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97887B1 - 풍력 발전 장치, 기어 전달 기구 및 기어 맞물림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 장치, 기어 전달 기구 및 기어 맞물림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887B1
KR101297887B1 KR1020117012285A KR20117012285A KR101297887B1 KR 101297887 B1 KR101297887 B1 KR 101297887B1 KR 1020117012285 A KR1020117012285 A KR 1020117012285A KR 20117012285 A KR20117012285 A KR 20117012285A KR 101297887 B1 KR101297887 B1 KR 10129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gear
gear
controller
pinion
gea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4109A (ko
Inventor
나오따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8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12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04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for orientation in relation to wind dir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4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compensation, e.g. for backlash, overshoot, tool offset, tool wear, temperature, machine construction errors, load, inert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12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16H2057/121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parallel torque paths and means to twist the two path against each other
    • F16H2057/122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parallel torque paths and means to twist the two path against each other by using two independent drive sources, e.g. electri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23Backlash take-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87Rotary bodies
    • Y10T74/19893Sectional
    • Y10T74/19898Backlash take-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날개의 날개 피치 가변 기구, 또는 너셀 선회 기구에 기어 전달 기구의 기어 사이에 발생하는 백래쉬(기어 간극)분의 맞물림의 유격을 없애고, 치면의 미끄럼이나 충격으로부터 발생하는 기어 치면의 손상을 억제하여 기어 전달 기구의 장기 수명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하나의 대기어(18)에 각각 맞물리는 제1 피니언 기어(20a) 및 제2 피니언 기어(20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피니언 기어(20a) 및 제2 피니언 기어(20b)는 제1 구동 모터(32a) 및 제2 구동 모터(32b)로 구동된다. 컨트롤러(36)에 의해, 내기어(18)와 제1 피니언 기어(20a) 사이의 백래쉬의 간극 내에서 내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맞물림이 덜걱거리지 않도록 맞물림을 제어하여, 외력이 회전 날개(16)에 작용해도, 기어 기구에 미끄럼이나 충격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풍력 발전 장치, 기어 전달 기구 및 기어 맞물림 제어 방법{WIND TURBINE GENERATOR, GEAR TRANSMISSION MECHANISM, AND METHOD OF CONTROLLING ENGAGEMENT OF GEARS}
본 발명은 타워에 요 제어 가능하게 지지된 너셀부, 또는 허브에 날개 피치 제어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구비한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날개 피치 제어, 혹은 요 제어를 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어 전달 기구 및 기어의 맞물림 제어 방법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되는 축측에 설치된 대기어와, 상기 기어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구동용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 전달 기구와, 그 기어의 제어 방법 및 그들 기어, 제어 방법을 구비한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1에 의해, 풍력 발전 장치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풍력 발전 장치(100)는, 기초(B) 상에 수직 설치된 타워(102)와, 타워(102)의 상단부에 설치된 너셀부(104)와, 너셀부(104)에 설치된 허브부(106)와, 상기 허브부(106)에 설치된 복수매의 회전 날개(108)로 구성되어 있다.
너셀부(104)는 로터 허브부(106)를 지지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회전축(110)이나 발전기(112)를 수납하고 있다. 회전축(110)은 로터 허브부로부터 발전기측으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풍력 발전 장치에 있어서, 날개(108)의 로터 허브부(106)에 대한, 날개 피치축 중심의 날개 피치의 제어, 또는 너셀부(104)의, 타워(102)에 대한 요 제어가 행해지고, 이들 제어를 기어 기구를 통해 행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허 문헌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가변 피치 기구를 도 12에 의해 설명한다. 이 가변 피치 기구(120)는 회전 날개(108)의 블레이드 링(122)의 내주에 형성된 내기어(122a)와, 상기 내기어(122a)의 내주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4)와, 상기 피니언 기어(124)를 구동하는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136)를 구비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124)를 회전시켜, 회전 날개(108)의 피치를 바꾸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회전 날개의 근원부에 날개의 피치 축심 주위에 다수의 축이 설치되어, 거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다수의 유성 기어를 배치한 유성 기어식 동력 전달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유성 기어가 공전 및 자전하여, 회전 날개의 움직임을 로터로 전달하는 동시에, 링 형상의 모터의 회전 부재에 의해 유성 기어의 자전을 제어하여 날개의 피치 제어가 행해지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22070호 공보 미국 특허 공개 제2009/0016885A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과 같은 1개의 피니언 기어를 사용한 날개 피치 제어, 또는 특허 문헌 2와 같은 복수의 피니언 기어를 사용한 날개 피치 제어에 있어서도, 날개 피치의 제어에 기어 전달 기구를 사용하면, 기어 사이에는 백래쉬(기어 간극)를 갖고 있으므로, 피니언 기어를 정지하고, 날개 피치를 고정해도, 외력에 의해 그 기어 간극분의 유격에 의한 피치의 미소 요동이 발생하여, 치면의 미끄럼이나 충격으로부터 기어 치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풍력 발전 장치의 회전 날개는 회전 및 바람에 의한 외력을 항상 교번하면서 받고 있으므로, 백래쉬분의 변동에 의해 이의 미끄럼, 충돌이 반복해서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되면, 치면을 파손되기 쉽다. 또한, 풍력 발전 장치는 해마다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고, 대형의 풍차에서는 회전 날개가 받는 외력도 크고, 치면에 가하는 힘도 필연적으로 커져, 그만큼 이들 기어 전달 기구가 손상을 받을 우려가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와 같은 회전 날개의 가변 피치 기구 부분뿐만 아니라, 유사한 기구를 가진 너셀 회전 제어(요 제어) 부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즉, 요 제어 기구는, 너셀 저부에 배치된 베어링에 대기어가 형성되고, 이 대기어에 피니언 기어가 맞물려, 피니언 기어의 회전으로 요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풍력 발전 장치에서는 너셀의 방향(요)을 고정하고 있는 경우, 기어 기구뿐만 아니라, 유압의 브레이크를 배치하여, 기어 백래쉬 분의 요동을 멈추고 있지만, 제동하는 브레이크가 걸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바람 외력이나 풍력 발전 장치의 동적인 힘에 의해, 요 제어 기어 기구의 백래쉬분만큼 미끄러져, 충격에 의한 힘이 치면에 부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전 날개의 날개 피치 가변 기구, 또는 너셀 선회 기구에 기어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풍력 발전 장치에 있어서, 기어 사이에 발생하는 백래쉬(기어 간극)분의 맞물림의 유격을 없애도록 기어의 맞물림을 제어하고, 치면의 미끄럼이나 충격으로부터 발생하는 기어 치면의 손상을 억제하여 기어 전달 기구의 장기 수명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의 풍력 발전 장치의 기어 전달 기구는 날개 피치 가변 기구 또는 너셀 선회 기구에 사용되는 풍력 발전 장치의 기어 전달 기구에 있어서, 각각 독립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1개의 대기어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피니언 기어를 개별로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피니언 기어의 동작 중 또는 정지 중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대기어 사이에 형성되는 백래쉬분의 맞물림의 유격을 없애도록 기어의 맞물림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발명의 기어 전달 기구의 기어 맞물림 제어 방법은 풍력 발전 장치의 날개 피치 가변 기구 또는 너셀 선회 기구에 사용되는 기어 전달 기구의 기어 맞물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어 전달 기구를 각각 독립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1개의 대기어에 의해 구성하여, 상기 복수의 피니언 기어를 개별로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피니언 기어의 동작 중 또는 정지 중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기어 사이에 형성되는 백래쉬분의 맞물림의 유격을 없애도록 맞물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 발명 및 제2 발명에 따르면, 독립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기어와의 맞물림부에 형성되는 백래쉬에 대해, 복수의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개별로 제어하고, 복수의 피니언 기어의 동작 중 또는 정지 중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기어 사이에 형성되는 백래쉬분의 미소 간극 내에서 맞물림에 유격(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맞물림을 제어한다.
날개 피치 제어 또는 요 제어에 있어서, 제어 중, 정지 이행 중, 특히 정지 후에 있어서,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하나의 대기어 사이에 형성되는 백래쉬의 미소 간극분의 유격(덜걱거림)이 억제되므로, 치면의 미끄럼이나 충격으로부터 발생하는 기어 치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기어 전달 기구를 장기 수명화할 수 있다.
제1 발명의 풍력 발전 장치의 기어 전달 기구에 있어서,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하나의 대기어의 백래쉬를 없애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작동을 달성하는 기구가 생각되고, 또는 제2 발명의 기어 전달 기구의 기어 맞물림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하나의 대기어의 백래쉬를 없애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작동을 달성하도록 제어 방법이 생각된다. 특히, 정지할 때에 백래쉬를 없애는 것이 중요하고, 하기의 제어는 조합하여 동시에 채용해도 좋고, 어느 하나라도 좋다.
(1) 동작 중 또는 정지 이행 시에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 사이에서 주속(周速) 속도차를 갖게 하여 통상의 백래쉬를 없애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동작 중으로부터 정지 이행 시에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의 정지 시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백래쉬를 없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동작 중으로부터 정지한 후에, 제1 피니언 기어의 정지 후에, 제2 피니언 기어의 회전 방향을 역회전시킴으로써 백래쉬를 없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발명은 상기한 기어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이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날개 피치 가변 기구 및 너셀 선회 기구의 피치 제어를 행하는 기어 전달 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풍력 발전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독립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하나의 대기어의 맞물림부에 형성되는 백래쉬에 대해, 기어 사이에 발생하는 백래쉬(기어 간극)의 미소한 간극분의 맞물림 유격(덜걱거림)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치면의 미끄럼이나 충격으로부터 발생하는 기어 치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 수명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날개 피치 제어 기구의 부분인 경우, 날개 피치 제어의 운전 시, 또는 정지 이행 시, 기어에 맞물리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 사이에, 주속 속도차를 갖게 하거나, 또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 사이의 정지 시기를 다르게 한다. 또한, 복수의 피니언 기어의 정지 후에, 일부의 피니언 기어의 회전 방향을 역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피니언 기어와 상기 기어 사이에 형성되는 백래쉬분의 맞물림의 유격을 없애도록 맞물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백래쉬분의 맞물림 유격(덜걱거림)의 발생이 억제되고, 치면의 미끄럼이나 충격으로부터 발생하는 기어 치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 수명화할 수 있다.
또한, 제3 발명에 따르면, 날개 피치 가변 기구의 날개 피치 제어 및 너셀 선회 기구의 요 제어를 행하는 기어 전달 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풍력 발전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어 전달 기구를 날개 피치 제어 기구 부분에 적용한 경우를, 날개의 일부 절단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 중의 X부의 확대 단면도 및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의 (A)는 도 2 중 Y화살표도이고, (B)는 (A)의 일부 확대도.
도 4는 제1 본 발명 장치의 각 실시 형태의 기어 맞물림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제어 흐름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제어 흐름도.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제어 흐름도.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제어 흐름도.
도 9는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어 전달 기구를 너셀 선회 기구에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 중 Y화살표 대응도.
도 11은 풍력 발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종래의 풍력 발전 장치의 가변 피치 기구를 도시하는 구성도.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제1 본 발명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풍력 발전 장치(10)는 너셀부(12)의 전방에 설치된 허브부(14)의 내부에서, 회전 날개(16)의 블레이드 링(30)의 내주에 내기어(18)가 형성되고, 상기 내기어(18)에 각각 맞물리는 제1 피니언 기어(20a) 및 제2 피니언 기어(20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피니언 기어(20a) 및 제2 피니언 기어(20b)에는 각각 피니언축(22a 및 22b)이 고착되어 있다.
도 2는 날개 피치 가변 기구(41)를 도시하고, 도 2에 있어서, 허브부(14)의 상부에 볼트(24)로 베어링 지지부(26)가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지지부(26)의 내주측에 베어링(28)을 통해 회전 날개(16)의 블레이드 링(3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 링(30)의 내측에는 대경의 내기어(18)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A)에 있어서, 회전 날개(16)의 블레이드 링(30)의 내측에는 제1 피니언 기어(20a)와 제2 피니언 기어(20b)가, 블레이드 링(30)의 중심(O)에 대해 축대칭으로 배치되어, 내기어(18)와 맞물려 있다. 여기서, O1은 제1 피니언 기어(20a)의 축심이고, O2는 제2 피니언 기어(20b)의 축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피니언 기어(20a)와 제2 피니언 기어(20b)는 동일 직경이지만, 이들 피니언 기어는 다른 직경이라도 좋다. 또한, 제1 피니언 기어(20a)와 제2 피니언 기어(20b)는 축 대칭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좋고, 피니언 기어가 3개 이상 배치되어도 좋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부(14)의 내측 부위(14a)에는 제1 구동 모터(32a) 및 제2 구동 모터(32b)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1 피니언 기어(20a)의 피니언축(22a)은 내측 부위(14a)에 천공된 구멍(34)에 삽입되어, 제1 구동 모터(32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피니언 기어(20b)의 피니언축(22b)은 구멍(34)에 삽입되어, 제2 구동 모터(32b)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구동 모터(32a)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회전 날개(16)의 피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바람의 방향이나 강도 등에 따라서, 제1 구동 모터(32a)를 구동시키고, 제1 피니언 기어(20a)에 맞물리는 내기어(18)를 통해, 회전 날개(16)의 각도를 날개각 개방(증대) 방향 혹은 날개각 폐쇄(감소)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컨트롤러(36)는 그 출력 신호에 의해, 제1 구동 모터(32a) 및 제2 구동 모터(32b)의 가동을 제어한다. 제1 구동 모터(32a)와 제2 구동 모터(32b)는 컨트롤러(36)에 의해, 각각 별개로 운전 제어된다.
컨트롤러(36)에는 타이머(38)로부터 시간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인코더(39)는 피니언축(22a)과 피니언축(22b)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 변위를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컨트롤러(36)에 입력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회전 날개(16)의 피치를 제어하는 피치 가변 제어 장치(40)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 모터(32a)에 의해 제1 피니언 기어(20a)가 화살표 N1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시에, 제2 구동 모터(32b)에 의해 제2 피니언 기어(20b)가 화살표 N1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들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내기어(18)가 화살표 N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날개(16)의 날개 피치 제어를 행한다. 이때,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기어(18)와 제1 피니언 기어(20a)의 맞물림부에서는, 내기어(18)의 이(1S)와, 제1 피니언 기어(20a)의 이(2S) 사이에 백래쉬(C)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의 (B) 중 2q는 제1 피니언 기어(20a)의 기준 피치원을 나타낸다.
다음에, 컨트롤러(36)에 의한 제어 수순을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 중, A는 제1 피니언 기어(20a)의 주속도를 나타내고, B는 제2 피니언 기어(20b)의 주속도를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우선 풍력 발전 장치(10)의 운전이 개시되어(스텝 S10), 컨트롤러(36)로부터 가변 피치 제어 개시 지령이 내려진다(스텝 S11).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20a, 20b)는 N1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내기어(18)는 N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그 후, 컨트롤러(36)로부터 가변 피치 제어의 정지 지령이 내려지면(스텝 S12), 컨트롤러(36)로, 제2 피니언 기어(20b)의 주속도 B의 감속 지령(스텝 S13)을 낸다.
즉, 제1 피니언 기어(20a)의 주속도 A에 대해서는 감속 지령을 내지 않고 제2 피니언 기어(20b)의 주속도 B만 감속 지령(스텝 S13)을 내는 것에 의해 주속도 차를 부여한다.
주속도 차가 발생하기 위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정하여(스텝 S14), 일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으면, 제1 구동 모터(32a) 및 제2 구동 모터(32b)에 브레이크를 걸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제1 피니언 기어(20a)와 제2 피니언 기어(20b)를 정지시킨 상태로 한다(스텝 S15).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날개의 가변 피치 제어의 정지 시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기어(18)와 제1 피니언 기어(20a) 사이의 백래쉬(C) 및 내기어(18)와 제2 피니언 기어(20b) 사이의 백래쉬(C)의 간극 내에서 덜걱거리지 않도록 맞물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회전 날개(16)가 풍력을 받아도, 내기어(18)나 피니언 기어(20a, 20b)에 큰 충격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어 전달 기구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 장기 수명화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장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고, 컨트롤러(36)에 의한 제어만이 다르다. 복수의 피니언의 구동 시간에 차를 마련한 것이다.
그 제어 수순을 도 6에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스텝 S20으로부터 스텝 S22까지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 수순이다. 그 후, 컨트롤러(36)로, 제1 피니언 기어(20a)의 정지까지의 시간 T1과 제2 피니언 기어(20b)의 정지까지의 시간 T2를 각각 다르게 하여, 예를 들어 T1>T2로 설정하고(스텝 S23), 그것에 따라서 제1 구동 모터(32a) 및 제2 구동 모터(32b)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또한, T1, T2의 설정은 피치 제어 정지 지령이 있기 전에 미리 설정하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T1>T2로 설정하였는지를 판정(스텝 S24)하여,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S24로 돌아가 시간을 경과시키고, 도달하고 있으면, 제1 구동 모터(32a) 및 제2 구동 모터(32b)에 모터 브레이크를 걸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제1 피니언 기어(20a)와 제2 피니언 기어(20b)를 정지시킨 상태로 한다(스텝 S25).
이와 같이, 피치 제어 개시 후, 제2 피니언 기어(20b)를 제1 피니언 기어(20a)보다 먼저 정지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기어(18)와 제1 피니언 기어(20a) 사이의 백래쉬(C) 및 내기어(18)와 제2 피니언 기어(20b) 사이의 백래쉬(C)의 간극 내에서 덜걱거리지 않도록 맞물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회전 날개(16)가 풍력을 받아도, 기어 전달 기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어 기구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 장기 수명화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실시 형태를 도 7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장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고, 컨트롤러(36)에 의한 제어만이 다르다. 그 제어 수순을 도 7에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스텝 S30으로부터 스텝 S32까지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 수순이다. 컨트롤러(36)로부터 가변 피치 제어의 정지 지령이 내려지면(스텝 S32), 제1 피니언 기어(20a) 및 제2 피니언 기어(20b)는 회전을 정지하고, 그 주속도를 각각 0으로 한다(스텝 S33).
다음에, 제2 피니언 기어(20b)만을 일정 시간만큼, 동작 시와 역회전한다(스텝 S34).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 제1 구동 모터(32a) 및 제2 구동 모터(32b)에 브레이크를 걸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제1 피니언 기어(20a)와 제2 피니언 기어(20b)를 정지시킨 상태로 한다(스텝 S35).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가변 피치 제어의 정지 후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기어(18)와 제1 피니언 기어(20a) 사이의 백래쉬(C) 및 내기어(18)와 제2 피니언 기어(20b) 사이의 백래쉬(C)의 간극 내에서 덜걱거리지 않도록 맞물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회전 날개(16)가 풍력을 받아도, 내기어(18)나 피니언 기어(20a, 20b)에 큰 충격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어 전달 기구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 장기 수명화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제1 본 발명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스텝 S40으로부터 스텝 S42까지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 수순이다. 그 후, 컨트롤러(36)로, 인코더(39)로 계측하는 제1 피니언 기어(20a)의 주속도 A의 값 L1 및 제2 피니언 기어(20b)의 주속도 B의 값 L2를 설정한다(이 경우 L1>L2)(스텝 S43). 또한, L1, L2의 설정은 피치 제어 정지 지령이 있기 전에 미리 설정해 두어도 좋다.
계속해서, 타이머(38)로부터의 시간을 기초로 피치 제어 개시로부터 설정 시간 Ta까지를, 제1 피니언 기어(20a) 및 제2 피니언 기어(20b)의 주속도를 모두 L1로 제어하고, 설정 시간 Ta 후 Ts까지를 제2 피니언 기어(20b)의 주속도만을 L2로 제어한다(스텝 S44). 그리고, 제1 구동 모터(32a) 및 제2 구동 모터(32b)에 모터 브레이크를 걸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제1 피니언 기어(20a)와 제2 피니언 기어(20b)를 정지시킨 상태로 한다(스텝 S45).
이 주속도 제어 과정을 도 8의 (B)에 도시한다.
이와 같이, 제2 피니언 기어(20b)의 회전 주속도 B를 제1 피니언 기어(20a)의 주속도 A보다 먼저 감속시킴으로써, 피치 제어 정지 후에, 내기어(18)와 제1 피니언 기어(20a) 사이의 백래쉬(C) 및 내기어(18)와 제2 피니언 기어(20b) 사이의 백래쉬(C)의 간극 내에서 덜걱거리지 않도록 맞물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회전 날개(16)가 풍력을 받아도, 기어 전달 기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어 기구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 장기 수명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피니언 기어(20a)와 제2 피니언 기어(20b)를 동시에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정지한 제2 피니언 기어(20b)에 제1 피니언 기어(20a)의 회전 계속에 의한 하중이 부가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양 피니언 기어 및 제1 구동 모터(32a), 제2 구동 모터(32b)에 여분의 힘이 부가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제5 실시 형태를 도 9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요 제어에 관한 너셀 선회 기구를 구비한 풍력 발전 장치(50)에 적용된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너셀 선회 기구(52)는, 제1 요 모터(56a)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피니언 기어(54a)와, 상기 제1 피니언 기어(54a)에 맞물리는 내기어(58)를 구비하여, 제1 요 모터(56a)를 구동하면, 제1 피니언 기어(54a)가 회전하여, 너셀부(12)가 선회한다.
너셀 저부에 배치된 베어링(12)의 내륜(12a)에 내주에 형성된 내기어(58)에는 제1 피니언 기어(54a)와 제2 피니언 기어(54b)가 축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피니언 기어(54a)와 제2 피니언 기어(54b)는 동일 직경이지만, 다른 직경이라도 좋다.
제1 요 모터(56a)와는 별개로 또한 별도의 계통으로 제어되는 제2 요 모터(56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요 모터(56b)에는 제2 피니언 기어(54b)가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60)는 제1 요 모터(56a) 및 제2 요 모터(56b)에 각각 전기 접속되고, 상기 제1 요 모터(56a) 및 제2 요 모터(56b)는 컨트롤러(6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즉, 컨트롤러(60)에 의해, 제1 피니언 기어(54a)와 제2 피니언 기어(54b)가 각각 별개로 가동 또는 정지된다.
컨트롤러(60)에는 타이머(64)로부터 시간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인코더(62)는 제1 요 모터(56a) 및 제2 요 모터(56b)의 단위 시간당의 변위의 검출을 행하여, 그 검출 신호를 컨트롤러(60)에 입력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너셀부(12)의 요 선회를 제어하는 너셀 선회 제어 장치(53)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피니언 기어(54a), 제2 피니언 기어(54b), 제1 요 모터(56a), 제2 요 모터(56b) 및 내기어(58)가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제1 피니언 기어(20a), 제2 피니언 기어(20b), 제1 구동 모터(32a), 제2 구동 모터(32b) 및 내기어(18)에 상당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너셀 선회 기구(52)의 기어 기구에 있어서도, 회전 날개(16)에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백래쉬에 기인한 큰 충격력이 발생하여, 상기 기어 기구의 파손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너셀 선회 제어 장치(53)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피치 가변 제어 장치(40)와 동일한 조작 수순을 행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제6 실시 형태를 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도 1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도 3의 (A)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0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의 가변 피치 기구(70)에 있어서는, 허브부(14) 내에 수납되고, 회전 날개(16)와 일체의 구동륜(72)은 원환상을 이룬 구동륜(72)의 내주 하부에 내기어(74)가 형성되어 있다. 내기어(74)에는 제1 피니언 기어(76a)와 제2 피니언 기어(76b)가, 회전 날개(16)의 하부 중심(O)에 대해, 축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피니언 기어(40a)의 직경이, 제2 피니언 기어(40b)보다도 크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기어(74)의 회전수를 N으로 하고, 제1 피니언 기어(40a)의 회전수를 N1로 하고, 백래쉬 제어용 제2 피니언 기어(76b)의 회전수를 N2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기어 기구를 구비한 가변 피치 기구(70)에 있어서도,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상기 기어 전달 기구에 가해지는 백래쉬(C)에 기인한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니언 기어(40a)와 제2 피니언 기어(40b)의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피니언 기어의 주속도 차를 얻기 쉬워, 제2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의 주속도 차를 생성하는 제어를 간단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피니언 기어(76b)를 소경으로 한 것에 의해, 백래쉬 제어용 제2 피니언 기어(76b)를 소형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제2 피니언 기어(76b)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기구 및 그 구동 기구를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니언 기어(76a)와 제2 피니언 기어(76b)는 반드시 축 대칭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은 회전 날개의 가변 피치 기구 또는 요 제어 기구에 기어 전달 기구를 구비한 풍력 발전 장치에 있어서, 기어 사이에 발생하는 백래쉬(기어 간극)의 간극 내에서의 유격이 없도록 맞물리게 하여, 이들 기어 전달 기구의 손상을 방지하여, 장기 수명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풍력 발전 장치로의 이용에 적합하다.

Claims (10)

  1. 회전 날개의 블레이드 링의 내주측 또는 너셀 선회 기구의 링 내주측인 선회링에 설치된 내기어와,
    상기 내기어와 맞물리고, 각각 독립된 구동 모터에 연결된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컨트롤러에 시간 신호를 입력시키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시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 변위 신호를 검지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에 의해 단위 시간당의 회전 변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구동 모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피니언 기어를 독립하여 회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회링 정지 이행 시에, 복수의 피니언 기어 중 적어도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 사이의 상호 감속량 또는 감속 타이밍이 달라지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의 적어도 한쪽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감속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감속 수단의 감속 타이밍을 제어하여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 사이의 상호 감속 또는 정지 시기를 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회링 정지 이행 시에, 상기 복수의 피니언 기어 중 제1 피니언 기어의 주속도(A)에 대해서는 감속 지령을 내지 않고 제2 피니언 기어의 주속도(B)만 감속 지령을 내는 것에 의해 양 기어 사이에 주속(周速) 속도차를 부여하는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의 직경을 다르게 하는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회링 정지 이행 시에, 대경의 제1 피니언 기어의 주속도(A)에 대해서는 감속 지령을 내지 않고 소경의 제2 피니언 기어의 주속도(B)만 감속 지령을 내는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인코더에 의한 단위 시간당의 회전 변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피니언 기어의 주속도(A)와 제2 피니언 기어의 주속도(B)가 각각 제로인 것을 검지한 후 제2 피니언 기어만을 일정 시간만큼 동작 시와 역회전한 후에,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를 정지시킨 상태로 하는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계측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선회링 정지 이행 후 T2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복수의 피니언 기어 중 제2 피니언 기어를, T1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1 피니언 기어를 순차 정지시키는 (T1 > T2)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회링 정지 이행 시에, 상기 타이머에 의해 계측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피니언 기어 중 제1 피니언 기어의 감속까지의 시간 Ta와 제2 피니언 기어의 감속까지의 시간 Tb를 각각 다르게(Ta > Tb)함으로써 양 기어 사이에 주속 속도차를 부여하는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를 동시에 정지시키는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17012285A 2010-05-31 2010-05-31 풍력 발전 장치, 기어 전달 기구 및 기어 맞물림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97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9225 WO2011151887A1 (ja) 2010-05-31 2010-05-31 風力発電装置、歯車伝達機構、および歯車噛み合い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109A KR20120014109A (ko) 2012-02-16
KR101297887B1 true KR101297887B1 (ko) 2013-08-19

Family

ID=4414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2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7887B1 (ko) 2010-05-31 2010-05-31 풍력 발전 장치, 기어 전달 기구 및 기어 맞물림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71976B2 (ko)
EP (1) EP2410175A1 (ko)
JP (1) JP5174171B2 (ko)
KR (1) KR101297887B1 (ko)
CN (1) CN102395783A (ko)
AU (1) AU2010279195A1 (ko)
BR (1) BRPI1005397A2 (ko)
CA (1) CA2737341A1 (ko)
WO (1) WO2011151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7604A1 (en) * 2011-02-14 2012-08-16 Gregory Lee Hobson Incapsulated horizontal wind turbine
EP2597303B1 (en) * 2011-11-24 2015-11-11 ALSTOM Renewable Technologies Wind turbine rotor
US8925421B2 (en) 2012-07-06 2015-01-06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Integrated drive generator gear alignment
KR101428251B1 (ko) 2012-12-06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제어방법
CN102979489A (zh) * 2012-12-14 2013-03-20 田育均 一种风力抽油系统
DE102013101011A1 (de) * 2013-02-01 2014-08-07 2-B Energy Holding B.V. Steuervorrichtung für ein Giersystem einer Windkraftanlage
ES2633164T3 (es) * 2013-06-27 2017-09-19 Airbus Defence And Space Limited Un ensamblaje giratorio
KR101505644B1 (ko) * 2013-07-26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JP6138012B2 (ja) * 2013-09-27 2017-05-3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設備のヨー駆動システム
ES2677647T3 (es) * 2013-10-18 2018-08-06 Mita-Teknik A/S Sistema para control de paso
JP6489599B2 (ja) * 2014-02-27 2019-03-2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設備
JP6352074B2 (ja) * 2014-06-27 2018-07-0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風車用回転駆動機構
JP6486245B2 (ja) * 2015-08-26 2019-03-2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設備及び第2制動装置
ES2731464T3 (es) * 2016-07-20 2019-11-15 Nordex Energy Gmbh Procedimiento para determinar una posición de instalación para un accionamiento giratorio en un aerogenerador
EP3702612A1 (de) * 2019-02-27 2020-09-02 B&R Industrial Automation GmbH Verfahren zum halten eines beweglichen teils einer windkraftanlage
EP3702611B1 (de) * 2019-02-27 2022-06-22 B&R Industrial Automation GmbH Verfahren zum verstellen einer verstelleinrichtung einer windkraftanlage
EP4008896A1 (en) * 2020-12-03 2022-06-08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Compensating gravity cycles of a pitching system
JP7593875B2 (ja) * 2021-04-30 2024-12-03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風車の駆動機構の調整方法及び駆動機構の調整方法
AT525362B1 (de) * 2022-02-01 2023-03-15 Taurob Gmbh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getriebezahnrads mit einer regelungseinheit
CN115405464A (zh) * 2022-08-31 2022-11-29 中车山东风电有限公司 一种消除风力发电机组机舱滑移的控制方法
CN116378899A (zh) * 2023-03-02 2023-07-04 许昌许继风电科技有限公司 一种分布式主从协调多轴驱动的偏航运行控制系统及方法
CN116292148A (zh) * 2023-04-28 2023-06-23 上海致远绿色能源股份有限公司 中型风力发电机组变桨传动系统健康度诊断方法
US12276260B1 (en) 2023-11-27 2025-04-15 General Electric Renovables Espana, S.L. Pitch assembly for a wind turbine having minimized micro-pitch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677A (ja) * 2003-07-30 2004-01-08 Nec Corp アンテナaz広角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4454291B2 (ja) * 2003-09-19 2010-04-2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風力発電機のヨー駆動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4141A (ja) * 1984-12-26 1986-12-04 Kenkichi Suzuki 歯車伝達機構
ES2443171T3 (es) * 2001-12-28 2014-02-1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erogenerador de tipo contra el viento y método de funcionamiento del mismo
JP2003222070A (ja) 2002-01-30 2003-08-08 Mitsubishi Heavy Ind Ltd 風 車
JP2005061519A (ja) * 2003-08-12 2005-03-10 Nabtesco Corp 風力発電装置のヨー駆動装置に用いる減速機
CN102705162B (zh) 2003-08-12 2014-10-22 纳博特斯克株式会社 风力发电机的偏摆驱动装置
EP1647708A1 (en) * 2004-10-14 2006-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Pitch drive system for a wind turbine
CN101395368B (zh) * 2006-02-28 2011-05-25 维斯塔斯风力系统有限公司 风轮机转子,用于控制风轮机转子的至少一个叶片的旋转控制机构及方法
JP5062717B2 (ja) 2006-04-04 2012-10-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水平軸風車
JP2008095664A (ja) * 2006-10-16 2008-04-24 Ebara Corp 風車装置
US8091199B2 (en) * 2009-03-19 2012-01-1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to repair pitch control compon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677A (ja) * 2003-07-30 2004-01-08 Nec Corp アンテナaz広角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4454291B2 (ja) * 2003-09-19 2010-04-2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風力発電機のヨー駆動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71976B2 (en) 2013-02-12
JP5174171B2 (ja) 2013-04-03
CA2737341A1 (en) 2011-11-30
KR20120014109A (ko) 2012-02-16
AU2010279195A1 (en) 2011-12-15
EP2410175A1 (en) 2012-01-25
WO2011151887A1 (ja) 2011-12-08
US20110138945A1 (en) 2011-06-16
CN102395783A (zh) 2012-03-28
BRPI1005397A2 (pt) 2016-03-08
JPWO2011151887A1 (ja)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887B1 (ko) 풍력 발전 장치, 기어 전달 기구 및 기어 맞물림 제어 방법
WO2011111730A1 (ja) 摩耗検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風力発電装置ならびに摩耗検知方法
JP5072964B2 (ja) 風力発電装置
WO2012029102A1 (ja) 風力発電装置
JP5916582B2 (ja) 舵取機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EP3296564B1 (en) Drive device for wind turbines, drive device unit for wind turbines, and wind turbine
JP2011256749A (ja) 水平軸風車
JP5520247B2 (ja) 風力発電設備の減速装置及び出力ピニオンを備えた減速装置
WO2010047064A1 (ja) ナセル旋回機構
EP2594819B1 (en) Split load path gearbox and method of operating a transmission
JP5148346B2 (ja) 風力発電装置
JP2009257262A (ja) 風車用ヨー駆動装置
JP2011025885A (ja) 旋回式プロペラ装置
JP2007291976A (ja) 風車のピッチ駆動装置
JP6655663B2 (ja) 風力発電設備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5088963B2 (ja) ナセル旋回機構
EP4166781A1 (en) Yaw braking assembly of a wind turbine
JP5550756B2 (ja) 風力発電装置
JP6138012B2 (ja) 風力発電設備のヨー駆動システム
JP4229764B2 (ja) 風車ブレードのピッチ角制御装置
JP2009008095A (ja) 風車ブレードのピッチ角制御装置
JP6655664B2 (ja) 風力発電設備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03065210A (ja) 風力発電機用変速機
JP2006249982A (ja) 風力発電装置
JP2005233277A (ja) 遊星歯車装置の歯車締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