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0800Y1 - 슬라이드레일 - Google Patents

슬라이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800Y1
KR200440800Y1 KR2020070012156U KR20070012156U KR200440800Y1 KR 200440800 Y1 KR200440800 Y1 KR 200440800Y1 KR 2020070012156 U KR2020070012156 U KR 2020070012156U KR 20070012156 U KR20070012156 U KR 20070012156U KR 200440800 Y1 KR200440800 Y1 KR 200440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xing
drawer
fixed
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온
Original Assignee
최정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온 filed Critical 최정온
Priority to KR2020070012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80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의 개폐시 레일의 뒤틀림 및 유격발생에 따른 흔들림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외부의 압력을 보다 쉽게 흡수하여 완화함으로써 레일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에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폐쇄장치가 결합된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서 이동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사이에 구비된 중간레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10)의 일측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상기 고정레일(10)의 길이방향에 직교되게 일정 길이로 돌출된 고정편(15)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편(15)에는 상기 고정레일(10)을 상호 연결시켜 뒤틀림 또는 유격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고정레일(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7)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편, 지지프레임, 충격흡수링, 이탈방지턱, 기어레일, 회전기어

Description

슬라이드레일{SLIDE RAIL}
본 고안은 슬라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의 개폐시 레일의 뒤틀림 및 유격발생에 따른 흔들림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외부의 압력을 보다 쉽게 흡수하여 완화함으로써 레일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들을 넣어서 보관하기 위한 수납기구와 냉장고 등의 내벽면에는 사용자가 보관된 물건을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고정레일 및 하나 이상의 이동레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 및 이동레일은 접철식(신장/수축)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외력작용에 의해 수납기구 및 냉장고 등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레일은 설치 후 사용시 서랍의 하중 및 개폐에 따라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슬라이드레일은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레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데에 중점을 둠에 따라 외부의 압력 및 서랍의 하중에 따라 유격이 발생한 상태에서 서랍의 개폐시 손쉽게 흔들리게 되어 레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었던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서랍의 개폐시 고정레일과 중간레일 또는 중간레일과 이동레일이 서로 간섭되면서 소음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부품의 파손을 가져오게 되어 장기간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사용시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조성시키게 되어 불신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랍의 개폐시 레일의 뒤틀림 및 유격발생에 따른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하여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레일의 슬라이딩이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충격을 흡수하여 보다 완화시킴으로서 레일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며, 더욱이 소비자로 하여금 사용시 소음 등에 의한 불쾌감의 조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여 사용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슬라이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일측에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폐쇄장치가 결합된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서 이동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사이에 구비된 중간레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10)의 일측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상기 고정레일(10)의 길이방향에 직교되게 일정 길이로 돌출된 고정편(15)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편(15)에는 상기 고정레일(10)을 상호 연결시켜 뒤틀림 또는 유격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고정레일(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7)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20)의 단부에는 서랍의 폐쇄시 상기 중간레일(30)의 단 부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간섭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충격흡수링(22)이 구비되고, 상기 충격흡수링(22)은 우레탄재질로 성형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충격흡수홈(23)이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을 완충 및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레일(20)과 중간레일(30)의 사이에는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도하도록 리테이너(40)가 구비되되, 상기 리테이너(40)의 양측 단부에는 서랍의 개방시 상기 이동레일(20)의 단부 및 상기 중간레일(30)의 단부에 간섭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제1충격흡수판(42)과 제2충격흡수판(44)이 더 구비되고, 상기 중간레일(30)의 단부에는 서랍의 개폐동작시 상기 리테이너(40)의 인출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34)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20)의 단부에는 상기 이동레일(20)을 상호 연결시켜 서랍의 개폐시 발생되는 뒤틀림을 최소화하도록 서랍지지프레임(70)이 구비되고, 상기 서랍지지프레임(70)의 양단부 근방에는 상기 고정레일(10)에 이격되게 상기 서랍장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기어레일(72)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서랍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기어레일(72)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회전기어(7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랍장의 내벽면에 결합되는 각각의 슬라이드레일을 상호 연결시켜 서랍의 개폐시 레일의 뒤틀림 및 유격발생에 따른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함으로써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장기간 사용 이 가능하도록 하고, 레일의 슬라이딩이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킴으로서 레일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며, 더욱이 소비자로 하여금 사용시 소음 등에 의한 불쾌감의 조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여 사용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슬라이드레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레일의 연결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레일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레일에 결합되는 충격흡수링과 이동핀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레일의 결합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충격흡수링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중간레일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을 보인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리테이너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폐쇄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돌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고정레일의 저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완충링과 제2완충링의 결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레일은 일측에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폐쇄장치가 결합된 고정레일(10)과, 상기 고정레일(10)에서 이동되는 이동레일(20)과, 상기 이동레일(20)과 고정레일(10)의 사이에 구비된 중간레일(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레일(10)의 일측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상기 고정레 일(10)의 길이방향에 직교되게 일정 길이로 돌출된 고정편(15)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편(15)에는 상기 고정레일(10)을 상호 연결시켜 뒤틀림 또는 유격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고정레일(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7)이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레일(10)은 서랍 또는 수납장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지는데, 이때 상기 고정편(15)을 상기 서랍 또는 수납장의 내벽면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인접된 벽면에 간섭되게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7)으로 상기 고정편(15)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인접 벽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레일(10)의 뒤틀림 또는 유격에 따른 흔들림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20)의 단부에도 상기 이동레일(20)을 상호 연결시켜 서랍의 개폐시 발생되는 뒤틀림을 최소화하도록 서랍지지프레임(70)이 구비되고, 상기 서랍지지프레임(70)의 양단부 근방에는 회전 가능하게 회전기어(74)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기어(74)는 상기 고정레일(10)에 이격되게 상기 서랍장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기어레일(72)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서랍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기어레일(72)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레일(7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서랍지지프레임(70)이 상기 이동레일(20)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함에 따라 상기 이동레일(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10)과 이동레일(20)의 흔들림을 모두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서랍의 개폐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한 상태로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이동레일(20)의 단부에는 서랍의 폐쇄시 상기 중간레일(3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간섭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충격흡수링(22)이 구비된다.
상기 충격흡수링(22)은 우레탄재질로 성형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격판에 의해 충격흡수홈(23)이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흡수 및 완충시키도록 함으로써 레일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20)과 중간레일(30)의 사이에는 상기 이동레일(20)과 중간레일(3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도하도록 다수개의 볼이 구비된 리테이너(4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40)의 양측 단부에는 서랍의 개방시 상기 이동레일(20) 및 상기 중간레일(30)의 단부에 간섭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우레탄재질의 제1충격흡수판(42)과 제2충격흡수판(44)이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서랍의 개방시에는 상기 중간레일(30)이 고정레일(10)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이동레일(20)이 중간레일(30)로부터 인출되는데, 이 경우 상기 리테이너(40)도 상기 이동레일(20)과 중간레일(30)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리테이너(40)의 양측 단부가 상기 이동레일(20)과 중간레일(30)의 단부에 각각 걸쳐지게 되나 상기 제1충격흡수판(42)과 제2충격흡수판(44)에 의해 상기 이동레일(20)과 중간레일(30)의 단부에 걸쳐지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되어 지며, 외부의 충격시에도 그 충격을 쉽게 흡수하여 레일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상기 리테이너(40)가 이동레일(20)과 중간레일(30)의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고정레일(10)과 중간레일(30)의 사이에도 상기한 충격흡수판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리테이너(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랍의 개폐동작시 상기 리테이너(40)가 상기 중간레일(30)과 이동레일(20)의 사이에서 인출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간레일(30)의 단부에는 일정 높이의 이탈방지턱(34)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동폐쇄장치는 상기 고정레일(10)에 결합되는 고정부(50)와, 상기 고정부(50)에 스프링(54)을 매개로 결합되어 고정부(50)에서 슬라이딩이동되는 이동부(52)와, 상기 이동부(52)의 내측에 상기 고정부(5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핀(56) 및 상기 이동핀(56)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핀가이드(58)로 구성되는 것으로, 서랍의 개폐에 따른 상기 자동폐쇄장치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서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자동폐쇄장치를 상기 고정레일(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편(15)에 대향되는 상기 고정부(5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5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레일(10)에 끼움결합되는 리벳(60)과, 상기 고정부(50)의 타측 저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레일(10)에 형성된 결합공(11)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6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50)의 일측은 상기 고정레일(10)에 리벳(60)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 저면은 상기 고정레일(10)의 결합공(11)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돌기(62)는 상기 결합공(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 발생된 경우에 완충되면서 파손되지 않도록 일측이 일정 깊이로 절개된 상태의 절개홈(6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동폐쇄장치의 작동시 상기 고정부(50)와 이동부(52)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50)의 일측 선단부에는 서랍의 폐쇄시 상기 중간레일(30)과의 간섭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제1완충링(6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50)의 타측 상부면에는 상기 이동부(52)와의 간섭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제2완충링(67)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완충링(65)과 제2완충링(67)은 우레탄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레일(30)과 이동부(52)가 부딪히더라도 쉽게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부(50)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고정레일(10)과, 이동레일(20), 중간레일(30) 및 리테이너(40)를 서로 결속시켜 슬라이드레일을 형성한 상태에서 서랍장의 양측 내벽면에 각각 부착시킨다. 이 후, 각각의 상기 고정레일(1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편(15)에 지지프레임(17)의 양측을 결합시켜 상기 슬라이드레일이 흔들리지 않도록 서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서랍장의 내벽면에 부착된 고정레일(10)의 하측으로 기어레일(72)을 설치하고, 서랍지지프레임(70)의 양단부에 회전기어(74)를 결속시킨 상태로 상기 이동레일(20)에 끼움 결합시켜 각각의 이동레일(20)을 서로 연결시킨 다 음 서랍의 양측면에 상기 이동레일(20)을 결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서랍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면, 상기 이동레일(20)은 중간레일(30)을 매개로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레일(10)에 인입되거나 고정레일(10)로부터 인출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서랍의 개폐에 따른 작용을 보면, 서랍의 폐쇄시에는 중간레일(30)이 고정레일(10)로 인입됨과 더불어 이동레일(20)이 중간레일(30)과 겹쳐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레일(20)에 서랍지지프레임(70)으로 결합되는 회전기어(34)가 상기 기어레일(72)을 타고 이동되어 지고, 상기 이동레일(20)의 단부에 구비된 충격흡수링(22)이 상기 중간레일(30)의 단부에 부딪히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20)과 중간레일(30)이 상기 고정레일(10)에 중첩되면서 중간레일(20)이 상기 고정레일(10)에 장착된 자동폐쇄장치의 고정부(50) 선단에 부딪히게 되나 고정부(50)에 설치된 제1완충링(65)에 의해 그 충격이 완화되어 지고, 상기 이동레일(20)이 상기 자동폐쇄장치에 근접되면서 이동레일(20)의 단부에 장착된 이동핀가이드(58)가 이동핀(56)을 결착시킨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부(52)를 슬라이딩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50)의 제2완충링(67)에 상기 이동부(52)가 부딪히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진다.
한편, 서랍의 개방시에는 상기 회전기어(34)가 상기 기어레일(72)을 타고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레일(20)을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키게 되고, 서랍의 완전 개방시 리테이너(40)의 양단부가 상기 이동레일(20) 및 중간레일(30)에 부딪히게 되나 상기 리테이너(40)의 양단부에 장착된 제1충격흡수판(42)과 제2충격흡수판(44)에 의 해 그 충격이 흡수됨과 아울러 소음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슬라이드레일은 슬라이드레일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서랍의 개폐에 다른 소음 및 충격을 최소화시켜 원활한 동작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레일의 파손을 최소화시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레일의 연결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레일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레일에 결합되는 충격흡수링과 이동핀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레일의 결합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충격흡수링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중간레일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을 보인 상태도,
도 7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리테이너를 보인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폐쇄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돌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고정레일의 저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완충링과 제2완충링의 결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레일 11: 결합공
15: 고정편 17: 지지프레임
20: 이동레일 22: 충격흡수링
23: 충격흡수홈 30: 중간레일
32: 걸림턱 34: 이탈방지턱
40: 리테이너 42: 제1충격흡수판
44: 제2충격흡수판 50: 고정부
51: 관통공 52: 이동부
54: 스프링 56: 이동핀
58: 이동핀가이드 60: 리벳
62: 결합돌기 63: 절개홈
65: 제1완충링 67: 제2완충링
70: 서랍지지프레임 72: 기어레일
74: 회전기어

Claims (8)

  1. 일측에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폐쇄장치가 결합된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서 이동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사이에 구비된 중간레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10)의 일측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상기 고정레일(10)의 길이방향에 직교되게 일정 길이로 돌출된 고정편(15)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편(15)에는 상기 고정레일(10)을 상호 연결시켜 뒤틀림 또는 유격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고정레일(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7)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20)의 단부에는 서랍의 폐쇄시 상기 중간레일(3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간섭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충격흡수링(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링(22)은 우레탄재질로 성형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내측에 일 정 간격으로 충격흡수홈(23)이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을 완충 및 흡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20)과 중간레일(30)의 사이에는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도하도록 리테이너(40)가 구비되되,
    상기 리테이너(40)의 양측 단부에는 서랍의 개방시 상기 이동레일(20)의 단부 및 상기 중간레일(30)의 단부에 간섭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제1충격흡수판(42)과 제2충격흡수판(4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레일(30)의 단부에는 서랍의 개폐동작시 상기 리테이너(40)의 인출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34)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폐쇄장치는, 상기 고정레일(10)에 결합되는 고정부(50)와, 상기 고정부(50)에 스프링(54)을 매개로 결합되어 고정부(50)에서 슬라이딩이동되는 이동부(52)와, 상기 이동부(52)의 내측에 상기 고정부(5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핀(56) 및 상기 이동핀(56)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핀가이드(58)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편(15)에 대향되는 상기 고정부(5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5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레일(10)에 끼움결합되는 리벳(60)과, 상기 고정부(50)의 타측 저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레일(10)에 형성된 결합공(11)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의 일측 선단부에는 서랍의 폐쇄시 상기 중간레일(30)과의 간섭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제1완충링(6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50)의 타측 상부면에는 상기 이동부(52)와의 간섭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제2완충링(6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20)의 단부에는 상기 이동레일(20)을 상호 연결시켜 서랍의 개폐시 발생되는 뒤틀림을 최소화하도록 서랍지지프레임(70)이 구비되고,
    상기 서랍지지프레임(70)의 양단부 근방에는 상기 고정레일(10)에 이격되게 상기 서랍장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기어레일(72)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서랍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기어레일(72)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회전기어(7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KR2020070012156U 2007-07-23 2007-07-23 슬라이드레일 Expired - Lifetime KR200440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156U KR200440800Y1 (ko) 2007-07-23 2007-07-23 슬라이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156U KR200440800Y1 (ko) 2007-07-23 2007-07-23 슬라이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800Y1 true KR200440800Y1 (ko) 2008-07-03

Family

ID=4163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156U Expired - Lifetime KR200440800Y1 (ko) 2007-07-23 2007-07-23 슬라이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8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485B1 (ko) 2009-08-12 2012-02-24 박윤식 중간 멈춤 기어체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KR101114479B1 (ko) 2009-08-12 2012-02-24 (주)세고스 자동 폐쇄형 랙 장치
KR101158796B1 (ko) * 2007-11-08 2012-06-26 박윤식 가전제품용 롤러형 슬라이드
KR101216611B1 (ko) 2009-05-05 2013-01-09 첸충야오 인출식 캐리어의 안정화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96B1 (ko) * 2007-11-08 2012-06-26 박윤식 가전제품용 롤러형 슬라이드
KR101216611B1 (ko) 2009-05-05 2013-01-09 첸충야오 인출식 캐리어의 안정화 조립체
KR101114485B1 (ko) 2009-08-12 2012-02-24 박윤식 중간 멈춤 기어체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KR101114479B1 (ko) 2009-08-12 2012-02-24 (주)세고스 자동 폐쇄형 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095B1 (ko) 인입 장치
US10051962B2 (en) Drive devic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KR101391247B1 (ko) 자동 폐쇄 장치
US8793839B2 (en) Retracting device
KR101114478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하부 장착형 슬라이딩 장치
CN101784212A (zh) 抽屉滑动装置的自闭合机构
KR20110127217A (ko) 래치장치
KR200440800Y1 (ko) 슬라이드레일
CN107923206B (zh) 用于对两个滑动门进行定位的装置和家具
KR101314148B1 (ko)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US20130119843A1 (en) Pull-out guide for drawers
KR20050062502A (ko)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KR100537017B1 (ko)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KR101607555B1 (ko)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
KR101654925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쳐짐 방지장치
KR100798453B1 (ko) 가구용 오토클로져
KR102302094B1 (ko) 개폐 장치
KR101763393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JP6817626B2 (ja) 引き戸用クローザ
KR102354266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1056874B1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JP5004296B2 (ja) ダンパーを有する自動閉鎖装置付き3枚引戸式家具
KR101113134B1 (ko) 도어 개폐구조
KR101056922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7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6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