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5314B1 -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314B1
KR101265314B1 KR1020110105504A KR20110105504A KR101265314B1 KR 101265314 B1 KR101265314 B1 KR 101265314B1 KR 1020110105504 A KR1020110105504 A KR 1020110105504A KR 20110105504 A KR20110105504 A KR 20110105504A KR 101265314 B1 KR101265314 B1 KR 10126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layer
liquid crystal
optical filter
alignmen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895A (ko
Inventor
김현식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1839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39624B1/en
Priority to TW100141047A priority patent/TWI456260B/zh
Priority to JP2013538645A priority patent/JP5724149B2/ja
Priority to CN201180054614.2A priority patent/CN103210340B/zh
Priority to US13/884,860 priority patent/US8879009B2/en
Priority to PCT/KR2011/008558 priority patent/WO2012064124A2/ko
Publication of KR20120050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3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격벽부가 형성되는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 상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배향막 중심부 두께의 2 내지 10배의 높이를 갖고,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와,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OPTICAL FILTER AND STEREOSCOPIC DISPL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턴 선폭 및 액정층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액정층 혼합이 없어 광학 특성이 우수한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좌안과 우안에 각각 다른 영상을 입력하여 사람이 실제로 보고 느끼는 영상과 유사한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3차원의 입체감을 느끼는 원인은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시차를 두고 사물을 인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인간의 두 눈은 약 65mm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서로 약간 다른 방향의 영상을 보게 되며, 이때 발생한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에 의해 입체감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찰자의 양쪽 눈에 시차가 있는 영상을 입력시키는 방법으로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입체영상표시장치는 크게 안경을 사용하는 방식(안경 방식)과, 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무안경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안경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는 표시 장치에서 서로 다른 편광 특성을 갖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배출하고, 안경에 투과축이 다른 편광판 등을 부착하여 좌안 렌즈에는 좌안용 영상만 투시되도록 하고, 우안용 렌즈에는 우안용 영상만 투시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안경 방식은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시야각 제약이 적고,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안경 방식의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좌안용 영상광 및 우안용 영상광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되어 좌안 영상광과 우안 영상광에 서로 다른 편광 상태를 부여하는 편광 분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편광 분리부는 편광판 자체를 패터닝하거나, 편광판에 좌안용과 우안용에 대응되도록 패터닝된 위상차판(광학필터)을 부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중 편광판 자체를 패터닝하는 방법은 화학적 에칭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편광판에 패터닝된 위상차판(광학필터)을 부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위상차판을 패터닝하는 방법으로는 기재 상에 위상차층을 형성한 다음, 레이저 식각을 통해 위상차층을 일부 제거하는 방법 또는 롤 프린팅법을 이용하여 기재 상에 배향막 및 액정층을 선택적으로 인쇄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이저 식각법의 경우, 열에 의한 위상차층 손상 또는 변형이 일어나기 쉬워 불량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고, 롤 프린팅법의 경우,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광학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접촉 인쇄 방식이기 때문에 인쇄 시에 표면 오염이 일어나기 쉽고, 선폭 조절 등을 위해서는 새로운 인쇄판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명한 입체 영상의 구현을 위해서는 광학필터의 패턴이 표시장치의 픽셀과 동일한 선폭을 가져야 하는데,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광학필터의 경우, 표시장치의 픽셀과 광학필터의 패턴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형성하기 어렵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막 위에 적층되는 액정층이 배향막 옆으로 흘러내려 액정층의 두께가 얇아지고, 이웃한 액정층끼리 혼합되면서 액정층이 배향막에 접촉되지 못해 비배향부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고품질의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턴 선폭 및 액정층 두께 조절이 용이하며,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광학 특성이 우수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재, 상기 기재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격벽부가 형성되는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 상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배향막 중심부 두께의 2 내지 10배의 높이를 갖고,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배향막의 격벽부는 상기 배향막의 중심부 두께의 3 내지 7배의 높이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6배의 높이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향막의 중심부 두께는 20 내지 500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향막은 불소 또는 시나메이트기가 치환된 노보넨 모노머 1 내지 5 중량%; 아크릴계 모노머 1 내지 6 중량%; 광 개시제 0.1 내지 2 중량%; 잔부의 용매를 포함하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비점이 130℃ 내지 180℃이고, 점도가 4 내지 20 cp이다.
또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50 내지 150℃에서 건조시 3분 건조 후 감소되는 중량%가 1 내지 40 중량%인 건조 속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20 중량%인 건조 속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 내지 10 중량%인 건조 속도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기재 상에 배향막 조성물을 인쇄한 후 건조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격벽부가 형성되는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향막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는 50℃ 내지 150℃ 온도에서 1분 내지 5분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는 배향막 가장자리에 격벽이 형성되어 있어, 액정층이 배향막 옆으로 흘러내리지 않기 때문에, 패턴 선폭이 증가하거나 액정층이 겹쳐 비배향부가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광학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에 의해 액정층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하는 위상차값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는 비접촉 인쇄 방식인 잉크젯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표면 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선폭 조절이 자유롭다.
도 1은 종래 방식으로 형성된 배향막 및 액정층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향막 및 액정층의 형태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의 또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배향막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배향막 및 액정층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배향막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배향막 및 액정층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배향막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배향막 및 액정층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비교예 3의 배향막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서의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서의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는 기재(110), 배향막(120) 및 액정층(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110)는, 광 투과성이 우수한 투명 기재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COC(cycloolefin copolymer), COP(cycloolefin polymer), TAC(triacethyl cellulose), 아크릴레이트 필름 등과 같은 각종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향막(120)은 상기 기재(110)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격벽부(1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광학필터에 사용되는 배향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 배향막(20) 위에 액정층(30)을 형성하면, 액정층이 배향막 옆으로 흘러내리면서 배향막을 덮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층이 배향막 옆으로 흘러내리면, 액정층 두께가 얇아져 원하는 위상차값을 충분히 구현하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패턴의 선폭이 증가하면서, 이웃한 패턴과 혼합되어 배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광학 성능이 저하되고, 입체영상의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배향막의 가장자리에 격벽부를 형성함으로써, 액정층이 배향막 옆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상기 배향막(120)의 격벽부(126)는 그 높이가 배향막(120) 중심부(128) 두께의 2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배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부(126)의 높이가 배향막(120) 중심부(128) 두께의 2배 미만이면 중심부 대비 격벽부의 높이가 너무 낮아 그 위에 충분한 두께의 액정을 올리지 못하고, 상기 격벽부(126)의 높이가 배향막(120) 중심부(128) 두께의 10배 초과이면 상기 격벽부가 너무 높아 격벽부에 해당하는 폭이 증가하여 액정이 올라가지 못하는 부분이 증가하여 광학 특성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향막(120)은 상기 배향막의 중심부 두께가 20 내지 500n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향막 중심부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배향이 되지 않을 수 있고, 배향막 중심부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배향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향막 중심부의 두께가 30 내지 300nm인 경우 액정의 배향 특성 구현 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지므로 보다 바람직하며, 50 내지 200nm인 경우 액정의 배향 특성 구현 및 잉크젯 공정 마진(margin)의 최적화로 선형패턴을 쉽게 구현하는 면에서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잉크젯 공정 마진(margin)이 최적화된다는 것은, 배향막 격벽부(126)와 배향막 중심부(126)의 두께 차이로 인해 형성된 형상으로 인해 잉크젯 방식에 의해 적하되는 잉크의 위치 정밀도가 최적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배향막(120)은, 상기 배향막의 중심부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격벽부(126)의 높이가 40 내지 5000nm,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3000nm,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nm 이다.
한편, 상기 배향막은 노보넨 모노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 개시제; 및 잔부의 용매를 포함하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노보넨 모노머는 광배향 물질로 이용되며, 불소 또는 시나메이트기로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노보넨에 포함된 불소 또는 시나메이트기가 광 배향 고분자 물질에 극성을 부여하여 액정의 배향을 돕기 때문이다. 또한, 그 함량은 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4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노보넨 모노머가 1 중량% 미만인 경우 액정의 배향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5 중량% 초과인 경우 기재에 대한 부착력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가교제로서 이용되며, 함량은 1 내지 6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4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1 중량% 미만인 경우 막의 경화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고, 6 중량% 초과인 경우 액정을 배향하는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광 개시제는 Irgacure 365 또는 Irgacure 907 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함량은 0.1 내지 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 개시제가 0.1 중량% 미만인 경우 광화학 반응이 충분하지 않아서 가교제의 중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2 중량% 초과인 경우 가교도를 더 향상시키는 효과가 없으면서 제조 원가가 올라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용매는 배향막 조성물의 비점이 130 내지 180℃가 되도록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용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매의 함량은, 배향막 조성물의 전체 함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포함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87중량% 내지 97.9중량%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에는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증점제, 가교제, 광개시제, 계면활성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그 비점이 130℃ 내지 180℃ 정도로 저비점인 것이 바람직하며, 150 ℃ 내지 18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저비점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프린팅 후 건조 시에 배향막 가장자리의 건조 속도가 중심부의 건조 속도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고형분이 가장자리로 몰리면서 가장자리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져 가장 자리에 격벽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격벽 형성 높이 및 두께는 건조 속도의 영향을 받으며, 비점이 180℃ 보다 높은 경우 건조 속도가 느려 격벽 형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배향막 가장자리에 격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비점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점이 130℃ 미만이면 건조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게 되어 특히 잉크젯 노즐에서도 건조가 일어나게 되므로 잉크젯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그 점도가 4 내지 20cp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cp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가 4cp 미만인 경우에는, 잉크젯 프린팅 시 드랍(drop)이 안정적이지 못해 새틀릿(Satellite)이 발생하고, 직진성이 떨어져 패턴 형성이 어렵고, 점도가 2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쇄 노즐이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배향막 조성물의 점도가 8 내지 15cp의 범위 내인 경우, 잉크젯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안정된 제팅 조건을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한 점에서 유리한 면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50 내지 150℃에서 건조 시, 3분 건조 후 감소되는 중량%이 1 내지 40 중량%인 건조 속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온도에서 3분 건조 후 감소되는 중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격벽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40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격벽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아 패턴의 직진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건조는, 배향막 조성물 10 g을 지름 90 mm인 유리 접시에 약 4 mm 깊이로 담아서 실험실 배기 후드 안에 설치된 열판 위에 놓고 건조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건조 속도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비점 및 건조 온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상술한 범위의 건조 속도를 갖도록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비점, 건조 온도 등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50 내지 150℃에서 건조 시, 3분 건조 후 감소되는 중량%이 2 내지 20 중량%인 건조 속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 내지 10중량%인 건조 속도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온도에서 건조 시 감소되는 중량%가 상기 범위이면 배향막 가장자리 두께가 배향막 중심부 두께의 3 내지 7배, 5 내지 6배를 갖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배향막은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스트라이프 패턴, 바둑판 패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향막 패턴은 표시패널의 화소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향막의 선폭은 표시 패널과의 일치성을 높이기 위해, 표시 패널의 화소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패턴화된 배향막은 잉크젯 프린팅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팅법은 비접촉식 인쇄 방식이기 때문에, 인쇄 시에 표면 오염이 적고, 잉크젯 노즐의 위치를 변형하여 다양한 선폭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원하는 위치에만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가 적고 생산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잉크젯 프린팅법을 이용한 배향막 형성 방법은, 예를 들면,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터에 충진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기재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좌안 영상용 또는 우안 영상용 배향막을 프린트하고, 건조시킨 다음 배향처리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배향막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2차로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프린트하고, 건조시킨 다음 배향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향처리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러빙 배향 또는 광 배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향막을 2단계로 형성할 경우, 1차로 형성된 배향막과 2차로 형성된 배향막의 배향 처리는 서로 다른 배향방향, 바람직하게는 서로 수직인 배향방향을 갖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액정의 배향에 의해 구현되는 편광 방향이 서로 정확하게 수직 방향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크로스 토크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건조는 50 내지 150℃의 저온 건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가 50℃ 미만이면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0℃를 초과하면, 기재 필름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가장자리에 격벽부(126)를 갖는 배향막(120)이 형성되면, 그 위에 액정층(130)을 형성한다. 상기 액정층(130)은 위상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위상차값은 액정층(130)의 두께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액정층(130)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액정층(130)의 두께는, 구현하고자 하는 위상차값 및 액정층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 내지 4㎛,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액정층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빛이 액정을 통과하는 거리가 감소되어 광학필터 구현에 필요한 편광특성이 충분하게 발현되지 않으며, 4㎛ 초과하는 경우 액정의 배향이 상층부까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경우, 액정층(130)은 배향막의 격벽부(126)에 의해 지지되어 배향막 옆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배향막 위에 안정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흘러내림에 의한 액정층(130) 두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액정층(130)이 배향막 위에 정확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패턴 선폭이 증가하는 현상도 막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광학필터는 패턴 선폭 및 액정층 두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선폭 증가 및 액정층 두께 감소로 인한 광학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상기 액정층(130)은 배향막과 마찬가지로 잉크젯 프린팅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젯 프린팅법은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므로, 액정층 형성 시에 잉크젯 프린팅법을 사용하면, 액정층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액정층(130)은 잉크젯 프린터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충진한 다음, 잉크젯 노즐을 통해 배향막 위에 액정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정 조성물은 반응성 액정 모노머 및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액정 모노머는 광 또는 열에 의해 주변의 모노머들과 서로 중합되면서 폴리머화되는 조성물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기인 아크릴레이트기가 부착된 모노머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머크 사의 RM(Reactive Mesogen), BASF사의 LC24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매는 사용되는 액정 조성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용매, PGMEA(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와 같은 아세테이트 계열의 용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액정 조성물에는 물성을 해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증점제, 가교제, 광개시제, 계면활성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정 조성물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그 점도가 4 내지 20cp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cp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조성물의 점도가 4cp 미만인 경우에는, 잉크젯 프린팅 시 드롭(drop)이 안정적이지 못해 새틀릿(Satellite)이 발생하고, 직진성이 떨어져 패턴 형성이 어렵고, 점도가 2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쇄 노즐이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배향막 조성물의 점도가 8 내지 15cp의 범위 내인 경우, 잉크젯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안정된 제팅 조건을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한 점에서 유리한 면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정 조성물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그 비점이 130℃ 내지 2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점이 130℃ 미만인 경우에는 제팅 시 건조가 빠르게 진행되어 노즐 막힘이 발생할 수 있고,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액정 조성물 도포 후 건조는 50 내지 150℃의 저온 건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가 50℃ 미만이면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0℃를 초과하면, 기재 필름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건조는 1 ~5분 정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의 여러 가지 구현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210) 상에 배향 방향이 서로 다른 배향막(222, 224)이 교대로 형성되고, 그 위에 액정층(230)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향막(222, 224)의 배향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배향막(222, 224)들은 가장자리의 높이가 중심부(228)에 비해 높은 격벽부(226)를 포함한다. 한편, 액정층(230)은 하부 배향막(222, 224)의 배향방향에 따라 배향되어, 서로 다른 배향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서로 다른 배향방향을 갖는 액정층(232, 234)은 λ/4와 -λ/4의 위상차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λ/4위상차층과 -λ/4위상차층으로 패터닝된 광학필터를 사용하면, 표시 패널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각기 다른 편광 상태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체 영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310) 상에 일부 영역에만 배향막(320) 및 액정층(330)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배향막(320)은 가장자리에 격벽부(326)가 형성되며, 액정층(330)은 상기 격벽부(326) 내에 형성되게 된다는 점에서, 도 3의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와 유사하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위상차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액정층의 위상차값이 λ/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하나만 위상차층을 통과하게 되고, 위상차층을 통과한 영상은 원래에 비해 λ/2만큼 지연된 위상차값을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서로 수직인 편광 상태가 되어,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410) 일면의 일부 영역에 배향막(420) 및 액정층(430)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410)의 타면에 위상차판(440)이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정층(430)은 도 4와 마찬가지로, 위상차값이 λ/2인 것이 바람직하며, 기재의 타면에 부착되는 위상차판은 λ/4위상차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λ/4위상차판은 기재 일면에 배향막 및 액정층을 코팅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고분자 기재 등으로 이루어진 λ/4위상차판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에서는 우안 영상과 좌안 영상 중 하나가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λ/2위상차층을 통과하면서, λ/2만큼 지연된 위상차값을 갖게 되고, 액정층을 통과하지 않은 영상광은 원래의 위상차값을 갖기 때문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서로 수직인 편광 상태를 갖게 되고, 이들이 λ/4 위상차층을 통과하면서, 회전 방향이 반대인 원 편광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은, (a) 배향막 형성 단계; 및 (b) 액정층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배향막 형성 단계는, 기재 상에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인쇄한 후 건조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격벽부가 형성되는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향막은 노보넨 모노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 개시제; 및 잔부의 용매를 포함하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한 후 건조하여 형성한다.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노보넨 모노머는 불소 또는 시나메이트기로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에서의 함량이 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가교제로서 사용되며, 함량은 1 내지 6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 개시제는 Irgacure 306 또는 Irgacure 907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함량은 0.1 내지 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매는 배향막 조성물의 비점이 130 내지 180℃가 되도록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용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의 함량은 배향막 조성물 전체 함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포함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87중량% 내지 97.9중량%가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는 잉크젯 프린팅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팅법은 비접촉식 인쇄 방식이기 때문에, 인쇄 시에 표면 오염이 적고, 잉크젯 노즐의 위치를 변형하여 다양한 선폭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원하는 위치에만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가 적고 생산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50 내지 150℃의 저온 건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가 50℃ 미만이면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0℃를 초과하면, 기재 필름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소정의 패턴은 예를 들면, 스트라이프 패턴, 바둑판 패턴 등을 말한다.
한편,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배향막 중심부 두께의 2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배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부의 높이가 배향막 중심부 두께의 2배 미만이면 중심부 대비 격벽부의 높이가 너무 낮아 그 위에 충분한 두께의 액정을 올리지 못하고, 상기 격벽부의 높이가 배향막 중심부 두께의 10배 초과이면 상기 격벽부가 너무 높아 격벽부에 해당하는 폭이 증가하여 액정이 올라가지 못하는 부분이 증가하여 광학 특성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다음으로, (b) 액정층 형성 단계는 상기 배향막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액정층은 위상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위상차값은 액정층의 두께에 따라 좌우되므로 균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1 내지 4㎛ 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액정층은 배향막과 마찬가지로 잉크젯 프린팅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잉크젯 프린팅법이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여 액정층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 시나메이트기와 불소가 사이드에 치환된 노보넨 모너머 4 중량%와 펜타 에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 Pentaerythritol triacrylate) 4 중량%, 광개시제(Igacure 907) 0.5 중량%를 시클로헥사논 91.5 중량%에 용해시킨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는 7.4cp, 비점은 157℃이었다.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터에 충진한 다음, 선폭 350㎛, 선 간격 400㎛의 스트라이프 형태로 인쇄하였으며, 인쇄 후 80℃에서 2분 동안 건조하고,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을 45°각도로 장착한 후, UV를 조사하여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도 6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배향막의 형상을 광학용 측정장치(장비명: 비접촉식 3D profiler, 제조사: 나노시스템)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에서 x축은 형성된 패턴의 단면, y축은 높이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배향막 위에 RMM 108(Merck사 제조)를 25 중량% 함량으로 PGMEA(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와 ECA(에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켜 제조한 액정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인쇄하여 액정층을 형성한다. 상기 액정 조성물의 점도는 4.8cp, 비점은 182℃이다.
드롭 피치를 100㎛로 패턴하였으며, 액정 조성물은 배향막의 격벽부 사이로 제팅하여 정확히 배향막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60℃ 오븐에서 2분 동안 건조시키고, UV를 조사하여 액정을 경화시킨다. 도 7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액정층의 형상을 광학용 측정장치(장비명: 비접촉식 3D profiler, 제조사: 나노시스템)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에서 x축은 형성된 패턴의 단면, y축은 높이를 나타낸다.
실시예 2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용매로 디이소부틸케톤을 사용하여 점도를 12.1 cp, 비점을 169℃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 시나메이트기와 불소가 사이드에 치환된 노보넨 모너머 4 중량%와 펜타 에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 Pentaerythritol triacrylate) 2 중량%, 광개시제(Igacure 907) 0.5 중량%를 시클로헥사논과 시클로펜타논을 1:1로 혼합한 용매 93.5 중량%에 용해시킨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는 7.2 cp, 비점은 143.5℃이었다. 상술한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 시나메이트기와 불소가 사이드에 치환된 노보넨 모너머 4 중량%와 펜타 에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 Pentaerythritol triacrylate) 4 중량%, 광개시제(Igacure 907) 0.5 중량%를 시클로헥사논과 에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를 1:1로 혼합한 용매 91.5 중량%에 용해시킨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는 10.1cp, 비점은 187℃이다.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잉크젯 프린터에 충진한 다음, 선폭 350㎛, 선 간격 400㎛의 스트라이프 형태로 인쇄하였으며, 인쇄 후, 40℃에서 1시간 이상 건조하여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도 8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배향막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광학용 측정장치(장비명: 비접촉식 3D profiler, 제조사: 나노시스템)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에서 x축은 형성된 패턴의 단면, y축은 높이를 나타낸다. 도 8을 보면, 비교예 1에 따른 배향막은 격벽부가 거의 형성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향막 위에 RMM 108(Merck사 제조)를 25 중량% 함량으로 PGMEA(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와 ECA(에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켜 제조한 액정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인쇄하여 액정층을 형성한다. 상기 액정 조성물의 점도는 4.8cp, 비점은 182℃이다.
드롭 피치를 100㎛로 패턴하였으며, 액정 조성물은 배향막의 격벽부 사이로 제팅하여 정확히 배향막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60℃ 오븐에서 2분 동안 건조시키고, UV를 조사하여 액정을 경화시킨다. 도 9는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액정층 형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광학용 측정장치(장비명: 비접촉식 3D profiler, 제조사: 나노시스템)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9에서 x축은 형성된 패턴의 단면, y축은 높이를 나타낸다. 도 9를 보면, 비교예 1에 따라 배향막 및 액정층을 형성한 경우, 액정 조성물이 배향막 옆으로 흘러내려 액정층의 두께가 얇아지고, 선폭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
건조 온도를 60℃로 1시간 건조한 점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배향막 패턴을 제조하였다. 도 10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배향막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광학용 측정장치(장비명: 비접촉식 3D profiler, 제조사: 나노시스템)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에서 x축은 형성된 패턴의 단면, y축은 높이를 나타낸다. 도 10을 보면, 비교예2에 따른 배향막은 격벽이 거의 형성되지 않아 중심부와 가장자리 두께가 비슷한 평탄한 형상을 이룸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향막 위에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층을 형성하였다. 도 11은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액정층 형상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광학용 측정장치(장비명: 비접촉식 3D profiler, 제조사: 나노시스템)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에서 x축은 형성된 패턴의 단면, y축은 높이를 나타낸다. 도 11을 보면, 비교예 2에 따라 배향막 및 액정층을 형성할 경우, 액정 조성물이 배향막 위로 흘러내려 선폭이 증가하였으며, 선폭의 균일도가 좋지 않고, 액정층의 두께가 얇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 시나메이트기와 불소가 사이드에 치환된 노보넨 모너머 4 중량%와 펜타 에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 Pentaerythritol triacrylate) 4 중량%, 광개시제(Igacure 907) 0.5 중량%를 시클로 펜타논 91.5 중량%에 용해시킨 용액을 제조한다.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가 9.7 cp, 비점이 130 ℃이다. 인쇄 후 150℃에서 90초간 급속히 건조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도 12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배향막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광학용 측정장치(장비명: 비접촉식 3D profiler, 제조사: 나노시스템)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2에서 x축은 형성된 패턴의 단면, y축은 높이를 나타낸다. 한편, 도 13은 배향막의 3차원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광학용 측정장치 NS-M100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2 및 도 13을 보면, 비교예 3에 따른 배향막은 격벽부의 높이가 균일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며(도 13의 A 참조), 이에 따라 선 방향으로 배향막의 폭과 두께의 균일도가 매우 나쁜 패턴이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배향막 위에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층을 형성을 시도하였으나 배향층의 폭과 두께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액정층도 선 방향으로 균일한 패턴을 형성하지 않아서 광학필터의 품질이 매우 나쁜 결과를 초래하였다.
실험예-
1. 건조 속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배향막 조성물 10 g을 지름 90 mm인 유리 접시에 약 4 mm 깊이로 담아서 실험실 배기 후드 안에 설치된 열판 위에 놓고 각각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규정한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3분 후와 5분 후에 남아있는 배향막 조성물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참고적으로 배향막 형성 조성물의 조성과 온도를 제외한 다른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해당예 용매 건조온도 시작 질량 (g) 3분 후 질량 (g) 5분 후 질량 (g) 건조 속도(3분 건조 후 감소된 중량(wt%))
실시예 1 시클로헥사논 80 10 9.475 8.98 5.25
실시예 2 디이소부틸케톤 80 10 9.60 9.18 4.0
실시예 3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80 10 9.11 8.54 8.9
비교예 1 시클로헥사논 + 에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 50 10 9.96 9.92 0.4
비교예 2 시클로헥사논 + 에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 60 10 9.95 9.82 0.5
비교예 3 시클로펜타논 150 10 5.80 2.65 42
2. 배향막 중심부 및 가장자리 두께 측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배향막의 중심부 두께 및 가장자리 두께를 비접촉식 3D profiler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3. 광학필터 액정층의 두께 및 패턴 선폭의 측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액정층 두께 및 패턴의 선폭을 비접촉식 3D profiler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해당예 건조 속도
(3분 후 건조중량,
중량(wt)%)
배향막 중심부 두께(nm) 배향막 가장자리 두께(nm) 액정층 두께(㎛, 배향막 두께 포함) 패턴 선폭(㎛)
실시예1 5.25 80 400 3 350
실시예2 4.0 120 300 3.2 350
실시예3 8.9 60 420 2.8 350
비교예1 0.4 270 측정 불가 (가상자리가 점점 얇아져서 끝에서는 두께 0) 1.3 400
비교예2 0.5 270 270 1.5 380
비교예3 49 80 (부분에 따라 편차 큼) 860
(부분에 따라 편차 큼)
선 패턴 형성 불가 선 패턴 형성 불가 (폭 일정하지 않음)
상기 표 1 및 2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내지 3은 상술한 실험 방법의 결과 3분 건조 후에 약 4 ~10 중량(wt)%가 감소(건조)되고, 그러한 건조 속도에 의하면 배향막 가장자리의 두께가 중심부의 두께의 2 내지 10배의 범위 내로 형성되어, 액정 조성물이 배향막 옆으로 흘러내리지 않아 패턴의 선폭이 유지되고, 액정층의 두께가 얇아 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2는 3분 건조 후에 감소된 중량%가 1 중량(wt)% 미만이고, 그러한 건조 속도에 의하면, 격벽이 거의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3은 3분 건조 후에 약 42 중량(wt)%가 감소되고, 그러한 건조 속도에 의하면, 건조 속도가 너무 빨라 격벽의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아 패턴의 직진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110, 210, 310, 410 : 기재
20, 120, 220, 320, 420 : 배향막
126, 226, 326, 426 : 격벽부
128, 228, 328, 428 : 중심부
30, 130, 230, 330, 430 : 액정부

Claims (15)

  1. 기재;
    상기 기재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격벽부가 형성되는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 상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배향막 중심부 두께의 2 내지 10배의 높이를 갖고,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배향막의 중심부 두께의 3 내지 7배의 높이를 갖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배향막의 중심부 두께의 5 내지 6배의 높이를 갖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은 중심부 두께가 20 내지 500nm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은 불소 또는 시나메이트기가 치환된 노보넨 모노머 1 내지 5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 내지 6 중량%; 광 개시제 0.1 내지 2 중량%; 및 잔부의 용매를 포함하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비점이 130℃ 내지 180℃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7. 제5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점도가 4 내지 20cp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50 내지 150℃에서 3분 건조 후 감소되는 중량%가 1 내지 40중량%인 것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비점이 130℃ 내지 180℃이고, 점도가 4 내지 20cp이며, 50 내지 150℃에서 3분 건조 후 감소되는 중량%가 1 내지 40 중량%인 것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은 잉크젯 프린팅법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두께가 1㎛ 내지 2㎛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12. 제1항의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13. (a) 기재 상에 배향막 조성물을 인쇄한 후 건조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격벽부가 형성되는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향막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분리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50℃ 내지 150℃ 온도에서 1분 내지 5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배향막 중심부 두께의 2 내지 10배의 높이를 갖는 것인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제조방법.
KR1020110105504A 2010-11-11 2011-10-14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Active KR10126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839616.7A EP2639624B1 (en) 2010-11-11 2011-11-10 Optical filter for a device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and device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comprising same
TW100141047A TWI456260B (zh) 2010-11-11 2011-11-10 用於立體顯示裝置之光學濾波器,包含其之立體顯示裝置,及製造其之方法
JP2013538645A JP5724149B2 (ja) 2010-11-11 2011-11-10 立体映像表示装置用の光学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含む立体映像表示装置
CN201180054614.2A CN103210340B (zh) 2010-11-11 2011-11-10 光学滤波器及包含该光学滤波器的立体显示器
US13/884,860 US8879009B2 (en) 2010-11-11 2011-11-10 Optical filter for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alignment layers each having partition wall parts with height greater than that of center part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PCT/KR2011/008558 WO2012064124A2 (ko) 2010-11-11 2011-11-10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53 2010-11-11
KR20100111853 2010-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895A KR20120050895A (ko) 2012-05-21
KR101265314B1 true KR101265314B1 (ko) 2013-05-16

Family

ID=4626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504A Active KR101265314B1 (ko) 2010-11-11 2011-10-14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79009B2 (ko)
EP (1) EP2639624B1 (ko)
JP (1) JP5724149B2 (ko)
KR (1) KR101265314B1 (ko)
CN (1) CN103210340B (ko)
TW (1) TWI456260B (ko)
WO (1) WO20120641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6179B (zh) * 2015-02-13 2017-08-2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偏振镜及其制造方法
JP5922292B1 (ja) * 2015-02-16 2016-05-24 住友化学株式会社 硬化性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WO2017074429A1 (en) * 2015-10-30 2017-05-04 Transitions Optical Ltd. A method of making an optical article with an inkjet printing device
CN109477930A (zh) 2016-07-29 2019-03-15 罗利克技术有限公司 在液晶聚合物材料上产生取向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3376A (ja) 2006-02-03 2007-09-13 Fujifilm Corp パターン状のカラーフィルタ層と光学異方性層と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7430B2 (ja) * 1998-09-18 2007-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412126B1 (ko) 2001-05-31 2003-12-3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지주 스페이서 형성방법
KR100961265B1 (ko) * 2003-06-23 2010-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보상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GB2405544A (en) * 2003-08-30 2005-03-02 Sharp Kk Light control element for outputting polarised light over different angular ranges.
US7385660B2 (en) * 2003-12-08 2008-06-1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transflector having opening in a first electrode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domain and openings at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domain on a second electrode
KR20060015169A (ko)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459765B2 (ja) * 2004-09-14 2010-04-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位相差板
KR100789247B1 (ko) 2005-01-05 2008-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반응성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4337794B2 (ja) * 2005-09-16 2009-09-30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707521B2 (ja) 2005-09-30 2011-06-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有する半透過半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7163722A (ja) * 2005-12-13 2007-06-28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装置とその製造方法、位相差板、及び電子機器
WO2007089040A1 (en) 2006-02-03 2007-08-09 Fujifilm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lor film plate,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JP4752581B2 (ja) * 2006-04-07 2011-08-17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JP4844262B2 (ja) * 2006-07-03 2011-12-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装置
US8179514B2 (en) * 2006-10-05 2012-05-15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protruding walls surrounding spherical spacers
TW200904950A (en) 2007-04-23 2009-02-01 Lg Chemical Ltd A retardation film, a method for preparing retardation film and polarizer comprising the retardation film
JP5343185B2 (ja) * 2007-09-19 2013-11-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263472B2 (ja) * 2007-09-19 2013-08-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9133948A (ja) * 2007-11-29 2009-06-1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4528333B2 (ja) 2008-01-25 2010-08-18 株式会社有沢製作所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47641B2 (ja) 2008-09-22 2010-09-22 ソニー株式会社 位相差板の製造方法
JP2010169951A (ja) * 2009-01-23 2010-08-05 Sony Corp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3376A (ja) 2006-02-03 2007-09-13 Fujifilm Corp パターン状のカラーフィルタ層と光学異方性層と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24149B2 (ja) 2015-05-27
EP2639624A2 (en) 2013-09-18
US20130222721A1 (en) 2013-08-29
TW201241479A (en) 2012-10-16
WO2012064124A2 (ko) 2012-05-18
KR20120050895A (ko) 2012-05-21
TWI456260B (zh) 2014-10-11
CN103210340B (zh) 2015-09-23
EP2639624A4 (en) 2017-11-01
WO2012064124A3 (ko) 2012-07-05
CN103210340A (zh) 2013-07-17
US8879009B2 (en) 2014-11-04
EP2639624B1 (en) 2020-04-22
JP2013543992A (ja)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5348B2 (ja) パターニングされた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995085B2 (ja) 光学フィルタ製造用積層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タの製造方法
US806283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lter for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1265314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US20130089662A1 (en) Method of producing master plate, method of producing alignment film, method of producing retardation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display device
US20130094079A1 (en) Method for producing lenticular lens, lenticular lens, optical element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EP3260909B1 (en) Liquid crystal element
CN102971647B (zh) 双凸透镜片、其制造方法及光学元件
CN114051586A (zh) 长条膜
JP2015068949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KR101030756B1 (ko) 잉크젯 프린팅법을 이용한 광학 필터의 제조 방법
JP2014164142A (ja) 配向基材と位相差フィルムとの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6080880A (ja) 偏光子付き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評価方法
JP6398639B2 (ja) 位相差フィルム
KR20120138991A (ko) 패턴된 위상지연필름의 제조방법
JP2015068951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5068948A (ja)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KR101030760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용 광학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81743A (ko) 패턴된 위상지연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60066849A (ko) 광학 필터
JP2014035369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装置、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20081744A (ko)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패턴된 위상 지연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10070256A (ko) 패턴화 리타더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