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548B1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6548B1 KR101436548B1 KR1020130060260A KR20130060260A KR101436548B1 KR 101436548 B1 KR101436548 B1 KR 101436548B1 KR 1020130060260 A KR1020130060260 A KR 1020130060260A KR 20130060260 A KR20130060260 A KR 20130060260A KR 101436548 B1 KR101436548 B1 KR 1014365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oxide
- thin film
- oxide thin
- pores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61—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일면에 배치되는 광추출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금속산화물을 증착하여 제1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제1 금속산화물 박막 형성단계;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상에 상기 금속산화물과 확산계수가 다른 금속산화물을 증착하여 제2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제2 금속산화물 박막 형성단계; 및 원자의 확산을 통해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간의 계면 및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과 상기 제2 금속산화물 박막 간의 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계면으로부터 상대적인 확산계수가 큰 쪽의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기공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및 상기 제2 금속산화물 박막을 열처리하는 기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내부 광추출 기판으로 구비한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기공의 종횡비에 따른 광추출 효율을 나타내 그래프.
도 4는 실시 예1 및 비교 예1의 ZnO 열처리 온도에 따른 XRD 그래프.
도 5는 실시 예1 및 비교 예1에 따라 제조된 광추출 기판의 온도 별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도 6은 실시 예2 및 비교 예2의 ZnO 열처리 온도에 따른 XRD 그래프.
도 7은 실시 예2 및 비교 예2에 따라 제조된 광추출 기판의 오도 및 두께별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단면도 및 광추출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유기 발광소자를 나타낸 단면, 분해 및 결합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유기 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유기 발광소자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120: 제1 금속산화물 박막 130: 제2 금속산화물 박막
140: 기공 1: 유기발광소자
11: 애노드 12: 유기 발광층
13: 캐소드
Claims (15)
-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일면에 배치되는 광추출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금속산화물을 증착하여 제1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제1 금속산화물 박막 형성단계;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상에 상기 금속산화물과 확산계수가 다른 금속산화물을 증착하여 제2 금속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제2 금속산화물 박막 형성단계; 및
원자의 확산을 통해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간의 계면 및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과 상기 제2 금속산화물 박막 간의 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계면으로부터 상대적인 확산계수가 큰 쪽의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기공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기판,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및 상기 제2 금속산화물 박막을 열처리하는 기공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금속산화물 증착 시 상온~600℃ 온도를 상기 베이스 기판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금속산화물 증착 시 400~600℃ 온도를 상기 베이스 기판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형성단계에서는 스퍼터링을 통해 상기 금속산화물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형성단계에서는 ZnO를 증착하고, 상기 제2 금속산화물 박막 형성단계에서는 Al2O3를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형성단계에서는 700~900℃에서 1~5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형성단계에서는 80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은 비등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의 종횡비(aspect ratio; r)는 1보다 큰 것(r>1)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은 로드(rod)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공 각각의 종횡비는 동일 또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유기발광소자의 양면 중 상기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일면에 배치되는 광추출 기판에 있어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제1 금속산화물 박막;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과 확산계수가 다른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산화물 박막;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 간의 계면 및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박막과 상기 제2 금속산화물 박막 간의 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계면에 형성되되, 상기 계면으로부터 상대적인 확산계수가 큰 쪽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은 비등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의 종횡비(aspect ratio; r)는 1보다 큰 것(r>1)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은 로드(rod)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공 각각의 종횡비는 동일 또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0260A KR101436548B1 (ko) | 2013-05-28 | 2013-05-28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0260A KR101436548B1 (ko) | 2013-05-28 | 2013-05-28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6548B1 true KR101436548B1 (ko) | 2014-10-30 |
Family
ID=5199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02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6548B1 (ko) | 2013-05-28 | 2013-05-28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65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28999A1 (en) * | 2014-12-01 | 2016-06-08 | Saint-Gobain Glass France | Transparent diffusive ol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ubstrat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1695A (ko) * | 2006-12-28 | 2008-07-03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양극 알루미늄산화층을 이용한 산란 중심을 구비하는 발광소자 제조방법 및 그 발광 소자 |
KR20090085877A (ko) * | 2008-02-05 | 2009-08-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
JP2010040761A (ja) * | 2008-08-05 | 2010-02-18 | Sharp Corp |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20053318A (ko) * | 2010-11-17 | 2012-05-25 | 한국기계연구원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
-
2013
- 2013-05-28 KR KR1020130060260A patent/KR10143654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1695A (ko) * | 2006-12-28 | 2008-07-03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양극 알루미늄산화층을 이용한 산란 중심을 구비하는 발광소자 제조방법 및 그 발광 소자 |
KR20090085877A (ko) * | 2008-02-05 | 2009-08-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
JP2010040761A (ja) * | 2008-08-05 | 2010-02-18 | Sharp Corp |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20053318A (ko) * | 2010-11-17 | 2012-05-25 | 한국기계연구원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28999A1 (en) * | 2014-12-01 | 2016-06-08 | Saint-Gobain Glass France | Transparent diffusive ol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ubstrate |
WO2016087252A1 (en) * | 2014-12-01 | 2016-06-09 | Saint-Gobain Glass France | Transparent diffusive ol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ubstrate |
US10361398B2 (en) | 2014-12-01 | 2019-07-23 | Saint-Gobain Glass France | Transparent diffusive OL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ubstra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4360B1 (ko) | 유기 발광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
US20140175385A1 (en) | Oled device, amo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CN104637982B (zh) |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 |
WO2009079396A1 (en) | Increasing the external efficiency of light emitting diodes | |
KR101608273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CN107634082B (zh) | 主动发光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 |
KR101466831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650541B1 (ko) |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
JP6340674B2 (ja) | 有機発光素子用の光取出し基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有機発光素子 | |
KR101421024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금속산화물 박막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66830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
KR101421026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층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36548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66833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659331B1 (ko) |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소자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299534B1 (ko) | 유기 전계 발광소자용 광추출층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70293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 |
KR101699275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535236B1 (ko) |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489780B1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70294B1 (ko) | 금속산화물 박막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431690B1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
KR20150063698A (ko) | 유기발광소자 | |
JP6191382B2 (ja) | 有機発光素子用光取り出し基板の製造方法 | |
KR101681932B1 (ko) | 유기 발광소자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