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2976B1 -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976B1
KR101242976B1 KR1020117021484A KR20117021484A KR101242976B1 KR 101242976 B1 KR101242976 B1 KR 101242976B1 KR 1020117021484 A KR1020117021484 A KR 1020117021484A KR 20117021484 A KR20117021484 A KR 20117021484A KR 101242976 B1 KR101242976 B1 KR 101242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case
rod
latch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217A (ko
Inventor
노리오 사이토
가즈유키 도미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27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5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comprising simultaneously pivoting double hook-like loc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1Damp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4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fin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8Tract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05Combinations of elements forming a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1Combinations of elements of identical elements, e.g. of identical 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3Multiple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86Sliding and swinging
    • Y10T292/0892Multipl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작은 입력하중으로 큰 출력하중을 얻는 래치장치를 얻는다.
유지부재(64)의 지지부(68)를 기준으로 하여, 유지부재(64)의 일단측에 유지부(70)를 형성하고 유지부재(64)의 타단측에 캠부(72)를 형성해서, 로드(74)를 통해서 캠부(72)들을 이간시킴으로써, 유지부(70)들을 근접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로드(74)의 이동에 의해서 캠부(72)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68)를 지지점으로 해서 유지부(70)에 의한 유지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로드(74)의 스트로크, 유지부재(64)의 지지부(68)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지지부(68)에서부터 캠부(72)까지의 거리보다 지지부(68)에서부터 유지부(70)까지의 거리를 길게 한다.

Description

래치장치{LATCH APPARATUS}
본 발명은 피(被) 유지체를 유지하는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틀에 끼워진 미닫이를 소정 구간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에서는 문틀에 형성된 스트라이커(피 유지체)를 유지하는 캐처(래치장치)가 설치되고, 이 캐처를 통해서 미닫이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캐처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캐처스토퍼가 끼워맞춤구멍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캐처가 로크된다. 그리고, 스트라이커가 캐처 내로 진입하면 케이스의 측벽으로 밀려서 캐처가 다물어지는 것에 의하여 스트라이커를 사이에 유지함과 아울러, 캐처 및 캐처스토퍼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통해서 캐처스토퍼가 상측으로 이동해서 끼워맞춤구멍과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가동체를 탄지기구에 의하여 캐처를 통해서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에서는 캐처스토퍼를 끼워맞춤구멍에서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서는 캐처스토퍼를 상측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캐처스토퍼에는 캐처를 통해서 탄지기구에 의한 수평방향으로의 외력이 항상 걸려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309088호 공보
본 발명은 작은 입력 하중으로 큰 출력 하중을 얻는 래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있어서, 스트라이커를 유지 가능한 유지부가 형성된 1쌍의 유지부재와, 상기 유지부를 접근/이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유지부재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유지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 맞닿음부와, 1쌍의 상기 유지부 및 상기 피 맞닿음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유지부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와,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피 맞닿음부에 맞닿으며, 로드가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피 맞닿음부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유지부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맞닿음부를 가지는 래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형태에서는, 스트라이커를 유지 가능한 유지부가 형성된 1쌍의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지부재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서 유지부를 접근/이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유지부재에는 지지부를 기준으로 해서 유지부의 반대측에 피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고, 1쌍의 유지부 및 피 맞닿음부의 사이에는 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드는 탄지기구에 의해서 유지부측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 로드의 외주면에는 피 맞닿음부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돌출되어 있어서 로드가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피 맞닿음부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유지부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지부에 의해서 스트라이커가 유지된다.
이때, 지지부를 기준으로 해서 유지부재의 일단 측에 유지부를 형성하고, 유지부재 타단 측에 피 맞닿음부를 형성해서, 로드를 통하여 피 맞닿음부들을 이간시키는 것에 의해서 유지부들이 근접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로드의 이동에 의해서 피 맞닿음부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부를 지지점으로 해서, 피 맞닿음부를 서로 이간시키는 외력을 유지부에 의한 유지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로드의 스트로크, 유지부재의 지지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지레의 원리를 이용해서 작은 힘으로 큰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피 맞닿음부 또는 상기 맞닿음부에, 상기 로드의 이동량을 상기 유지부를 근접시키는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경사 캠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한 형태에서는, 피 맞닿음부 또는 맞닿음부에 경사 캠면을 형성함으로써, 로드의 이동량을 유지부재의 회전력으로 변환시켜서 유지부를 근접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로드가 축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면 유지부가 근접해서 스트라이커가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상기 피 맞닿음부에 상기 맞닿음부가 맞는 부분에서부터 지지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지지부에서부터 상기 유지부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여도 좋다.
상기한 형태에서는, 피 맞닿음부에 맞닿음부가 맞닿는 부분에서부터 지지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지지부에서부터 유지부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는 것에 의해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유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피 맞닿음부의 단부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유지부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부착된 래치케이스에 형성된 구멍부에 걸리는 돌출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한 형태에서는 피 맞닿음부의 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해서, 유지부가 스트라이커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래치케이스에 형성된 구멍부분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유지부재가 요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작은 힘으로 큰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유지부재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유지부재가 다물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유지부재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유지부재가 다물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상부를 도 1(A)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6(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하부를 도 1(A)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상부를 도 1(B)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7(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하부를 도 1(B)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B)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C)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상부를 도 8(A)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9(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하부를 도 8(A)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상부를 도 8(B)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10(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하부를 도 8(B)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상부를 도 8(C)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11(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케이스의 하부를 도 8(C)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체의 이동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이동체로서의 미닫이(10)가 나타내어져 있고, 프레임으로서의 문틀(12)의 상하에 형성된 레일(도시생략)을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미닫이(10)의 이동에 의해서 문틀(12) 내의 개구(14)가 폐쇄 또는 개방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미닫이(10)의 상단부 중앙에 이동장치(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장치의 구성)
이동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장치(16)는 대략 상자형상의 케이스(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18)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케이스(18)의 높이방향의 하부에 부착부(20,22)가 형성되어 있고, 부착부(20,22)의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나사를 삽입 가능한 삽입구멍(20A,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미닫이(10)(도 1 참조)의 상단면에 형성된 수용구멍(24)(도 1 참조)에 케이스(18)를 수용하고 삽입구멍(20A,22A)에 고정나사를 삽입해서 수용구멍(24)의 저부에 고정나사를 틀어박음으로써 케이스(18)를 미닫이(10)에 고정한다.
또, 케이스(18)의 높이방향의 중앙부에는 케이스(18)의 내벽면에 케이스(18)의 길이방향을 따라 1쌍의 레일(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26)에는 케이스(18)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래치유닛(28,30)(래치장치)이 배치되어 있다.
래치유닛(28,30)은 케이스(18) 내에서 레일(26)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36,38)와, 슬라이더(36,38)의 단부에 형성된 래치케이스(66)(유지기구)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36,38)의 하부에는, 레일(26)의 하부에서 노출되어 케이스(18)의 높이방향의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더(36,38)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편(32,3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36,38)와 빠짐방지편(32,34)의 사이에서 레일(26)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유닛(28,30)이 케이스(18)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36,38)를 통해서 케이스(18)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래치유닛(28,30)이 요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슬라이더(36)와 슬라이더(38)의 사이에는 댐퍼(40)(감쇠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댐퍼(40)는 실린더(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실린더(42) 내에는 점성유체가 충전되어 있다. 또, 실린더(42) 내에는 피스톤(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42) 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피스톤에 의하여 점성유체의 체적을 압축해서 피스톤에 형성된 피스톤 로드(44)에 감쇠력이 작용하게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로드(44)가 슬라이더(36)에 연결되고, 실린더(42)가 슬라이더(38)에 연결되어서, 슬라이더(36){래치유닛(28)} 또는 슬라이더(38){래치유닛(30)}의 이동 시에 그 이동속도가 감쇠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실린더(42) 및 피스톤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댐퍼(40)를 예로 들었지만, 슬라이더(36){래치유닛(28)} 또는 슬라이더(38){래치유닛(30)}의 이동속도를 감쇠시킬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댐퍼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래크와 댐퍼 기어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댐퍼이어도 좋다.
한편, 래치유닛(28) 측의 빠짐방지편(32)의 하부에는, 연결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장스프링(48)(탄지기구)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케이스(18)의 부착부(22) 측에는 연결부(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50)에 인장스프링(48)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유닛(28)이 케이스(18)의 부착부(20) 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도 3 참조)에서 인장스프링(48)에 탄성 에너지(탄지력)가 축적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인장스프링(48)에 의한 탄지력은 댐퍼(40)에 의한 감쇠력보다도 큰 것으로 한다.
케이스(18)의 높이방향의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스(18)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는 개구되어 있어서 문틀(12)에 형성된 핀부재(52,54)(스트라이커)가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18)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1쌍의 가이드편(56,5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8) 내측으로 갈수록 서로 서서히 근접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편(56,58)에 의해서 핀부재(52,54)가 각각 래치유닛(28,30) 내로 확실하게 가이드되게 된다.
또, 케이스(18)의 높이방향의 상부에는 가이드편(56,58)에 인접하는 사각형의 창구멍(6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지만, 래치유닛(28,30)이 케이스(18)에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 상태(소위 로크상태)에 있어서, 래치유닛(28,30)에 구비된 유지부재(64)가 상기 창구멍(60)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8)의 높이방향의 상부 중앙에는 케이스(18)의 길이방향을 따라 1쌍의 걸어맞춤 오목부(82)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어맞춤 오목부(82)의 표면에는 케이스(18)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돌조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82)에는 단면이 대략 ∩형상인 커버(86)가 걸어맞춰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커버(86)의 측벽에는 돌조부(84)가 걸리는 사각형 구멍(88)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86)를 걸어맞춤 오목부(82)의 상측으로부터 끼워넣음으로써 사각형 구멍(88)에 돌조부(84)가 걸어맞춰진다. 이 상태에서 댐퍼(40)가 빠지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댐퍼(40)가 상측으로 튕겨 오르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커버(86)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걸어맞춤편(9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편(90)이 문틀(12)에 형성된 레일(도시생략)에 걸어맞춰진다.
(래치유닛)
래치유닛(28,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래치유닛(28)과 래치유닛(30)은 빠짐방지편(32)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46)의 유무만이 차이점이고 다른 구성은 같으므로 대표로서 래치유닛(2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유닛(28)을 구성하는 슬라이더(36)의 일단부{케이스(18)의 가이드편(56) 측}에는 대략 상자형상의 래치케이스(66)가 구비되어 있다.
래치케이스(66)의 일단부{케이스(18)의 가이드편(56) 측}에 위치하는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래치케이스(66)의 높이방향을 따라 지지부(6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부(68)에 유지부재(64)의 대략 중앙부가 지지되어 유지부재(64)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재(64)는 일단 측에 핀부재(52)를 유지하는 유지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측에는 후술하는 캠부(72){피(被)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부재(64)와 유지부재(64)의 사이에는 래치케이스(66)를 관통하는 로드(7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드(74)는 래치케이스(66) 내에서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로드(74)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75)와 래치케이스(66)의 사이에 설치된 래치스프링(76)에 의해서 래치케이스(66)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 로드(74)의 외주면에서는 유지부재(64)의 캠부(72)에 맞닿는 맞닿음부(74A)가 돌출되어 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재(64)가 벌어진 상태에서는, 지지부(6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유지부(70)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한편, 캠부(72)는 지지부(6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근접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74)가 래치스프링(76)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맞닿음부(74A)의 캠부(72)에 맞닿는 위치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맞닿음부(74A)가 캠부(72)의 선단을 향해 갈수록 캠부(72)들이 이간된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부(68)를 중심으로 유지부재(64)가 회전해서 유지부(70)들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유지부재(64)의 타단측에 캠부(72)를 형성해서 로드(74)의 이동량을 유지부재(64)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유지부(70)를 근접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로드(74)가 축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면 유지부(70)가 근접해서 핀부재(52)가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유지부재(64)의 지지부(68)를 기준으로 해서 유지부재(64)의 일단측에 유지부(70)를 형성하고 유지부재(64)의 타단측에 캠부(72)를 형성해서, 로드(74)를 통해서 캠부(72)들을 이간시킴으로써 유지부(70)들을 근접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로드(74)의 이동에 의해서 캠부(72)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68)를 지지점으로 해서 유지부(70)에 의한 유지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로드(74)의 스트로크, 유지부재(64)의 지지부(68)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캠부(72)에 맞닿음부(74A)가 맞닿는 부분에서부터 지지부(68)까지의 거리보다 지지부(68)에서부터 유지부(70)까지의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유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70)의 상면 측에는 내면이 오목하게 된 상태로 걸어맞춤 오목부(70A)가 형성되어 있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재(64)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유지부(70)와 유지부(70)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간극 내에 핀부재(52)가 걸어맞춰질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유지부(70)의 하면 측은 유지부재(64)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간극이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유지부(70) 내에 핀부재(52)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핀부재(52)의 선단부를 유지부(70)의 하면부가 받치도록 하고 있어서 핀부재(52)와 유지부재(64)의 사이에서 요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부(72)의 선단부에는 서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7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케이스(66)의 측벽에는 삽입구멍(66A)(구멍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유지부재(64)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돌출부(72A)가 삽입구멍(66A)에 삽입되어, 유지부재(64)가 핀부재(52)를 유지한 상태에서 유지부재(64)가 요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유지부재(64)의 하부에는 레일(26)의 하부에서 노출되어 케이스(18)의 높이방향의 하부에 위치하는 걸림편(78)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26)과 부착부(20)(도 3 참조)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재(64)가 벌어진 상태에서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걸린다. 이때, 유지부재(64)는 창구멍(60)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8)에는 창구멍(60)의 하부에 걸림구멍(80)이 형성되어 있어서,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걸린 상태에서 걸림편(78)의 선단부가 상기 걸림구멍(80) 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래치유닛(28)이 로크된다.
그리고, 래치유닛(28)의 로드(74)에 핀부재(52)가 맞닿아서 로드(74)가 래치스프링(76)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재(64)가 다물어지는데, 이때, 걸림편(78)의 선단부가 걸림구멍(80)으로부터 빠짐과 아울러,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로크해제).
(이동장치의 작용)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가 적용된 이동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닫이(10)를 폐쇄방향{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6(A)는 케이스(18)의 상부를 도 1(A)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6(B)는 케이스(18)의 하부를 도 1(A)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핀부재(52)가 이동장치(16)의 가이드편(56)(도 2 참조)을 통과하고,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부재(52)가 래치유닛(28)의 로드(74)에 맞닿아서 래치스프링(76)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로드(74)가 밀려 들어가면, 로드(74)에 형성된 맞닿음부(74A)의 이동에 의해서 유지부재(64)의 캠부(72)들이 밀려 벌어져서 서로 이간한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부(68)를 중심으로 유지부재(64)가 회전해서 유지부재(64)가 다물어짐으로써, 유지부(70)들이 서로 근접해서 핀부재(52)를 유지한다.
이때, 도 4(A)에 나타낸 걸림편(78)의 선단부가 걸림구멍(80)(도 2 참조)으로부터 빠짐과 아울러,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로크해제된다). 래치유닛(28)이 로크된 상태에서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48)에 의한 탄성에너지(탄지력)가 축적된 상태이므로, 래치유닛(28)이 로크해제되면 인장스프링(48)의 탄지력이 작용한다.
래치유닛(28)은 핀부재(52)에 의해서 그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도 1(B),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48)의 탄지력이 케이스(18)에 작용하게 된다. 즉, 래치유닛(28)을 기준으로 케이스(18)가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고, 해당 케이스(18)를 통해서 미닫이(10)가 폐쇄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7(A)는 케이스(18)의 상부를 도 1(B)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7(B)는 케이스(18)의 하부를 도 1(B)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때, 래치유닛(28)을 기준으로 케이스(18)가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 6(A) 및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44)가 실린더(42) 내로 밀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서 케이스(18)에는 댐퍼(40)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미닫이(10)가 폐쇄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한다. 미닫이(10)가 완전히 폐쇄될 때 미닫이(10)가 문틀(12)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의 충격음이 방지된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상태에서 미닫이(10)를 개방방향{화살표(A)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미닫이(10) 및 핀부재(52)를 통해서 래치유닛(28)이 이동하게 되는데, 인장스프링(48)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화살표(A)방향}으로 래치유닛(28)이 이동하게 되므로, 미닫이(10)는 그만큼의 하중을 받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미닫이(10)가 급격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래치유닛(28)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피스톤 로드(44)가 실린더(42)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래치유닛(28)에는 피스톤이 실린더(42) 내에서 이동할 경우에 발생하는 이른바 항력(감쇠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핀부재(52)를 통해서 래치유닛(28)이 이동하게 되어 유지부재(64)의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도달하면,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걸리고 걸림편(78)의 선단부가 상기 걸림구멍(80) 내로 삽입되어, 유지부재(64)가 창구멍(60)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래치유닛(28)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로크상태).
그리고,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부재(52)와 유지부재(64)가 걸어맞춰진 상태가 해제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48)에 의한 탄성 에너지(탄지력)가 축적된 상태이다. 또한 도 9(A)는 케이스(18)의 상부를 도 8(A)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9(B)는 케이스(18)의 하부를 도 8(A)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닫이(10)를 개방 방향{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인장스프링(48) 및 댐퍼(40)에 의한 항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미닫이(10)를 움직이기 쉬워진다.
그리고, 미닫이(10)를 개방방향{화살표(B)방향}으로 더욱 이동시키면, 핀부재(54)가 이동장치(16)의 가이드편(58)(도 2 참조)을 통과하고,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부재(54)가 래치유닛(30)의 로드(74)에 맞닿아서 래치스프링(76)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로드(74)가 밀려 들어간다.
그리고, 로드(74)에 형성된 맞닿음부(74A)의 이동에 의해서 유지부재(64)의 캠부(72)들이 밀려 벌어져서 서로 이간한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부(68)를 중심으로 유지부재(64)가 회전해서 유지부재(64)가 다물어짐으로써, 유지부(70)들이 서로 근접해서 핀부재(54)를 유지한다.
이때, 도 4(A)에 나타낸 걸림편(78)의 선단부가 걸림구멍(80)(도 2 참조)으로부터 빠짐과 아울러, 걸림편(78)이 레일(26)의 선단부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로크해제된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유닛(30)을 통해서 케이스(18)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피스톤 로드(44)가 실린더(42) 내로 밀려 들어간다.
따라서, 래치유닛(30)을 통해서 케이스(18)에 댐퍼(40)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한다. 또한 도 10(A)는 케이스(18)의 상부를 도 8(B)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11(A)는 케이스(18)의 상부를 도 8(C)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때, 도 10(B)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48)이 래치유닛(28)과 케이스(18)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유닛(30)이 로크해제되어도 인장스프링(48)에 의한 탄지력이 래치유닛(30)에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도 10(B)는 케이스(18)의 하부를 도 8(B)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11(B)는 케이스(18)의 하부를 도 8(C)에 대응해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에 이동장치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문틀 측에 이동장치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미닫이 측에 핀부재가 형성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쪽미닫이 타입의 미닫이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쌍미닫이 타입의 미닫이에 적용시켜도 좋다. 이 경우, 이동장치는 2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닫이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닫이에 적용시켜도 좋으며, 서랍 등에 본 래치유닛을 사용하여도 좋다.

Claims (4)

  1. 스트라이커를 유지 가능한 유지부가 형성된 1쌍의 유지부재와,
    상기 유지부를 접근/이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유지부재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유지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被) 맞닿음부와,
    1쌍의 상기 유지부 및 상기 피 맞닿음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유지부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와,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피 맞닿음부에 맞닿으며, 로드가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피 맞닿음부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유지부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맞닿음부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 맞닿음부 또는 상기 맞닿음부에, 상기 로드의 이동량을 상기 유지부를 근접시키는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경사 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 맞닿음부의 단부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유지부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부착된 래치케이스에 형성된 구멍부에 걸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KR1020117021484A 2009-02-16 2009-02-16 래치장치 KR101242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2583 WO2010092696A1 (ja) 2009-02-16 2009-02-16 ラ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217A KR20110127217A (ko) 2011-11-24
KR101242976B1 true KR101242976B1 (ko) 2013-03-12

Family

ID=4256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484A KR101242976B1 (ko) 2009-02-16 2009-02-16 래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19012A1 (ko)
EP (1) EP2397636A1 (ko)
JP (1) JP5165769B2 (ko)
KR (1) KR101242976B1 (ko)
CN (1) CN102317560B (ko)
WO (1) WO2010092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6255B2 (ja) * 2010-12-10 2014-08-20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開閉体閉止装置
JP5653742B2 (ja) * 2010-12-20 2015-01-14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開閉体閉止装置
JP2012149459A (ja) * 2011-01-20 2012-08-09 Nifco Inc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5856381B2 (ja) * 2011-03-09 2016-02-09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開閉動作補助装置
JP5907693B2 (ja) * 2011-03-14 2016-04-26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DE102011120188B4 (de) * 2011-12-05 2013-08-29 Audi Ag Notent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nFahrzeug-Kofferraum
JP5926119B2 (ja) * 2012-05-28 2016-05-25 家研販売株式会社 ソフト開閉装置
KR101430358B1 (ko) * 2013-04-11 2014-08-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닫이 도어용 래치
ITTV20130072A1 (it) * 2013-05-09 2014-11-10 Bortoluzzi Sistemi Spa Dispositivo di smorzamento o richiamo per ante scorrevoli
JP5913477B2 (ja) * 2014-08-08 2016-04-27 家研販売株式会社 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EP3235982B1 (en) * 2016-01-29 2021-05-05 Foshan Ideal Co., Ltd. Completely concealed-type, damped and soft positioning shower room door opening/closing structure
DE102017123613A1 (de) * 2017-10-11 2019-04-11 Paul Hettich Gmbh & Co. Kg Einzu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US11864651B2 (en) * 2019-06-05 2024-01-09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Closing device for drawers
EP4446545A1 (de) * 2023-04-13 2024-10-16 Gretsch-Unitas GmbH Baubeschläge Einzugsdämpferbeschlag und tür- oder fenster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548A (ja) * 2005-05-13 2006-11-24 Nifco Inc ロック機構及びラッチ装置
JP2009013772A (ja) * 2007-06-05 2009-01-22 Skb:Kk 引戸の閉じ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2519A (en) * 1971-12-02 1973-08-14 H Kimball Mechanical latch
JPS54124544A (en) * 1978-03-20 1979-09-27 Kato Electric Opening and shutting holding device of cover body
JPS5756957U (ko) * 1980-09-22 1982-04-03
US4482175A (en) * 1983-02-04 1984-11-13 Kabushiki Kaisha Isshin Kenkyusho Locking devices
JPS6017872U (ja) * 1983-07-14 1985-02-06 株式会社 ムラコシ精工 扉のロツク装置
JPH0412957Y2 (ko) * 1985-04-01 1992-03-26
JPH0341026Y2 (ko) * 1985-04-24 1991-08-28
JP3338578B2 (ja) * 1995-01-17 2002-10-28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JP4605970B2 (ja) * 2000-01-14 2011-01-05 ジュリウス ブルム ゲゼルシャフト エム.ビー.エイチ. 抽斗用の引き出し案内具付属品
US6588809B1 (en) * 2002-04-29 2003-07-08 Jay S. Derman Push-to-release cabinet door latch
JP2006063767A (ja) * 2004-08-30 2006-03-09 Shimodaira:Kk 引戸の戸閉装置。
JP4970116B2 (ja) 2006-04-20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自走往動機構、および引き戸
US7837241B2 (en) * 2007-04-19 2010-11-23 Union Tool Exporters, Ltd.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TWI336433B (en) * 2007-09-04 2011-01-21 Quanta Comp Inc Folding electronic device and engaging structure
US8387210B2 (en) * 2007-11-27 2013-03-05 Sawa Corporation Automatic door closing hinge and double swing door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548A (ja) * 2005-05-13 2006-11-24 Nifco Inc ロック機構及びラッチ装置
JP2009013772A (ja) * 2007-06-05 2009-01-22 Skb:Kk 引戸の閉じ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92696A1 (ja) 2012-08-16
CN102317560B (zh) 2014-07-02
JP5165769B2 (ja) 2013-03-21
EP2397636A1 (en) 2011-12-21
US20120019012A1 (en) 2012-01-26
KR20110127217A (ko) 2011-11-24
WO2010092696A1 (ja) 2010-08-19
CN102317560A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976B1 (ko) 래치장치
JP4751607B2 (ja) 自走往動させる機構、引き戸機構、および、引き出し機構
KR101391247B1 (ko) 자동 폐쇄 장치
KR101254435B1 (ko) 이동체의 이동장치
KR101127639B1 (ko)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1114477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KR100573084B1 (ko)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RU127803U1 (ru) Замок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KR100814358B1 (ko) 홈바 잠금장치
KR101990204B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101524829B1 (ko) 가구용 도어 댐핑장치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100537017B1 (ko)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KR20100105925A (ko) 서랍 안내구
KR200440800Y1 (ko) 슬라이드레일
JP5918308B2 (ja) 開閉体緩衝装置
KR101075034B1 (ko)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2354266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0809810B1 (ko) 도어 록
KR20140108507A (ko)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CN108567251B (zh) 用于可活动家具组件的回归机构
KR101092781B1 (ko) 래치장치
KR100631100B1 (ko)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KR101775524B1 (ko)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KR100890902B1 (ko)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