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5128B1 -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128B1
KR101245128B1 KR1020050067104A KR20050067104A KR101245128B1 KR 101245128 B1 KR101245128 B1 KR 101245128B1 KR 1020050067104 A KR1020050067104 A KR 1020050067104A KR 20050067104 A KR20050067104 A KR 20050067104A KR 101245128 B1 KR101245128 B1 KR 101245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unit
light
diffusion
polymer resin
res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888A (ko
Inventor
최진성
박진혁
하주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128B1/ko
Priority to JP2006186386A priority patent/JP2007034287A/ja
Priority to CN2006101090119A priority patent/CN1904691B/zh
Priority to US11/492,714 priority patent/US7450809B2/en
Publication of KR2007001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5/00Optical waveguides
    • Y10S385/901Illuminating or display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복수 매의 광학 시트들이 수행하는 광특성 향상 성능과 대등한 광특성 향상 능력을 구비하는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광학 유닛은 투광성 몸체, 확산부 및 휘도 상승부를 포함한다. 확산부는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기포를 가지며, 몸체로 입사하는 광을 확산시킨다. 휘도 상승부는 몸체의 표면에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확산부에 의해 확산된 광의 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광학 유닛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서, 복수 매의 광학 시트들을 대체하여 대등한 광확산, 집광 및 휘도 상승 역할을 수행한다.
광학 시트, 확산, 집광, 휘도 상승 시트, DBEF, 엠보싱, 기포

Description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OPTICAL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UNIT,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학 유닛을 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산부가 형성된 몸체의 제1 영역(A)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학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영역(B)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확산부가 형성된 몸체의 제3 영역(C)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 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학 유닛 110 : 몸체
111 : 스킨층 130 : 확산부
150 : 휘도 상승부 270 : 자외선 흡수층
335 : 확산 비드 601 : 고분자 수지판
603 : 기포 605 : 자외선 경화성 수지
607 : 엠보싱 패턴 610 : 고압 가스 제공 유닛
620 : 핫에어 제공 유닛 630 : 제1 롤러
640 : 금형 650 : 자외선 제공 유닛
670 : 제2 롤러 7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730, 850 : 확산 시트 950 : 표시 패널
본 발명은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확산 및 집광 기능을 수행 하는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Liquid Crystal; LC)은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서 광의 투과율을 변경시키는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함께 갖는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상기 액정의 전기-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은 스스로 광을 생성하지 못하는 수동소자이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에 채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의 배치에 따라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direct downward type back light assembly) 및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edge type back light assembly)로 구분된다.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광원이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의 경우, 광원은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로 광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광특성, 예들 들어, 휘도 균일성 및 정면 휘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광학 부재, 예를 들어, 확산판,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휘도 상승 시트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다수의 광학 부재들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두깨 및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학 부재들 중 특히, 상기 휘도 상승 시트는 듀얼 브라이트니스 인핸스먼트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이하, DBEF)으로도 불리며,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원가를 크게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광확산 및 집광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부재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광학 시트들이 수행하는 광확산, 집광 및 휘도 상승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성 광학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 유닛을 포함하여, 두께가 감소되고 원가가 절감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은 투광성 몸체, 확산부 및 휘도 상승부를 포함한다. 상기 확산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로 입사하는 광을 확산시킨다. 상기 휘도 상승부는 상기 몸체의 표면에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된 광의 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기포 또는 상기 몸체 의 내부에 배치된 확산 비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부는 상기 휘도 상승부 인근에 편중되게 형성된다. 상기 확산부는 임의의 방향에 대하여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길이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휘도 상승부는 정상부가 라운드진 피라미드 형상 또는 다각형 뿔 형상을 갖는 엠보싱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엠보싱부의 내부에는 기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휘도 상승부는 경화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휘도 상승부는 상기 몸체의 표면에 접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광학 유닛은 자외선 흡수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층은 상기 휘도 상승부와 대향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자외선에 의해 상기 몸체가 황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은 투광성 고분자 수지판에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엠보싱 패턴이 양각된 휘도 상승부를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기체를 가압하여 상기 투광성 고분자 수지판에 상기 기체를 흡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체를 팽창시켜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내부에 기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판에 기체를 흡수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표면에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판을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들 사이에 상기 기체를 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체가 흡 수된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표면을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판을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들 사이에서 팽창된 기체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체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휘도 상승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확산부가 형성된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표면에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엠보싱부의 형상이 음각된 금형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판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엠보싱부를 양각하는 단계 및 상기 엠보싱부가 양각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은 상기 휘도 상승부와 대향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판에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 및 광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 유닛은 투광성 몸체, 확산부 및 휘도 상승부를 포함한다. 상기 확산부는 상기 몸체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고서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확산시킨다. 상기 휘도 상승부는 상기 몸체의 표면에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된 광의 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부는 기포를 갖는 제1 확산부 및 확산 비드를 갖는 제2 확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휘도 상승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상기 광학 유닛의 정면 방향에 보다 근접하도록 변경시키는 집광 패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광원은 상기 휘도 상승부에 대향하여 상기 몸체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휘도 상승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시트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광가이드 유닛은 광원으로부터 광을 제공받는 입광부 및 상기 광학 유닛의 배면과 마주보는 출광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 및 광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 유닛은 확산부 및 휘도 상승부를 포함한다. 상기 확산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해 다공성(porous) 구조를 갖는다. 상기 휘도 상승부는 상기 확산부의 표면에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된 광의 출광 효율을 향상시켜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한다.
이러한,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기 광학 유닛은 광을 확산 및 집광시켜 복수 매의 광학 시트들을 대체하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의 두깨를 감소 및 생산 원가를 절감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광학 유닛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학 유닛(100)은 몸체(110), 확산부(130) 및 휘도 상승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투명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몸체(110)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 스킨층(111)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광 투과율, 내열성, 내화학성,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polymer resin)를 포함한다. 고분자 수지의 예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몸체(110)를 이루는 폴리머 사슬(polymer chain)들은 분자 스케일에서 그물 형상으로 상호 얽혀 있다. 이때, 그물 형상을 이루는 폴리머 사슬들 사이에는 기체 분자들이 스며들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공간(free volume)이 존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학 유닛을 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확산부(130)는 상기 몸체(110) 중 상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확산부(130)는 후술될 상기 휘도 상승부(150)의 인근에 편중되게 형성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130)는 상기 몸체(110)로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 출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110)를 통과한 광의 휘도 균일성이 향상된다. 상기 광학 유닛(10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균일성은 상기 확산부(130)의 광굴절률 및 상기 몸체(110)의 광굴절률의 편차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확산부(130)의 광굴절률 및 상기 몸체(110)의 광굴절률의 편차가 클수록 광학 유닛(10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 균일성은 향상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산부가 형성된 몸체의 제1 영역(A)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10)와 상기 확산부(130)의 굴절률 편차를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확산부(130)는 상기 스킨층(111)의 내부에 형성된 기포(이하, 상기 기포에 대하여 상기 확산부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를 갖는다. 상기 기포(130)는, 예를 들어, 상기 스킨층(111)을 이루는 폴리머 사슬들 사이에 스며든 기체를 팽창시켜 형성된다. 상기 확산부(130)가 상기 기포(130)를 가짐에 따라, 상기 확산부(130)는 공기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유닛(10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기포(130)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130)의 사이즈는 상기 스킨층(111)의 내부에 기포를 형성하는 기포 형성공정에서 공정 변수, 예를 들어, 상기 스킨층(111)에 상기 기체를 흡수시키는 정도, 상기 스킨층(111)을 가열하는 온도, 압력 및 시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스킨층(111)의 부피에 대하여 상기 기포(130)의 부피 퍼센트(volume %)가 일정할 경우, 상기 기포(130)의 크기가 작을수록 상기 기포와 몸체(110) 간의 경계면이 많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기포(130)와 몸체(110) 간의 경계면이 많이 형성될 수록 보다 용이하게 확산된다.
한편, 고분자 수지판의 내부에 기포(130)를 형성시켜, 상기 고분자 수지판을 다공성(porous) 구조를 갖도록 제작하는 경우,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기포(130)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기계적 강도가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포(130)의 사이즈는 임의의 방향에 대하여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학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휘도 상승부(150)는 상기 몸체(110)의 표면에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휘도 상승부(150)는 복수 개의 엠보싱부(155)들을 포함한다. 상기 엠보싱부(155)들은 상기 광학 유닛(100)의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부(155)는 정상부(155a)가 라운드진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엠보싱부(155)는 상기 엠보싱부(155)의 정상부(155a)를 향하는 4 개의 모서리를 포함한다. 광의 집광 측면에서, 상기 엠보싱부(155)의 정상부(155a)가 꼭지점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엠보싱부(155)의 정상부(155a)가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보다 유리하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4 개의 모서리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휘도 상승부(150)는 경화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 하며, 상기 휘도 상승부(150)는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경화에 따라 상기 몸체(110)의 표면에 접착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예로는, 아크릴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및 티오크산톤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 영역(B)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광학 유닛(100)은 상기 확산부(130)를 통하여 출사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휘도 상승부(150)를 통하여 출광 효율을 향상시켜 광출사량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10)의 배면을 통해 상기 몸체(110)로 입사한 광은 상기 스킨층(111)을 통과하면서, 상기 기포(130)가 포함하는 공기층과 상기 몸체(110)의 경계면에서 반복하여 반사 및 굴절되며, 다수의 경로를 따라 확산된다. 그 결과, 상기 스킨층(111)을 통과한 확산광은 상기 몸체(110)의 배면으로 입사하는 광보다 휘도 균일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스킨층(111)을 통과한 확산광은 상기 엠보싱 패턴과 상기 광학 유닛(100) 외부의 공기층의 경계면에서 굴절 및 반사된다. 이때, 상기 광학 유닛(100)의 표면이 엠보싱 패턴을 가짐에 따라, 상기 스킨층(111)을 통과한 확산광이 출사되는 면적이 증가하고, 상기 확산광의 상기 엠보싱 패턴의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감소되어 상기 확산광 중 출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엠보싱 패턴은 출사광의 경로를 상기 광학 유닛(100)의 정면 방향에 보다 근접하도록 변경한다. 즉, 상기 엠보싱 패턴은 상기 확산부(130)에 의해 확산된 광을 집광한다. 이때, 상기 엠보싱 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엠보싱부(155)가 상기 피라미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엠보싱 패턴은 상기 광학 유닛(100)의 정면에서 관찰하는 경우, 다양한 방향, 예들 들어, 대략 방사형으로 퍼지는 상기 확산광을 집광한다.
상기 광학 유닛(100)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서 광특성 향상 부재로 채용되며, 대체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 개의 광특성 향상 부재, 예들 들어, 확산판, 확산 시트, 브라이트니스 인핸스먼트 필름(Brightness Enhancement film; BEF; 프리즘 시트) 및 듀얼 브라이트니스 인핸스먼트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 휘도 상승 시트) 등을 포함한다.
이하, 표 1을 참조하여, 상기 광학 유닛(100)과 상기 복수 개의 광특성 향상 부재의 성능을 비교한 실험예를 설명한다.
PMMA확산판 + 확산 시트 1매
+ BEF + DBEF
본 발명의
광학 유닛
광학 유닛
+ 확산 시트 1매
25P Aver 7441.8 7341.8 7597.7
13P Aver 7447.0 7377.0 7599.0
5P Aver 7584.0 7484.0 7699.0
Lum (Center) 7656.0 7521.0 7799.0
Wx (Center) 0.2889 0.2888 0.2888
Wy (Center) 0.2857 0.2867 0.2867
25P 상대값 100.0 % 99.0 % 102.0 %
13P 상대값 100.0 % 99.0 % 100.0 %
5P 상대값 100.0 % 99.0 % 102.0 %
25P Unifor. (%) 78.2 76.2 78
13P Unifor. (%) 80.0 80.0 80.0
상기 표 1은 액정 TV에 채용되는 32 인치(1인치 = 약 2.5399 cm) 사이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인버터로부터 램프에 제공되는 전원전류가 6.0 mA 인 경우, 30분 동안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정면에서 측정한 휘도를 나타낸다.
비교예에서는 PMMA 확산판 위에 1매의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BEF) 및 휘도 상승 시트(DBEF)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비교예에서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유효 광출사 영역에서 25포인트, 13포인트 및 5포인트의 휘도 평균치는 각각 7441.8[nit], 7447.0[nit] 및 7584.0[nit]이고, 총 휘도치, 화이트 색좌표의 x-축 좌표, 화이트 색좌표의 y-축 좌표 각각은 7656[nit], 0.2889, 0.2857로 관측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학 유닛(100)을 사용한 경우, 25포인트, 13포인트 및 5포인트의 휘도 평균치는 각각 7341.8[nit], 7377.0[nit] 및 7484.0[nit]이고, 총 휘도치, 화이트 색좌표의 x-축 좌표, 화이트 색좌표의 y-축 좌표 각각은 7521.0[nit], 0.2888, 0.2867로 관측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학 유닛(100) 및 1매의 확산 시트를 사용한 경우, 25포인트, 13포인트 및 5포인트의 휘도 평균치는 각각 7590.7[nit], 7599.0[nit] 및 7699.0[nit]이고, 총 휘도치, 화이트 색좌표의 x-축 좌표, 화이트 색좌표의 y-축 좌표 각각은 7799.0[nit], 0.2888, 0.2867로 관측되었다.
또한, 비교예에서 25포인트 및 13포인트에서 휘도 균일성은 각각 78.2 % 및 80.0 % 이고, 상기 광학 유닛(100)을 사용한 경우 25포인트 및 13포인트에서 휘도 균일성은 각각 76.2 % 및 80.0 % 이며, 상기 광학 유닛(100)과 1매의 확산 시트를 사용한 경우 25포인트 및 13포인트에서 휘도 균일성은 각각 78.0 % 및 80.0 %로 관측되었다.
그 결과, 상기 비교예를 기준으로 휘도 상대값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상기 광학 유닛(100)은 약 99 % 의 휘도를 갖는 광을 출사하고, 상기 광학 유닛(100)과 1 매의 확산 시트를 함께 사용한 경우, 약 102 %의 휘도를 갖는 광을 출사한다. 따라서, 비교예의 휘도와 상기 광학 유닛(100) 또는 상기 광학 유닛(100)과 1 매의 확산 시트를 함께 사용한 경우의 휘도가 거의 대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예를 기준으로 화이트 색좌표의 x-축 좌표, 화이트 색좌표의 y-축 좌표를 비교하면, 상기 광학 유닛(100) 또는 상기 광학 유닛(100)과 1 매의 확산 시트를 사용한 경우, 화이트 색좌표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예를 기준으로 휘도 균일성을 비교하면, 상기 광학 유닛(100) 또는 상기 광학 유닛(100)과 1 매의 확산 시트를 사용한 경우 상기 비교예와 휘도 균일성이 거의 대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학 유닛(100)은 확산판,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휘도 상승 시트를 함께 사용한 경우와 대등한 광확산, 집광 및 휘도 상승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학 유닛(200)은 자외선 흡수층(2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상기 광학 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광학 유닛(200)이 표시 장치에 채용되는 경우, 상기 광학 유닛(200)의 배면에는 광원, 예를 들어, 램프가 배치된다.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자외선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이 상기 광학 유닛(200)에 장시간 입사되는 경우, 상기 광학 유닛(200)의 색이 황색으로 변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상기 광학 유닛(200)의 광투과율이 저하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층(270)은 상기 휘도 상승부(250)와 대향하여 상기 몸체(210)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층(270)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상기 광학 유닛(200)의 색이 황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확산부가 형성된 몸체의 제3 영역(C)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학 유닛(300)은 몸체(310), 확산부(330), 휘도 상승부(350) 및 자외선 흡수층(37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310)는 상기 고분자 수지(polymer resin)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와 후술될 상기 확산부(330)를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바인더층(311)을 포함한다.
상기 확산부(330)는 상기 바인더층(311) 및 상기 바인더층(311)에 접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확산부(330)는 제1 확산부(331) 및 제2 확산부(3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확산부(3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바인더층(311)의 내부에 형성된 기포(331)를 갖고, 상기 제2 확산부(335)는 상기 바인더층(311)의 내부에 배치된 확산 비드(335)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확산부(335)는 확산 비드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층(311)은 상기 확산 비드를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정시킨다. 상기 확산 비드는 상기 바인더층(311)에 의해 매립되거나 상기 확산 비드의 일부는 상기 바인더층(311)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비드는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투명하여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높은 합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계열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산 비드는 상기 바인더층(311)의 광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확산부(330)가 기포(330) 및 확산 비드(335)를 모두 가짐에 따라, 상기 광학 유닛(300)의 광확산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휘도 상승부(350)는 상기 바인더층(311)의 표면에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휘도 상승부(350)는 복수 개의 엠보싱부(355)들을 포함한다. 상기 엠보싱부(355)는 4 각뿔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엠보싱부(355)는 3각뿔 등의 다각뿔 형상을 갖거나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엠보싱부(355)는 그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상기 엠보싱부(15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광학 유닛(300)은 상기 확산부(330)를 통하여 출사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휘도 상승부(350)를 통하여 출광 효율을 향상시켜 광출사량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310)의 배면을 통해 상기 몸체(310)로 입사한 광은 상기 바인더층(311)을 통과하면서, 상기 기포(330)가 포함하는 공기층 및 상기 확산 비드와 상기 플레이트의 경계면에서 반복하여 반사 및 굴절되며, 다수의 경로를 따라 확산된다. 그 결과, 상기 바인더층(311)을 통과한 확산광은 상기 몸체(310)의 배면으로 입사하는 광보다 휘도 균일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바인더층(311)을 통과한 확산광은 상기 엠보싱 패턴과 상기 광학 유닛(300) 외부의 공기층의 경계면에서 굴절 및 반사된다. 이때, 상기 광학 유닛(300)의 표면이 엠보싱 패턴을 가짐에 따라, 상기 바인더층(311)층을 통과한 확산광이 출사되는 면적이 증가하고, 상기 확산광의 상기 엠보싱 패턴의 표면에 대한 입사각이 감소되어 상기 확산광 중 출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자외선 흡수층(370)은 상기 휘도 상승부(350)와 대향하여 상기 몸체(310)의 배면에 배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광학 유닛(400)은 몸체(410), 확산부(430) 및 휘도 상승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유닛(400)은 상기 확산부(430)가 상기 휘도 상승부(450)의 내부에도 형성되는 점 및 자외선 흡수층(470)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상기 광학 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확산부(430)는 제1 확산부(431) 및 제2 확산부(4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확산부(431)는 상기 몸체(410)의 상기 스킨층(411)의 내부에 형성된 기포(430)를 갖는다. 상기 제2 확산부(435)는 상기 휘도 상승부(450)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도 상승부(450)는 상기 스킨층(411) 위에 엠보싱 패턴이 양각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정상부가 라운드진 피라미드 형상의 엠보싱부(45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확산부(435)는 상기 엠보싱부(455)의 내부에 형성된 기포(435)를 갖는다.
상기 자외선 흡수층(470)은 상기 휘도 상승부(450)와 대향하여 상기 몸체(410)의 배면에 배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학 유닛(500)은 몸체(510), 확산부(530), 휘도 상승부(550) 및 자외선 흡수층(570)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 유닛(500)은 상기 휘도 상승부(550), 확산부(530) 및 자외선 흡수층(570)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상기 광학 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휘도 상승부(550)는 상기 몸체(510)의 표면에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10에서 상기 엠보싱 패턴은 상기 몸체(510)의 표면을 가공하여 상기 몸체(5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 패턴은 엠보싱부(555)들을 포함하며, 상기 엠보싱부(555)는 반구형상을 갖는다.
상기 확산부(530)는 상기 몸체(510) 및 상기 엠보싱부(555)의 내부에 형성된 기포(530)를 갖는다. 상기 확산부(530)는 상기 몸체(510) 중 상기 엠보싱부(555)에 인접한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층(570)은 상기 휘도 상승부(550)와 대향하여 상기 몸체(510)의 배면에 배치된다.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광학 유닛의 제조를 위하여, 먼저, 투광성 고분자 수지판(601)에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형성한다(단계 1). 상기 확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대기압(약 1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기체를 가압하여 상기 투광성 고분자 수지판(601)에 상기 기체를 흡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체를 팽창시켜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의 내부에 기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은,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은 압출기에서 압출되며 소정의 두깨를 갖도록 성형된다.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은 표면처리를 위한 스킨층을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의 상기 스킨층은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압출기로부터 토출된다.
상기 스킨층에 기체를 흡수시키기 위하며,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은 고압의 이산화탄소 기체가 제공되는 압력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력 기체 제공 유닛(610)을 이용하여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기체,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611)를 가압하여 상기 투광성 고분자 수지판(601)에 상기 이산화탄소(611)를 샤워시킨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체로 질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의 스킨층을 이루는 폴리머 사슬(polymer chain)들은 분자 스케일에서 그물 형상으로 상호 얽혀 있다. 그물 형상을 이루는 상기 폴리머 사슬들 사이에는 상기 이산화탄소(611) 분자들이 스며들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공간(free volume)이 존재하며, 상기 이산화탄소(611)는 상기 고분자 사슬들 사이에 침투된다.
이후, 핫에어(Hot Air) 제공 유닛(620)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의 표면에 핫에어(621)를 제공하며,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의 표면을 가열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을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들 사이에 스며든 이산화탄소가 팽창되면서, 상기 스킨층의 내부에 기포(603)를 형성시키며, 팽창된 이산화탄소는 상기 스킨층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이탈된다.
이어서, 상기 기포(603)가 형성된 상기 스킨층 상에 엠보싱 패턴(607)이 양각된 휘도 상승부를 형성한다(단계 2).
이를 위하여, 먼저, 제1 롤러(630)를 이용하여 상기 기포(603)가 형성된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의 표면에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605)를 도포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605)는 아크릴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및 티오크산톤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어서, 엠보싱부의 형상(645)이 음각된 금형(640)으로 도포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605)를 가압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605)에 엠보싱 패턴(607)을 양각한다. 계속해서, 자외선 제공 유닛(650)을 통하여 상기 엠보싱 패턴(607)이 양각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655)을 조사하여 상기 엠보싱 패턴(607)을 경화시켜 휘도 상승부(608)를 형성한다.
상기 광학 유닛(601)의 제조 방법은 상기 휘도 상승부(608)와 대향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판(601)의 배면에 제2 롤러(670)를 이용하여 자외선 흡수층(609)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학 유닛(601)의 제조 방법은 상기 엠보싱 패턴(607)을 양각하는 단계와, 상기 자외선(655)을 조사하여 상기 엠보싱 패턴(607)을 경화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엠보싱 패턴(607)을 구성하는 엠부싱부의 내부에 기포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700)는 광원(710), 수납 용기(720), 광학 유닛(200) 및 확산 시트(730)를 포함한다.
도 12에서, 상기 광원(710)은 램프이다. 상기 램프는 방전 가스가 봉입된 램프 튜브, 상기 램프 튜브의 내벽에 도포된 형광층 및 상기 램프 튜브의 양 단부에 배치된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부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방전 가스는 비가시광선, 예들 들어, 자외선을 방출하고, 상기 자외선은 상기 형광층을 통과하며 가시광선으로 변환된다. 상기 자외선이 완전하게 가시광선으로 변환되지 못하며, 일부의 자외선은 그대로 상기 형광층을 통과한다.
상기 수납 용기(720)는 상기 램프를 수납한다. 상기 램프는 상기 수납 용기(720)의 바닥판에 복수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광학 유닛(200)은 상기 수납 용기(720)의 측벽에 형성된 단턱부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 유닛(200)은 도 6에 도시된 상기 광학 유닛(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210)의 배면에 배치된 자외선 흡수층(270)은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광 중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에 의하여 상기 몸체(210)의 색이 황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층(270)을 통과한 가시광선은 상기 스킨층(211)에 형성된 기포로 인해 반사 및 굴절된다. 그 결과, 상기 가시광선은 상기 광학 유닛(200)의 전체 면적에 비교적 균일하게 확산된다.
상기 확산된 광은 엠보싱 패턴 형상을 갖는 휘도 상승부(250)를 통과하며, 상기 광학 유닛(200)의 정면을 향하는 방향에 보다 근접하도록 광 경로가 변경된다. 즉, 상기 휘도 상승부(250)는 집광 패턴이다. 이때, 상기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는 엠보싱부(255)는 상기 확산광의 출사면적을 증가시키고, 상기 확산광의 상기 엠보싱 패턴에 대한 입사각을 감소시켜 상기 엠보싱 패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확산 시트(730)는 상기 광학 유닛(200)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 유닛(20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다시 한번 더 확산시켜 휘도 균일성이 보다 향상된 광을 출사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 시트(73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0)는 상기 광학 유닛(200)을 대체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부(330)가 기포를 갖는 제1 확산부(331) 및 확산 비드(335)를 갖는 제2 확산부(335) 모두를 포함하는 상기 광학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광원(810), 광가이드 유닛(830), 광학 유닛(200) 및 확산 시트(85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810), 광학 유닛(200) 및 확산 시트(850)는 도 12에 도시된 상기 광원(710), 광학 유닛(200) 및 확산 시트(73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광가이드 유닛(83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입광부 및 출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광부는 상기 광가이드 유닛의 일 측면을 이루며, 상기 출광부는 상기 광학 유닛(200)의 배면을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광가이드 유닛(830)은 상기 입광부에 배치된 상기 광원(810)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가이드 하여, 상기 출광부를 통해 상기 광학 유닛(200)을 향하여 광을 출사한다.
표시 장치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9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905) 및 표시 패널(950)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905)는 도 12에 도시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시 패널(95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905)로부터 제공된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950)은 제1 기판(951), 제2 기판(955) 및 액정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951)은 하부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 위에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951)은 상기 화소 전극에 화소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기판(955)은 상기 제1 기판(951)을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2 기판(955)은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에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게 배치된 색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색화소는 RGB 화소를 포함하며,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만을 통과시켜 영상의 컬러를 표시한다. 상기 제2 기판(955)은 상기 제2 기판(955)의 전면적에 형성되며,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면 상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액정층의 배열이 변경되고, 상기 액정증의 배열 변화에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905)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투과도 조절되어, 상기 표시 장치(900)는 원하는 계조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유닛은 기포를 갖는 확산부 및 엠보싱 패턴 형상을 갖는 휘도 상승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포는 확산 비드보다 상기 광학 유닛의 몸체와의 굴절률 차이가 크고, 상기 기포는 마이크로 사이즈를 가짐에 따라, 마이크로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확산 비드보다 상기 몸체와의 경계면을 보다 많이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 유닛은 종래의 확산판 및 확산 시트가 함께 수행하는 광확산 능력과 대등한 성능의 광확산 능력을 갖는다.
또한, 상기 휘도 상승부는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된 광의 출광면적을 증가시키고, 엠보싱 패턴의 표면에 대한 상기 확산광의 입사각을 경향적으로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휘도 상승부는 상기 확산광의 출사율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광학 유닛의 표면이 평탄한 경우에 비하여, 출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엠보싱 패턴이 정상부가 라운드진 피라미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확산부에 의해 다양한 방향, 예를 들어, 방사형으로 확산되는 광을 상기 광학 유닛의 정면 방향에 보다 근접하도록 집광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광학 유닛은 집광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복수 매의 프리즘 시트 및 휘도 상승 시트(DBEF)가 함께 수행하는 집광 및 휘도 상승 성능과 대등한 집광 및 휘도 상승 능력을 구비한다.
그 결과,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서 상기 광학 유닛은 확산판, 확산 시트, 복수 매의 프리즘 시트 및 휘도 상승 시트를 대체하여 대등한 성능의 광확산, 집광 및 휘도 상승 역할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8)

  1. 투광성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로 입사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및
    상기 몸체의 표면에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된 광의 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휘도 상승부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 패턴 상면의 일부는, 상기 확산부를 포함하는 스킨층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기포(bubble)이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휘도 상승부 인근에 편중되게 형성되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몸체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압하여 기체를 흡수시킨 후, 상기 기체를 상기 몸체 내에서 팽창시켜 형성되며,
    상기 기포는 이산화탄소(C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임의의 방향에 대하여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상승부는 정상부가 라운드진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상승부는 다각형 뿔 형상을 갖는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상승부는 상기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엠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부의 내부에는 기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상승부는 상기 몸체의 표면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상승부는 경화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상승부와 대향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자외선에 의해 상기 몸체가 황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자외선 흡수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
  12. 투광성 고분자 수지판에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엠보싱 패턴이 양각된 휘도 상승부를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확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기체를 가압하여 상기 투광성 고분자 수지판에 상기 기체를 흡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체를 팽창시켜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내부에 기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포는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내부에서, 상기 휘도 상승부 인근에 편중되게 분포하며,
    상기 기체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판에 기체를 흡수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표면에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판을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들 사이에 상기 기체를 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체가 흡수된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표면을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판을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들 사이에서 팽창된 기체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표면 또는 내부에 확산 비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상승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확산부가 형성된 상기 고분자 수지판의 표면에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엠보싱부의 형상이 음각된 금형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판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엠보싱 패턴을 양각하는 단계; 및
    상기 엠보싱 패턴이 양각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엠보싱 패턴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는 아크릴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및 티오크산톤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패턴을 양각하는 단계와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엠부싱부의 내부에 기포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상승부와 대향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판에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22. 광원; 및
    투광성 몸체와, 상기 몸체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고서 상기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상기 몸체의 표면에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된 광의 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휘도 상승부를 갖는 광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 패턴 상면의 일부는, 상기 확산부를 포함하는 스킨층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기포(bubble)이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휘도 상승부 인근에 편중되게 형성되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몸체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압하여 기체를 흡수시킨 후, 상기 기체를 상기 몸체 내에서 팽창시켜 형성되며,
    상기 기포는 이산화탄소(C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기포를 갖는 제1 확산부 및 확산 비드를 갖는 제2 확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상승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경로 를 상기 광학 유닛의 정면 방향에 보다 근접하도록 변경시키는 집광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패턴은 정상부가 라운드진 피라미드 형상의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휘도 상승부에 대향하여 상기 몸체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휘도 상승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제공받는 입광부; 및
    상기 휘도 상승부와 대향하는 상기 광학 유닛의 배면과 마주보는 출광부를 포함하는 광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8. 삭제
KR1020050067104A 2005-07-25 2005-07-25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 장치 KR10124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104A KR101245128B1 (ko) 2005-07-25 2005-07-25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 장치
JP2006186386A JP2007034287A (ja) 2005-07-25 2006-07-06 光学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CN2006101090119A CN1904691B (zh) 2005-07-25 2006-07-25 光学单元及其制造方法、具有其的背光组件和显示装置
US11/492,714 US7450809B2 (en) 2005-07-25 2006-07-25 Optical uni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104A KR101245128B1 (ko) 2005-07-25 2005-07-25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888A KR20070012888A (ko) 2007-01-30
KR101245128B1 true KR101245128B1 (ko) 2013-03-25

Family

ID=3767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104A KR101245128B1 (ko) 2005-07-25 2005-07-25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50809B2 (ko)
JP (1) JP2007034287A (ko)
KR (1) KR101245128B1 (ko)
CN (1) CN19046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2479A1 (en) * 1996-03-21 2010-12-02 Aronson Joseph T Optical article
US20080192352A1 (en) * 2007-02-12 2008-08-14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diffuser film and light assembly
KR100868633B1 (ko) * 2007-02-21 2008-11-12 미래나노텍(주) 광학 시트 및 상기 광학 시트가 구비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895335B1 (ko) * 2007-04-13 2009-05-07 주식회사 상보 광확산제를 이용한 광학 적층 필름
KR101001247B1 (ko) * 2007-04-20 2010-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Lcd 백라이트 유닛용 집광 필름 및 이를 이용한 lcd백라이트 유닛
EP1995627A1 (en) * 2007-05-21 2008-11-26 Rohm and Haas Denmark Finance A/S Voided optical diffuser film with beads on a surface
CN101344678B (zh) * 2007-07-12 2011-07-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学板及其制备方法
JP2009063905A (ja) * 2007-09-07 2009-03-26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とそれを用い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WO2009047933A1 (ja) * 2007-10-09 2009-04-16 Sharp Kabushiki Kaisha バックライトの光制御層、バックライト、液晶表示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の光制御層の製造方法
KR101289040B1 (ko) * 2007-10-19 2013-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모듈
KR100968607B1 (ko) * 2007-11-02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완만한 꼭지부를 가지는 프리즘을 구비하는 도광판
KR100952736B1 (ko) * 2007-11-26 2010-04-13 제일모직주식회사 광확산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액정 표시 장치
KR100967392B1 (ko) * 2007-11-28 2010-07-01 레디언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방출 광계가 보상되는 광 가이드 플레이트
CN101463953B (zh) * 2007-12-19 2011-03-23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白光照明装置及使用该装置的台灯
KR20090073679A (ko) * 2007-12-31 200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표시 장치
CN101971061B (zh) * 2008-01-10 2014-04-16 可隆工业株式会社 光学片
WO2009102951A2 (en) * 2008-02-15 2009-08-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rightness enhancing film and film based diffuser for improved illumination uniformity of displays
US9671528B2 (en) 2008-10-07 2017-06-06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type display device
KR101548673B1 (ko) * 2008-11-21 2015-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확산판 제조 방법
JP2010218839A (ja) * 2009-03-16 2010-09-30 Toppan Printing Co Ltd El素子、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装置、照明装置、電子看板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光取り出しフィルム
JP4756099B2 (ja) * 2009-03-18 2011-08-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拡散素子、光拡散素子付偏光板、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光拡散素子の製造方法
KR101217450B1 (ko) 2009-10-21 2012-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추출을 위한 유기발광표시장치용 광학 시트
KR101123289B1 (ko) * 2009-12-09 2012-03-2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고휘도 특성을 갖는 도광판
KR101113214B1 (ko) * 2009-12-18 2012-02-2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고휘도 광학필름
KR101130854B1 (ko) * 2010-06-22 2012-03-2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고휘도 광학필름
GB2484713A (en) 2010-10-21 2012-04-25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KR20130079145A (ko) * 2011-12-30 2013-07-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복합 프리즘시트
KR101421026B1 (ko) * 2012-06-12 2014-07-22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03412357A (zh) * 2013-08-19 2013-11-27 上海友浦塑胶有限公司 复合高增益水平增亮膜
KR102160091B1 (ko) * 2014-06-12 2020-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JP6072754B2 (ja) * 2014-12-08 2017-02-01 三菱樹脂株式会社 反射材
KR101586173B1 (ko) * 2015-08-03 2016-01-19 심명석 볼 결합체 제조 방법
CN106125170B (zh) * 2016-06-27 2018-11-09 宁波东旭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扩散膜的制备方法
GB201705364D0 (en) 2017-04-03 2017-05-17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GB201705365D0 (en) 2017-04-03 2017-05-17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GB201718307D0 (en) 2017-11-05 2017-12-20 Optovate Ltd Display apparatus
GB201800574D0 (en) 2018-01-14 2018-02-28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GB201803767D0 (en) 2018-03-09 2018-04-25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GB201807747D0 (en) 2018-05-13 2018-06-27 Optovate Ltd Colour micro-LED display apparatus
TW202102883A (zh) 2019-07-02 2021-01-16 美商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定向顯示設備
WO2021041202A1 (en) * 2019-08-23 2021-03-04 Reald Spark, Llc Directional illumination apparatus and privacy display
US11163101B2 (en) 2019-09-11 2021-11-02 Reald Spark, Llc Switchable illumination apparatus and privacy display
JP7548655B2 (ja) 2019-10-03 2024-09-10 リアルディー スパーク エルエルシー 受動光学ナノ構造を備える照明装置
CN114729730B (zh) 2019-10-03 2025-03-07 瑞尔D斯帕克有限责任公司 包括无源光学纳米结构的照明设备
EP4107580A4 (en) 2020-02-20 2024-03-20 RealD Spark, LLC LIGHTING AND DISPLAY DEVICE
US12158602B2 (en) 2021-06-22 2024-12-03 Reald Spark, Llc Illuminatio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044A (ja) * 1995-06-07 1996-12-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面光源及び表示装置
JPH09304607A (ja) * 1996-05-16 1997-11-28 Nitto Denko Corp 光拡散フィルム
JP2004004970A (ja) * 2003-08-21 2004-01-08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リズムシートおよびバックライト
KR20040015327A (ko) * 2001-07-05 2004-02-18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난연성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607A (ja) * 1993-12-06 1995-06-23 Sekisui Chem Co Ltd 光制御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面状発光装置
US6002464A (en) * 1996-05-13 1999-12-14 Kuraray Co., Ltd. Light diffusing sheet having a layer incorporated with light diffusing material and a layer with a corrugated surface
JPH10246805A (ja) * 1997-03-06 1998-09-14 Dainippon Printing Co Ltd 拡散光制御用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7010212B2 (en) * 2002-05-28 2006-03-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functional optical assembly
JP2004325958A (ja) * 2003-04-25 2004-11-18 Sumitomo Rubber Ind Ltd 発光装置
JP4374237B2 (ja) * 2003-11-14 2009-12-02 恵和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
JP4020397B2 (ja) * 2004-06-14 2007-12-12 惠次 飯村 点光源を用いた面光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044A (ja) * 1995-06-07 1996-12-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面光源及び表示装置
JPH09304607A (ja) * 1996-05-16 1997-11-28 Nitto Denko Corp 光拡散フィルム
KR20040015327A (ko) * 2001-07-05 2004-02-18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난연성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4004970A (ja) * 2003-08-21 2004-01-08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リズムシートおよびバックライ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9131A1 (en) 2007-01-25
CN1904691A (zh) 2007-01-31
JP2007034287A (ja) 2007-02-08
CN1904691B (zh) 2012-10-24
KR20070012888A (ko) 2007-01-30
US7450809B2 (en) 200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128B1 (ko)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 장치
US7414788B2 (en) Diffusion plate used in direct-type backlight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6200132B2 (ja) 光学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光学シート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8690416B2 (en) Display device
KR930010589A (ko) 에지라이트 패널 및 그 생산방법
JP4695509B2 (ja) 光拡散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光学素子
KR101219591B1 (ko) 백라이트 도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01239A (ko) 광학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287933A (ja) 導光板、製造方法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KR20090125606A (ko) 광학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93119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JPH10253808A (ja) 光学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指向性面状光源
KR100786118B1 (ko) 발포수지 확산층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5509532B2 (ja) 光学部材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50062864A (ko)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WO2008078510A1 (ja) 光拡散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CN115808822B (zh) 一种dpl复合膜片及其制备方法
KR20090073679A (ko) 광학시트 및 표시 장치
KR1007879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 제조방법
KR2013002967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도광판 패턴 형성방법
KR20080047846A (ko) 직하식 백라이트 모듈의 확산판의 성형방법과 그 응용
JP6030399B2 (ja) 偏光光学体
KR101685574B1 (ko) 복합 반사편광 필름
KR101540098B1 (ko) 복합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및 복합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JP6308560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7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725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11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122

Appeal identifier: 2012101010529

Request date: 2012121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12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9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2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3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12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