 그루브는, 수동 변속기 로드(30)가 전방측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이 각각 이동하는 제1 홈(1a, 1b)과, 수동 변속기 로드(30)가 후방측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이 각각 이동하는 제2 홈(2a, 2b)과, 수동 변속기 로드(30)가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이 접촉하여 수동 변속기 로드(30)의 회전축이 되며 중립 위치에서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의 단부가 접촉하여 수용되는 제3 홈(3a, 3b)을 포함한다. 제1 홈(1a, 1b)과 제3 홈(3a, 3b)의 경계 및 그리고 제2 홈(2a, 2b)과 제3 홈(3a, 3b)의 경계에는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가 넘어가는 턱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 아우터(40)는 수동 변속기 로드(30)의 도중(途中)에 제공되며, 셀렉트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41) 및 베어링 볼 부재(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43)를 포함한다. 수용부(43)의 외측 형상은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을 취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인서트 아우터(4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이 인서트 아우터(40)의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수용된다.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은 시프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진퇴(進退)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의 내측에서는 서로 공유하는 리턴 스프링(55)이 제공된다.
연장부(41)의 단부는 측판 부재(60)의 셀렉트 방향 유동부(61)에 수용되는데, 이것에 의해 로드(30)의 셀렉트 방향으로의 유동을 수용할 수 있다. 측판 부재(60)에는 리턴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되어, 셀렉트 방향에서 로드(30)에 힘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라면 중립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셀렉트 방향 중립 위치 유지 구성은 본 발명의 본질과는 무관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서 전방측 시프트 방향으로 로드(30)가 이동하여 변속하는 경우인 1단과, 후방측 시프트 방향으로 로드(30)가 이동하여 변속하는 경우인 2단 변속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로드(30)를 1단으로 변속시키면, 로드(30)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로드(30)는 도 3의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그러면 제3 홈(3a, 3b)에 단부가 접촉하여 수용되어 있던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은 제1 홈(1a, 1b)로 이동하여 접촉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3 홈(3a, 3b)과 제1 홈(1a, 1b) 사이의 턱을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이 타고 넘어가면서 운전자에게 조작감(절도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로드(30)를 1단에서 2단으로 변속하면, 로드(30)는 후방측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도 3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로드(30)가 회전하여 먼저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이 제3 홈(3a, 3b)으로 이동하여 걸리고, 다시 후방측 시프트 방향 즉 도 3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로드(30)가 회전하여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이 제2 홈(2a, 2b)으로 이동하여 걸린다. 이 때.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은 제1 홈(1a, 1b)과 제3 홈(3a, 3b) 사이의 턱을 넘어가면서 1차 절도감을 운전자에게 부여하고, 다시 제3 홈(3a, 3b)에서 제2 홈(2a, 2b)으로 넘어갈 때에 그 사이의 턱을 넘어가면서 2차 절도감을 운전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베이스
20: 베어링 볼 부재
30: 수동 변속기 로드
40: 인서트 아우터
51, 52: 디텐트 핀
60: 측판 부재

Claims (4)

  1.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에 있어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지지되며 내측에 절도감 부여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형상의 베어링 볼 부재(20)와,
    수동 변속기 로드(30)와,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30)의 도중(途中)에 제공되며, 상기 베어링 볼 부재(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43)를 포함하는 인서트 아우터(40)와,
    상기 수용부(43)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수용되며, 시프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을 포함하며,
    시프트 방향으로 수동 변속기 로드(30)가 작동될 때에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은 상기 절도감 부여 그루브로 이동하는,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도감 부여 그루브는,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가 전방측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이 각각 이동하는 제1 홈(1a, 1b)과,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가 후방측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이 각각 이동하는 제2 홈(2a, 2b)과,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가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이 접촉하여 상기 수동 변속기 로드의 회전축이 되며 중립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의 단부가 접촉하여 수용되는 제3 홈(3a, 3b)을 포함하는,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볼 부재(20)의 측벽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서트 아우터(40)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41)가 상기 개구부(21)를 통과하며,
    상기 연장부(41)의 단부는 측판 부재(60)의 셀렉트 방향 유동부(61)에 수용되는,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홈(1a, 1b)과 제3 홈(3a, 3b)의 경계 및 제2 홈(2a, 2b)과 제3 홈(3a, 3b)의 경계에는 상기 한 쌍의 디텐트 핀(51, 52)이 넘어가는 턱이 제공되는,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KR1020130004692A 2013-01-16 2013-01-16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Active KR101418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692A KR101418869B1 (ko) 2013-01-16 2013-01-16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692A KR101418869B1 (ko) 2013-01-16 2013-01-16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869B1 true KR101418869B1 (ko) 2014-07-11

Family

ID=5174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692A Active KR101418869B1 (ko) 2013-01-16 2013-01-16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8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749A (ko) * 2017-05-18 2018-11-28 경창산업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KR102050332B1 (ko) * 2018-06-14 2019-12-02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버 장치
KR102672118B1 (ko) * 2024-02-01 2024-06-04 경진에프에이 주식회사 조작감이 개선된 차량용 mt 레버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8537A1 (en) 2003-02-28 2004-09-02 Teleflex Incorporated Shifter assembly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20050037161A (ko) * 2003-10-17 2005-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534801B1 (ko) * 2003-12-24 2005-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 케이블용 디텐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8537A1 (en) 2003-02-28 2004-09-02 Teleflex Incorporated Shifter assembly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20050037161A (ko) * 2003-10-17 2005-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534801B1 (ko) * 2003-12-24 2005-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 케이블용 디텐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749A (ko) * 2017-05-18 2018-11-28 경창산업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KR101941567B1 (ko) * 2017-05-18 2019-01-24 경창산업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KR102050332B1 (ko) * 2018-06-14 2019-12-02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버 장치
KR102672118B1 (ko) * 2024-02-01 2024-06-04 경진에프에이 주식회사 조작감이 개선된 차량용 mt 레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8355B (zh) 车辆用变速装置
KR101418869B1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JP2008032158A (ja) 手動変速機の変速機構
US9546732B2 (en) Gear-shifting device for vehicle
US9341256B2 (en) Speed change apparatus of vehicle
JP6163827B2 (ja) 車両用パーキング装置
US10711882B2 (en) Operating shift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KR101941567B1 (ko)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CN108533729B (zh) 一种变速器操纵装置
JP2008232262A (ja) 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US20150000446A1 (e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er
JP2007146897A (ja) 手動変速機
US9347556B2 (en) Dual shift fork
KR100803073B1 (ko) 수동 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변속감 향상을 위한 디텐트기구
JP4580533B2 (ja) ミスセレクト防止機能を持つ変速機のセレクト装置
KR102498154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5417333B2 (ja) パワーアシスト機器を備えたシフト装置
CN210830416U (zh) 车辆用变速装置
CN210423677U (zh) 操纵机构、变速箱和车辆
CN210118447U (zh) 操纵机构、变速箱和车辆
JP6090350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JP2005155792A (ja) 駆動系切換シャフト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20109298A (ja) 動力伝達装置
JP6090349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JP2017002921A (ja) 車両用シフト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