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0204B1 -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204B1
KR101990204B1 KR1020170133081A KR20170133081A KR101990204B1 KR 101990204 B1 KR101990204 B1 KR 101990204B1 KR 1020170133081 A KR1020170133081 A KR 1020170133081A KR 20170133081 A KR20170133081 A KR 20170133081A KR 101990204 B1 KR101990204 B1 KR 101990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using
sliding door
guide
hoo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628A (ko
Inventor
황정연
Original Assignee
황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연 filed Critical 황정연
Priority to KR102017013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2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2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1Mechanical power-locks, e.g. for holding the wing open or for free-moving z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9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gas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닫이 도어가 클로즈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고, 미닫이 도어와 문틀 사이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하우징을 미닫이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Damp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 도어가 클로즈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는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사람이 드나드는 곳에 개폐할 수 있도록 건축물에 설치하는 것으로,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을 소재로 하고, 대부분 벽을 시공할 때 조립된 도어 틀을 같이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는 거주자의 사생활이 노출되지 않게 하도록 하고, 외부의 위협과 오염으로부터 거주자를 지켜준다. 도어의 구조는 크게 회전식과 미닫이식이 있다. 그중 미닫이 도어는 공동주택의 중문, 창문 등에 주로 적용되는 것으로, 창 또는 문짝을 상하의 문틀에 홈을 파서 끼우고, 홈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벽 속에 밀어넣음으로써 문 전체를 열고 닫게 한 구조를 말한다. 문짝이 하나인 것을 외 미닫이, 두 짝으로 된 것을 쌍 미닫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미닫이 도어는 도어가 미끄러지면서 열고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미닫이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과도한 속력으로 인하여 도어가 문틀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거나 손 등 신체가 끼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505호에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완충장치는 케이스의 댐퍼수납부가 댐퍼를 상하 두 방향에서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정된 공간에서 댐퍼수용공간을 확장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규격의 공압댐퍼를 채택가능토록 하고, 이에 따라 누유 염려가 없게 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도어와 문틀 간의 이격 거리가 제대로 맞지 않으면 완충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505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닫이 도어가 클로즈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고, 미닫이 도어와 문틀 사이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하우징을 미닫이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는 미닫이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는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에 있어서, 미닫이 도어의 상단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롤러;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사이의 내면 일측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사이의 내면 타측에 장착되는 탄성부과, 상기 탄성부와 연결된 로드를 갖는 댐퍼; 및 상기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부, 상기 댐퍼와 마주보는 상기 안내부의 일측에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댐퍼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안내부의 타측에 하방으로 굽어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미닫이도어를 따라 상기 하우징이 이동될 때, 미닫이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문틀에 구비된 고정부에 상기 후크부재가 걸림 위치되어,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경사부 또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댐퍼와 마주보는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1 걸림후크; 및 상기 댐퍼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이동부의 타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제 1 걸림후크에 상기 이동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제 1 이동안내돌부; 및 상기 이동부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제 2 이동안내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걸림후크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상기 제 1 이동안내돌부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정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1 걸림후크를 터치하면 상기 제 2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안내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걸림 위치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2 걸림후크에 걸린 상태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댐퍼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제 1 걸림후크 및 상기 제 1 이동안내돌부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후크부재를 점진적으로 감속시키고, 상기 제 1 걸림후크가 상기 경사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역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2 걸림후크에 걸린 상태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댐퍼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에 가해지는 상기 탄성부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후크부재가 감속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2 걸림후크에 걸린 상태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댐퍼의 반대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걸림후크 및 상기 제 2 이동안내돌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끼움클립이 장착되고, 상기 제 2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될 때, 상기 제 2 걸림후크는 상기 끼움클립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을 감싸되 상기 하우징이 상하 이동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호 수평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경사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경사홀을 따라 비스듬하게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부가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는 상기 커버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하우징이 상기 커버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틀은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에 경사부를 구비하므로, 미닫이 도어가 클로즈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의 이동 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속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닫이 도어가 오픈되면 제 2 걸림후크가 걸림부에 걸리므로, 미닫이 도어는 오픈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과 문틀 사이의 간격에 따라 하우징이 커버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미닫이 도어와 문틀 사이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하우징을 미닫이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부에 위치된 이동부가 끼워지도록 끼움클립이 구비되므로, 걸림부에 위치된 이동부는 끼움클립에 끼워져 임의로 안내부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를 분해하여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의 하우징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의 제 2 걸림후크에 고정부가 걸림 위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를 분해하여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0)는 미닫이 도어 또는 윈도우가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손가락 등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 롤러(110), 가이드레일(120), 댐퍼(130), 후크부재(140), 끼움클립(150) 및 커버(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미닫이 도어에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미닫이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향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예를 들면 직육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양 측이 한 쌍으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제 1 하우징(101)과 제 2 하우징(102)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레일(120)은 하우징(100)의 양 단부 사이의 내면 일측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댐퍼(130)는 하우징(100)의 양 단부 사이의 내면 타측에 장착된다. 롤러(110)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롤러(110)는 미닫이 도어의 문틀에 밀착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보조커버(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커버(250)는 상부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롤러(110) 및 후술하는 제 1 걸림후크(144) 및 제 2 걸림후크(146)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커버(200)는 하우징(100)을 커버하되 하우징(100)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커버(200)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이동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경사홀(202), 상하가이드부(204) 및 탄성스프링(210)을 더 구비한다. 경사홀(202)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커버(2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호 수평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상하가이드부(204)는 롤러(110)의 하부에 돌출되되 경사홀(202)에 삽입된 상태로 경사홀(202)을 따라 비스듬하게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탄성스프링(210)은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 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부는 상하가이드부(204)에 탄성을 갖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커버(200)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 결과 하우징(100)은 커버(200)의 저면과 이격된 상태로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0)가 미닫이 도어에 설치될 때, 하우징(100)과 문틀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 하우징(100)에 탄성스프링(210)의 탄성력보다 강한 하방 압력이 가해지면, 하우징(100)은 하방압력에 의하여 커버(200)에서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하가이드부(204)가 경사홀(202)을 따라 비스듬하게 하부로 이동되면서 하우징(100)을 하부로 안내한다. 반면, 하우징(100)과 문틀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하우징(100)은 탄성스프링(210)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200)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우징(100)과 문틀 사이의 간격에 따라 하우징(100)이 커버(200)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미닫이 도어와 문틀 사이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하우징(100)을 미닫이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레일(120), 댐퍼(130), 후크부재(140) 및 끼움클립(15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의 하우징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120)은 후술하는 후크부재(140)가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내면 길이 방향 일측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가이드레일(120)은 하우징(100)의 내면 길이 방향 일측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부(122), 후술하는 댐퍼(130)와 마주보는 안내부(122)의 일측에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결곡 형성되는 경사부(124) 및 댐퍼(130)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안내부(122)의 타측에 수직 하방으로 굽어지도록 결곡 형성되는 걸림부(126: 도 5 도시)를 포함한다.
댐퍼(130)는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내면 길이방향 타측에 설치되는 실린더(132), 상기 실린더(132)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미도시) 및 상기 탄성부와 연결된 상태로 후술하는 후크부재(140)와 연결되도록 성기 실린더(132)에 돌출 형성되는 로드(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부 이외에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후크부재(140)는 로드(134)에 연결된 상태로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후크부재(140)의 세부구조를 살펴보면,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되며 그 일측은 댐퍼(130)의 로드(134)와 연결되는 이동부(142), 댐퍼(130)와 마주보는 이동부(142)의 일측에 그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되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1 걸림후크(144), 댐퍼(130)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이동부(142)의 타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걸림후크(146), 상기 이동부(142)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20)에 삽입되도록 제 1 걸림후크(144)에 돌출되는 제 1 이동안내돌부(147) 및 상기 이동부(142)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20)에 삽입되도록 제 2 걸림후크(146)에 돌출되는 제 2 이동안내돌부(148)를 포함한다. 한편, 이동부(142)는 양 측이 한 쌍으로 분리 및 결합되는 제 2 이동부(142b)와 제 2 이동부(142b)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부(142)의 일측에는 제 1 이동안내돌부(147)가 제 1 걸림후크(144)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홀(143)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부(142)가 걸림부(126)에 위치하면, 제 2 걸림후크(146)는 제 2 이동안내돌부(148)를 따라 걸림부(126)의 하부로 하강되고, 제 1 걸림후크(144)는 여전히 안내부(122)에 위치된다. 이때, 제 2 이동안내돌부(148)는 걸림부(126)에 걸림 위치되어, 임의로 안내부(122)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부(142)가 안내부(122)를 지나 경사부(124)에 위치되면, 제 1 걸림후크(144)는 제 1 이동안내돌부(147)를 따라 경사부(124)의 하부로 하강되고, 제 2 걸림후크(146)는 여전히 안내부(122)에 위치된다. 이때, 제 1 이동안내돌부(147)는 경사부(124)의 하부로 하강되면서 그 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끼움클립(150)은 하우징(100) 내부의 걸림부(126)와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동부(142)가 걸림부(126)에 위치된 경우, 이동부(142)가 끼움클립(15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즉, 이동부(142)는 로드(13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부(142)가 실린더(132)와 멀어지는 걸림부(126)에 위치되면, 이동부(142)에는 실린더(132) 내부의 탄성부에 의하여 인장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걸림부(126)에 위치된 이동부(142)가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걸림부(126)에서 안내부(122)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될 우려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걸림부(126)에 위치된 이동부(142)가 끼워지도록 끼움클립(150)이 구비되므로, 걸림부(126)에 위치된 이동부(142)는 끼움클립(150)에 끼워져 임의로 안내부(122)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의 제 2 걸림후크에 고정부가 걸림 위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300)는 미닫이 도어의 문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미닫이 도어가 문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때, 미닫이 도어에 설치된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0)의 제 1 걸림후크(144) 또는 제 2 걸림후크(146)가 고정부(300)에 걸린 상태로 미닫이 도어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부(300)는 하방에 오목하게 고정걸림홈(302)이 형성된다. 미닫이 도어의 이동에 의하여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0)의 제 1 걸림후크(144) 또는 제 2 걸림후크(146)가 고정걸림홈(302)에 걸리게 된다. 이는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미닫이 도어는 오픈된 상태이다. 이때, 고정부(300)는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0)보다 왼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걸림후크(146)는 걸림부(126)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미닫이 도어를 클로즈 시키기 위하여 미닫이 도어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하우징(100) 또한, 왼쪽으로 정 이동된다. 이때, 고정부(300)가 제 1 걸림후크(144)와 충돌하게 되고, 이 충격으로, 제 2 걸림후크(146)가 걸림부(126)에서 안내부(122)로 이동됨과 동시에 고정부(300)의 고정걸림홈(302)에 걸림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를 계속해서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후크부재(140)는 댐퍼(130)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된 후, 결국, 도 5의 (c)와 같이, 제 1 걸림후크(144) 및 제 1 이동안내돌부(147)가 경사부(124)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후크부재(140)가 경사부(124)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이동되므로, 후크부재(140)는 댐퍼(130) 및 경사부(124)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감속되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도 5의 (c)와 같이, 제 1 걸림후크(144)가 경사부(124)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를 오픈시키기 위하여 미닫이 도어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하우징(100) 또한, 오른쪽으로 역 이동되고, 제 2 걸림후크(146)와 제 1 걸림후크(144)는 도 5의 (b)와 같이, 안내부(122)를 따라 걸림부(126)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고정부(300)가 제 2 걸림후크(146)에 걸린 상태로 후크부재(140)를 댐퍼(13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부(142)에 가해지는 댐퍼(130)의 탄성부의 인장력에 의하여 후크부재(140)가 감속되는 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고정부(300)가 제 2 걸림후크(146)에 걸린 상태로 상기 후크부재(140)를 상기 댐퍼(130)의 반대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키면, 도 5의 (a)와 같이, 제 2 걸림후크(146) 및 제 2 이동안내돌부(148)가 걸림부(126)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걸림부(126)에 걸림 위치된다. 이때, 제 2 걸림후크(146)는 고정부(300)에서 탈거되고, 미닫이 도어는 오픈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120)에 경사부(124)를 구비하므로, 미닫이 도어가 클로즈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의 이동 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속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닫이 도어가 오픈되면 제 2 걸림후크(146)가 걸림부(126)에 걸리므로, 미닫이 도어는 오픈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문틀은 레일(400)로 구성된다. 레일(400)은 미닫이 도어의 상단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하면은 오목하게 오목안내부(4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오목안내부(402)에 고정부(300)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롤러(110)가 레일(400)에 끼워진 상태로 레일(400)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가 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 미닫이 도어에 설치된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0)의 롤러(110)가 레일(400)의 오목안내부(402)를 따라 이동되는 한편, 제 1 걸림후크(144) 또는 제 2 걸림후크(146)가 고정부(300)에 걸리거나 탈거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롤러(110)가 레일(400)의 오목안내부(402)에 용이하게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므로, 롤러(110)는 레일(400)에서 탈거되지 않고 안전하게 가이드된 상태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2)는 제 1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에 가이드레일(120), 댐퍼(130) 및 후크부재(140)가 직렬식으로 한 쌍씩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2)는 하우징(100)의 양 단부에 롤러(110)가 구비되고, 중앙에 한 쌍의 댐퍼(130)가 구비되고, 하우징(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가이드레일(120) 및 후크부재(140)가 직렬식으로 배열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하우징(100)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120), 댐퍼(130) 및 후크부재(140)를 직렬식으로 배열하여, 미닫이 도어의 크기에 용이하게 대응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문틀은 레일(400)로 구성된다. 레일(400)은 미닫이 도어의 상단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하면은 오목하게 오목안내부(4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오목안내부(402)에 고정부(300)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롤러(110)가 레일(400)에 끼워진 상태로 레일(400)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예는 미닫이 도어의 크기에 따라, 하우징(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가이드레일(120) 및 후크부재(140)가 직렬식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레일(400) 및 오목안내부(402)의 길이 또한, 제 2 실시예에 대응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4)는 제 1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의 양측에 가이드레일(120), 댐퍼(130) 및 후크부재(140)가 병렬식으로 한 쌍씩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2)는 하우징(10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중앙턱(100a)이 구비되고, 중앙턱(100a)을 기준으로 하여, 중앙턱(100a)의 양 단부에 롤러(110)가 한 쌍씩 구비된다. 그리고 중앙턱(100a)의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120), 후크부재(140) 및 댐퍼(130)가 병렬식으로 배치된다.이때, 한 쌍의 가이드레일(120), 후크부재(140) 및 댐퍼(130)는 중앙턱(100a)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하우징(100)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120), 댐퍼(130) 및 후크부재(140)를 병렬식으로 배열하여, 미닫이 도어의 개수에 용이하게 대응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문틀은 레일(400)로 구성된다. 레일(400)은 미닫이 도어의 상단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하면은 오목하게 오목안내부(4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오목안내부(402)에 고정부(300)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롤러(110)가 레일(400)에 끼워진 상태로 레일(400)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실시예는 하나의 하우징(100)에 한 쌍의 롤러(110), 가이드레일(120), 댐퍼(130) 및 후크부재(140)가 병렬식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레일(400) 및 오목안내부(402)의 길이 및 개수 또한 제 3 실시예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호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처럼 레일(400) 및 오목안내부(402)의 길이 및 개수는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14)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12, 14: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100: 하우징 101: 제 1 하우징
102: 제 2 하우징 110: 롤러
120: 가이드레일 122: 안내부
124: 경사부 126: 걸림부
130: 댐퍼 132: 실린더
134: 로드 140: 후크부재
142: 이동부 142a: 제 1 이동부
142b: 제 2 이동부 143: 가이드홀
144: 제 1 걸림후크 146: 제 2 걸림후크
147: 제 1 이동안내돌부 148: 제 2 이동안내돌부
150: 끼움클립 200: 커버
202: 경사홀 204: 상하가이드부
210: 탄성스프링 250: 보조커버
300: 고정부 302: 고정걸림홈
400:

Claims (6)

  1. 미닫이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는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에 있어서,
    미닫이 도어의 상단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롤러;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사이의 내면 일측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 사이의 내면 타측에 장착되는 탄성부과, 상기 탄성부와 연결된 로드를 갖는 댐퍼; 및
    상기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부, 상기 댐퍼와 마주보는 상기 안내부의 일측에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댐퍼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안내부의 타측에 하방으로 굽어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미닫이도어를 따라 상기 하우징이 이동될 때, 미닫이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문틀에 구비된 고정부에 상기 후크부재가 걸림 위치되어,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경사부 또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댐퍼와 마주보는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1 걸림후크; 및
    상기 댐퍼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이동부의 타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끼움클립이 장착되고,
    상기 제 2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될 때, 상기 제 2 걸림후크는 상기 끼움클립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제 1 걸림후크에 상기 이동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제 1 이동안내돌부; 및
    상기 이동부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제 2 이동안내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걸림후크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상기 제 1 이동안내돌부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정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1 걸림후크를 터치하면 상기 제 2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안내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걸림 위치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2 걸림후크에 걸린 상태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댐퍼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제 1 걸림후크 및 상기 제 1 이동안내돌부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후크부재를 점진적으로 감속시키고,
    상기 제 1 걸림후크가 상기 경사부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역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2 걸림후크에 걸린 상태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댐퍼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에 가해지는 상기 탄성부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후크부재가 감속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2 걸림후크에 걸린 상태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댐퍼의 반대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걸림후크 및 상기 제 2 이동안내돌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감싸되 상기 하우징이 상하 이동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호 수평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경사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경사홀을 따라 비스듬하게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부가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는 상기 커버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하우징이 상기 커버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1020170133081A 2017-10-13 2017-10-13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Active KR10199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81A KR101990204B1 (ko) 2017-10-13 2017-10-13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81A KR101990204B1 (ko) 2017-10-13 2017-10-13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28A KR20190041628A (ko) 2019-04-23
KR101990204B1 true KR101990204B1 (ko) 2019-06-17

Family

ID=6628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081A Active KR101990204B1 (ko) 2017-10-13 2017-10-13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5347B (zh) * 2019-06-19 2024-05-24 中山市固美特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便捷装拆式缓冲吊轮
KR102431204B1 (ko) * 2020-09-03 2022-08-09 황정연 슬라이딩도어용 댐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KR102502206B1 (ko) * 2021-03-19 2023-02-20 김항수 슬라이딩 도어용 댐핑장치
KR102354266B1 (ko) * 2021-06-18 2022-01-20 여길봉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8421A (zh) * 2014-01-15 2014-04-30 东莞市荣翘泰五金有限公司 滑门调控阻尼器
KR101668355B1 (ko) * 2015-11-24 2016-10-21 김용갑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CN205743412U (zh) 2016-04-29 2016-11-30 佛山市顺德区钧奥宝五金有限公司 推拉门缓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676B1 (ko) 2014-07-30 2015-10-13 여길봉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DE202014009249U1 (de) * 2014-11-21 2014-12-11 Siegenia-Aubi Kg Endlageeinzugs- und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als Schiebeflügel oder verschiebbaren Hebe-Schiebeflügel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8421A (zh) * 2014-01-15 2014-04-30 东莞市荣翘泰五金有限公司 滑门调控阻尼器
KR101668355B1 (ko) * 2015-11-24 2016-10-21 김용갑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CN205743412U (zh) 2016-04-29 2016-11-30 佛山市顺德区钧奥宝五金有限公司 推拉门缓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28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204B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JP5373071B2 (ja) 引き戸
KR101430754B1 (ko) 미닫이문의 속도조절댐퍼
RU2687630C2 (ru) Демпфирующее или возвр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ворок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или для выдвижных ящиков
KR101127639B1 (ko)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1668355B1 (ko)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JP2016217106A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198513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KR101798202B1 (ko) 레일과의 이격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가 장착된 미닫이 창문
KR101745545B1 (ko) 미닫이 개폐구조용 댐퍼조립체
KR101825080B1 (ko) 걸림턱에 의하여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KR101262765B1 (ko)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1784985B1 (ko)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101075034B1 (ko)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251953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10108562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KR102792941B1 (ko) 레일 숨김형 댐퍼
KR20140108507A (ko) 개선된 후크를 갖는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1447728B1 (ko)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KR102302094B1 (ko) 개폐 장치
KR20110011128U (ko)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KR20180002590U (ko) 선형 이동문용 양방향 도어 닫힘 완충장치
KR10201683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아웃도어의 백래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