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5625B1 -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625B1
KR101085625B1 KR1020090084293A KR20090084293A KR101085625B1 KR 101085625 B1 KR101085625 B1 KR 101085625B1 KR 1020090084293 A KR1020090084293 A KR 1020090084293A KR 20090084293 A KR20090084293 A KR 20090084293A KR 101085625 B1 KR101085625 B1 KR 101085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catching
rail
fixed
retr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577A (ko
Inventor
명 규 박
Original Assignee
명 규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 규 박 filed Critical 명 규 박
Priority to KR102009008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6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6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시에는 일정길이 닫힘동작 이후 자동으로 도어가 폐쇄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멈출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일정길이 이상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시키면 슬라이딩 도어에서 사용자가 손을 떼어도 개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도어가 위치되게 되고, 슬라이딩 도어를 폐쇄할 때에는 일정길이 이상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밀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가 폐쇄되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슬라이딩 도어, 퇴축장치, 감쇄장치, 캐치후크.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RETRACTING APPARATUS OF A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시에는 일정길이 닫힘동작 이후 자동으로 도어가 폐쇄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멈출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라 함은 가구나 창문, 각종 도어에 적용되어 도어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도어가 쉽게 닫히거나 열리게 하는 롤러가 구비된 도어로서, 통상 도어와 연결된 롤러는 천장부에 설치된 레일에 행거 방식으로 안착되어 도어가 매달려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는 개방 동작시에는 도어를 일정하게 개방시켜야될 필요가 있지만, 폐쇄 동작시에는 도어가 완전하게 폐쇄되어야 되므로, 적정하게 폐쇄될 필요성이 전혀 없게 된다.
따라서, 폐쇄 동작시에는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고, 개방동작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어가 멈출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하지만, 도어의 일측에 스프링 단부를 고정시키고, 스프링의 타단부를 천장의 일정위치에 고정시키게 된 경우라면, 개방후 폐쇄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쉽게 닫힐 수 있겠지만, 개방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을 극복할 정도의 사용자 힘이 필요하게 되고, 일정한 위치에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없으므로 오히려 자동으로 폐쇄되지 않는 슬라이딩 도어보다 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슬라이딩 도어는 개발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시에는 일정길이 닫힘동작 이후 자동으로 도어가 폐쇄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멈출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천정면에 부착되어져 있으며,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공이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하방에 매달려서 이동될 수 있게 그 상면에 현수장치가 부착되어져 있고, 현수장치의 상단에는 레일에 안착되는 롤러가 부착된 슬라이딩 도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단부에 고정되어 퇴축수단과 결합되어 퇴축수단내에 구비된 구동부재와 결합되고 구동부재가 활주 가능하게 하는 캐칭수단과; 상기 롤러의 일측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며, 상기 캐칭수단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구동부재가 길이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 퇴축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칭수단은 상기 레일의 단부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된 캐칭로드와; 상기 캐칭로드와 지지판을 레일에 고정시키는 고정봉과; 상기 캐칭로드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부재와 결합되는 캐칭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퇴축수단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단부 상면에 구동부재가 활주도중 결합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활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활주홈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사면으로 이동되면 마찰력에 의해 일시 고정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하우징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스프링고정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은 그 내부측 일측면에 완충고무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칭로드와 캐칭후크의 사이에는 캐칭후크를 상단방향으로 상승 위치시키는 절곡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칭후크는 그 하면에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고무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는 일정길이 이상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시키면 슬라이딩 도어에서 사용자가 손을 떼어도 개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도어가 위치되게 되고, 슬라이딩 도어를 폐쇄할 때에는 일정길이 이상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밀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가 폐쇄되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를 이용한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를 이용한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과정의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에 포함된 구동장치를 도시한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에 포함된 캐칭수단을 도시한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는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시에는 일정길이 닫힘동작 이후 자동으로 도어가 폐쇄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멈출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가 적용된 슬라이딩 도어는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일정한 길이만큼 개방시키면 스프링의 복원력이 미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된 채로 위치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일정길이만큼 폐쇄시키면 스프링의 복원력이 미치게 되어 사용자가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장착되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천정면에 부착되어져 있으며,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공이 형성된 레일(1)과; 상기 레일(1)의 하방에 매달려서 이동될 수 있게 그 상면에 현수장치(6,10)가 부착되어져 있고, 현수장치(6,10)의 상단에는 레일(1)에 안착되는 롤러(5,9,13)가 부착된 슬라이딩 도어(7)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도어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현수장치(6,10)의 상단에는 각각 롤러함체(9a,13a)가 결합되어져 있고, 그 롤러함체(9a,13a)의 내부에는 각각 롤러(5,9,13)가 레일(1)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7)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면, 상기 레일(1)의 내부에서 롤러(5,9,13)가 부드럽게 구름운동을 하게 되고, 그 구름운동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롤러(5,9,13)하단에 현수된 슬라이딩 도어(7)도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는 슬라이딩 도어(7)의 폐쇄시에는 일정길이 닫힘동작 이후 자동으로 도어가 폐쇄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7)의 개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멈출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는 상기 레일(1)의 단부(14)에 고정되어 퇴축수단(19)과 결합되어 퇴축수단(19)내에 구비된 구동부재(17)와 결합되고 구동부재(17)가 활주 가능하게 하는 캐칭수단(15)과; 상기 롤러(9)의 일측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도어(7)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며, 상기 캐칭수단(15)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구동부재(17)가 길이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 퇴축수단(19)으로 구성된다.
이때, “퇴축”이라는 용어는 Retraction 이라는 영어적 표현으로 바꿀 수 있으며, 한글로는 “뒤당김”이라는 표현으로 기재할 수 있으므로, 퇴축장치라 함은 뒤당김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퇴축수단(19)의 후단부에는 공지의 감쇄수단(18)이 연장부(11)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으며, 그 감쇄수단(18)의 후단에는 별도의 롤러(13)가 내장된 롤러함체(13a)가 결합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한 단부(14)는 폐쇄방향(4)의 단부를 의미하고, 그 반대측은 후단부라고 정의한다.
한편, 상기 캐칭수단(15)(Catching means)은 상기 레일(1)의 단부(14)에 고정되는 지지판(32)과; 상기 지지판(32)의 상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레일(1) 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된 캐칭로드(38)와; 상기 캐칭로드(38)와 지지판(32)을 레일(1)에 고정시키는 고정봉(34)과; 상기 캐칭로드(38)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부재(17)와 결합되는 캐칭후크(16)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32)은 그 내부측 일측면에 완충고무(36)가 더 부착된 바, 상기 슬라이딩 도어(7)의 폐쇄방향(4)으로의 이동시 상기 롤러함체(9a)가 상기 지지판(32)에 충돌하게 되므로 그 충돌력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고무(36)가 지지판(32)의 일측에 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캐칭로드(38)와 캐칭후크(16)의 사이에는 캐칭후크(16)를 상단방향으로 상승 위치시키는 절곡부(16b)가 더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캐칭후크(16)는 그 하면에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고무판(16a)이 더 부착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에 포함된 상기 퇴축수단(19)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단부 상면에 구동부재(17)가 활주도중 결합될 수 있는 경사면(20)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활주홈(19a: 도5참조)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19b)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9b)의 활주홈(19a)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사면(20)으로 이동되면 마찰력에 의해 일시 고정되는 구동부재(17)와; 상기 구동부재(17)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하우징(19b)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40)과; 상기 스프링(40)의 타단부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스프링고정축(42)으로 이루어진다.
퇴축수단(19)의 구조를 기능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재(17)는 상기 하우징(19b)의 활주홈(19a)에 하단이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9b)의 단부측으로 구동부재(17)가 이동되면 그 하우징(19b)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0)에 위치되면서 경사지게 기울어짐으로써 경사면(20)과 구동부재(17) 사이에 발생된 마찰력에 의해 구동부재(17)가 일시적으로 경사면(20)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의 퇴축 동작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먼저, 도 1은 슬라이딩 도어(7)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b)와 같은 도면이다. 즉, 슬라이딩 도어(7)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캐칭후크(16)가 상기 구동부재(17)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된 캐칭후크(16)에 대해 퇴축수단(19)이 폐쇄방향(4)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이므로, 상기 퇴축수단(19)에 구성된 구동부재(17)는 캐칭후크(16)에 의해 후단(폐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17)는 하우징(19b)의 후단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스프링(4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7)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19b)이 후단(폐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그 상부에 위치된 구동부재(17)는 상기 캐칭후크(16)에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폐쇄방향(4)측으로 활주하게 된다.
어느 정도 슬라이딩 도어(7)가 이동되게 되면, 상기 구동부재(17)는 하우징(19b)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0)에 안착되게 되어 동 경사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 상태에서, 계속 슬라이딩 도어(7)를 개방하고자 하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하우징(19b)은 계속 후단(폐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캐칭후크(16)와 구동부재(17)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 5(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상기 구동부재(17)에 결합된 스프링(40)이 인장된 상태가 되지만, 슬라이딩 도어(7)는 상기 스프링(40)의 힘과는 무관하게 어떤 위치에서도 자유롭게 멈출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40)의 복원력은 상기 구동부재(17)가 경사면(20)으로부터 자발 이탈될 정도의 힘보다는 작아야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7)에 폐쇄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캐칭후크(16)쪽으로 상기 하우징(19b)이 이동되게 되고, 어느 정도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7)를 이동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칭후크(16)가 상기 구동부재(17)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더 폐쇄방향으로 가하게 되면, 상기 캐칭후크(16)에 대해서 하우징(19b)이 폐쇄방향(4)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경사면(20)에 결합된 구동부재(17)는 캐칭후크(16)에 의해 후단방향으로 밀려서, 경사면(20)을 이탈하게 된다.
구동부재(17)가 경사면(20)을 이탈하게 되면, 스프링(40)의 복원력이 상기 구동부재(17)에 가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7)로부터 손을 떼어도 상기 구동부재(17)가 캐칭후크(16)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40)의 복원력을 받게 되어 도 5(b)의 상태가 될 때까지 슬라이딩 도어(7)는 자동으로 폐쇄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쇄수단(18)은 슬라이딩 도어(7)의 폐쇄시 상기 롤러함체(9a)가 지지판(32)에 과도한 충돌을 방지하는 실린더 계열의 장치이나 지지판(32)의 일면에는 완충고무(36)가 부착되어 있기도 할뿐더러, 감쇄수단(18)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는 일정길이 이상 상기 슬라이딩 도어(7)를 개방시키면 슬라이딩 도어에서 사용자가 손을 떼어도 개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도어가 위치되게 되고, 슬라이딩 도어를 폐쇄할 때에는 일정길이 이상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밀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가 폐쇄되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를 이용한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를 이용한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과정의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에 포함된 구동장치를 도시한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에 포함된 캐칭수단을 도시한 요부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의 퇴축 동작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레일, 7:슬라이딩도어,
15:캐칭수단, 16:캐칭후크,
17:구동부재, 19:퇴축수단,
19b:하우징, 20:경사면,
40:스프링.

Claims (6)

  1. 천정면에 부착되어져 있으며,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공이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하방에 매달려서 이동될 수 있게 그 상면에 현수장치가 부착되어져 있고, 현수장치의 상단에는 레일에 안착되는 롤러가 부착된 슬라이딩 도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단부에 고정되어 퇴축수단과 결합되어 퇴축수단내에 구비된 구동부재와 결합되고 구동부재가 활주 가능하게 하는 캐칭수단과;
    상기 롤러의 일측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며, 상기 캐칭수단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구동부재가 길이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 퇴축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칭수단은,
    상기 레일의 단부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된 캐칭로드와;
    상기 캐칭로드와 지지판을 레일에 고정시키는 고정봉과;
    상기 캐칭로드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부재와 결합되는 캐칭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축수단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단부 상면에 구동부재가 활주도중 결합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활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활주홈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사면으로 이동되면 마찰력에 의해 일시 고정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하우징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스프링고정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그 내부측 일측면에 완충고무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칭로드와 캐칭후크의 사이에는 캐칭후크를 상단방향으로 상승 위치시키는 절곡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칭후크는 그 하면에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고무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KR1020090084293A 2009-09-08 2009-09-08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Active KR101085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93A KR101085625B1 (ko) 2009-09-08 2009-09-08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93A KR101085625B1 (ko) 2009-09-08 2009-09-08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577A KR20110026577A (ko) 2011-03-16
KR101085625B1 true KR101085625B1 (ko) 2011-11-22

Family

ID=4393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293A Active KR101085625B1 (ko) 2009-09-08 2009-09-08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5043A (ja) * 2011-04-19 2012-11-15 Nifco Inc 可動体の可動装置
KR101966444B1 (ko) * 2011-05-12 2019-04-05 끌레인 이베리까 에세.아. 슬라이딩 도어용 자체 폐쇄 장치
KR102168849B1 (ko) 2020-05-15 2020-10-22 김광민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도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12Y1 (ko) 2000-02-18 2000-07-15 김태성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JP2004156429A (ja) 2002-11-02 2004-06-03 Kia Motors Corp パワースライディングドア開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12Y1 (ko) 2000-02-18 2000-07-15 김태성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JP2004156429A (ja) 2002-11-02 2004-06-03 Kia Motors Corp パワースライディングドア開閉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577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9878B1 (en) Sliding door closing device
TWI437967B (zh) 特別用於活動傢俱件之自行關閉裝置
RU2673995C2 (ru) Шарнир
US20070126324A1 (en) Refrigerator rail assembly and refrigerator storage box extracting/re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512403B2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KR10108562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KR101990204B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2184819B1 (ko) 미닫이용 완충장치
KR200419191Y1 (ko) 서랍레일용 댐핑장치와 그 장치가 장착된 가구
KR101178316B1 (ko) 미닫이 문의 닫힘 충격 완충장치
KR10198513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US10405654B2 (en) Driving mechanism, pro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applicable to furniture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101654925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쳐짐 방지장치
JP6403023B2 (ja) エレベータ
KR101825080B1 (ko) 걸림턱에 의하여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KR20090003948U (ko) 가구용 레일 댐핑장치
KR102083056B1 (ko) 미서기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KR101704586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KR101654917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엔드 완충장치
KR10199874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JP6031070B2 (ja) ドア装置
KR10201683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아웃도어의 백래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