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2048B1 -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048B1
KR101322048B1 KR1020110098327A KR20110098327A KR101322048B1 KR 101322048 B1 KR101322048 B1 KR 101322048B1 KR 1020110098327 A KR1020110098327 A KR 1020110098327A KR 20110098327 A KR20110098327 A KR 20110098327A KR 101322048 B1 KR101322048 B1 KR 101322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rolling
rolled
rolled material
f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354A (ko
Inventor
이임춘
구본민
최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9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0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0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21B37/22Lateral spread control; Width control, e.g. by edg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6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5/00Forming parameters
    • B21B2265/14Reduction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제1 폭압연에 의해서 압연된 압연소재의 폭과 온도를 측정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2 폭압연에서의 압연량을 제어하는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은 압연소재(M)를 하나 이상의 폭 압연기(E1,E2)에 의해서 폭 압연하는 제1 폭압연단계(S100); 상기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 폭 압연된 압연소재(M)의 폭(Wr)과 온도(Tr)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200); 상기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폭(Wr)과 온도(Tr)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을 예측하는 폭예측단계(S300); 및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상기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을 토대로, 다른 하나 이상의 폭 압연기(E3,E4)에서의 압연소재(M)의 폭 압연량을 제어하면서 압연소재(M)를 폭 압연하는 제2 폭압연단계(S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1차 폭압연에 의해서 압연된 압연소재의 폭과 온도를 측정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이용하여 2차 폭압연에서의 압연량을 제어하여 압연소재의 폭을 제어할 수 있어서, 보다 정밀하게 압연소재의 폭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WIDTH OF ROLLING MATERIAL}
본 발명은 압연공정에서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압연소재의 폭을 제어하는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폭압연에 의해서 압연된 압연소재의 폭과 온도를 측정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2 폭압연에서의 압연량을 제어하는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열간압연공정(HR)에서 '슬래브(slab)'로 불리는 압연소재(M)는 먼저 가열로(도시되지 않음)에서 1,100℃ 내지 1,300℃로 가열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열로에서 가열된 압연소재(M)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압연공정(R)에 포함되는 조압연기(RM1,RM2,RM3,RM4)를 거치면서 30mm 내지 50mm 두께로 압연되어 '바아(bar)'로 불리는 압연소재(M)로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조압연공정(R)에서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 압연소재(M)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상압연공정(F)에 포함되는 사상압연기(FM1,FM2,FM3,FM4,FM5,FM6,FM7)를 거치면서 1.0mm ~ 20.0mm 두께로 압연되어 최종 압연제품이 된다.
압연소재(M)의 두께 압연은 전술하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간압연공정(HR)의 조압연공정(R)과 사상압연공정(F) 모두에서 이루어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조압연공정(R)의 조압연기(RM1,RM2,RM3,RM4)와 사상압연공정(F)의 사상압연기(FM1,FM2,FM3,FM4,FM5,FM6,FM7)에 의해서 압연소재(M)의 두께 압연이 이루어진다.
한편, 압연소재(M)의 폭 압연은 조압연공정(R)에서만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연소재(M)의 폭 압연을 위해서, 조압연공정(R)에는 '사이징 프레스'라고 불리는 폭 압연기(도시되지 않음)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져'로 불리는 폭 압연기(E1,E2,E3,E4)가 구비된다.
'에져'로 불리는 폭 압연기(E1,E2,E3,E4)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며 압연소재(M)의 이동경로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에져롤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조압연공정(R)에서 '에져'로 불리는 폭 압연기(E1,E2,E3,E4)는 2번 조압연기(RM2)의 전후에 각각 1번 폭 압연기(E1)와 2번 폭 압연기(E2)가 구비되고, 3번 조압연기(RM3) 전에 3번 폭 압연기(E3)가 구비되며, 4번 조압연기(RM4) 전에 4번 폭 압연기(E4)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압연소재(M)는 먼저 전술한 '사이징 프레스'라고 불리는 폭 압연기에 의해서 폭 압연 된다. 그리고, 전술한 '에져'로 불리는 폭 압연기(E1,E2,E3,E4)를 차례로 거치면서 폭 압연 된다.
한편, 압연소재(M)의 두께 제어는 사상압연공정(F)의 출측, 즉 최종 압연제품의 두께를 바탕으로 피드백 제어에 의해서 사상압연공정(F) 중에 사상압연기(FM1,FM2,FM3,FM4,FM5,FM6,FM7)의 압연량의 제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즉, 최종 압연제품의 두께를 두께 측정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측정한 후, 이를 소정의 요구되는 최종 압연제품의 두께와 비교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편차에 따라 사상압연공정(F)에서의 사상압연기(FM1,FM2,FM3,FM4,FM5,FM6,FM7)의 두께 압연량을 제어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두께가 요구되는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압연소재(M)의 두께 제어에 의한 압연소재(M)의 두께 제어 정도는 50㎛ 이내로 매우 정확하게 제어된다.
이에 반하여, 압연소재(M)의 폭 압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압연공정(R)에서만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에는 이러한 압연소재(M)의 폭 제어가 폭 예측모델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즉, 폭 예측모델에 따라 각 폭 압연기(E1,E2,E3,E4)에서의 폭 압연량을 설정하여 압연소재(M)의 폭 제어를 하였다.
이러한 폭 예측모델에 의한 압연소재(M)의 폭 제어방법은 폭 압연 부하배분, 압연소재의 온도, 가열로 간 온도편차, 압연소재의 성분, 폭 압연량, 두께 압연량, 장력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폭 예측모델에 의한 압연소재(M)의 폭 제어방법에 의해서는 압연소재(M)의 정확한 폭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소정의 요구되는 최종 압연제품의 폭과 전술한 폭 예측모델에 의한 압연소재(M)의 폭 제어방법에 의한 최종 압연제품의 실제 폭은 차이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전술한 압연소재(M)의 두께 제어와 같이, 피드백 제어를 이용한 압연소재(M)의 폭 제어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폭 측정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측정한 후 이를 소정의 요구되는 최종 압연제품의 폭과 비교하고, 이에 따른 편차에 따라 조압연공정(R)에서의 폭 압연기(E1,E2,E3,E4)의 폭 압연량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피드백 제어에 의한 압연소재(M)의 폭 제어방법은 조압연공정(R)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요구되는 소정의 폭으로 정밀하게는 제어하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피드백 제어에 의해서 조압연공정(R)에서 폭 압연기(E1,E2,E3,E4)의 폭 압연량을 제어하더라도, 사상압연공정(F)에서 두께 압연되면서 압연소재(M)의 폭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요구되는 소정의 폭으로 정밀하게 제어하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제1 폭 압연에 의해서 압연된 압연소재의 폭과 온도를 측정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예측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이용하여 제2 폭 압연에서의 압연량을 제어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보다 정밀하게 압연소재의 폭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최종 압연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1 폭압연에 의해서 압연된 압연소재의 폭과 온도를 측정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예측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2 폭압연에서의 압연량을 제어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은 압연소재를 하나 이상의 폭 압연기에 의해서 폭 압연하는 제1 폭압연단계; 제1 폭압연단계에서 폭 압연된 압연소재의 폭과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압연소재의 폭과 온도로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예측하는 폭예측단계; 및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폭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토대로, 다른 하나 이상의 폭 압연기에서의 압연소재의 폭 압연량을 제어하면서 압연소재를 폭 압연하는 제2 폭압연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폭압연단계는 폭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예측단계에서 예측되는 최종 압연제품의 폭 We=A+Wr+B이며, 여기에서 A는 압연소재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고, B는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압연소재의 온도에 따른 보정 값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폭압연에 의해서 압연된 압연소재의 폭과 온도를 측정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이용하여 제2 폭압연에서의 압연량을 제어하여 압연소재의 폭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정밀하게 압연소재의 폭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종 압연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조압연공정과 사상압연공정을 포함하는 열간압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제1 폭압연에 의해서 압연된 압연소재의 폭과 온도를 측정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예측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2 폭압연의 압연량을 제어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은 제1 폭압연단계(S100), 측정단계(S200), 폭예측단계(S300) 및, 제2 폭압연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는 압연소재(M)를 하나 이상의 폭 압연기(E1,E2)에 의해서 폭 압연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이 도1에 도시된 열간압연공정(HR)에 적용된다면, 압연소재(M)는 먼저 가열로(도시되지 않음)에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로에서 가열된 압연소재(M)는 조압연공정(R)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압연소재(M)는 조압연공정(R)에 포함된 조압연기,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번 조압연기(RM1)와 2번 조압연기(RM2)를 거치면서 두께 압연 된다.
이와 같이, 1번 조압연기(RM1)와 2번 조압연기(RM2)를 거치면서 두께 압연되는 압연소재(M)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번 조압연기(RM2) 전후에 각각 구비된 1번 폭 압연기(E1)와 2번 폭 압연기(E2)를 거치면서 폭 압연도 함께 이루어진다.
전술하고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조압연공정(R)에 4개의 폭 압연기(E1,E2,E3,E4)가 구비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조압연공정(R)에 구비되는 폭 압연기(E1,E2,E3,E4)의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4개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제1 폭압연과 후술할 제2 폭압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수라면, 2개 이상의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 조압연공정(R)에 구비된 4개의 폭 압연기(E1,E2,E3,E4) 중 1번 폭 압연기(E1)와 2번 폭 압연기(E2)에 의해서 압연소재(M)의 폭 압연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 폭 압연이 이루어지는 조압연공정(R)에 구비된 폭 압연기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압연공정(R)에 구비된 폭 압연기 중 한 개 이상이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는 1번 폭 압연기(E1)에 의해서 폭 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술할 제2 폭압연단계(S400)에서는 2번 내지 4번 폭 압연기(E2,E3,E4)에 의해서 폭 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는 1번 내지 3번 폭 압연기(E1,E2,E3)에 의해서 폭 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술할 제2 폭압연단계(S400)에서는 4번 폭 압연기(E4)에 의해서 폭 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측정단계(S200)에서는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 폭 압연된 압연소재(M)의 폭(Wr)과 온도(Tr)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폭 측정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온도측정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제1 폭압연단계(S100)가 이루어지는 폭 압연기 뒤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번 폭 압연기(E2) 뒤에 전술한 폭 측정장치와 온도측정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폭 측정장치와 온도측정장치에 의해서,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 폭 압연된 압연소재(M)의 폭(Wr)과 온도(Tr)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폭압연단계(S100)가 이루어지는 폭 압연기,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폭 압연기(E2) 뒤에 설치되는 폭 측정장치와 온도측정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압연소재(M)의 폭(Wr)과 온도(Tr)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폭 측정장치나 온도측정장치라도 가능하다. 예컨대, 폭 측정장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압연소재(M)의 폭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거나 온도측정장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압연소재(M)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폭예측단계(S300)에서는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폭(Wr)과 온도(Tr)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을 예측할 수 있다.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 폭 압연된 압연소재(M)의 폭(Wr)과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은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관관계를 물리수학적인 해석이나 수회 이상의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또한, 압연소재(M)의 온도(Tr)에 따라 압연소재(M)의 물리적인 성질이 변하기 때문에, 압연소재(M)의 온도(Tr)에 따라 압연소재(M)의 폭 압연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폭압연단계(S100)에 폭 압연된 압연소재(M)의 온도(Tr)는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을 예측하는 데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 폭 압연된 압연소재(M)의 폭(Wr)과 온도(Tr)를 알면,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되는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은 다음 식에 의해서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1]
We=A+Wr+B
여기에서, A는 압연소재(M)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다. 예컨대, 기준이 되는 종류의 압연소재(M)의 경우에는 O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비교하여 기준이 되는 종류의 압연소재(M)보다 더 폭 압연이 잘 이루어지는 종류의 압연소재(M)의 경우에 A 값은 O보다 클 수 있다. 또한, 기준이 되는 종류의 압연소재(M)보다 더 폭 압연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종류의 압연소재(M)의 경우 A 값은 O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A 값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압연소재(M)의 종류가 달라지더라도 최종 압연제품의 폭과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의 차이가 없도록 하는 값이라면 어떠한 값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B는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온도(Tr)에 따른 보정 값이다. 같은 종류의 압연소재(M)이고 같은 폭 압연 조건이라고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압연소재(M)의 온도(Tr)에 따라 압연소재(M)의 폭 압연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폭예측단계(S300)에서 최종 압연제품의 폭 예측시 이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B값은 아래의 식으로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2]
B=α*(β-Tr)
여기에서, α는 온도차이를 폭차이로 바꾸어주는 환산값이다. 또한, β는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온도(Tr)의 기준온도이다. 이러한 기준온도는, 예컨대 1050℃ 내지 1100℃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기준온도는 특정온도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온도(Tr)가 기준온도이면, B 값은 O이 된다. 즉,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온도(Tr)가 기준온도이기 때문에, 폭예측단계(S300)에서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예측할 때 압연소재(M)의 온도에 따른 보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온도(Tr)가 기준온도보다 크면, B 값은 O보다 크게 된다.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온도(Tr)가 기준온도보다 크면, 기준온도를 가지는 압연소재(M) 보다 폭 압연량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온도(Tr)가 기준온도보다 작으면, B 값은 O보다 작게 된다.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온도(Tr)가 기준온도보다 작으면, 기준온도를 가지는 압연소재(M) 보다 폭 압연량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종 압연제품의 폭의 예측시 상기 [수학식 2]에 의해서 이러한 것들이 반영될 수 있다.
제2 폭압연단계(S400)에서는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을 토대로, 제1 폭압연단계(S200)와는 다른 하나 이상의 폭 압연기(E3,E4)에서의 압연소재(M)의 폭 압연량을 제어하면서 압연소재(M)를 폭 압연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번 폭 압연기(E3)와 4번 폭 압연기(E4)의 폭 압연량을 제어하면서 압연소재(M)를 폭 압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 폭 압연된 압연소재(M)의 폭(Wr)과 온도(Tr)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을 예측하며,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을 토대로 제2 폭압연단계(S400)에서의 폭 압연량을 제어하면서 압연소재(M)를 폭 압연하기 때문에, 압연소재(M)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신속하게 압연소재(M)의 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보다 정밀하게 압연소재(M)의 폭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압연제품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생산성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2 폭압연단계(S40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이 소정의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만 실행할 수 있다. 즉, 압연소재(M)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는,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의 범위를 수회 이상의 반복실험 등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과 소정의 요구되는 압연제품의 폭과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인 경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전술하고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 폭압연단계(S400)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다른 하나 이상의 폭 압연기(E3,E4)에서의 폭 압연량을 제어하면서 압연소재(M)를 폭 압연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이 소정의 설정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제2 폭압연단계(S400)를 거치지 않아도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기 때문에, 제2 폭압연단계(S400)를 실행하지 않고 압연소재(M)를 사상압연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2 폭압연단계(S400)에서의 압연소재(M)의 폭 압연량의 제어량(Cv)은 다음 식으로 구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량(Cv)은 예컨대, 폭 압연기(E3,E4)의 이동량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폭압연단계(S400)에서 폭 압연하는 폭 압연기가 복수개인 경우에 제어량(Cv)은 각 폭 압연기 별로 달라질 수도 있다.
[수학식 3]
Cv=(C-We)*D
여기에서, C는 압연소재(M)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 제어기준값이다. 압연소재(M)의 종류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다르므로,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소재(M)의 폭(We)이 같다고 하더라도, 그 제어량은 압연소재(M)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준값은 수회 이상의 반복실험 등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이 C와 같은 경우에 제어량(Cv)은 0이 될 수 있다. 또한,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이 C보다 작거나 큰 경우에는 제어량(Cv)은 0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예컨대 폭 압연기(E3,E4)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D는 폭 압연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제어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폭압연단계(S400)에서의 압연소재(M)의 폭 압연량의 제어량(Cv)이 구해진다고 하더라도, 폭 압연조건에 따라 구해진 압연소재(M)의 폭 압연량의 제어량(Cv)을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고, 이보다 작거나 크게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율 D도 수회 이상의 반복실험 등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이 열간압연공정(HR)에 적용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은 열간압연공정(HR) 뿐만 아니라, 냉각압연공정 등 압연소재의 폭 압연이 이루어지는 공정이라면 어떠한 공정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폭압연에 의해서 압연된 압연소재의 폭과 온도를 측정하여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을 이용하여 제2 폭압연에서의 압연량을 제어하여 압연소재의 폭을 제어할 수 있고, 보다 정밀하게 압연소재의 폭을 제어할 수 있으며, 최종 압연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압연소재의 폭 압연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HR : 열간압연공정 R : 조압연공정
RM1,RM2,RM3,RM4 : 조압연기 F : 사상압연공정
FM1,FM2,FM3,FM4,FM5,FM6,FM7 : 사상압연기 M : 압연소재
E1,E2,E3,E4 : 폭압연기

Claims (5)

  1. 압연소재(M)를 하나 이상의 폭 압연기(E1,E2)에 의해서 폭 압연하는 제1 폭압연단계(S100);
    상기 제1 폭압연단계(S100)에서 폭 압연된 압연소재(M)의 폭(Wr)과 온도(Tr)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200);
    상기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폭(Wr)과 온도(Tr)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을 예측하는 폭예측단계(S300); 및
    최종 압연제품의 폭이 소정의 요구되는 폭이 되도록, 상기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을 토대로, 다른 하나 이상의 폭 압연기(E3,E4)에서의 압연소재(M)의 폭 압연량을 제어하면서 압연소재(M)를 폭 압연하는 제2 폭압연단계(S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폭압연단계(S400)는 상기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된 최종 압연제품의 폭(We)이 소정의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만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예측단계(S300)에서 예측되는 최종 압연제품의 폭 We=A+Wr+B이며, 여기에서 A는 압연소재(M)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고, B는 상기 측정단계(S200)에서 측정된 압연소재(M)의 온도(Tr)에 따른 보정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10098327A 2011-09-28 2011-09-28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22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27A KR101322048B1 (ko) 2011-09-28 2011-09-28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27A KR101322048B1 (ko) 2011-09-28 2011-09-28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54A KR20130034354A (ko) 2013-04-05
KR101322048B1 true KR101322048B1 (ko) 2013-10-28

Family

ID=4843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3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2048B1 (ko) 2011-09-28 2011-09-28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486A1 (ko) * 2016-12-19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다중스탠드압연밀의 폭 제어장치 및 그 폭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165B1 (ko) 1995-12-14 1999-12-15 이구택 후강판의 폭제어방법
KR20030053682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입출측 슬라브 폭 변화를 고려한 폭 제어방법
KR20040057351A (ko) *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강판 제조시 강판의 폭 압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165B1 (ko) 1995-12-14 1999-12-15 이구택 후강판의 폭제어방법
KR20030053682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입출측 슬라브 폭 변화를 고려한 폭 제어방법
KR20040057351A (ko) *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강판 제조시 강판의 폭 압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486A1 (ko) * 2016-12-19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다중스탠드압연밀의 폭 제어장치 및 그 폭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54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90489B (zh) 热轧机的板宽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102122217B1 (ko)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7298645B2 (ja) 形鋼の断面寸法変化量予測モデルの生成方法、形鋼の断面寸法変化量予測モデルの生成装置、形鋼の断面寸法の予測方法、形鋼の断面寸法の制御方法、および形鋼の製造方法
KR101322048B1 (ko)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JP6518169B2 (ja) サイジングプレス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7036241B2 (ja) 熱間圧延鋼帯の蛇行制御方法、蛇行制御装置及び熱間圧延設備
CN114042760B (zh) 一种通过下工作辊窜辊补偿值改善带钢截面楔形的方法
CN112469515B (zh) 轧制机座调节机构的变量和带轮廓和平坦度值的确定方法
CN108543814A (zh) 一种带钢终轧温度的控制方法
RU2578328C2 (ru) Способ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тонких полос на широкополосном стане
US3468145A (en) Billet mill wherein the rolling gap is controlled during the penultimate pass and fixed during the final pass
CN109772897B (zh) 一种提高热连轧带钢全长凸度和楔形精度的设定控制方法
JP2017113807A (ja) 板片寄り制御装置
JP2007144484A (ja) 多段式圧延機及び多段式圧延機の制御方法
KR101746997B1 (ko) 가역식 조압연기의 캠버 및 웨지 제어장치 및 방법
JP6104092B2 (ja) 板クラウン予測モデルの決定方法
KR19990052681A (ko) 열연 판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고려한 고정도 판 크라운 예측방법
KR101879085B1 (ko) 연연속 열간 압연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67221A (ko) 후판 두께 제어 장치 및 방법
Takashima et al. T-bar rolling process with universal and edger mills
KR101443079B1 (ko) 압연기의 레벨링 제어방법
RU2775774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управляющих воздействий для активных исполн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для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профиль и планшетность в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и значений профиля и планшетности центральной области горячекатаной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RU2775774C9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управляющих воздействий для активных исполн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для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профиль и планшетность в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и значений профиля и планшетности центральной области горячекатаной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JPH01306008A (ja) 板材の形状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1347308A (ja) 圧延機のパススケジュール設定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