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1026B1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026B1
KR101421026B1 KR1020120062738A KR20120062738A KR101421026B1 KR 101421026 B1 KR101421026 B1 KR 101421026B1 KR 1020120062738 A KR1020120062738 A KR 1020120062738A KR 20120062738 A KR20120062738 A KR 20120062738A KR 101421026 B1 KR101421026 B1 KR 101421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ase layer
texturing
oxide
thin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045A (ko
Inventor
박준형
유영조
박태정
김서현
백일희
윤근상
최은호
Original Assignee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026B1/ko
Priority to US13/914,916 priority patent/US9825257B2/en
Priority to DE102013210942.3A priority patent/DE102013210942B4/de
Priority to CN201310233676.0A priority patent/CN103490015B/zh
Publication of KR2013013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0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32B5/145Variation across the thickness of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10T428/24545Containing metal or metal comp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95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and varying den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62Composite web or sheet with partial filling of valleys on outer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추출 효율 향상을 통해 유기발광소자가 채용된 디스플레이 및 조명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기저층; 상기 기저층 상에 형성되되, 상기 기저층으로부터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 돌기로 이루어진 제1 텍스처링(texturing)부; 및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 돌기로 이루어진 제2 텍스처링부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LIGHT EXTRACTION LAYER SUBSTRATE FOR OLE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추출 효율 향상을 통해 유기발광소자가 채용된 디스플레이 및 조명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소자(organic emitting diode; OLED)는 애노드(anode), 발광층 및 캐소드(cathode)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애노드와 캐소드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은 애노드로부터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된다. 이때,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N×M개의 화소들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방식과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능동 매트릭스 방식의 경우 단위화소 영역에는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전극과 이 화소전극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단위화소 구동회로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단위화소 구동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화소수와 상관없이 일정한 전류의 공급이 가능해져 안정적인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아울러, 능동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전력소모가 적어, 고해상도 및 대형디스플레이의 적용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수동 매트릭스 방식은 각 화소에 들어가는 전류를 직접 구조로, 능동 매트릭스 방식에 비해 간단하지만, 고화소 디스플레이에는 적합하지 않아 소형 디스플레이와 조명용으로 주로 쓰인다.
그런데 상용화 단계에 이른 유기발광소자는 아직까지 굴절률 차이로 인해 소자를 구성하는 박막 층과 기판 사이의 계면에서 빛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광추출 효율이 대략 20%로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유기발광소자는 광추출 효율에 대한 개선 없이는 고효율을 달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광추출층을 유기발광소자에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광추출층을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형성하였는데, 이 경우, 고가의 장비 사용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고분자 플라스틱 필름에 패턴을 형성한 다음 유기발광소자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광추출층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고분자 플라스틱 물질은 굴절률 상승에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물질 자체의 기계적, 열적 내구성에도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9655호(2007.04.1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추출 효율 향상을 통해 유기발광소자가 채용된 디스플레이 및 조명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기저층; 상기 기저층 상에 형성되되, 상기 기저층으로부터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 돌기로 이루어진 제1 텍스처링(texturing)부; 및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 돌기로 이루어진 제2 텍스처링부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은 상기 기판보다 상대적으로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은 1 ~ 12㎛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저층의 두께는 상기 제1 텍스처링부의 두께 대비 25%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층은 상기 제1 텍스처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밀한 결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은 ZnO, TiO2, SnO2, SrTiO3, VO2, V2O3, SrRuO3, Si3N4, SiN, TiN 및 SiO2로 이루어진 물질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은 Mg, Cd, S, Se, Te, F, Ga, Al, F, Mn, Co, Cu, Nb, Nd, Sr, W 및 Fe을 포함하는 금속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80 ~ 800㎚ 파장대의 평균 투과율이 40%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압화학기상증착 공정을 통해 기판 상에 기저층, 기저층으로부터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 돌기로 이루어진 제1 텍스처링부 및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 돌기로 이루어진 제2 텍스처링부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으로 이루어진 광추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압화학기상증착 공정 전에 상기 기판을 플라즈마 또는 화학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압화학기상증착 공정 후에 형성된 상기 광추출층을 플라즈마 또는 화학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와 형태가 다른 텍스처링의 적층 구조로 광추출층 기판을 형성함으로써,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유기발광소자가 채용된 디스플레이 및 조명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압화학기상증착(APCVD) 반응 공정으로 형성되는 광추출층의 표면에 텍스처링을 자연 형성시킴으로써, 종래보다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가이면서 고효율의 유기발광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 기판을 구비한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 기판의 표면 형상을 도식화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 기판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의 전체 두께와 광추출 효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의 기저층 두께와 광추출 효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의 제1 텍스처링부의 두께와 광추출 효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 기판에 대한 파장대별 투과율 및 헤이즈값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 및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추출층 기판에 대한 파장대별 투과율 및 헤이즈값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은 유기발광소자(10)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혹은 조명의 휘도 향상을 위해 유기발광소자(10)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박막 기판으로, 유기발광소자(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유기 발광소자(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유기 발광소자(10)로부터 발생된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 기판은 텍스처링(texturing)이 형성된 표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 기판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크기가 2.8eV 이상인 와이드 밴드갭을 갖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밴드갭의 크기가 클수록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의 투명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와이드 밴드갭을 가지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은 ZnO, TiO2, SnO2, SrTiO3, VO2, V2O3, SrRuO3 및 SiO2로 이루어진 물질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은 Mg, Cd, S, Se, Te, F, Ga, Al, F, Mn, Co, Cu, Nb, Nd, Sr, W 및 Fe을 포함하는 금속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산화물이 ZnO인 경우 도펀트로는 Mg, Cd, S, Ga, Al, F, Mn, Co, Cu 등과 같은 금속, 전이금속 및 할로겐 원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산화물이 TiO2인 경우 도펀트로는 Nb, Nd, Sr이 사용될 수 있고, 산화물이 SnO2인 경우 도펀트로는 F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산화물이 SrTiO3인 경우 도펀트로는 Nd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산화물이 VO2인 경우 도펀트로는 W가 사용될 수 있고, 산화물이 SrRuO3인 경우 도펀트로는 Fe, Co 등의 전이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해당 도펀트들은 각 산화물 또는 질화물의 밴드갭, 굴절률 조절 및 표면 형상 제어 즉, 텍스처링의 형상 제어를 위해, 단독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산화물 또는 질화물의 함량대비 10wt% 이하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도펀트는 공정 조건에 따라 광추출층(100)을 형성하는 중에 도핑되거나 광추출층(100)을 형성한 후에 도핑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광추출층(100)은 광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판(11)보다 상대적으로 큰 굴절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추출층 기판이 일면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소자(10)는 광추출층 기판을 구성하는 기판(11)을 전면 기판으로 하고, 이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15)과, 이들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2 전극층(12, 14)과 제1 및 제2 전극층(12, 14) 사이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13) 및 한 쌍의 기판(11, 15)의 테두리 또는 이들 기판(11, 15)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전극층(12, 14)과 유기 발광층(13)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실링재(16)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은 기판(11)과 광추출층(1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광추출층(100)은 기저층(110), 제1 텍스처링부(120) 및 제2 텍스처링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기판(11)은 투명 기판으로, 광 투과율이 우수하고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판(11)은 열경화 또는 UV 경화가 가능한 유기필름인 폴리머 계열의 물질이나 화학강화유리인 소다라임유리(SiO2-CaO-Na2O)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SiO2-Al2O3-Na2O)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중 Na의 양은 용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유기 발광소자(10)가 조명용인 경우 소다라임유리가 사용될 수 있고, 유기 발광소자(10)가 디스플레이용인 경우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판(11)으로는 두께 1.5㎜ 이하의 박판 유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박판 유리는 퓨전(fusion) 공법 또는 플로팅(floating) 공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저층(110)은 기판(11)과 맞닿는 광추출층(100)의 하부층이다. 이러한 기저층(110)은 내부의 전반사 현상을 없애주어 광추출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기저층(110)은 이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텍스처링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밀한 결정 구조를 이룬다. 이는, 기저층(110)의 결정 구조가 조밀하지 않아 공기에 의한 보이드(void)가 발생하게 되면, 전반사 현상이 일어날 확률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저층(110)은 제1 텍스처링부(120)에 비해 상당히 얇은 두께, 예를 들어, 제1 텍스처링부(120)의 두께 대비 대략 25%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층(110)은 0.01 ~ 1.0㎛의 두께(a1)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텍스처링부(120)는 광추출층(100)의 상부층으로 기저층(110)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1 텍스처링부(120)는 기저층(110)으로부터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 돌기(121)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텍스처링부(120)를 이루는 제1 돌기(121)는 예컨대, 나뭇잎형, 막대형, 헥사곤형, 랜덤형, 적층 육각형 및 육각 프리즘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돌기(121)는 높이(b1) 0.05 ~ 10㎛, 이웃하는 제1 돌기(121) 간의 거리(b2) 0 ~ 10㎛, 가로 폭(b3; 도면기준) 0.05 ~ 10㎛, 세로 폭(d1; 도면기준) 0.05 ~ 5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텍스처링부(120)는 기저층(110)에 의해 전반사 없이 추출된 빛을 외부로 끌어 올리는 역할을 하며, 크기에 따라 그 빛을 외부로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2 텍스처링부(130)는 제1 텍스처링부(120)를 이루는 제1 돌기(121)의 외주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 돌기(131)로 이루어진다. 제2 텍스처링부(130)를 이루는 제2 돌기(131)는 제1 돌기(121)와 마찬가지로, 나뭇잎형, 막대형, 헥사곤형, 랜덤형, 적층 육각형 및 육각 프리즘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돌기(131)는 이웃하는 제2 돌기(131) 간의 거리(c1) 0.01 ~ 1㎛, 가로 폭(c2 ; 도면기준) 0.01 ~ 1㎛, 세로 폭(d2; 도면기준) 0.01 ~ 1㎛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텍스처링부(130)는 제1 텍스처링부(120)를 통해 구현되는 산란효과를 더욱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a1 0.01~1.0
b1 0.05~10
b2 0~10
b3 0.05~10
c1 0.01~1
c2 0.01~1
d1 0.05~50
d2 0.01~1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 기판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기판(11) 상에 기저층, 제1 텍스처링부 및 제2 텍스처링부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의 전체 두께와 광추출 효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 광추출층의 두께 범위가 1 ~ 12㎛일 경우 광추출 효율이 대략 1.4배 이상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의 기저층 두께와 광추출 효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 기저층의 두께가 대략 0.2㎛ 이상일 경우 광추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기저층의 두께가 0.2㎛ 이상일 경우 두께 변화에 따라 광추출 효과 변화의 편차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저층과 제1 텍스처링부로 이루어진 광추출층에서 기저층의 두께는 광추출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소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의 제1 텍스처링부의 두께와 광추출 효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 제1 텍스처링부의 두께와 광추출 효율 간의 상관관계는 도 6의 광추출층의 전체 두께와 광추출 효율 간의 상관관계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광추출층의 광추출 효과는 제1 텍스처링부 및 이의 두께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 기판에 대한 파장대별 투과율 및 헤이즈값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추출층 기판에 대한 파장대별 투과율 및 헤이즈값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들 그래프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층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헤이즈 값을 나타내고, 가시광선 영역 즉, 380 ~ 800㎚ 파장대의 평균 투과율은 40% 이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제조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제조방법은 상압화학기상증착(Atmosphere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APCVD) 공정을 통해, 기저층(110), 제1 텍스처링부(120) 및 제2 텍스처링부(130)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으로 이루어진 광추출층(100)을 기판(11)에 형성한다. 여기서, 광추출층(100)을 상압화학기상증착 반응으로 형성하면, 이의 표면에 증착과정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기저층(110), 제1 텍스처링부(120) 및 제2 텍스처링부(130)가 형성된다. 즉, 상압화학기상증착 반응으로 광추출층(100)을 형성하면, 인위적으로 텍스처링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증가되어 대량 양산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상압화학기상증착 반응 공정은 먼저, 공정 챔버(미도시)에 기판(11)을 장입한 후 이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다. 그 다음 상압화학기상증착 반응을 위해 전구체 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공정 챔버(미도시) 내부로 분사한다. 이때, 전구체 가스와 산화제 가스가 공정 챔버(미도시) 내부로 유입되기 전 미리 혼합되는 것을 방기 하기 위해 각각의 가스 공급 경로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학 반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구체 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미리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전구체 가스는 질소, 헬륨,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 가스로 이루어진 캐리어 가스에 의해 공정 챔버(미도시) 내부로 운반될 수 있다.
여기서, 상압화학기상증착 반응 공정으로 광추출층(100) 증착 시 광추출층(100)의 표면에 생성되는 텍스처링 즉, 제1 텍스처링부(120) 및 제2 텍스처링부(130) 각각의 제1 돌기(121) 및 제2 돌기(131)의 형상 제어를 위해 상압화학기상증착 반응 공정 전 기판(11)의 표면을 플라즈마 또는 화학처리하여 표면개질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압화학기상증착 반응 공정으로 광추출층(100) 증착 시 광추출층(100)의 표면에 생성되는 제1 텍스처링부(120) 및 제2 텍스처링부(130) 각각의 제1 돌기(121) 및 제2 돌기(131)의 형상 제어를 위해 상압화학기상증착 반응 공정 후 형성된 광추출층(100)의 표면을 플라즈마 또는 화학처리하여 표면개질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압화학기상증착 공정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이 제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광추출층 110: 기저층
120: 제1 텍스처링부 121: 제1 돌기
130: 제2 텍스처링부 131: 제2 돌기
10: 유기발광소자 11: 기판
12: 제1 전극층 13: 유기 발광층
14: 제2 전극층 15: 후면 기판
16: 실링재

Claims (11)

  1. 일면에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기저층;
    상기 기저층 상에 형성되되, 상기 기저층으로부터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 돌기로 이루어진 제1 텍스처링(texturing)부; 및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 돌기로 이루어진 제2 텍스처링부;
    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은 상기 기판보다 상대적으로 큰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은 1 ~ 12㎛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의 두께는 상기 제1 텍스처링부의 두께 대비 2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은 상기 제1 텍스처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밀한 결정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은 ZnO, TiO2, SnO2, SrTiO3, VO2, V2O3, SrRuO3, Si3N4, SiN, TiN 및 SiO2로 이루어진 물질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은 Mg, Cd, S, Se, Te, F, Ga, Al, F, Mn, Co, Cu, Nb, Nd, Sr, W 및 Fe을 포함하는 금속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도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380 ~ 800㎚ 파장대의 평균 투과율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9. 상압화학기상증착 공정을 통해 기판의 일면에 기저층, 기저층으로부터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 돌기로 이루어진 제1 텍스처링부 및 상기 제1 돌기의 외주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 돌기로 이루어진 제2 텍스처링부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박막으로 이루어진 광추출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의 타면에 유기발광소자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압화학기상증착 공정 전에 상기 기판을 플라즈마 또는 화학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압화학기상증착 공정 후에 형성된 상기 광추출층을 플라즈마 또는 화학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제조방법.
KR1020120062738A 2012-06-12 2012-06-12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421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38A KR101421026B1 (ko) 2012-06-12 2012-06-12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13/914,916 US9825257B2 (en) 2012-06-12 2013-06-11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OLE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E102013210942.3A DE102013210942B4 (de) 2012-06-12 2013-06-12 Substrat zur Lichtextraktion für eine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ubstrats
CN201310233676.0A CN103490015B (zh) 2012-06-12 2013-06-13 用于oled的光提取基板和它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38A KR101421026B1 (ko) 2012-06-12 2012-06-12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045A KR20130139045A (ko) 2013-12-20
KR101421026B1 true KR101421026B1 (ko) 2014-07-22

Family

ID=4962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738A Active KR101421026B1 (ko) 2012-06-12 2012-06-12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25257B2 (ko)
KR (1) KR101421026B1 (ko)
CN (1) CN103490015B (ko)
DE (1) DE10201321094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15B1 (ko) * 2014-07-30 2021-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355798A (zh) * 2015-11-25 2016-02-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5870349B (zh) * 2016-06-06 2017-09-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发光器件
CN109690803B (zh) * 2016-09-02 2021-04-13 3M创新有限公司 包括发射显示器和色彩校正膜的显示器叠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788A (ko) * 2009-07-06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용 기판의 텍스처링 방법 및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20024358A (ko) * 2010-09-06 2012-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전자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0747A (en) * 1996-12-02 2000-01-04 Alliedsignal Inc. Process for making optical structures for diffusing light
US6881501B2 (en) * 2000-03-13 2005-04-19 Seiko Epson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777871B2 (en) * 2000-03-31 2004-08-17 General Electric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enhanced light extraction
KR100779777B1 (ko) * 2000-11-02 2007-11-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직시형 방사 디스플레이의 휘도 및 대비 증대
US6703780B2 (en) * 2001-01-16 2004-03-09 General Electric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a ceramic output coupl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5063926A (ja) * 2003-06-27 2005-03-10 Toyota Industries Corp 発光デバイス
EP1875520A1 (en) * 2005-04-13 2008-01-09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Structured substrate for a led
US20060268418A1 (en) * 2005-05-05 2006-11-30 Kim Jong M Optical film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KR101245128B1 (ko) * 2005-07-25 2013-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유닛,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표시 장치
FR2893610B1 (fr) * 2005-11-23 2008-07-18 Saint Gobain Procede de structuration de surface d'un produit verrier, produit verrier a surface structuree et utilisations
KR20070081144A (ko) * 2006-02-10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20070201056A1 (en) * 2006-02-24 2007-08-30 Eastman Kodak Company Light-scattering color-conversion material layer
EP1840966A1 (fr) * 2006-03-30 2007-10-03 Universite De Neuchatel Couche conductrice transparente et texturée et son procédé de réalisation
US7842376B2 (en) * 2006-05-24 2010-11-30 Zhijian Lu Diffus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080232135A1 (en) * 2006-05-31 2008-09-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guide
US20080088933A1 (en) * 2006-10-16 2008-04-17 Ching-Bin Lin Optical film for overcoming optical defects
EP2087271A4 (en) * 2006-10-27 2011-03-09 Fujifilm Corp BACKLIGHT UNIT
JP2008204947A (ja) * 2007-01-25 2008-09-0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面発光体、面発光体の製造方法、面発光体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FR2914630B3 (fr) * 2007-04-04 2009-02-06 Saint Gobain Procede de structuration de surface d'un produit a couche sol-gel, produit a couche sol-gel structuree
FR2915834B1 (fr) * 2007-05-04 2009-12-18 Saint Gobain Substrat transparent muni d'une couche electrode perfectionnee
US8179034B2 (en) * 2007-07-13 2012-05-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extraction film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lighting devices
CN101614368B (zh) * 2008-06-27 2011-11-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元件及具有该导光元件的光源组件
US20120258285A1 (en) * 2008-07-14 2012-10-11 Huga Optotech Inc. Substrate for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fabricated therefrom
TW201003980A (en) * 2008-07-14 2010-01-16 Huga Optotech Inc Substrate for making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element using the same
JP5633105B2 (ja) * 2008-10-23 2014-12-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DE102008056370B4 (de) * 2008-11-07 2021-09-30 Osram Ole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rganischen strahlungsemittierenden Bauelements und organisches strahlungsemittierendes Bauelement
DE112009002689T5 (de) * 2008-11-10 2013-02-21 Sharp K.K. Lichtemmisionsvorrichtung, Oberflächenleuchtkörper, und Anzeigevorrichtung
KR101064016B1 (ko) * 2008-11-26 2011-09-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2239581A (zh) * 2008-12-05 2011-11-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光导、图案化发光二极管设备、照明系统和生成光导或图案化发光二极管设备的方法
JP5940809B2 (ja) * 2008-12-30 2016-06-2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ナノ構造化物品及びナノ構造化物品の作製方法
US9059422B2 (en) * 2009-02-03 2015-06-16 Kaneka Corporation Substrate with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hin film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US9256007B2 (en) * 2009-04-21 2016-02-09 Svv Technology Innovations, Inc. Light collection and illumination systems employing planar waveguide
CN102473742A (zh) * 2009-07-29 2012-05-23 旭硝子株式会社 太阳能电池用透明导电性基板及太阳能电池
EP2473999A1 (en) 2009-08-31 2012-07-11 SanDisk IL Ltd. Preloading data into a flash storage device
US8917447B2 (en) * 2010-01-13 2014-12-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replicated film for attachment to autostereoscopic display components
KR101084985B1 (ko) * 2010-03-15 2011-11-21 한국철강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85373A (ko) * 2010-05-28 2013-07-29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빔 성형 광학 스택, 광원 및 조명기구
US20120080085A1 (en) * 2010-08-31 2012-04-05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Patterned protected film
US8547015B2 (en) * 2010-10-20 2013-10-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extraction film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OLEDs)
TWI425867B (zh) * 2010-11-19 2014-02-01 Au Optronics Corp 有機電激發光顯示元件及其製造方法
KR101789586B1 (ko) * 2010-12-06 2017-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산란 기판,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84434B1 (ko) * 2010-12-15 2012-09-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색변환 발광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JPWO2012086396A1 (ja) * 2010-12-20 2014-05-22 旭硝子株式会社 有機el素子および透光性基板
JP5827578B2 (ja) * 2011-02-14 2015-12-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光学素子の作製方法
EP2681970B1 (en) * 2011-03-03 2018-01-17 Nitto Denko Corporation Porous films for use in light-emitting devices
JP2012227122A (ja) * 2011-04-04 2012-11-15 Rohm Co Ltd 有機el装置
JP2012222346A (ja) * 2011-04-08 2012-11-12 Moser Baer India Ltd ラッカー層上に電気グリッド線を転写する方法
EP2697840A4 (en) * 2011-04-12 2014-11-05 Arkema Inc INTERNAL OPTICAL EXTRACTION LAYER FOR OLED DEVICES
EP2518789B1 (en) * 2011-04-18 2016-04-13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225739B1 (ko) * 2011-04-22 2013-01-23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광전지용 산화아연계 투명 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333529B1 (ko) * 2012-02-21 2013-11-27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산화물 박막 기판,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광전지 및 유기발광소자
EP2942820A1 (en) * 2012-04-02 2015-11-11 Asahi Kasei E-materials Corporation Optical substrat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CN104221180A (zh) * 2012-04-13 2014-12-17 旭化成电子材料株式会社 半导体发光元件用光提取体及发光元件
KR101387918B1 (ko) * 2012-04-30 2014-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9681B1 (ko) * 2012-08-13 2014-02-07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금속산화물 박막 기판,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광전지 및 유기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788A (ko) * 2009-07-06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용 기판의 텍스처링 방법 및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20024358A (ko) * 2010-09-06 2012-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전자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25257B2 (en) 2017-11-21
DE102013210942B4 (de) 2022-01-20
US20130330505A1 (en) 2013-12-12
KR20130139045A (ko) 2013-12-20
CN103490015B (zh) 2016-03-02
DE102013210942A1 (de) 2013-12-12
CN103490015A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2802B1 (en) Oled with improved light outcoupling
KR101654360B1 (ko) 유기 발광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EP251878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852110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I823257B (zh) 具有uv固化填料的有機發光二極體(oled)顯示器裝置及製造方法
KR20060059604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1026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07634082B (zh) 主动发光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1608273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650541B1 (ko)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65656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용 광추출층 및 그 제조방법
KR101488660B1 (ko) 유기발광소자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299534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용 광추출층 및 그 제조방법
KR100843551B1 (ko) 광 확산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제조방법
JP2007207509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0449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49583B1 (ko)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089067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070054186A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및제조장치
KR101436548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00470880C (zh) 有机电激发光显示器及其制作方法
US11302886B2 (en) Perovskite light-emitting devic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KR101421023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CN203746913U (zh) 有机发光二极管结构
KR20050112575A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8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3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8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