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6842B1 -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842B1
KR101326842B1 KR1020110130338A KR20110130338A KR101326842B1 KR 101326842 B1 KR101326842 B1 KR 101326842B1 KR 1020110130338 A KR1020110130338 A KR 1020110130338A KR 20110130338 A KR20110130338 A KR 20110130338A KR 101326842 B1 KR101326842 B1 KR 10132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mount
evaporator
heater core
air flow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786A (ko
Inventor
김재웅
박재현
박준형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842B1/ko
Priority to US13/692,656 priority patent/US20130145776A1/en
Priority to DE102012111874A priority patent/DE102012111874A1/de
Priority to CN2012105239804A priority patent/CN103144511A/zh
Publication of KR2013006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84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8Vehicle drive related control of the compressor drive means, e.g. for fuel 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6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장치의 압축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냉각 매체를 응축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 액화된 냉각 매체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냉각 매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히터코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도어, 그리고 상기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로 불어주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와,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 그리고 스로틀 개도를 측정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공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가속 조건이 발생하면, 상기 공조 장치 내에 흐르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여 압축기 작동량을 조절한다.

Description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AIR 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용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석유 자원 고갈을 극복하기 위하여 각 나라에서는 배기 규제와 연비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연비 향상을 위하여 파워트레인을 비롯한 보기류 등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기류 중 하나가 에어컨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이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데, 이 압축기는 풀리를 통하여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전자클러치의 단속작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증발기로부터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응축기쪽으로 토출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기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 차량용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는 종류로는 가변용량형 압축기가 있다.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따르면, 부하에 따라 압력조절밸브에 의하여 냉매의 압력이 변동됨으로써, 사판의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이 사판의 경사각 조절에 의하여 피스톤의 행정거리가 변화함으로써, 냉매의 토출용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기가 작동되기 위하여는 많은 구동력이 요구된다. 특히, 압축기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벨트로 연결된 풀리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 받으므로, 요구되는 냉방성능과는 무관하게 엔진 회전수에 따라 작동된다. 또한, 승객들은 쾌적성을 위하여 공조장치를 작동시키므로, 압축기가 불필요하게 작동되어 연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속이나 감속시에 주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 가속 주행시 압축기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공조 장치로부터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압축기 작동량을 감소시키는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제어 장치에 있어서, 냉각 매체를 응축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 액화된 냉각 매체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냉각 매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히터코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도어, 그리고 상기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로 불어주는 송풍기(44)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와,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 그리고 스로틀 개도를 측정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공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가속 조건이 발생하면, 상기 공조 장치 내에 흐르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여 압축기 작동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가속 조건이 발생되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을 결정하고,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에 따라 상기 공조 장치 내 흐르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에 따라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매체를 응축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 액화된 냉각 매체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냉각 매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차량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히터코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도어, 선택적으로 내기 또는 외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내/외기 도어, 그리고 상기 내/외기 도어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로 불어주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가속 조건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가속 조건이 인지되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에 따라 압축기 작동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이 결정되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에 따라 온도 조절 도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가속 주행시 압축기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조 장치로부터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압축기 작동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기 작동량을 감소시켜 가속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고 쾌적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인 rh와 압축기 작동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 제어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조 장치(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압축기 제어 장치(1)는 센서부(10), 제어기(20), 액츄에이터(30), 공조 장치(40)를 포함한다. 압축기 제어 장치(1)는 차량의 가속 발생시 공조 장치(40) 내의 풍량을 조절하여 압축기 작동량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히터 코어(45) 내로 유입되는 풍량을 감소시켜 압축기 작동량을 감소시킨다.
센서부(10)는 증발기 온도 센서(11), 히터 코어 온도 센서(13), 토출 온도 센서(15), 냉각수 온도 센서(16), 엔진 회전수 센서(17), 그리고 스로틀 위치 센서(19)를 포함한다. 그 외에, 센서부(10)는 변속을 위한 센서들(예를 들어, 차속 센서, 브레이크 센서 등) 및/또는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들(예를 들어, 배기 온도 센서, 산소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 온도 센서(11)는 증발기(43)의 입구 및 출구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20)에 전달한다.
히터 코어 온도 센서(13)(11)는 히터 코어(45)의 출구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20)에 전달한다.
냉각수 온도 센서(16)는 히터 코어(45)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20)에 전달한다.
토출 온도 센서(15)는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20)에 전달한다.
엔진 회전수 센서(17)는 크랭크 샤프트의 위상 변화로부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20)에 전달한다.
스로틀 위치 센서(19)는 가속 페달의 작동 정도에 대응하는 스로틀 개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20)에 전달한다.
제어기(20)는 센서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10)에서 측정된 값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공조 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액츄에이터(30)는 제어기(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2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공조 장치(40)를 작동시킨다. 액츄에이터(30)로는 솔레노이드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 신호는 솔레노이드 장치에 가해지는 듀티 신호일 수 있다.
공조 장치(40)는 차량 실내의 난방, 환기 및 냉방을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응축기(41), 증발기(43), 압축기(42), 히터 코어(45), 온도 조절 도어(47), 내/외기 도어(48), 그리고 송풍기(44)를 포함한다. 공조 장치(40)는 본 명세서에 기재하지 않은 다양한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41)는 냉각 매체를 응축하여 액화시키고, 증발기(43)는 액화된 냉각 매체를 기화시키며, 압축기(42)는 냉각 매체를 압축시킨다.
내/외기 도어(48)는 선택적으로 차량의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하고, 송풍기(44)는 내/외기 도어(48)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증발기(43)로 불어준다.
히터 코어(45)는 차량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히터 코어(45)에는 히터 코어(45)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라인(46)이 제공된다.
온도 조절 도어(47)는 증발기(43)와 히터 코어(45) 사이에 제공되어 증발기(43)를 통과한 공기에 대한 히터 코어(45)의 흐름을 제어한다.
토출 도어(49)는 증발기(43) 및/또는 히터 코어(45)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구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된다.
상기의 차량용 압축기 제어 장치(1)를 이용한 차량용 압축기(42) 제어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증발기(43)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히터 코어(45)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인 rh와 압축기 작동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축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는 제어기(20)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제어한다(S110). 이 상태에서, 제어기(20)는 가속 조건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120). 도 3에는 각 가속 모드에서 가속 조건(실선)과 가속 해제 조건(점선)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속 조건과 가속 해제 조건은 엔진 회전수와 스로틀 개도에 대한 맵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축기(42)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속 조건이 만족된 경우 제어기(20)는 가속 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가속 모드에는 급가속 모드와 완가속 모드가 있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가속 모드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가속 조건이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기(20)는 실내 온도 제어를 계속 수행한다(S110).
S120 단계에서, 가속 조건이 발생하면, 제어기(20)는 증발기(43)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히터 코어(45)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을 결정한다(S130).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증발기(43)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히터 코어(45)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 , 이하에서는 rh로만 지칭)와 압축기 작동량과의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성립된다. 구체적으로, 공조 장치(40) 내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토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rh가 감소되면, 압축기 작동량도 감소된다.
일 예로서, 상기의 관계를 간단한 식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rh는 증발기(43)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히터 코어(45)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를 나타내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의 식에서
Figure 112011097235013-pat00001
는 히터 코어(45)로 유입되는 풍량이며,
Figure 112011097235013-pat00002
는 증발기(43)로 유입되는 풍량이다. 여기서, 증발기(43)로 유입되는 풍량은 공조 장치(40) 내의 전체 공기의 유량이라고 볼 수 있다.
Figure 112011097235013-pat00003
공조 장치(40) 내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04
)와, 증발기(43)의 출구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05
)및 히터 코어(45)의 출구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06
)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97235013-pat00007
히터 코어(45)의 출구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08
)는 히터 코어(45)에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09
)와 히터코어의 방열 효율(
Figure 112011097235013-pat00010
)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97235013-pat00011
따라서,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12
)를 증발기(43)의 출구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13
), 히터 코어(45)의 출구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14
), 히터 코어(45)에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15
) 및 히터코어의 방열 효율(
Figure 112011097235013-pat00016
)과의 관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97235013-pat00017
이 때, 압축기(42)의 작동량(
Figure 112011097235013-pat00018
)가 비례 제어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의 식에서
Figure 112011097235013-pat00019
는 증발기(43)의 입구 온도이며,
Figure 112011097235013-pat00020
는 비례 제어 상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97235013-pat00021
상기 압축기(42)의 작동량(
Figure 112011097235013-pat00022
)에 관한 식을 증발기(43)의 출구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23
)에 관해 정리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24
)에 관한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97235013-pat00025
Figure 112011097235013-pat00026
상기의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으며,
Figure 112011097235013-pat00027
이에 의한 압축기 작동량(
Figure 112011097235013-pat00028
)에 관한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97235013-pat00029
상기의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압축기 작동량(
Figure 112011097235013-pat00030
)과 rh 와는 일정한 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31
)가 일정하도록 공급하는 경우에는 rh 를 줄이면 압축기 작동량(
Figure 112011097235013-pat00032
)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 작동량(
Figure 112011097235013-pat00033
)이 줄어들면 증발기(43)의 출구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34
)가 높아지더라도, 히터 코어(45)를 통과하는 유량(
Figure 112011097235013-pat00035
)을 줄여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Figure 112011097235013-pat00036
)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rh의 감소량이 결정되면, 제어기(20)는 rh의 감소량에 따라 압축기 작동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한다(S140). 또한, 제어기(20)는 rh의 감소량에 따라 히터 코어(45)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하기 위해 히터 코어(45) 전방에 위치한 온도 조절 도어(47)를 제어한다(S150). 즉, 히터 코어(45)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온도 조절 도어(47)를 조절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압축기(42) 제어 방법은 rh를 감소시켜 압축기 작동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히터 코어(45)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도 감소시키기 때문에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S160). 따라서, 증발기(43)의 목표 온도를 상향 조정하지 않아도 압축기 작동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압축기(42) 제어 방법은 rh의 감소량에 따라 압축기 작동량을 감소시켜 차량의 실내에 토출되는 온도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축기 작동량 감소량을 결정하여 rh의 감소량을 결정하고 이에 의해 차량의 실내에 토출되는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rh의 감소량과 압축기(42) 감소량에 대한 결정 및 제어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압축기(42) 제어 방법은 rh의 감소량에 따라 히터 코어(45)에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증발기(43)에 유입되는 풍량 즉 공조 장치(40) 내 전체 풍량을 증가시키거나 증발기(43)에 유입되는 풍량과 히터 코어(45)에 유입되는 풍량 모두를 조절하여 rh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압축기 제어 장치
10: 센서부
20: 제어기
30: 액츄에이터
40: 공조 장치
43: 증발기
44: 송풍기
45: 히터 코어
47: 온도 조절 도어

Claims (6)

  1. 차량의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냉각 매체를 응축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 액화된 냉각 매체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냉각 매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히터코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도어, 그리고 상기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로 불어주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 그리고 스로틀 개도를 측정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공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되,
    차량의 가속 조건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을 결정하고,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에 따라 상기 공조 장치 내에 흐르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여 압축기 작동량을 조절하는 공조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에 따라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감소시키는 공조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감소시키는 공조 제어 장치.
  5. 냉각 매체를 응축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 액화된 냉각 매체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냉각 매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차량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히터코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도어, 선택적으로 내기 또는 외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내/외기 도어, 그리고 상기 내/외기 도어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로 불어주는 송풍기(44)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가속 조건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가속 조건이 인지되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에 따라 압축기 작동량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이 결정되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에 대한 상기 히터 코어로 유입되는 풍량의 비(rh)의 감소량에 따라 온도 조절 도어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조 제어 방법.
  6. 삭제
KR1020110130338A 2011-12-07 2011-12-07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26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338A KR101326842B1 (ko) 2011-12-07 2011-12-07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3/692,656 US20130145776A1 (en) 2011-12-07 2012-12-03 Air 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E102012111874A DE102012111874A1 (de) 2011-12-07 2012-12-06 Klimatisierung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davon
CN2012105239804A CN103144511A (zh) 2011-12-07 2012-12-07 空调控制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338A KR101326842B1 (ko) 2011-12-07 2011-12-07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786A KR20130063786A (ko) 2013-06-17
KR101326842B1 true KR101326842B1 (ko) 2013-11-11

Family

ID=4846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3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6842B1 (ko) 2011-12-07 2011-12-07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45776A1 (ko)
KR (1) KR101326842B1 (ko)
CN (1) CN103144511A (ko)
DE (1) DE1020121118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2524A (zh) * 2015-09-16 2015-12-23 四川膨旭科技有限公司 汽车的空气温度调节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2942A (zh) * 2015-09-16 2015-11-25 四川膨旭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温度调节系统
KR101755518B1 (ko) 2016-08-12 2017-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압축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73804B1 (ko) * 2018-12-18 2023-09-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제어 유닛,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971A (ja) * 1992-11-12 1994-05-24 Zexel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コンプレッサ制御装置
JP2004148860A (ja) 2002-10-28 2004-05-27 Tgk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KR20100028681A (ko) * 2008-09-05 2010-03-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37312A1 (fr) * 1978-09-29 1980-04-25 Renault Dispositif de climatisation d'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JPS57134319A (en) * 1981-02-12 1982-08-19 Nippon Denso Co Ltd Cooling power controller for car air conditioner
JPS58110317A (ja) * 1981-12-23 1983-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車輌用空調装置
JPS58124139A (ja) * 1982-01-20 1983-07-23 Nippon Denso Co Ltd 空調制御装置
JPS60152526U (ja) * 1984-03-22 1985-10-11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自動車用空調装置のコンプレツサ制御装置
JPS6242826A (ja) * 1985-08-21 1987-02-2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複合管の製造方法
US5190096A (en) * 1987-11-11 1993-03-02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Car air conditioning equipment with temperature variation system to avoid occupant boredom with constant temperature air
US4961462A (en) * 1989-11-15 1990-10-09 Diesel Kiki Co., Ltd.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 air-conditioners
US5226595A (en) * 1991-12-26 1993-07-13 Eaton Corporation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multi-speed response
US5775415A (en) * 1993-07-07 1998-07-07 Nippondenso Co., Ltd. Air conditioning system
EP0701915A1 (de) * 1994-09-19 1996-03-20 Valeo Klimasysteme GmbH Kraftfahrzeug-Klimaanlage
JP4174929B2 (ja) * 1998-10-23 2008-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1027455A (ja) * 1999-05-13 2001-01-30 Denso Corp 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US6688120B2 (en) * 2001-01-23 2004-02-10 Denso Corporatio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cold storage and cold release
JP4631190B2 (ja) * 2001-03-23 2011-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4131033A (ja) * 2002-10-15 2004-04-30 Denso Corp 空調装置
JP2004276707A (ja) * 2003-03-14 2004-10-07 Sanden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4355511B2 (ja) * 2003-04-10 2009-11-0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4385678B2 (ja) * 2003-08-05 2009-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バッテリ冷却システム
JP4417064B2 (ja) * 2003-09-30 2010-02-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479275B2 (ja) * 2004-02-25 2010-06-09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DE102005049200A1 (de) * 2004-10-18 2006-05-11 Denso Corp., Kariya Batteriekühlvorrichtung zur Fahrzeugnutzung
JP2007106260A (ja) * 2005-10-13 2007-04-2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9096395A (ja) * 2007-10-18 2009-05-07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347642B2 (en) * 2007-12-10 2013-01-08 Honda Motor Co., Ltd. HVAC controller for vehicle
US7861547B2 (en) * 2008-05-28 2011-0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VAC system control for improved vehicle fuel economy
JP5446524B2 (ja) * 2009-07-08 201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5316321B2 (ja) * 2009-09-02 2013-10-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5494312B2 (ja) * 2009-09-03 2014-05-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20110061405A1 (en) * 2009-09-16 2011-03-17 Keihin Corporation Vehicular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vehicle shutter device, and failure determining method for vehicle shutter device
JP2011068190A (ja) * 2009-09-24 2011-04-07 Denso Corp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01104036B1 (ko) * 2009-10-08 2012-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20110130338A (ko) 2010-05-27 2011-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te 기반 ofdma 시스템의 상향링크 수신장치 및 이의 주파수 동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971A (ja) * 1992-11-12 1994-05-24 Zexel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コンプレッサ制御装置
JP2004148860A (ja) 2002-10-28 2004-05-27 Tgk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KR20100028681A (ko) * 2008-09-05 2010-03-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2524A (zh) * 2015-09-16 2015-12-23 四川膨旭科技有限公司 汽车的空气温度调节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111874A9 (de) 2013-09-12
DE102012111874A1 (de) 2013-06-13
US20130145776A1 (en) 2013-06-13
KR20130063786A (ko) 2013-06-17
CN103144511A (zh)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234B1 (ko) 차량용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209724B1 (ko) 차량용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4511393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0467299C (zh) 车辆用制冷剂循环装置及控制系统
US6883340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US7891204B2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for vehicle
CN1113206C (zh) 汽车空调
JP5316321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7025572B2 (en) Compressor with integral control unit
CN1573261A (zh) 制冷循环控制装置
KR101326842B1 (ko)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5195378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2005016309A (ja) 冷凍サイクルにおける圧縮機トルク算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御装置
JP382482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600150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3962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05132B1 (ko) 차량용 에어컨 컴프레서의 제어방법
KR1011300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0112195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94767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94244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2371882A (ja) 車両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8128051A (ja) 可変容量圧縮機の制御装置および可変容量圧縮機の制御方法並びに可変容量圧縮機
JP2009061937A (ja) 車両用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