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4398B1 - Wafer processing tape - Google Patents

Wafer processing t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398B1
KR101314398B1 KR1020110096122A KR20110096122A KR101314398B1 KR 101314398 B1 KR101314398 B1 KR 101314398B1 KR 1020110096122 A KR1020110096122 A KR 1020110096122A KR 20110096122 A KR20110096122 A KR 20110096122A KR 101314398 B1 KR101314398 B1 KR 10131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wafer
semiconductor
adhesive layer
wafer proc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2498A (en
Inventor
도루 사노
나오아끼 미하라
야스마사 모리시마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1009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398B1/en
Publication of KR2013003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4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39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c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익스팬드에 의해 접착제층을 칩을 따라 분단할 때에 사용하는 익스팬드 가능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있어서, 익스팬드에 의해 접착제층을 분단하는 공정에 적합한 균일 확장성을 갖고, 가열 수축 공정에서 고온의, 장시간의 열량을 주지 않아도 충분한 가열 수축성을 나타내고, 또한 가열 수축 공정 후의 이완에 의한 픽업 불량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기재 필름(11)과, 기재 필름(11)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12)과, 점착제층(12)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13)으로 구성하고, 기재 필름(11)을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인 열가소성 가교 수지로 한다.
The subject of this invention is the expandable wafer processing tape used when dividing an adhesive bond layer along a chip | tip by an expansion, WHEREIN: It has uniform expandability suitable for the process of dividing an adhesive bond layer by an expand, and heat shrinks. The heat shrinkage property is sufficient even if a high temperature and a long heat quantity are not given in the process, and the pick-up failure due to the relaxation after the heat shrinkage process is not caused.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consists of a base film 11, the adhesive layer 12 formed on the base film 11, and the adhesive bond layer 13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12, and a base film ( 11) is a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0.15 W / m · K or more.

Description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WAFER PROCESSING TAPE}Wafer processing tape {WAFER PROCESSING TAPE}

본 발명은 익스팬드(expand)에 의해 접착제층을 칩을 따라 분단할 때에 사용하는, 익스팬드 가능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dable wafer processing tape used for dividing an adhesive layer along a chip by an expand.

IC 등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는, 회로 패턴 형성 후의 웨이퍼를 박막화하기 위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점착성 및 신축성이 있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부착한 후에 웨이퍼를 칩 단위로 분단하는 다이싱 공정,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하는 공정, 분단된 칩을 픽업하는 공정, 또한 픽업된 칩을 리드 프레임이나 패키지 기판 등에 접착하거나, 혹은 적층 패키지에 있어서는, 반도체 칩끼리를 적층, 접착하는 다이본딩(마운트) 공정이 실시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n IC, in order to thin the wafer after circuit pattern formation, a backgrinding step of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wafer, and a sticky and stretchable wafer processing tape ar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n the wafer is placed in units of chips. The dicing step of dividing,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chip | tip which divided | segmented, and the picked-up chip are adhere | attached to a lead frame or a package board | substrate, etc. Or in a laminated package, semiconductor chips are laminated | stacked and adhere | attached A die bonding (mount) process is performed.

상기 백그라인드 공정에서는, 웨이퍼의 회로 패턴 형성면(웨이퍼 표면)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테이프가 사용된다. 웨이퍼의 이면 연삭 종료 후, 이 표면 보호 테이프를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박리할 때는, 이하에 서술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를 웨이퍼 이면에 접합한 후, 흡착 테이블에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측을 고정하고, 표면 보호 테이프에, 웨이퍼에 대한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처리를 실시한 후,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한다. 표면 보호 테이프가 박리된 웨이퍼는, 그 후 이면에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가 접합된 상태에서 흡착 테이블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다음의 다이싱 공정으로 이행된다. 또한, 상기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처리란, 표면 보호 테이프가 자외선 등의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자외선 조사 처리를 말하며, 표면 보호 테이프가 열경화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열 조사(가열) 처리를 말한다.In the said backgrinding process, the surface protection tape for protecting the circuit pattern formation surface (wafer surface) of a wafer from contamination is used. When peeling this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wafer surface after completion | finish of back surface grinding of a wafer, after bonding the below-mentioned tape for wafer processing (dicing die-bonding tape) to the back surface of a wafer, dicing and die-bonding to a suction table is carried out. After fixing the tape side and giv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the process which reduces the adhesive force with respect to a wafer, a surface protection tape is peeled off. The wafer from which the surface protection tape has been peeled off is then lifted from the adsorption table in a state where the dicing die-bonding tape is bonded to the back surface,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dicing step. In addition, the process which reduces said adhesive force means an ultraviolet irradiation process when a surface protection tape consists of energy-beam curable components, such as an ultraviolet-ray, and means a heat irradiation (heating) process when a surface protection tape consists of a thermosetting component. .

상기 백그라인드 공정 후의 다이싱 공정 내지 마운트 공정에서는, 기재 필름 상에 점착제층과 접착제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는, 우선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부착해서 반도체 웨이퍼를 고정하고, 다이싱 블레이드를 사용해서 반도체 웨이퍼 및 접착제층을 칩 단위로 다이싱한다. 그 후, 테이프를 반도체 웨이퍼의 직경 방향으로 익스팬드 하는 것에 의해서, 칩끼리의 간격을 넓히는 익스팬드 공정이 실시된다. 이 익스팬드 공정은, 그 후의 픽업 공정에 있어서 CCD 카메라 등에 의한 칩의 인식성을 높이는 동시에, 칩을 픽업할 때에 인접하는 칩끼리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칩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시된다. 그 후 픽업 공정에서, 칩은 접착제층과 함께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되어 픽업되고, 마운트 공정에서 리드 프레임이나 패키지 기판 등에 직접 접착된다. 이와 같이,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제층이 붙은 칩을 리드 프레임이나 패키지 기판 등에 직접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접착제의 도포 공정이나 별도로 각 칩에 다이본딩 필름을 접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In the dicing process or the mounting process after the said backgrinding process, the dicing die-bonding tape in which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bond layer were laminated | stacked in this order on the base film is used. In general, when using a dicing die-bonding tape, first, the adhesive layer of a dicing die-bonding tape is affixed on the back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and a semiconductor wafer is fixed, and a semiconductor wafer and an adhesive bond layer are used using a dicing blade. Is diced in chip units. Thereafter, the tape is expand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ereby an expand step of widening the distance between chips is performed. This expand process is per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a chip by a CCD camera or the like in a subsequent pick-up process, and to prevent chip damage caused by contact between adjacent chips when picking up the chip. Thereafter, in the pick-up step, the chip is peeled off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gether with the adhesive layer and picked up, and is directly adhered to a lead frame, a package substrate, or the like in the mounting step. Thus, by using a dicing die-bonding tape, it becomes possible to directly adhere | attach the chip | t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to a lead frame, a package board | substrate, etc., and abbreviate | omits the adhesive application process and the process of adhering a die bonding film to each chip separately. can do.

그러나, 상기 다이싱 공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싱 블레이드를 사용해서 반도체 웨이퍼와 접착제층을 함께 다이싱하기 때문에, 웨이퍼의 절삭 부스러기뿐만 아니라, 접착제층의 절삭 부스러기도 발생하게 된다. 접착제층의 절삭 부스러기는, 그 자신이 접착 기능을 가지므로, 절삭 부스러기가 웨이퍼의 다이싱 홈에 박혔을 경우, 칩끼리 들러붙어 픽업 불량 등이 발생하여, 반도체 장치의 제조 수율이 저하된다.However, in the dicing step, since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adhesive layer are diced together using the dicing blade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cutting chips of the wafer but also the cutting chips of the adhesive layer are generated. Since the cutting chips of the adhesive layer themselves have an adhesive function, when the cutting chips are stuck in the dicing grooves of the wafer, chips stick to each other and pick-up failures occur, and the production yiel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lowered.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이싱 공정에서는 반도체 웨이퍼만을 블레이드로 다이싱하고,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접착제층을 개개의 칩에 대응해서 분단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0055] 내지 [0056]). 이러한 익스팬드 시의 장력을 이용한 접착제층의 분단 방법에 의하면, 접착제의 절삭 부스러기가 발생하지 않고, 픽업 공정에 있어서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dicing step, only the semiconductor wafer is diced with the blade, and in the expanding step, the dicing die-bonding tape is expanded to divide the adhesive layer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chips. This is prop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0056]). According to the method of dividing the adhesive layer using such a tension during expansion, the cutting chips of the adhesive do not occur and do not adversely affect the pick-up process.

또 최근, 반도체 웨이퍼의 절단 방법으로서, 레이저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비접촉으로 웨이퍼의 절단을 가능하게 하는, 소위 스텔스 다이싱법이 제안되어 있다.Moreover, as a cutt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wafer, the so-called stealth dicing method which enables cutting | disconnection of a wafer non-contactedly using the laser processing apparatus is proposed in recent years.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스텔스 다이싱법으로서, 다이본드 수지층(접착제층)을 개재시켜서 시트가 부착되었던 반도체 기판의 내부에 초점 광을 맞추어 레이저 광을 조사함으로써, 반도체 기판의 내부에 다광자 흡수에 의한 개질 영역을 형성하고, 이 개질 영역에 절단 예정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시트를 확장(익스팬드)시킴으로써, 절단 예정부를 따라 반도체 기판 및 다이본드 수지층을 절단하는 공정을 구비한 반도체 기판의 절단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multi-photon inside a semiconductor substrate by irradiating laser light while focusing the light insid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o which the sheet is attached via a die bond resin layer (adhesive layer) as a stealth dicing method. A semiconductor substrate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modified region by absorption, forming a cut scheduled portion in the modified region, and cutt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 die bond resin layer along the cut scheduled portion by expanding (expanding) the sheet. The cutting method of is disclosed.

또한, 레이저 가공장치를 사용한 반도체 웨이퍼의 절단 방법의 또 다른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는,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다이본딩용의 접착 필름(접착제층)을 장착하는 공정과, 이면에 해당 접착 필름이 장착된 반도체 웨이퍼의 접착 필름측에 신장이 가능한 보호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과, 보호 점착 테이프를 부착한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 스트리트를 따라서, 레이저 광선을 조사해서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할하는 공정과, 보호 점착 테이프를 확장(익스팬드)해서 접착 필름에 인장력을 부여하고, 접착 필름을 반도체 칩마다 파단하는 공정과, 파단된 접착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반도체 칩을 보호 점착 테이프로부터 이탈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분할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method of the cutt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wafer using a laser processing apparatu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3 corresponds to a step of attaching an adhesive film (adhesive layer) for die bonding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back surface. The process of attaching a protective adhesive tape which can be stretched to the adhesive film side of a semiconductor wafer with an adhesive film, and irradiating a laser beam along the street from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ith a protective adhesive tape, and dividing it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To expand (expand) the protective adhesive tape, impart a tensile force to the adhesive film, break the adhesive film for each semiconductor chip, and remove the semiconductor chip having the broken adhesive film from the protective adhesive tape. A method of dividing a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a step has been proposed.

이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반도체 웨이퍼의 절단 방법에 따르면, 레이저 광의 조사 및 테이프의 익스팬드에 의해서 비접촉으로 반도체 웨이퍼를 절단하므로, 반도체 웨이퍼에의 물리적 부하가 적어, 현재 주류의 블레이드 다이싱을 행하는 경우의 웨이퍼의 절삭 부스러기(칩핑)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반도체 웨이퍼의 절단이 가능하다. 또한, 익스팬드에 의해 접착제층을 분단하므로, 접착제층의 절삭 부스러기를 발생시키는 일도 없다. 이로 인해, 블레이드 다이싱을 대신할 수 있는 우수한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According to the cutting methods of the semiconductor wafers described in these Patent Documents 2 and 3, since the semiconductor wafer is cut in a non-contact manner by the irradiation of laser light and the tape expansion, the physical load on the semiconductor wafer is less and the blade die of the mainstream The semiconductor wafer can be cut without generating cutting chips (chipping) of the wafer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cutting.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layer is divided by the expand, cutting chips of the adhesive layer are not generated. For this reason,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xcellent technique which can replace blade dicing.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익스팬드에 의해 접착제층을 분단하는 경우 사용되는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에는, 반도체 칩에 따라 접착제층을 확실하게 분단하기 위해서, 기재 필름의 균일 또한 등방적인 확장성이 요구된다. 기재 필름에 국소적으로 확장이 불충분한 개소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 개소에서는 접착제층에 충분한 인장력이 전달되지 않아, 접착제층을 분단할 수 없게 되어버리기 때문이다.In the dicing die-bonding tape used when dividing an adhesive bond layer by the expansion as described in the said patent documents 1-3, in order to reliably divide an adhesive bond layer according to a semiconductor chip, the base film is uniform and isotropic Scalability is required. This is because when a location where expansion is insufficient locally occurs in the base film, sufficient tensile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adhesive layer at that location, and the adhesive layer cannot be divided.

그런데, 일반적으로 기재 필름을 압출 성형할 때나 제품으로서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권취할 때에,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에 이방적인 힘이 작용해, 변형 응력이 발생하고, 기재 필름의 확장성은 불균일 또한 이방적으로 되어 버리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균일한 확장성을 갖는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로서, 지금까지 수많은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내지 9 참조).By the way, generally, when extrusion molding a base film or winding a tape in roll shape as a product, an anisotropic force acts on a dicing die-bonding tape, a strain stress arises, and the expandability of a base film is nonuniform and anisotropic It is known to become an enemy. Therefore, many proposals are made | formed so far as a dicing die-bonding tape which has uniform expandability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s 4-9).

또한, 상기 익스팬드 후는 상기 테이프에 이완이 생기기 때문에 개개의 칩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반송 시에 인접 칩 사이에서 접촉하여 접착제층의 재유착이 일어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테이프를 가열 수축성 테이프로 하고, 상기 분단 공정 후에 테이프를 가열해서 긴장시켜, 칩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0, 11 참조). 상기 가열 수축성 테이프로서는, 폴리 염화 비닐 테이프가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0 [0008] 참조). 그러나, 상기 폴리 염화 비닐 테이프를 사용한 후에 소각 처분했을 경우, 다이옥신이나 그의 유사체인 염소화 방향족 탄화 수소가 발생해서 환경에 부하를 줄 우려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ape is relaxed after the expansion, the gap between the individual chips cannot be maintained stabl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tact between adjacent chips occurs during transport and re-adhesion of the adhesive layer occu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ethod which makes the said tape a heat shrinkable tape, heats and tensions a tape after the said dividing process, and maintains the space | interval between chips is propo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0, 11). ). As said heat shrinkable tape, polyvinyl chloride tape is said to be preferable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0). However, when incineration after use of the polyvinyl chloride tape, there is a fear that dioxin or a chlorinated aromatic hydrocarbon, which is an analog thereof, is generated to put a load on the environment.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553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5530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33846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338467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73895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73895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13494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6-13494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19984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99840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7341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73416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120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11207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58098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158098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31699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231699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3485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33485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756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27562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수축성 테이프를 사용하고 분단 공정 후에 테이프를 가열해서 긴장시켜서 칩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방법에 따르면, 익스팬드 후의 테이프의 이완에 의해 접착제층이 재유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하는 가열 수축성 테이프의 성능에 의해서는, 고온의, 장시간의 열량을 주지 않으면 가열 수축 공정 후에 이완이 발생하여, 픽업 공정에 있어서 픽업 불량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a heat shrinkable tape and heating and tensioning the tape after the dividing step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chip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layer from re-adhesion by loosening the tape after expansion. . However,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heat-shrinkable tape to be used, relaxation may occur after the heat-shrinkage process if a high-temperature, long-term heat quantity is not given, which may cause pickup failure in the pickup process.

본 발명은, 익스팬드에 의해서 접착제층을 분단하는 공정에 적합한 균일 확장성을 갖고, 가열 수축 공정에서 고온의, 장시간의 열량을 주지 않더라도 충분한 가열 수축성을 나타내고, 또한, 가열 수축 공정 후의 이완에 의한 픽업 불량을 야기하지 않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uniform expandability suitable for a step of dividing the adhesive layer by an expand, and exhibits sufficient heat shrinkability even if a high temperature and long-term heat amount are not given in the heat shrink process, and furthermore, due to relaxation after the heat shrink proces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cause pickup failure.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익스팬드에 의해 접착제층을 칩을 따라 분단할 때에 이용하는 익스팬드 가능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로서,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갖고, 상기 기재 필름은 JIS A1412에서 규정되는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인 열가소성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 the 1st aspect of this invention is an expandable wafer process tape used when dividing an adhesive bond layer along a chip | tip by an expanded | expanded, Th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ase film, the said base film, and the said adhesive It has an adhesive bond layer formed on a layer, The said base film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thermoplastic crosslinking resin whose thermal conductivity prescribed | regulated to JISA1412 is 0.15 W / m * K or more.

제1 양태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서는 기재 필름을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인 열가소성 가교 수지를 사용해서 구성하므로 익스팬더에 의해서 접착제층을 분단하는 공정에 적합한 균일 확장성을 갖고, 예를 들어, DDS(주식회사 디스코사제 DDS-2300으로 대표되는 장치)에 있어서의 가열 수축 공정에서 고온의, 장시간의 열량을 주지 않더라도 충분한 가열 수축성을 나타내고, 또한 가열 수축 공정 후의 이완에 의한 픽업 불량을 야기하지 않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로 할 수 있다.In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of the first aspect, the base film is formed using a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0.15 W / m · K or more, and thus has uniform expandability suitable for a process of dividing the adhesive layer by an expander, for example, DDS. Tape for wafer processing that exhibits sufficient heat shrinkability even when high heat and long-term heat is not given in the heat shrinkage process in (the apparatus represented by DDS-2300 manufactured by Disco Co., Ltd.), and does not cause pickup failure due to relaxation after the heat shrinkage process. You can do

즉, 비가교 수지에서는 분자쇄가 가공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기 때문에 확장성이 이방적으로 되지만, 분자쇄 사이가 가교되어 있으면, 확장성이 보다 등방적으로 되어 접착제층 분단용의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이므로,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수지가 수축되므로,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는 공정에도 적합하다. 또한, 기재의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이므로,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수지가 수축되므로, 가열 수축 공정 후의 이완으로 의한 픽업 불량을 야기하는 일도 없다. 또한, 기재의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이므로, 가열 수축 공정에 있어서, 고온의, 장시간의 열량을 줄 필요가 없어져, 가열에 의하여 점착제층과 접착제층이 밀착하는 것에 의한 픽업 불량을 야기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non-crosslinked resin, the molecular chains are oriented in the processing direction, so that the expandability is anisotropic. However, when the molecular chains are crosslinked, the expandability becomes more isotropic, and even in the expansion process for dividing the adhesive layer. It can be used preferably. In addition, sin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ubstrate is 0.15 W / m · K or more, the resin is easily shrunk by heating, and therefore, the resin is also suitable for the step of removing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sion step. In addition, sin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ubstrate is 0.15 W / m · K or more, the resin is easily shrunk by heating, so that pickup failure due to relaxation after the heat shrinkage step is not caused. In addition, sin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base material is 0.15 W / m · K or more, it is not necessary to give a high temperature and long-term heat amount in the heat shrinkage step, causing a pickup failure due to the ad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by heating.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가 에틸렌-(메트)아크릴산 2원 공중합체 혹은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3원 공중합체를 금속 이온으로 가교시킨 아이오노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is a ethylene- (meth) acrylic acid binary copolymer or an ethylene- (meth) acrylic acid- (meth) acrylic acid alkyl ester ternary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onomer resin crosslinked with a metal ion of the copolymer.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전자선 조사에 의해 가교시킨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thermoplastic crosslinking resin crosslinks low density polyethylene or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전자선 조사에 의해 가교시킨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thermoplastic crosslinking resin crosslinks th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의 염소 원자의 함유량이 1 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wherein the content of chlorine atoms of the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is less than 1 mass%.

제2 양태로부터 제5 양태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따르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면서 낮은 환경 부하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of a 5th aspect from 2nd aspect,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of low environmental load can be provided, solving the said subject.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is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a) bonding the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b) a backgrinding process for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c)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le hea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t 70 to 80 ° C;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wafer surface;

(e)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분할 예정 부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웨이퍼의 내부에 다광자 흡수에 의한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e)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 portion to be divided of the semiconductor wafer to form a modified region by multiphoton absorption in the wafer;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접착제층을 분단 라인을 따라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adhesive layer along a dividing line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 It is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ontaining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is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a) bonding the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b) a backgrinding process for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c)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le the semiconductor wafer is heated at 70 to 80 ° C;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e)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 분단 라인을 따라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단하는 공정과,(e) irradiating laser light along the dividing line from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dividing it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반도체 칩마다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adhesive layer for each of the semiconductor chips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 It is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ontaining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본 발명의 제8 양태는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In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is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a) bonding the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b) a backgrinding process for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c)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le the semiconductor wafer is heated at 70 to 80 ° C;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e) 다이싱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분단 라인을 따라 절삭하여,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단하는 공정과,(e) cut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long a dividing line using a dicing blade to divide the semiconductor wafer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반도체 칩마다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adhesive layer for each of the semiconductor chips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 It is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ontaining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본 발명의 제9 양태는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wherein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is

(a) 다이싱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를 분단 라인 예정 라인을 따라 웨이퍼의 두께 미만의 깊이까지 절삭하고,(a) cutting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using a dicing blade along a dividing line predetermined line to a depth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wafer;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b) bond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여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단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c) a backgrinding step of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dividing it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d)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칩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d)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while hea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t 70 to 80 ° C;

(e)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e)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반도체 칩마다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adhesive layer for each of the semiconductor chips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 It is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ontaining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본 발명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서는 기재 필름을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인 열가소성 가교 수지를 사용해서 구성하므로, 익스팬드에 의해서 접착제층을 분단하는 공정에 적합한 균일 확장성을 갖고, 가열 수축 공정에서 고온의, 장시간의 열량을 주지 않더라도 충분한 가열 수축성을 나타내고, 또한 가열 수축 공정 후의 이완에 의한 픽업 불량을 야기하지 않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로 할 수 있다.In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e film is constituted using a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0.15 W / m · K or more, it has a uniform expandability suitable for a process of dividing the adhesive layer by an expand and in a heat shrink process. It is possible to obtain a tape for wafer processing which exhibits sufficient heat shrinkage even without giving a high temperature and long-term heat quantity and does not cause pick-up failure due to relaxation after the heat shrinkage process.

즉, 비가교 수지에서는 분자쇄가 가공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기 때문에 확장성이 이방적으로 되지만, 분자쇄 사이가 가교되고 있으면, 확장성이 보다 등방적으로 되어 접착제층 분단용의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이므로, 가열에 의해서 용이하게 수지가 수축되므로,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는 공정에도 적합하다. 또한, 기재의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이므로, 가열에 의하여 용이하게 수지가 수축되므로, 가열 수축 공정 후의 이완에 의한 픽업 불량을 야기하지 않는다.That is, in the non-crosslinked resin, the molecular chains are oriented in the processing direction, so that the expandability is anisotropic. However, when the molecular chains are crosslinked, the expandability becomes more isotropic, and even in the expansion step for dividing the adhesive layer. It can be used properly. In addition, sin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ubstrate is 0.15 W / m · K or more, the resin is easily shrunk by heating, and therefore, the resin is also suitable for the step of removing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sion step. In addition, sin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ubstrate is 0.15 W / m · K or more, the resin is easily shrunk by heating, so that pick-up failure due to relaxation after the heat shrinkage process is not caused.

도 1은 반도체 웨이퍼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와 표면 보호 테이프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반도체 웨이퍼에 표면 보호용 테이프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반도체 웨이퍼와 링 프레임을 접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에 개질 영역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a)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가 익스팬드 장치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b)는 익스팬드 후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접착제층, 및 반도체 웨이퍼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가열 수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ape for wafer processing and a surface protection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onded to a semiconductor waf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rface protective tape is bonded to a semiconductor wafer.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bonding a semiconductor wafer and a ring frame to a wafer processing tape.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dified region is formed on a semiconductor wafer by laser processing.
Fig. 6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ape for wafer processing is mounted on an expander.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he adhesive layer, and the semiconductor wafer after expans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heat shrink proces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에, 반도체 웨이퍼(W)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반도체 웨이퍼(W)의 회로패턴 형성면(웨이퍼 표면)에는,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에서 회로 패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테이프(14)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반도체 웨이퍼(W)의 이면에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가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는 익스팬드에 의해 접착제층(13)을 칩을 따라 분단할 때에 사용하는 익스팬드 가능한 테이프이다. 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는 기재 필름(11)과 기재 필름(11)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12)과 점착제층(12)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13)을 갖고, 접착제층(13) 상에 반도체 웨이퍼(W)의 이면을 접합한다. 또한, 각각의 층은 사용 공정이나 장치에 맞추어 미리 소정 형상으로 절단(프리 컷트)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 웨이퍼 1매분마다 절단된 형태와, 이것이 복수 형성된 긴 시트를 롤 형상으로 권취한 형태를 포함한다. 이하에, 각층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miconductor wafer W is bonded to a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protection tape 14 for protecting a circuit pattern is bonded to the circuit pattern formation surface (waf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in the backgrinding process which grinds the wafer back surface. Moreover,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is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s shown in FIG.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of this invention is an expandable tape used when dividing the adhesive bond layer 13 along a chip | tip by an expand. The wafer processing tape 10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formed on the base film 11 and the base film 11 and the adhesive layer 13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13.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bonded to the substrate. In addition, each layer may be cut | disconnected (precut) to a predetermined shape previously according to a use process and an apparatus. In addition,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of this invention includes the form cut | disconnected for every wafer, and the form which wound the long sheet in which it was formed in multiple numbers in roll shape. Below, the structure of each layer is demonstrated.

< 기재 필름> <Base film>

기재 필름(11)은, JIS A1412에서 규정되는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인 열가소성 가교 수지로부터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기재 필름(11)을 사용함으로써, 접착제층(13)을 분단하는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균일 또한 등방적인 확장성을 갖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가교 수지는 비가교 수지와 비교해서 인장에 대한 복원력이 크기 때문에, 익스팬드 공정 후의 신장된 상태에 열을 가하여 해당 수지를 연화시킨 때의 수축 응역이 커서, 익스팬스 공정 후에 테이프에 발생한 이완을 가열 수축에 의해서 제거할 수 있고, 테이프를 긴장시켜서 개개의 반도체 칩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상기 가열 수축 시에 과잉의 열량이 필요해지고, 그 열로 인해서 접착제층(13)과 점착제층(12)이 밀착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충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가열 수축 공정 후의 이완에 의한 픽업 불량을 야기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열전도율의 하한은 0.15W/mㆍK 정도가 적당하다.The base film 11 is comprised from the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whose heat conductivity prescribed | regulated by JIS A1412 is 0.15 W / m * K or more. By using the base film 11 of such a structure,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which has the uniformity and isotropic expandability which can be used in the expand process which divides the adhesive bond layer 13 can be implement | achieved. In addition, crosslinked resins have a greater resilience to tensile strength than non-crosslinked resins, so that the shrinkage reaction occurs when the resin is softened by applying heat to an elongated state after the expansion process. It can remove by heat shrink, and the tape can be tensioned and the space | interval of each semiconductor chip can be kept stable. If the thermal conductivity is too low, an excessive amount of heat is required during the heat shrinkage, and the adhesive layer 13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heat, which is not preferable. In addition, it becomes difficult to sufficiently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Moreover,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causing pick-up defect by loosening after a heat shrink process. Therefore, the lower limit of thermal conductivity is appropriately about 0.15 W / m · K.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로서는, JIS A1412에서 규정되는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인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에틸렌-(메트)아크릴산 2원 공중합체 혹은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을 금속 이온으로 가교한 아이오노머 수지가, 균일 확장성의 면에서 익스팬드 공정에 적합하고, 동시에 가교에 의해 가열 시에 강하게 복원력이 작용하는 점에서, 익스팬드 공정에서 발생한 테이프의 이완을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는 분자쇄의 구성 중에 염소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후에 불필요하게 된 테이프를 소각 처분해도, 다이옥신이나 그의 유사체 등의 염소화 방향족 탄화수소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환경 부하도 작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은 어느 것이든지 괜찮지만, 특히 아연 이온이 용출성이 낮으므로 특히 낮은 오염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조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결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에틸렌 도메인 비율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가교점을 많게 하기 위해서 금속 이온 첨가량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may be any one as long as the thermal conductivity specified in JIS A1412 is 0.15 W / m · K or higher, but ethylene- (meth) acrylic acid binary copolymer or ethylene- (meth) acrylic acid- (meth) acrylic acid The ionomer resin crosslinked with metal ions is suitable for the expansion process in terms of uniform expandability, and at the same time, the restoring force acts strongly upon heating by crosslinking, so that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ape from the expansion process is removed. Also particularly preferable. In addition, since the ionomer resin does not contain chlorine in the structure of the molecular chain, even if the tape unnecessary after use is incinerated, the ionomer resin does not generate chlorinated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dioxins and the like, and thus the environmental load is small. Any of the metal ions included in the ionomer resin may be used. However, zinc ion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of their low elution. As an adjustment method for increasing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ethylene domain ratio in order to increase crystallinity, or increase the amount of metal ions added to increase the crosslinking point.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로서는,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 이외에 비중 0.910 이상 내지 0.930 미만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혹은 비중 0.910 미만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시킨 것도 적합한다. 이 열가소성 가교 수지는, 가교 부위와 비가교 부위가 수지 중에 공존하고 있으므로, 일정한 균일 확장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적합하고, 가열 시에 강하게 복원력이 작용하는 점에서, 익스팬드 공정에서 발생한 테이프의 이완을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특히 적합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혹은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조사하는 전자선의 양을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 또한 충분한 균일 확장성을 갖는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선 가교된 폴리에틸렌은 분자쇄의 구성 중에 염소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후에 불필요하게 된 테이프를 소각 처분해도, 다이옥신이나 그의 유사체 등의 염소화 방향족 탄화수소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환경 부하도 적다.As said thermoplastic crosslinking resin, what crosslinked other than the ionomer resin by irradiating an electron beam to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of specific gravity 0.910 or more and less than 0.930 or the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of specific gravity 0.910 or less is suitable. Since this crosslinked site | part and non-crosslinked site | part coexist in resin, this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is suitable for the said expansion process because it has a uniform uniform expandability, and since the restoring force acts strongly at the time of heating, it generate | occur | produced in the expansion process. It is especially suitable also in the process of removing loosening of a tape. By suitably adjusting the quantity of the electron beam irradiated with respect to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or the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 with a thermal conductivity of 0.15 W / m * K or more and sufficient uniform expandability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n beam cross-linked polyethylene does not contain chlorine in the structure of the molecular chain, even if the tape which is unnecessary after use is incinerated, it does not generate chlorinated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dioxins and its analogs, and thus there is little environmental load.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로서는,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나 전자선 가교된 폴리에틸렌의 이외에,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에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시킨 것도 적합한다. 이 열가소성 가교 수지는 가열 시에 강하게 복원력이 작용하는 점에서, 익스팬드 공정에서 발생한 테이프의 이완을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서 특히 적합하다. 상기 전자선 가교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도 또한 분자쇄의 구성 중에 염소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후에 불필요하게 된 테이프를 소각 처분해도, 다이옥신이나 그의 유사체 등의 염소화 방향족 탄화 수소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환경 부하도 작다.As said thermoplastic crosslinking resin, what was made to crosslink by irradiating an electron beam to th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other than the said ionomer resin and the electron beam crosslinked polyethylene is suitable. This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step of removing the loosening of the tape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in that the restoring force acts strongly upon heating. Since the electron beam-crosslinke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lso does not contain chlorine in the structure of the molecular chain, incineration of the tape, which is unnecessary after use, does not generate chlorinated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dioxins and the like. The environmental load is also small.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재 필름(11)은 단층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2종 이상의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인 열가소성 가교 수지를 적층시킨 2층 이상의 복수층 구조이어도 된다. 기재 필름(11)의 두께는 특별히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의 확장 공정에 있어서 신장이 용이하고, 또한 파단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강도를 갖는 두께로서, 50 내지 200㎛ 정도가 좋고, 100㎛내지 150㎛가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although the base film 11 is a single | mono layer,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two or more multilayered structure which laminated | stacked 2 or more types of thermoplastic crosslinking resins of 0.15 W / m * K or more may be sufficient.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11 is not specifically defined, 50-200 micrometers is preferable as thickness which has sufficient intensity | strength which is easy to extend | stretch and does not fracture in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 100 µm to 150 µm is more preferable.

복수층의 기재 필름(11)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압출법, 라미네이트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층간에 접착제를 개재시켜도 된다. 접착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ase film 11 of multiple layers, a conventionally well-known extrusion method, the lamination method, etc. can be used. When using the lamination method, you may interpose an adhesive agent between layers. As the adhesive, a conventionally known adhesive can be used.

<점착제층><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제층(12)은 기재 필름(11)에 점착제를 도포 시공해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구성하는 점착제층(12)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다이싱 시에 있어서 접착제층(13)과의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칩 튐 등의 불량을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유지성이나, 픽업 시에 있어서 접착제층(13)과의 박리가 용이하게 되는 특성을 갖는 것이라면 된다. 다이싱 후의 픽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착제층(12)은 에너지선 경화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경화 후에 접착제층(13)과의 박리가 용이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layer 12 can be formed by coating the adhesive on the base film 11.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adhesive layer 12 which comprises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of this invention, and the grade which does not produce the defects, such as a chip | tip, etc. without generating peeling with the adhesive bond layer 13 at the time of dicing. What is necessary is just a thing which has the property of holding | maintenance of the adhesiveness, and peeling with the adhesive bond layer 13 at the time of pick-up. In order to improve the pick-up property after dic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layer 12 is energy ray curable,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material which is easy to peel with the adhesive bond layer 13 after hardening.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분자 중에 요오드가가 0.5 내지 20인 에너지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A)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멜라민ㆍ포름알데히드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B)을 부가 반응시켜서 이루어지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에너지선이란, 자외선과 같은 광선, 또는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다.For example, in this invention, the compound (A) which has an energy-beam cur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whose iodine number is 0.5-20 in a molecule | numerator is at least chosen from polyisocyanate, melamine formaldehyde resin, and an epoxy resin. It is preferable to contain the polymer formed by addition-reacting 1 type of compound (B). Here, energy rays are ionizing radiations, such as a light ray like an ultraviolet-ray, or an electron beam.

점착제층(12)의 주성분의 하나인 화합물(A)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합물(A)의 에너지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바람직한 도입량은 요오드가로 0.5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이다. 요오드가가 0.5 이상이면 에너지선 조사 후의 점착력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요오드가가 20 이하이면, 에너지선 조사 후의 점착제의 유동성이 충분해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의 확장 후에 있어서의 칩의 간극을 충분히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픽업 시에 각 칩의 화상 인식이 곤란해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A) 그 자체에 안정성이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The compound (A) which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adhesive layer 12 is demonstrated. The amount of the energy ray-cur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introduced into the compound (A) is preferably 0.5 to 20, more preferably 0.8 to 10, in terms of iodine value. When the iodine value is 0.5 or more, the effect of reducing the adhesive force after energy ray irradiation can be obtained. When the iodine value is 20 or less, the fluid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fter energy ray irradiation is sufficient, so that the chip after the expansion of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is performed. Since the gap can be sufficiently obtained, the problem that the image recognition of each chip becomes difficult at the time of pickup can be suppressed. Moreover, compound (A) itself has stability, and manufacture becomes easy.

상기 화합물(A)은, 유리 전이점이 -70℃ 내지 0℃인 것이 바람직하고, -66℃ 내지 -2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점이 -70℃ 이상이면 에너지선 조사에 수반하는 열에 대한 내열성이 충분하고, 0℃ 이하이면, 표면 상태가 거친 웨이퍼에서의 다이싱 후의 반도체 칩의 비산 방지 효과가 충분히 얻어진다. 상기 화합물(A)은 어떻게 해서 제조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에너지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을 혼합한 것이나,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관능기를 가지는 메타크릴계 공중합체(A1)와, 그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고, 또한 에너지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A2)을 반응시켜서 얻은 것이 사용된다.It is preferable that it is -70 degreeC-0 degreeC, and, as for the said compound (A),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66 degreeC--28 degreeC. If the glass transition point is -70 ° C or higher, heat resistance to heat associated with energy ray irradiation is sufficient, and if it is 0 ° C or lower, the scattering prevention effect of the semiconductor chip after dicing on a wafer having a rough surface state is sufficiently obtained. The compound (A) may be produced in any way, but for example, a mixture of an acrylic copolymer and a compound having an energy ray-cur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or a methacryl type having a functional group The thing obtained by making copolymer (A1), the functional group which can react with the functional group, and the compound (A2) which has an energy radiation cur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react is used.

이 중, 상기한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A1)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의 에너지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 (A1-1)와, 에너지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고, 또한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A1-2)를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단량체 (A1-1)로서는, 알킬쇄의 탄소수가 6 내지 12인 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쇄의 탄소수가 5 이하인 단량체인, 펜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과 마찬가지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열거할 수 있다.Among these, the compound (A1) having the above functional group includes a monomer (A1-1) having an energy ray-cur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such as alkyl acrylate or alkyl methacrylate, and an energy ray-cur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It can obtain by copolymerizing the monomer (A1-2) which has a functional group. Examples of the monomer (A1-1) include hexyl acrylate, n-octyl acrylate, isooc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dodecyl acrylate, decyl acrylate, or alkyl having 6 to 12 carbon atoms in the alkyl chain. Pentyl acrylate, n-but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ethyl acrylate, methyl acrylate, or methacrylate similar to these which are monomers whose chain carbon number is 5 or less can be mentioned.

단량체 (A1-1)로서, 탄소수가 큰 단량체를 사용할수록 유리 전이점은 낮아지므로, 원하는 유리 전이점의 것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전이점 외에, 상용성과 각종 성능을 높일 목적으로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저분자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도 단량체 (A1-1)의 총 질량의 5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As a monomer (A1-1), the glass transition point becomes low, so that a monomer with a large carbon number is used, and the thing of a desired glass transition point can be produced.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glass transition point, in order to improve compatibility and various performances,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having a carbon-carbon double bond such as vinyl acetate, styrene, acrylonitrile, or the like may also be blended to obtain 5 masses of the total mass of the monomer (A1-1). It is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or less.

단량체 (A1-2)가 갖는 관능기로서는,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환상 산 무수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고, 단량체 (A1-2)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계피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프탈산, 2-히드록시알킬아크릴레이트류, 2-히드록시알킬메타크릴레이트류, 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류, 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류,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아릴알코올, N-알킬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류, N-알킬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류, 아크릴아미드류, 메타크릴아미드류,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푸마르산, 무수 프탈산,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일부를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 및 에너지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로 우레탄화한 것 등을 열거할 수 있다.As a functional group which a monomer (A1-2) has,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n amino group, a cyclic anhydride group, an epoxy group, an isocyanate group, etc. are mentioned, As a specific example of monomer (A1-2),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innamic acid, ita Cholic acid, fumaric acid, phthalic acid, 2-hydroxyalkyl acrylates, 2-hydroxyalkyl methacrylates, glycol monoacrylates, glycol monomethacrylates, N-methylol acrylamide, N-methylol meta Krillamide, aryl alcohol, N-alkylaminoethyl acrylates, N-alkylaminoethyl methacrylates, acrylamides, methacrylamides, maleic anhydride, itaconic anhydride, fumaric anhydride, phthalic anhydride, glycy Some of the isocyanate groups of the dil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allyl glycidyl ether, and the polyisocyanate compound are hydroxyl or carboxyl groups and energy ray curable The urethane-ized etc. can be mentioned with the monomer which has a carbon-carbon double bond.

화합물 (A2)에 있어서, 사용되는 관능기로서는, 화합물 (A1), 즉 단량체 (A1-2)가 갖는 관능기가, 카르복실기 또는 환상 산 무수기인 경우에는, 수산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고, 수산기인 경우에는, 환상 산 무수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고, 아미노기인 경우에는,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고, 에폭시기인 경우에는, 카르복실기, 환상 산 무수기,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단량체 (A1-2)의 구체예에서 열거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열거할 수 있다.In the compound (A2), examples of the functional group used include a hydroxyl group, an epoxy group, an isocyanate group, and the like, when the functional group possessed by the compound (A1), that is, the monomer (A1-2), is a carboxyl group or a cyclic anhydride group. In the case of a hydroxyl group, a cyclic acid anhydride group, an isocyanate group, etc. are mentioned, In the case of an amino group, an epoxy group, an isocyanate group, etc. are mentioned, In the case of an epoxy group, a carboxyl group, a cyclic acid anhydride group, an amino group, etc. are mentioned, As a specific example, the thing similar to what was listed by the specific example of monomer (A1-2) can be mentioned.

화합물 (A1)과 화합물 (A2)의 반응에 있어서, 미반응의 관능기를 남김으로써, 산가 또는 수산기가 등의 특성에 관하여,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것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화합물 (A)의 합성에 있어서, 반응을 용액 중합으로 행하는 경우의 유기 용제로서는, 케톤계, 에스테르계, 알코올계, 방향족계인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이소프로필알코올, 벤젠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폴리머의 양용매이고, 비점 60 내지 120℃인 용제가 바람직하고, 중합 개시제로서는 α,α'-아조비스이소부틸니트릴 등의 아조비스계,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계 등의 라디칼 발생제를 통상 사용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촉매, 중합 금지제를 병용할 수 있고, 중합 온도 및 중합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분자량의 화합물 (A)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자량을 조절하는 것에 관해서는, 메르캅탄, 사염화탄소계의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반응은 용액 중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괴상 중합, 현탁 중합 등 다른 방법이라도 지장 없다.In the reaction between the compound (A1) and the compound (A2), by leaving an unreacted functional group, on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in terms of properties such as an acid value or a hydroxyl value. In the synthesis of the above-mentioned compound (A), as the organic solvent in the case of carrying out the reaction by solution polymerization, a ketone-based, ester-based, alcohol-based, or aromatic-based one can be used. Among them, toluene, ethyl acetate, isopropyl alcohol, The solvent which is generally a good solvent of an acryl-type polymer, such as benzene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acetone, and methyl ethyl ketone, and has a boiling point of 60-120 degreeC is preferabl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it is (alpha), (alpha) '-azobisiso Radical generators, such as azobis type | system | groups, such as butyl nitrile, and organic peroxides, such as benzoyl peroxide, are normally used.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a catalyst and a polymerization inhibitor can be used together and compound (A) of desired molecular weight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temperature and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tim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mercaptan and a carbon tetrachloride solvent about adjusting molecular weight. In addition, this reaction is not limited to solution polymerization, It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methods, such as block polymerization and suspension polymerization.

이상과 같이 하여, 화합물(A)을 얻을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합물(A)의 분자량은, 30만 내지 100만 정도가 바람직하다. 30만 미만에서는, 응집력이 작아져서, 웨이퍼를 다이싱 할 때에, 칩의 어긋남이 생기기 쉬워 화상 인식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칩의 어긋남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는, 분자량이 40만 이상인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자량이 100만을 넘으면, 합성 시 및 도포 시공 시에 겔화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자량이란, 폴리스티렌 환산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다.Although compound (A) can be obtained as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ecular weight of compound (A) is preferably about 300,000 to 1 million. If it is less than 300,000, the cohesion force becomes small, and when the wafer is diced, chip shift is likely to occur and image recognition may be difficult. In order to prevent this chip | tip shift to the maximum, it is preferable that molecular weight is 400,000 or more. Moreover, when molecular weight exceeds 1 million, there exists a possibility to gelatinize at the time of a synthesis | combination and a coating work. In addition, the molecular weight in this invention is the mass mean molecular weight of polystyrene conversion.

화합물(A)이, 수산기가가 5 내지 100이 되는 OH기를 가지면, 에너지선 조사 후의 점착력을 감소함으로써 픽업 미스의 위험성을 더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화합물(A)이, 산가가 0.5 내지 30으로 되는 COOH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합물(A)의 수산기가가 지나치게 낮으면, 에너지선 조사 후의 점착력의 저감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지나치게 높으면, 에너지선 조사 후의 점착제의 유동성을 손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산가가 지나치게 낮으면, 테이프 복원성의 개선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지나치게 높으면 점착제의 유동성을 손상시키는 경향이 있다.When compound (A) has OH group whose hydroxyl value becomes 5-100, since the adhesive force after energy-beam irradiation can be reduced, the risk of a pick-up miss can be further reduced.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compound (A) has a COOH group whose acid value becomes 0.5-30. Here, when the hydroxyl value of compound (A) is too low, the effect of reducing the adhesive force after energy-beam irradiation is not enough, and when too high, it exists in the tendency to impair the fluidity | liquidity of the adhesive after energy-beam irradiation. Moreover, when the acid value is too low, the effect of improving tape recoverability is not sufficient, and when too high, the fluid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ends to be impaired.

다음에, 점착제층의 또 하나의 주성분인 화합물(B)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합물(B)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멜라민ㆍ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며,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화합물(B)은 가교제로서 작용하고, 화합물(A) 또는 기재 필름과 반응한 결과 생기는 가교 구조에 의해, 화합물(A) 및 (B)를 주성분으로 한 점착제의 응집력을 점착제 도포 후에 향상시킬 수 있다.Next, the compound (B) which is another main component of an adhesive layer is demonstrated. A compound (B) is a compound chosen from polyisocyanate, melamine formaldehyde resin, and an epoxy resin, and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This compound (B) acts as a crosslinking agent, and by the crosslinking structure resulting from reaction with the compound (A) or the base film,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the compounds (A) and (B) as a main component can be improved after apply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ave.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로서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예를 들어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4,4'-〔2,2-비스(4-페녹시페닐)프로판〕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콜로네이트(L)(니혼 폴리우레탄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멜라민ㆍ포름알데히드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니카라쿠 MX-45(산와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멜란(히타치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TETRAD-X(미츠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as polyisocyanate, For example, 4,4'-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4,4'- diphenyl ether diisocyanate, 4,4'- [2, Aromatic isocyanate, such as 2-bis (4-phenoxyphenyl) prop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2,2,4-trimethyl-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4,4'- dicyclohexyl Methane diisocyanate, 2,4'- dicyclohexyl methane diisocyanate, lysine diisocyanate, lysine triisocyanate, etc. are mentioned, Specifically, a colonate (L) (brand name by the Nippon Polyurethanes company) is used, etc. Can be. As melamine formaldehyde resin, Nikaraku MX-45 (brand name by Sanwa Chemical Co., Ltd.), melan (brand name by Hitachi Kasei Kogyo Co., Ltd.) etc. can be used specifically ,. As an epoxy resin, TETRAD-X (Mitsubishi Chemical Co., Ltd. brand name) etc. can be used. In this invention,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use polyisocyanate.

(B)의 첨가량으로서는, 화합물 (A) 100 질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3 질량부의 비율로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범위 내에서 선택함으로써, 적절한 응집력으로 할 수 있어 급격하게 가교 반응이 진행되는 일이 없으므로, 점착제의 배합이나 도포 등의 작업성이 양호해진다.As addition amount of (B), it is necessary to select so that it may become 0.1-1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compounds (A), Preferably it is 0.4-3 mass parts. By selecting in this range, since it can be set as appropriate cohesion force and a crosslinking reaction does not advance rapidly, workability | operativity, such as compounding and application | coating of an adhesive, becomes favorabl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12)에는, 광중합 개시제 (C)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2)에 포함되는 광중합 개시제 (C)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조페논, 4,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아세토페논, 디에톡시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류, 2-에틸안트라퀴논, t-부틸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류, 2-클로로티옥산톤,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질, 2,4,5-트리아릴이미다졸 2량체(로핀 2량체), 아크리딘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C)의 첨가량으로서는, 화합물 (A) 100 질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5 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layer 12 contains the photoinitiator (C).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photoinitiator (C)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12, What is conventionally known can be used. For example, benzophenones such as benzophenone, 4,4'-dimethylaminobenzophenone, 4,4'-diethylaminobenzophenone, 4,4'-dichlorobenzophenone, acetophenone, diethoxyacetophenone and the like Anthraquinones such as acetophenones, 2-ethyl anthraquinone and t-butyl anthraquinone, 2-chlorothioxanthone,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yl, 2,4,5-triaryl An imidazole dimer (roffin dimer), an acridine type compound, etc. ar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As addition amount of (C),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0.1-1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compounds (A),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0.5-5 mass parts.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점착 부여제, 점착 조정제, 계면 활성제 등, 혹은 그 밖의 개질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무기 화합물 충전제를 적절하게 첨가해도 된다.Moreover, a tackifier, an adhesion regulator, surfactant, etc., or other modifiers etc. can be mix | blended with th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used for this invention as needed. Moreover, you may add an inorganic compound filler suitably.

점착제층(12)의 두께는 적어도 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12)은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성이어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12 is at least 5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10 micrometers or mo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laminated.

<접착제층><Adhesive Layer>

접착제층(13)은 반도체 웨이퍼가 접합되어 다이싱된 후, 칩을 픽업할 때에 점착제층(12)과 박리해서 칩에 부착하고 있고, 칩을 기판이나 리드 프레임에 고정할 때의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접착제층(13)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다이싱ㆍ다이본딩 테이프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필름 형태의 접착제이면 되고, 아크릴계 점접착제, 에폭시 수지/페놀 수지/아크릴 수지의 브랜드계 점접착제 등이 바람직하다. 그의 두께는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지만, 5 내지 100㎛ 정도가 바람직하다.After the semiconductor wafer is bonded and diced, the adhesive layer 13 is peeled off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when picking up the chip and adheres to the chip, and is used as an adhesive for fixing the chip to a substrate or lead frame. will be. Although the adhesive bond layer 13 is not specifically limited, What is necessary is just an adhesive of the film form generally used for a dicing die-bonding tape, and the acrylic adhesive agent, the brand adhesive of epoxy resin / phenol resin / acrylic resin, etc. are preferable. Do. Although the thickness may be set suitably, about 5-100 micrometers is preferable.

본 발명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에 있어서, 접착제층(13)은 미리 접착제층(13)이 필름화된 것(이하, 접착 필름이라고 한다)을 기재 필름(11) 상에 직접 또는 간접 라미네이트하여 형성해도 된다. 라미네이트 시의 온도는 10 내지 100℃의 범위에서, 0.01 내지 10N/m의 선압을 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 필름을 세퍼레이터 상에 접착제층(13)이 형성된 것으로 하고, 라미네이트 후에 세퍼레이터를 박리해도 되고, 혹은 그대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의 커버 필름으로서 사용하고, 반도체 웨이퍼를 접합할 때에 박리해도 된다.In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13 is formed by directly or indirectly laminating the adhesive layer 13 into a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dhesive film) on the base film 11. You may form.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linear pressure of 0.01-10 N / m in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lamination in the range of 10-100 degreeC.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13 may be formed on the separator, and the separator may be peeled off after lamination, or may be used as it is as a cover film of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and may be peeled off when bonding a semiconductor wafer. .

접착 필름은 점착제층(12)의 전면에 적층해도 되지만, 미리 접합되는 반도체 웨이퍼에 따른 형상으로 절단된(프리컷트된) 접착 필름을 적층해도 된다. 반도체 웨이퍼에 따른 접착 필름을 적층한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W)가 접합되는 부분에는 접착제층(13)이 있고, 링 프레임(20)이 접합되는 부분에는 접착제층(13)은 없고 점착제층(12)만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접착제층(13)은 피착체와 박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프리컷트된 접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링 프레임(20)은 점착제층(12)과 접합할 수 있고, 사용 후의 테이프 박리 시에 링 프레임(20)에는 잔류 접착성을 발생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Although the adhesive film may be laminated | stacked on the whol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 you may laminate | stack the adhesive film cut | disconnected (precut) in the shape according to the semiconductor wafer to be bonded previously. In the case where the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semiconductor wafer is laminated, as shown in FIG. 1, the adhesive layer 13 is attached to the portion where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bonded, and the adhesive layer 13 is attached to the portion where the ring frame 20 is bonded. ), Only the adhesive layer 12 is present. In general, since the adhesive layer 13 is difficult to peel off from the adherend, the ring frame 20 can be bon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by using a precut adhesive film, and at the time of peeling the tape after use. The ring frame 20 has an effect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te residual adhesiveness.

<용도><Applications>

본 발명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의 사용 용도는, 적어도 익스팬드에 의해 접착제층(13)을 분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A) 내지 (D)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use of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e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dividing the adhesive layer 13 at least by expansion. For example, it can use suitably in the manufacturing methods (A)-(D) of the following semiconductor devices.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A)Manufacturing method (A) of a semiconductor device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a) bonding the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b) a backgrinding process for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c)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le hea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t 70 to 80 ° C;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e)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분할 예정 부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웨이퍼의 내부에 다광자 흡수에 의한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e)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 portion to be divided of the semiconductor wafer to form a modified region by multiphoton absorption in the wafer;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접착제층을 분단 라인을 따라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adhesive layer along a dividing line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B)Manufacturing Method (B) of Semiconductor Device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a) bonding the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b) a backgrinding process for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c)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le hea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t 70 to 80 ° C;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e)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 분단 라인을 따라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단하는 공정과,(e) irradiating a laser beam along a dividing line from the surface of said semiconductor wafer and dividing it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반도체 칩마다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adhesive layer for each of the semiconductor chips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C)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C)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a) bonding the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b) a backgrinding process for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c)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le the semiconductor wafer is heated at 70 to 80 ° C;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e) 다이싱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분단 라인을 따라 절삭하여,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단하는 공정과,(e) cut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long a dividing line using a dicing blade to divide the semiconductor wafer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반도체 칩마다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adhesive layer for each of the semiconductor chips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D)Manufacturing method (D) of semiconductor device

(a) 다이싱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를 분단 라인 예정 라인을 따라 웨이퍼의 두께 미만의 깊이까지 절삭하고,(a) cutting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using a dicing blade along a dividing line predetermined line to a depth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wafer;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b) bond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여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단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c) a backgrinding step of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dividing it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d)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칩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d)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while hea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t 70 to 80 ° C;

(e)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e)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반도체 칩마다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adhesive layer for each of the semiconductor chips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사용 방법> <How to use>

본 발명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A)에 적용했을 경우의 테이프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W)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테이프(14)을 접합하고, 반도체 웨이퍼(W)의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을 실시한다.The use method of the tape at the time of applying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of this invention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 of the said semiconductor device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First, as shown in FIG. 2, the surface protection tape 14 which consists of an ultraviolet curable component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in which the circuit pattern was formed, and the back grinding which grinds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carried out. Carry out the process.

백그라인드 공정의 종료 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퍼 마운터의 히터 테이블(25) 상에 반도체 웨이퍼(W)의 표면측을 아래로 해서 반도체 웨이퍼(W)를 적재한 후, 반도체 웨이퍼(W)의 이면에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접합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는, 접합하는 반도체 웨이퍼(W)에 따른 형상으로 미리 절단된(프리컷트된) 접착 필름을 적층한 것이며, 반도체 웨이퍼(W)와 접합하는 면에 있어서는, 접착제층(13)이 노출된 영역의 주위에 점착제층(12)이 노출된 영역이 설치되고 있다. 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의 접착제층(13)이 노출된 부분과 반도체 웨이퍼(W)의 이면을 접합하는 동시에, 접착제층(13)의 주위의 점착제층(12)이 노출된 부분과 링 프레임(20)을 접합한다. 이때, 히터 테이블(25)은 70 내지 80℃로 설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가열 접합이 실시된다.After completion of the backgrinding process, as shown in FIG. 3,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placed on the heater table 25 of the wafer mounter with the surface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down, and then the semiconductor wafer (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is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W).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used here laminate | stacks the adhesive film cut | disconnected previously (precut) to the shape according to the semiconductor wafer W to bond, and is adhesive in the surface which bonds with the semiconductor wafer W, An area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exposed is provided around the area where the layer 13 is exposed. The portion where the adhesive layer 13 of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is exposed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re bonded together, and the portion where the adhesive layer 12 around the adhesive layer 13 is exposed and the ring frame. Join (20). At this time, the heater table 25 is set to 70-80 degreeC, and heat bonding is performed by this.

다음에,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가 접합된 반도체 웨이퍼(W)를 히터 테이블(25) 상으로부터 반출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측을 아래로 해서 웨이퍼 흡착 테이블(26) 상에 적재한다. 그리고, 흡착 테이블(26)에 흡착고정된 반도체 웨이퍼(W)의 상방으로부터, 예를 들어 자외선 광원(27)을 사용해서 1000mJ/㎠의 자외선을 표면 보호 테이프(14)의 기재면측에 조사하고, 표면 보호 테이프(14)의 반도체 웨이퍼(W)에 대한 접착력을 저하시켜, 반도체 웨이퍼(W)의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14)를 박리한다.Next, the semiconductor wafer W to which the wafer processing tape 10 is bonded is taken out from the heater table 25, and as shown in FIG. 4, a wafer adsorption table is placed with the wafer processing tape 10 side down. It loads on (26). And the ultraviolet-ray of 1000 mJ / cm <2> is irradiated to the base material surface side of the surface protection tape 14, for example using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27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dsorbed and fixed to the adsorption table 26, The adhesive force of the surface protection tape 14 to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reduced, and the surface protection tape 14 is peel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s shown in FIG.

다음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W)의 분할 예정 부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반도체 웨이퍼(W)의 내부에 다광자 흡수에 의한 개질 영역을(30)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5, laser beam is irradiated to the division scheduled part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nd the modified region 30 by multiphoton absorption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Next, as shown in FIG.

다음에,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W) 및 링 프레임(20)이 접합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기재 필름(11)측을 아래로 하고, 익스팬드 장치의 스테이지(21) 상에 적재한다. 도면 중, 부호(22)는 익스팬드 장치의 중공 원기둥 형상의 밀어 올림 부재다.Next, as shown to Fig.6 (a),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to which the semiconductor wafer W and the ring frame 20 were bonded was expanded with the base film 11 side down. Load on the stage 21 of the device.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hollow cylindrical push-up member of the expander.

다음에,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프레임(20)을 고정한 상태에서, 익스팬드 장치의 밀어 올림 부재(22)를 상승시키고,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익스팬드한다. 익스팬드 조건으로서는, 익스팬드 속도가 예를 들어 10 내지 500㎜/sec이며, 익스팬드량(밀어 올림량)이 예를 들어 5 내지 25mm이다. 이렇게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가 반도체 웨이퍼(W)의 직경 방향으로 신장됨으로써, 반도체 웨이퍼(W)가 개질 영역(30)을 기점으로 해서 칩 단위로 분단된다. 이때, 접착제층(13)은 반도체 웨이퍼(W)의 이면에 접착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익스팬드에 의한 신장(변형)이 억제되어서 파단은 일어나지 않지만, 칩(C) 사이의 위치에서는, 테이프의 익스팬드에 의한 장력이 집중해서 파단한다. 따라서, 반도체 웨이퍼(W)와 함께 접착제층(13)도 분단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접착제층(13)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C)을 얻을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6B, in a state where the ring frame 20 is fixed, the pushing-up member 22 of the expander is raised to expand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As expansion conditions, an expansion speed is 10-500 mm / sec, for example, and an expansion amount (push amount) is 5-25 mm, for example. Thus,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is extend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nd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divided | segmented by the chip unit starting from the modified area | region 30 as a starting point. At this time, in the part adher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elongation (deformation) due to expansion is suppressed and no break occurs, but at the position between the chips C, the tape is expanded. The tension due to breaks down concentrated. Therefore, the adhesive layer 13 is also divided together with the semiconductor wafer W. As shown in FIG. Thereby, the some semiconductor chip C with the adhesive bond layer 13 can be obtained.

다음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어 올림 부재(2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이전의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의 이완을 제거하여 반도체 칩(C)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에 있어서의 반도체 칩(C)이 존재하는 영역과 링 프레임(20) 사이의 원환상의 영역(28)에, 온풍 노즐(29)을 사용해서 90 내지 120℃의 온풍을 쐬어서 기재 필름(11)을 가열 수축시키고,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긴장시킨다. 그 후, 점착제층(12)에 에너지선 경화 처리 또는 열경화 처리 등을 실시하고, 점착제층(12)의 접착제층(13)에 대한 점착력을 약화시킨 후, 반도체 칩(C)을 픽업한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pushing-up member 22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loosening of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hich arose in the previous expansion process is removed, and the semiconductor chip C is removed. The process of keeping a space stable is performed. In this step, for example, the hot air nozzle 29 is used for the annular region 28 between the ring frame 20 and the region where the semiconductor chip C is present in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The hot air of 90-120 degreeC is blown out, the base film 11 is heat-shrunk, and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is tensioned. Thereaft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subjected to an energy ray curing treatment, a thermosetting treatment, or the like, and the adhesive force to the adhesive layer 13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weakened, and then the semiconductor chip C is picked up.

상기와 같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11)은, 익스팬드 시에 실시된 인장에 대한 복원력이 크고 또한 비커트 연화점도 낮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수축한다. 따라서, 접착제층(13)을 분단하는 익스팬드 공정 후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에 발생한 이완을 가열 수축에 의해 제거하여 테이프를 긴장시키는 공정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se film 11 made of a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has a large restoring force with respect to tension applied at the time of expansion and a low uncured softening point, it shrinks easily by heating. . Therefor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after the expansion step of dividing the adhesive layer 13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the step of removing the tape by tensioning the tape.

(실시예)(Example)

다음에, 본 발명의 효과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행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Next, although the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which were performed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8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는, 각각 표 1, 표 2에 도시하는 기재 필름(11)을 사용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인 점착제층(12)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 접착제층(13)을 구성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의 제작 방법은 동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MFR(Melt flow rate)은 JIS-K7210, 인장 강도는 JIS-K7162, 밀도는 JIS-K7112, 융점은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서 측정했다.The base film 11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is used for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of Examples 1-6 and Comparative Examples 1-8, respectivel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mprises the adhesive layer 12 which is another structure,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mprises the adhesive bond layer 13, and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is the sam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FR (Melt flow rate) was measured by JIS (K7210), tensile strength by JIS-K7162, density by JIS-K7112, and melting point by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1) 샘플의 제작(1) Production of a sample

(1.1) 실시예 1(1.1) Example 1

(기재 필름(11)의 제작)(Production of base film 11)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서 합성된 에틸렌메타크릴산-메타크릴산에틸(질량비 8:1:1)3원 공중합체의 아연 아이오노머 a(밀도 0.96 g/㎤, 아연 이온 함유량 4 질량%,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56℃, 융점 86℃)의 수지 비즈를 140℃에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를 제작했다.Zinc ionomer a (density 0.96 g / cm 3, zinc ion content 4 mass%, chlorine content 1) of ethylene methacrylate-ethyl methacrylate (mass ratio 8: 1: 1) terpolymer synthesized by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Support substrate (1) which forms the base film 11 by melt | dissolving resin beads of less than mass%, the beaker softening point 56 degreeC, melting | fusing point 86 degreeC at 140 degreeC, and shape | molding to 100-micrometer-thick long film shape using an extruder. )

(점착제 조성물(1)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Composition (1))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을 라디칼 중합함으로써 아크릴계 공중합체(분자량 60만, 수산기가 4.7mgKOH/g, 산가0.2mgKOH/g)를 얻었다. 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100 질량부에 대하여, 광중합성 경화물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30 질량부 가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콜로네이트(L)(일본 폴리우레탄제)을 2 질량부 가하고, 광중합 개시제로서 이가큐어-184(니혼 치바가이기사제)를 1 질량부 가한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켜, 교반해서 점착제 조성물(1)을 조제했다.The radical copolymerization of butyl 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and acrylic acid yielded an acrylic copolymer (molecular weight of 600,000, hydroxyl value of 4.7 mgKOH / g, acid value of 0.2 mgKOH / g). To 100 mass parts of this acryl-type copolymer, 30 mass parts of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s are added as a photopolymerizable hardened | cured material, 2 mass parts of colonate (L) (made by Japan Polyurethane) is added as a polyisocyanate, and a photoinitiator As a mixture, 1 mass parts of Igacure-184 (made by Nippon Chiba Co., Ltd.) was added, dissolved in ethyl acetat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1) was prepared.

(접착제 조성물(1)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Composition (1))

에폭시 수지로서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에폭시 당량 197, 분자량 1200, 연화점 70℃)50 질량부, 실란 커플링제로서 γ-메르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1.5 질량부, γ-우레이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 질량부, 평균 입경 16㎚의 실리카 충전제 30 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시클로헥사논을 가해서 교반 혼합하고, 또한 비즈밀을 사용해서 90분간 혼련했다. 이것에,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라디칼 중합함으로써 합성한 아크릴 수지(분자량 20만, 수산기가 3.5mgKOH/g)를 100 질량부, 경화제로서 콜로네이트(L)를 1 질량부 가하고, 교반 혼합해서 접착제 조성물(1)을 조제했다.50 mass parts of cresol novolak-type epoxy resins (epoxy equivalent 197, molecular weight 1200, softening point 70 degreeC) as an epoxy resin, 1.5 mass parts of (gamma)-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 as a silane coupling agent, (gamma) -uradepropyl triethoxy Cyclohexanone was added to the 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3 mass parts of silanes, and 30 mass parts of silica fillers with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6 nm, and it stirred and knead | mixed, and knead | mixed for 90 minutes using the bead mill. 100 mass parts of acrylic resin (molecular weight 200,000, hydroxyl value 3.5 mgKOH / g) synthesize | combined by radically polymerizing butyl acrylate and 2-hydroxyethyl acrylate to this, and 1 mass part of collonate (L) as a hardening | curing agent It added and stirred and mixed to prepare the adhesive composition (1).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의 제작)(Production of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ing)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 상에 점착제 조성물(1)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이 되도록 도포 시공하고, 110℃에서 3분간 건조시켜서, 기재 필름(11) 상에 점착제층(12)이 형성된 점착 시트를 작성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접착제 조성물(1)을 이형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라이너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이 되도록 도포 시공하고, 110℃에서 3분간 분간 건조시켜서 박리 라이너 상에 접착제층(13)이 형성된 접착 필름을 제작했다.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1 on the support base material 1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11 so that the thickness after drying may be set to 20 micrometers, it is made to dry at 110 degreeC for 3 minutes, and the adhesive layer ( 12) was formed. Apart from this, it is applied to a release liner ma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btained by relea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1 so that the thickness after drying is 20 μm, and dried at 110 ° C. for 3 minutes to form an adhesive layer on the release liner. The adhesive film with which (13) was formed was produced.

다음에, 점착 시트를, 링 프레임(20)에 대하여 개구부를 덮으며 접합할 수 있도록 한 도 3 등에 도시한 형상으로 재단했다. 또한, 접착 필름을, 반도체 웨이퍼(W)의 이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한 도 3 등에 도시한 형상으로 재단했다. 그리고, 상기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12)측과 상기 접착 필름의 접착제층(13)측을,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필름의 주위에 점착제층(12)이 노출되는 부분이 형성되도록 접합해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했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층(12), 접착제층(13)이이 순서대로 적층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1의 샘플로 했다.Next, the adhesive sheet was cut out to the shape shown in FIG. 3 etc. which were able to be bonded to the ring frame 20, covering the opening part. Moreover, the adhesive film was cut out to the shape shown in FIG. 3 etc. which could cover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s shown in FIG. And the adhesive layer 12 side of the said adhesive sheet and the adhesive bond layer 13 side of the said adhesive film are bonded so that the part which the adhesive layer 12 is exposed may be formed around the adhesive film as shown in FIG.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In this way, the supporting substrate constituting the base film 11, th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and the adhesive layer 13 were fabricated in this order, and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was produced. did.

(1.2) 실시예 2(1.2) Example 2

(기재 필름(11)의 조제) (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에틸렌-메타크릴산-메타크릴산에틸(질량비 8:1:1)3원 공중합체의 나트륨 아이오노머 a(밀도 0.95g/㎤, 나트륨 이온 함유량 3질량%,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64℃, 융점 86℃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2)를 제작했다.Sodium ionomer a (density 0.95 g / cm 3, sodium ion content 3 mass%, chlorine content) of ethylene-methacrylic acid-ethyl methacrylate (mass ratio 8: 1: 1) terpolymer synthesized by the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Support base material 2 which forms the base film 11 by melt | dissolving resin beads of less than 1 mass%, the beaker softening point 64 degreeC, and melting point 86 degreeC at 140 degreeC, and shape | molding to elongate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using an extruder. )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2)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2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2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n Example. It was made into a sample of two.

(1.3) 실시예 3(1.3) Example 3

(기재 필름(11)의 조제)(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에틸렌-메타크릴산(질량비 9.5:0.5)2원 공중합체의 아연 아이오노머 b(밀도 0.95 g/㎤, 아연 이온 함유량 2질량%,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81℃, 융점 100℃)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3)을 제작했다.Zinc ionomer b (density 0.95 g / cm 3, zinc ion content 2% by mass, chlorine content less than 1% by mass) of ethylene-methacrylic acid (mass ratio 9.5: 0.5) binary copolymer synthesized by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The support substrate 3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11 was produced by melting resin beads of softening point 81 degreeC and melting | fusing point 100 degreeC) at 140 degreeC, and shape | molding in elongate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using an extruder.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3)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3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3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n Example. Made with 3 samples.

(1.4) 실시예 4(1.4) Example 4

(기재 필름(11)의 조제)(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메탈로센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ULDPE a(밀도 0.90g/㎤,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72℃, 융점 90℃)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후, 중에너지 전자선 가속 장치를 사용해서 가속 전압 1MeV, 조사량 20Mrad로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4)를 제작했다.The resin beads of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ULDPE a (density 0.90 g / cm 3, chlorine content less than 1 mass%, beaker softening point 72 ° C., melting point 90 ° C.) synthesized by the metallocene polymerization method were melted at 140 ° C., and the extruder After using it, it shape | molded into the long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and the support base material 4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11 was produced by irradiating an electron beam with acceleration voltage 1MeV and irradiation amount 20Mrad using the heavy energy electron beam acceleration apparatus.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4)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4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4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n Example. 4 samples.

(1.5) 실시예 5(1.5) Example 5

(기재 필름(11)의 조제)(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메탈로센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a(밀도 0.91 g/㎤,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81℃, 융점 102℃)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후, 중에너지 전자선 가속 장치를 사용해서 가속 전압 1MeV, 조사량 20Mrad로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5)를 제작했다.Low-density polyethylene LDPE a (density 0.91 g / cm 3, chlorine content less than 1 mass%, beaker softening point 81 ° C., melting point 102 ° C.) synthesized by the metallocene polymerization method was melted at 140 ° C., and an extruder was used. After molding to a long film shape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the supporting substrate 5 constituting the base film 11 was produced by irradiating an electron beam with an acceleration voltage of 1MeV and an irradiation amount of 20 Mrad using a heavy energy electron beam accelerator.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5)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5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5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n Example. I made a sample of five.

(1.6) 실시예 6(1.6) Example 6

(기재 필름(11)의 조제)(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에틸렌-아세트산비닐(질량비 9:1) 공중합체 EVA a(밀도 0.93g/㎤,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69℃, 융점 96℃)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후, 중에너지 전자선 가속 장치를 사용해서 가속 전압 1MeV, 조사량 20Mrad로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6)를 제작했다.The resin beads of the ethylene-vinyl acetate (mass ratio 9: 1) copolymer EVA a (density 0.93 g / cm <3>, chlorine content less than 1 mass%, beaker softening point 69 degreeC, melting | fusing point 96 degreeC) synthesize | combined by the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were 140 After melt | dissolving at ° C and shape | molding to the long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using an extruder, the support base material which forms the base film 11 by irradiating an electron beam with acceleration voltage of 1MeV and irradiation amount 20Mrad using a heavy energy electron beam acceleration apparatus. (6) produced.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6)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6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6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n Example. I made a sample of 6.

(1.7) 비교예 1(1.7) Comparative Example 1

(기재 필름(11)의 조제)(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에틸렌-메타크릴산(질량비 8:2)2원 공중합체의 나트륨 아이오노머 b(밀도 0.94 g/㎤, 나트륨 이온 함유량 3질량%,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60℃, 융점 89℃)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7)를 제작했다.Sodium ionomer b (density 0.94 g / cm 3, sodium ion content 3% by mass, chlorine content less than 1% by mass) of ethylene-methacrylic acid (mass ratio 8: 2) binary copolymer synthesized by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The support substrate 7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11 was produced by melting resin beads of a softening point of 60 degreeC and melting | fusing point of 89 degreeC) at 140 degreeC, and shape | molding in elongate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using an extruder.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7)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예 1의 샘플이라고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7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It was called sample of 1.

(1.8) 비교예 2(1.8) Comparative Example 2

(기재 필름(11)의 조제) (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에틸렌-아세트산비닐(질량비 8:2) 공중합체 EVA b(밀도 0.94 g/㎤,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40℃, 융점 80℃)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후, 중에너지 전자선 가속 장치를 사용해서 가속 전압 1MeV, 조사량 20Mrad로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8)를 제작했다.Ethylene-vinyl acetate (mass ratio 8: 2) copolymer EVAb (density 0.94 g / cm <3>, chlorine content less than 1 mass%, the bead softening point 40 degreeC, melting | fusing point 80 degreeC) synthesize | combined by the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was 140 After melt | dissolving at ° C and shape | molding to the long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using an extruder, the support base material which forms the base film 11 by irradiating an electron beam with acceleration voltage of 1MeV and irradiation amount 20Mrad using a heavy energy electron beam acceleration apparatus. (8) produced.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8)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예 2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8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It was made into a sample of two.

(1.9) 비교예 3(1.9) Comparative Example 3

(기재 필름(11)의 조제) (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에틸렌-아세트산비닐(질량비 9:1) 공중합체 EVA a(밀도 0.93 g/㎤,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69℃, 융점 96℃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9)를 제작했다.Ethylene-vinyl acetate (mass ratio 9: 1) copolymer EVA a (density 0.93 g / cm <3>, chlorine content less than 1 mass%, the bead softening point 69 degreeC, melting | fusing point 96 degreeC resin beads synthesize | combined by the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are 140 degreeC It melt | dissolved in the furnace, and shape | molded to the elongate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using the extruder, and the support base material 9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11 was produced.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9)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예 3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9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I made a sample of 3.

(1.10) 비교예 4(1.10) Comparative Example 4

(기재 필름(11)의 조제)(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시판되는 공업용 폴리염화비닐 a(가소제 30질량%, 밀도 1.45g/㎤, 염소 함유량 60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76℃, 융점 100℃)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0)를 제작했다.Commercially available resin polyvinyl chloride a (30 mass% of plasticizer, density 1.45 g / cm 3, chlorine content less than 60 mass%, beaker softening point 76 ° C., melting point 100 ° C.) was melted at 140 ° C., using an extruder, The support base material 10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11 was produced by shape | molding in elongate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0)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예 4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10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4 samples.

(1.11) 비교예 5(1.11) Comparative Example 5

(기재 필름(11)의 조제)(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메탈로센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ULDPE a(밀도 0.90 g/㎤,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72℃, 융점 90℃)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1)를 제작했다.The resin beads of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ULDPE a (density 0.90 g / cm 3, chlorine content less than 1% by mass, beaker softening point 72 ° C, melting point 90 ° C) synthesized by the metallocene polymerization method were melted at 140 ° C, and the extruder The support base material 11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11 was produced by shape | molding to long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using.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1)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예 5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11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I made a sample of five.

(1.12) 비교예 6(1.12) Comparative Example 6

(기재 필름(11)의 조제)(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메탈로센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a(밀도 0.91 g/㎤, 염소 함유량 1질량% 미만, 비커트 연화점 81℃, 융점 102℃)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2)를 제작했다.Low-density polyethylene LDPE a (density 0.91 g / cm 3, chlorine content less than 1 mass%, beaker softening point 81 ° C., melting point 102 ° C.) synthesized by the metallocene polymerization method was melted at 140 ° C., and an extruder was used. Then, the support base material 12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11 was produced by shape | molding in elongate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2)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예 6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12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I made a sample of 6.

(1.13) 비교예 7(1.13) Comparative Example 7

(기재 필름(11)의 조제) (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일본 폴리캠사제 노바테크니컬 PP FW4B(폴리프로필렌)(밀도: 0.90 g/㎤, 비커트 연화점 96℃, 융점: 140℃)의 수지 비즈를 18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3)을 제작했다(표 2에서는「PP」로 약기했다).The resin beads of Nova Technical PP FW4B (polypropylene) (density: 0.90 g / cm 3, beaker softening point 96 ° C, melting point: 140 ° C) manufactured by Nippon Polycam were melted at 180 ° C, and the extruder was used to give a 100 μm long By shape | molding in a film form, the support base material 13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11 was produced (it abbreviated as "PP" in Table 2).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3)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예 7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13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I made a sample of 7.

(1.14) 비교예 8(1.14) Comparative Example 8

(기재 필름(11)의 조제)(Preparation of the base film 11)

JSR사제 다이나론 1320P(수소 첨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소 첨가율 90질량% 이상, 스티렌 함유량: 10질량%, 비중 0.89, MFR:3.5g/10min, 인장 강도:4.1MPa, 인장 신장:1300%, 유리 전이 온도: -50℃)의 수지 비즈를 140℃로 용융하고, 압출기를 사용해서 두께 100㎛의 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4)를 제작했다(표 2에서는 「엘라스토머」로 약기했다).Dynaron 1320P (hydrogenated styrene-butadiene copolymer, hydrogenation rate 90 mass% or more, styrene content: 10 mass%, specific gravity 0.89, MFR: 3.5 g / 10min, tensile strength: 4.1 MPa, tensile elongation: 1300%, made by JSR Corporation) The support substrate 14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11 was produced by melt | dissolving resin beads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50 degreeC at 140 degreeC, and shape | molding in elongate film shape of thickness 100micrometer using an extruder (table 2 abbreviated as `` elastomer '').

이 기재 필름(11)을 이루는 지지 기재(14)와, 점착제 조성물(1), 접착제 조성물(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예 8의 샘플로 했다.Using the support base material 14 which comprises this base film 11, the adhesive composition 1,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1, the tape 10 for a wafer process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Example 1, and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I made a sample of eight.

Figure 112011074192313-pat00001
Figure 112011074192313-pat00001

Figure 112011074192313-pat00002
Figure 112011074192313-pat00002

(2) 샘플의 평가(2) evaluation of samples

(2.1) 열전도율(2.1) thermal conductivity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사용한 각 기재 필름(11)에 대해서, 열전도율을 JIS A1412에 기초하고,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의 「열전도율」의 란에 나타내었다.About each base film 11 used by Examples 1-6 and Comparative Examples 1-8,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measured on condition of the following based on JISA1412. The result was shown in the column of "thermal conductivity" of Table 3.

측정 방법: 열절연체의 열저항 및 열전도율의 측정 방법-제1부: 보호 열판법(GHP법)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of Thermal Resistance and Thermal Conductivity of Thermal Insulators-Part 1: Protective Hot Plate Method (GHP Method)

측정 환경: 온도 25℃, 습도 50%Measuring environment: temperature 25 ℃, humidity 50%

(2.2) 외관(2.2) appearance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의 각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대해서, 상술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A)에 상당하는 하기의 반도체 가공 공정에 있어서의 적합성 시험을 실시했다.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below, each of the tapes for wafer processing of the above-mentioned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subjected to a conformance test in the following semiconductor processing step correspon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 of the semiconductor device described above.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a) Process of bond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in which the circuit pattern was formed.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운드 공정.(b) Background process of grinding the said semiconductor wafer back surface.

(c) 7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고, 동시에 웨이퍼 가공용 링 프레임을,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이 접착제층과 겹치지 않고 노출된 부분과 접합하는 공정.(c) While the semiconductor wafer is heated at 70 ° C.,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is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t the same time, the ring frame for wafer processing does not overlap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Bonding to exposed parts without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urface of the said semiconductor wafer.

(e)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분할 예정 부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상기 웨이퍼의 내부에 다광자 흡수에 의한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e) Process of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division scheduled part of the said semiconductor wafer, and forming the modified area | region by multiphoton absorption inside the said wafer.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10%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접착제층을 분단 라인을 따라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f) A step of dividing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adhesive layer along a dividing line by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by 10%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치지 않는 부분(반도체 칩이 존재하는 영역과 링 프레임 사이의 원환상의 영역)을 90℃ 혹은 120℃로 가열해서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해서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miconductor chip (a circular region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semiconductor chip is present and the ring frame) is heated and shrunk to 90 ° C or 120 ° C, thereby generating in the expansion process. Removing the relaxation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h)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상기 링 프레임에 붙여진 상태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외관 평가에 대해서, 상기 (f)의 공정 직전에 있어서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확장 전의 상태와, 상기 (g)의 공정 직후에 있어서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가열 후의 상태에 대해서 비교평가했다. 결과를 표 3의 「외관」의 란에 나타내었다. (f), (g) 공정의 조건으로서는, 익스팬드 속도 300㎜/sec, 익스팬드량(밀어 올림량)20mm, 가열 수축의 온풍 온도는 (1) 90℃, (2) 120℃로 했다. 또한, 표 3에 있어서,「○」은 익스팬드 전과 동등한 상태로 복원한 것을 나타내고, 「×」는 익스팬드 전과 비교하여 이완이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About the external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of the said Example and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state affixed on the said ring frame, in the state before tape expansion for a wafer process immediately before the process of said (f), and immediately after the process of (g) Compar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about the state after the tape heating for wafer processing. The result was shown in the column of "Appearance" of Table 3. As conditions of (f) and (g) process, the expansion speed | rate 300 mm / sec, the amount of expansion (push-up amount) 20 mm, and the warm air temperature of heat shrinkage were (1) 90 degreeC, and (2) 120 degreeC. In addition, in Table 3, "(circle)" shows the restoration in the state equivalent to before expansion, and "x" shows the relaxation generate | occur | produced compared with before expansion.

(2.3) 픽업 성공율(2.3) Pickup Success Rate

이하에 기술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의 각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대해서, 상술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A)에 상당하는 하기의 반도체 가공 공정에 있어서의 적합성 시험을 실시했다.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below, each of the tapes for wafer processing of the above-mentioned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subjected to a conformance test in the following semiconductor processing step correspon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 of the semiconductor device described above.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a) Process of bond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in which the circuit pattern was formed.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운드 공정.(b) Background process of grinding the said semiconductor wafer back surface.

(c) 7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고, 동시에 웨이퍼 가공용 링 프레임을,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이 접착제층과 겹치지 않고 노출된 부분과 접합하는 공정.(c) While the semiconductor wafer is heated at 70 ° C.,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is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t the same time, the ring frame for wafer processing does not overlap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Bonding to exposed parts without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urface of the said semiconductor wafer.

(e)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분할 예정 부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상기 웨이퍼의 내부에 다광자 흡수에 의한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e) Process of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division scheduled part of the said semiconductor wafer, and forming the modified area | region by multiphoton absorption inside the said wafer.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10%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접착제층을 분단 라인에 따라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f) A step of dividing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adhesive layer along the dividing line by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by 10%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치지 않는 부분(반도체 칩이 존재하는 영역과 링 프레임 사이의 원환상의 영역)을 90℃ 혹은 120℃로 가열해서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해서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miconductor chip (a circular region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semiconductor chip is present and the ring frame) is heated and shrunk to 90 ° C or 120 ° C, thereby generating in the expansion process. Removing the relaxation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h)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상기 링 프레임에 붙여진 상태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사용했을 경우의 픽업 평가로서, (h) 공정에 있어서의 수율(픽업 성공율)을 평가했다. (f), (g) 공정의 조건으로서는, 익스팬드 속도 300㎜/sec, 익스팬드량(밀어 올림량) 20mm, 가열 수축의 온풍 온도는 (1) 90℃, (2) 120℃로 했다.The yield (pickup success rate) in (h) process was evaluated as pickup evalua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of the said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state attached to the said ring frame. As conditions for (f) and (g) process, the expansion speed | rate 300 mm / sec, the amount of expansion (push-up amount) 20 mm, and the warm air temperature of heat shrinkage were (1) 90 degreeC, and (2) 120 degreeC.

(f) 공정에서는, 주식회사 디스코사제 DDS-2300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에 접합된 다이싱용 링 프레임을 주식회사 디스코사제 DDS-2300의 익스팬드 링에 의해 밀어 내리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웨이퍼 접합 부위 외주의 웨이퍼에 겹치지 않는 부분을 원형의 밀어 올림 부재로 압박하는 것으로 익스팬드를 실시했다. 또한, 익스팬드량이란, 밀어 내리기 전과 밀어 내린 후의 링 프레임과 밀어 올림 부재의 상대 위치의 변화량을 말한다. 또한, (g) 공정의 후 (h) 공정 전에,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기재 필름에 있어서의 점접착제층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하여, 메탈 할라이드 고압 수은등에 의해,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mW/㎠, 200mJ/㎠의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했다. 그리고, (h) 공정에서 다이싱된 칩 100개에 대해서 다이스 피커 장치(케논 머시너리사제, 상품명 CAP-300II)에 의한 픽업 시험을 행하고, 픽업 성공율을 구했다. 결과를 표 3의「픽업 성공률」의 란에 나타냈다.In the step (f), the dicing ring frame bonded to the wafer processing tape is pushed down by the expand ring of DDS-2300 manufactured by Disco Co., Ltd., using a DDS-2300 manufactured by Disco Co., Ltd. It expanded by pressing the part which does not overlap with a circular pushing-up member. In addition, an amount of expansion means the amount of change of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ing frame and the pushing-up member before pushing down and after pushing down. Further, after the step (g) and before the step (h), 30 mW in a nitrogen atmosphere with a metal halide high pressure mercury lamp on the surf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adhesive layer in the substrate film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is laminated.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under the conditions of / cm 2 and 200mJ / cm 2. And pick-up test by the dice picker apparatus (The Kennon Machinery Co., brand name CAP-300II) was performed about 100 chips diced at the process (h), and pick-up success rate was calculated | required. The result was shown to the column of "pickup success rate" of Table 3.

Figure 112011074192313-pat00003
Figure 112011074192313-pat00003

(3) 결론(3) Conclusion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수축 후의 외관의 평가 결과로부터, 기재 필름으로서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인 열가소성 가교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6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 가열 수축에 의해도 이완이나 파단을 발생하지 않는 것이 명백하였다. 또한, 픽업 성공율의 평가로부터, 양호한 픽업성을 갖는 것도 명백하였다. 이에 대해, 기재 필름으로서 열전도율이 0.15W/mㆍK 미만인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8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 가열 수축 후의 외관의 평가의 결과로부터, 가열 수축에 의한 이완이나 파단이 발생한다. 또한, 픽업 성공율의 평가로부터 픽업성이 나쁜 것이 명확해졌다.As shown in Table 3, from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appearance after the heat shrinkage, the tapes for wafer processing of Examples 1 to 6 using the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0.15 W / m · K or more as the base film were relaxed even by heat shrinkage. It was clear that no break occurred. Moreover, it was also clear from the evaluation of pick-up success rate that it has favorable pick-up property. On the other hand,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of the comparative examples 1-8 which used the thermoplastic resin whose thermal conductivity is less than 0.15 W / m * K as a base film produces the relaxation and breakage by heat shrink from the result of evaluation of the appearance after heat shrink. . Moreover, it became clear from the evaluation of pick-up success rate that pick-up property was bad.

이상의 결과로부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의 기재 필름(11)으로서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인 열가소성 가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가열 수축성, 픽업성의 관점에 있어서 유용하다.From the above results, it is useful to use a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0.15 W / m · K or more as the base film 11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10 from the viewpoint of heat shrinkability and pickup properties.

또한, 상술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B 내지 D는,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이미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단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에 있어서의 익스팬드 공정, 가열 수축 공정, 픽업 공정과 동등한 공정을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8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사용했을 경우의 결과는, 표 3에 나타낸 결과와 동등한 결과로 되는 것은 명백하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B 내지 D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10)를 사용하는 것은 가열 수축성, 픽업성의 관점에 있어서 유용하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에 개시한 기재 필름(11)은, 염소 원자의 함유량이 1질량% 미만으로, 사용 후에 소각 처분해도 다이옥신이나 그의 유사체인 염소화 방향족 탄화수소가 발생해서 환경에 부하를 주는 일은 없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s B-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entioned above are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A of a semiconductor device, the heat shrink process, except that it is already divided | segmented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in an expansion process. The process equivalent to the pick-up process is performed.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results when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of Examples 1-6 and Comparative Examples 1-8 are used are equivalent to the result shown in Table 3, and manufacturing methods B-D of a semiconductor device are shown. Also in the case of using the tape 10 for wafe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seful from the viewpoint of heat shrinkability and pickup properties. In addition, the base film 11 disclosed in Examples 1 to 6 has a content of chlorine atoms of less than 1% by mass, and even when incinerated after use, dioxin or a chlorinated aromatic hydrocarbon that is an analog thereof generates a load on the environment. none.

10 :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11 : 기재 필름
12 : 점착제층
13 : 접착제층
14 : 표면 보호 테이프
20 : 링 프레임
21 : 스테이지
22 : 밀어 올림 부재
25 : 히터 테이블
26 : 흡착 테이블
27 : 자외선 광원
28 : 가열 수축 영역
29 : 온풍 노즐
10: Tape for Wafer Processing
11: base film
1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adhesive layer
14: surface protection tape
20: ring frame
21: stage
22: pushing up member
25: heater table
26: adsorption table
27: ultraviolet light source
28: heat shrink zone
29: hot air nozzle

Claims (10)

익스팬드(expand)에 의해 접착제층을 칩을 따라 분단할 때에 이용하는, 익스팬드 가능한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이며,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갖고,
상기 기재 필름은, 열전도율이 0.15W/mㆍK 이상인 열가소성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It is an expandable wafer processing tape used when dividing an adhesive bond layer along a chip by an expand,
Base film,
It has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said base film, and the adhesive bond layer formed on the said adhesive layer,
The said base film consists of a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whose thermal conductivity is 0.15 W / m * K or more,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가 에틸렌-(메트)아크릴산 2원 공중합체를 금속 이온으로 가교시킨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he wafer processing ta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comprises an ionomer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n ethylene- (meth) acrylic acid binary copolymer with metal 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가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3원 공중합체를 금속 이온으로 가교시킨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he wafer processing ta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comprises an ionomer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n ethylene- (meth) acrylic acid- (meth) acrylic acid alkyl ester terpolymer with metal 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가 비중이 0.910 이상 내지 0.930 미만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전자선 조사에 의해 가교시킨 수지, 또는 비중이 0 초과 내지 0.910 미만인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전자선 조사에 의해 가교시킨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is a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 low 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0.910 or more and less than 0.930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or a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n ultralow 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0.910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Tape for wafer processing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전자선 조사에 의해 가교시킨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he wafer processing ta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is a resin obtained by crosslinking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가교 수지는, 염소 원자의 함유량이 1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thermoplastic crosslinked resin has a content of chlorine atoms of less than 1% by mas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
(c)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
(e)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분할 예정 부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웨이퍼의 내부에 다광자 흡수에 의한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접착제층을 분단 라인을 따라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bonding the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b) a backgrinding process for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le hea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t 70 to 80 ° C;
(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e)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 portion to be divided of the semiconductor wafer to form a modified region by multiphoton absorption in the wafer;
(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adhesive layer along a dividing line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ontaining thes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
(c)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
(e)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 분단 라인을 따라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단하는 공정과,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반도체 칩마다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bonding the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b) a backgrinding process for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le the semiconductor wafer is heated at 70 to 80 ° C;
(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e) irradiating laser light along the dividing line from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dividing it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adhesive layer for each of the semiconductor chips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ontaining thes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
(a)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
(c)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
(d)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
(e) 다이싱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분단 라인을 따라 절삭하여,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단하는 공정과,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반도체 칩마다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bonding the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b) a backgrinding process for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hile the semiconductor wafer is heated at 70 to 80 ° C;
(d)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e) cut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long a dividing line using a dicing blade to divide the semiconductor wafer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adhesive layer for each of the semiconductor chips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ontaining thes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는,
(a) 다이싱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회로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를 분단 라인 예정 라인을 따라 웨이퍼의 두께 미만의 깊이까지 절삭하고,
(b)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접합하는 공정과,
(c) 상기 반도체 웨이퍼 이면을 연삭하여 개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단하는 백그라인드 공정과,
(d) 70 내지 80℃로 반도체 웨이퍼를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반도체 칩의 이면에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접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과,
(e) 상기 반도체 웨이퍼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테이프를 박리하는 공정과,
(f)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를 익스팬드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반도체 칩마다 분단하여 상기 접착제층이 붙은 복수의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과,
(g) 상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상기 반도체 칩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이완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간격을 유지하는 공정과,
(h) 접착제층이 붙은 상기 반도체 칩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의 점착제층으로부터 픽업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cutting the semiconductor wafer on which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using a dicing blade along a dividing line predetermined line to a depth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wafer;
(b) bond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to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c) a backgrinding step of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dividing it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d) bond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wafer process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while heating the semiconductor wafer at 70 to 80 ° C;
(e) peeling a surface protection tape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surface;
(f) expanding the wafer processing tape to divide the adhesive layer for each of the semiconductor chips to obtai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with the adhesive layer;
(g) heat shrinking a portion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miconductor chip to remove the loosening generated in the expand process to maintain the gap of the semiconductor chip;
(h) process of picking up the said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bond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of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The tape for a wafer process used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ontaining these.
KR1020110096122A 2011-09-23 2011-09-23 Wafer processing tape Active KR101314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122A KR101314398B1 (en) 2011-09-23 2011-09-23 Wafer processing t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122A KR101314398B1 (en) 2011-09-23 2011-09-23 Wafer processing t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498A KR20130032498A (en) 2013-04-02
KR101314398B1 true KR101314398B1 (en) 2013-10-04

Family

ID=4843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122A Active KR101314398B1 (en) 2011-09-23 2011-09-23 Wafer processing t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3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4223B2 (en) * 2014-03-26 2018-05-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Adhesive sheet
CN118448331B (en) * 2024-07-05 2024-10-15 武汉新芯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Carrier film, wafer cutting device and wafer cutt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863A (en) * 1997-06-12 1999-01-25 쇼지 고메이 Method for die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die bonding apparatus therefor
JP2007053325A (en) 2005-07-20 2007-03-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Dicing die bond tape and dicing tape
JP2009231700A (en) 2008-03-25 2009-10-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Wafer processing ta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863A (en) * 1997-06-12 1999-01-25 쇼지 고메이 Method for die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die bonding apparatus therefor
JP2007053325A (en) 2005-07-20 2007-03-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Dicing die bond tape and dicing tape
JP2009231700A (en) 2008-03-25 2009-10-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Wafer processing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498A (en)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160B1 (en) Wafer processing tape
KR101545805B1 (en) Wafer-processing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JP5731080B2 (en) Adhesive tape and wafer processing tape
KR20110087302A (en) Peel-off method of the surface protection tape for dicing and the surface protection tape for dicing
JP2012174945A (en) Processing method of semiconductor wafer
JP2009231700A (en) Wafer processing tape
KR20100119725A (en) Die attach film-provided dicing tape and production process of semiconductor device
JP5554351B2 (en) Wafer processing tape
JP6306362B2 (en) Extensible sheet and laminated chip manufacturing method
JP2009164556A (en) Tape for processing wafer
JP5582836B2 (en) Dicing die bonding tape
JP2011224853A (en) Film, and adhesive/bonding sheet
JP5603453B1 (en) Adhesive tape for semiconductor wafer protection
JP2009094127A (en) Film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wafer
KR20100097155A (en) Adhesive tape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wafer
JP5323779B2 (en) Wafer processing tape
JP2011129606A (en) Method of processing semiconductor wafer
JP2010182761A (en) Film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wafer and base film of the same
JP2009231570A (en) Wafer processing tape
KR101314398B1 (en) Wafer processing tape
JP2009200076A (en) Tape for processing wafer
CN103013365A (en) Belt for wafer processing
JP6800062B2 (en) Adhesive tape
JP2010232611A (en) Wafer processing tape
TWI461498B (en) Cut sticky ribb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