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0692B1 -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692B1
KR101710692B1 KR1020150162490A KR20150162490A KR101710692B1 KR 101710692 B1 KR101710692 B1 KR 101710692B1 KR 1020150162490 A KR1020150162490 A KR 1020150162490A KR 20150162490 A KR20150162490 A KR 20150162490A KR 101710692 B1 KR101710692 B1 KR 101710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guide
sliding door
case
mov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야현
Original Assignee
(주)세한프레시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한프레시젼 filed Critical (주)세한프레시젼
Priority to KR102015016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6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부를 수직으로 세워 이동안내부를 회전시킨 후 가이드레일과 벽체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을 통해 가이드레일에 내부로 결합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케이스의 양측에 대항하도록 완충실린더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완충부의 전체 길이를 줄이므로 미닫이도어의 폭이 작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며 미닫이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 벽체와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여 정숙한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bidirectional damping device of the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부를 수직으로 세워 이동안내부를 회전시킨 후 가이드레일과 벽체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을 통해 가이드레일에 내부로 결합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케이스의 양측에 대항하도록 완충실린더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완충부의 전체 길이를 줄이므로 미닫이도어의 폭이 작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며 미닫이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 벽체와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여 정숙한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도어는 붙박이장과 같은 보관공간에 설치되어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미닫이도어는 상부에 로울러가 장착된 이동안내장치를 결합한 후, 상기 이동안내장치를 가이드레일 내에 장착하여 좌,우로 이동하면서 보관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미닫이 도어는 도어의 개폐시 도어의 단부가 문틀과 접촉되면서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3947호로 미닫이도어의 완충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 발명은, 천장부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내측에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완충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완충실린더 결합되어 미닫이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결속부가 설치되고 상기 미닫이도어의 상부에 이동안내부가 설치되어 가이드레일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 발명은, 미닫이도어의 개폐시 완충실린더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일측에 형성된 문틀과 접촉되지 않게 하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완충실린더가 일방향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미닫이도어를 타측에 형성된 문틀 측으로 폐쇄하거나 이동시킬 경우 그 충격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로울러가 형성된 이동안내부를 가이드레일에 결합한 후 가이드레일을 천장부에 설치해야 하므로 조립이 불편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부를 수직으로 세워 이동안내부를 회전시킨 후 가이드레일과 벽체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을 통해 가이드레일에 내부로 결합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양측에 대항하도록 완충실린더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완충부의 전체 길이를 줄이므로 미닫이도어의 폭이 작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며 미닫이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 벽체와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여 정숙한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천장면에 설치되며 하부에 이동안내부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완충부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벽체 사이에 형성되어 이동안내부가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도록 하는 설치공간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결합공으로 결합되며 양측에 대향하게 완충실린더가 형성되어 미닫이도어의 개폐시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설치공간을 통해 가이드레일 내부로 결합되는 이동안내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어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개폐시 완충부를 제어하는 제어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완충부를 수직으로 세워 이동안내부를 회전시킨 후 가이드레일과 벽체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을 통해 가이드레일에 내부로 결합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양측에 대항하도록 완충실린더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완충부의 전체 길이를 줄이므로 미닫이도어의 폭이 작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며 미닫이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 벽체와의 충돌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여 정숙한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7 내지 도 8은 미닫이도어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100)는, 천장면에 설치되며 하부에 이동안내부(14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완충부(130)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안내공(111)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10)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벽체(C) 사이에 형성되어 이동안내부(140)가 가이드레일(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설치공간(120)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결합안내공(111)으로 결합되며 양측에 대향하게 완충실린더(132)가 형성되어 미닫이도어(D)의 개폐시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13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설치공간(120)을 통해 가이드레일(110) 내부로 결합되는 이동안내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측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어 미닫이도어(D)의 양방향 개폐시 완충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돌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치공간(120)은 완충부(130)의 일측에 고정된 이동안내부(14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130)는, 완충실린더(132)가 장착되는 케이스(13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31)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하게 장착되는 완충실린더(132)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실린더(132)의 로드(132')에 결합되어 케이스(131)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홈(131')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속돌기(133')가 형성된 결속부재(133)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31)의 양단부에 안내홈(131')으로부터 연장되어 'ㄱ'자로 절곡형성되는 결속공(134)이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133)의 하단부와 케이스(131)의 단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13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31)의 폭은 가이드레일(110)의 결합안내공(11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안내부(140)는, 상기 완충부(130)의 양단에 축핀(141')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안내부재(141)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130)의 양단에 축핀(141')에 의해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1로울러(142)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안내부재(141)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2로울러(14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이동안내부재(14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완충부(130)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이동안내부재(141)의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수평유지돌기(14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을 천장면에 고정하되,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일측 단부는 벽체의 일측에 밀착시키고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타측 단부는 타측에 형성된 벽체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설치공간(120)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설치공간(120)은 이동안내부(140)가 위치하여 가이드레일(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안내부(14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설치공간(12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천장면에 고정시킨다.
양단에 이동안내부(140)가 장착된 완충부(130)를 수직으로 세운 후, 상기 완충부(130)의 일측에 장착된 이동안내부(140)가 완충부(130)와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시켜 제1로울러(142)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벽체(C)와 가이드레일(110)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120)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완충부(130)의 완충실린더(132)는 벽체(C) 측에 위치되도록 해야 하며, 상기 완충실린더(132)의 로드(132')에 결합된 결속부재(133)는 완충실린더(132)로부터 인출되어 결속부재(133)의 결속돌기(133')가 결속공(134)에 결속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상기 이동안내부(140)의 제1,2로울러(142)(143)를 가이드레일(110) 내측의 하단면에 결합하여 일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2로울러(142)(143)는 가이드레일(110)의 내측 하단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함과 동시에 이동안내부재(141)는 결합안내공(11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로울러(142)(143)는 가이드레일(110)의 결합안내공(11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므로 가이드레일(110) 내측의 하단면에 걸쳐지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안내부(140)를 가이드레일(110) 중앙부의 일정위치에 이동시킨 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의 완충부(13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완충부(130)의 타측에 장착된 이동안내부(140)도 완충부(130)와 동일하게 수평상태가 되도록 한 후 상기 이동안내부(140)를 설치공간(120)에 위치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안내부(140)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완충부(130)와 이동안내부(140)는 가이드레일(110)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완충부(130)와 이동안내부(14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완충부(130)의 완충을 제어하는 제어돌부(150)(150')를 가이드레일(110) 내측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시킨다.
이때, 어느 하나의 제어돌부(150)는 상기 완충부(130)에 장착된 결속부재(133)보다 좌측에 위치되도록 해야 하며, 다른 하나의 제어돌부(150')는 완충부(130)에 장착된 결속부재(133)보다 우측에 위치되도록 해야한다.
상기 제어돌부(150)(150')는 완충부(130)의 완충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위치를 설정한 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이드레일(110)에 고정시키면 양방향 완충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며, 상기 이동안내부(140)의 하부에 미닫이도어(D)를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완충부(130)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한 이동안내부(140)를 장착하여 설치의 편리성을 한층 향상시켰으며, 완충실린더(132)를 케이스(131)의 양측에 대향하도록 일체형으로 구비하므로 상기 완충부(130)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하여 제품을 소형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미닫이도어(D)의 폭이 기존 도어의 폭보다 작더라도 범용적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한 단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양방향 완충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도어(D)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완충부(130)는 이동안내부(140)의 제1로울러(142)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130)의 결속부재(133) 단부가 제어돌부(15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됨과 동시에 결속부재(133)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결속공(134)에 결속되어 있는 결속돌기(133')가 결속공(134)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제어돌부(150)의 단부는 결속부재(133)의 수용공간(133")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상기 결속부재(133)가 제어돌부(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안내부(140)의 제1로울러(142)는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계속 이동함과 동시에 완충실린더(132)의 로드(132')는 상기 완충실린더(132) 내부로 천천히 수축되면서 개방된 공간을 폐쇄함과 동시에 미닫이도어(D)의 가압력을 상쇄시켜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쇄된 상태의 미닫이도어(D)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이동안내부(140)의 제1로울러(142) 회전으로 완충부(13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133)는 제어돌부(15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결속부재(133)에 결합된 로드(132')는 완충실린더(132)에서 인출됨과 동시에 결속부재(133)와 케이스(131)에 장착된 탄성부재(135)가 신장되며, 결속부재(133)의 결속돌기(133')는 케이스(131)의 안내홈(131')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35)는, 미닫이도어(D)가 급격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130)의 케이스(131)가 이동하여 완충부(130)의 결속공(134)이 결속부재(133) 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결속부재(133)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결속돌기(133')가 결속공(134)에 결합됨과 동시에 결속부재(133)는 제어돌부(150)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결속부재(133)가 제어돌부(150)로부터 이탈되면, 미닫이도어(D)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고, 상기 완충부(130)의 결속부재(133) 단부가 제어돌부(15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됨과 동시에 결속부재(133)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결속공(134)에 결속되어 있는 결속돌기(133')가 결속공(134)에서 이탈되고 제어돌부(150')의 단부는 결속부재(133)의 수용공간(133")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상기 결속부재(133)가 제어돌부(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안내부(140)의 제1로울러(142)는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계속 이동함과 동시에 완충실린더(132)의 로드(132')는 상기 완충실린더(132) 내부로 천천히 수축되면서 개방된 공간을 폐쇄함과 동시에 미닫이도어(D)의 가압력을 상쇄시켜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닫이도어(D)가 벽체(C)의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더라도 양측에 대향하게 장착된 완충실린더(132)에 의해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양방향 완충장치
110: 가이드레일 111: 결합안내공
120: 설치공간 130: 완충부
131: 케이스 132: 완충실린더
133: 결속부재 134: 결속공
135: 탄성부재 140: 이동안내부
141: 이동안내부재 142,143: 제1,2로울러
144: 수평유지돌기 150,150': 제어돌부

Claims (6)

  1. 천장면에 설치되며 하부에 이동안내부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완충부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안내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벽체 사이에 형성되어 이동안내부가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도록 하는 설치공간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결합안내공으로 결합되며 양측에 대향하게 완충실린더가 형성되어 미닫이도어의 개폐시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양단에 축핀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의 양단에 축핀에 의해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1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안내부재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2로울러가 구비되어 설치공간을 통해 가이드레일 내부로 결합되는 이동안내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어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개폐시 완충부를 제어하는 제어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은 완충부의 일측에 고정된 이동안내부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완충부는,
    상기 완충실린더가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하게 장착되는 완충실린더와;
    상기 완충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속돌기가 형성된 결속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양단부에 안내홈으로부터 연장되어 'ㄱ'자로 절곡형성되는 결속공과;
    상기 결속부재의 하단부와 케이스의 단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폭은 가이드레일의 결합안내공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재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완충부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이동안내부재의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수평유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1020150162490A 2015-11-19 2015-11-19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Active KR101710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490A KR101710692B1 (ko) 2015-11-19 2015-11-19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490A KR101710692B1 (ko) 2015-11-19 2015-11-19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692B1 true KR101710692B1 (ko) 2017-02-27

Family

ID=5831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490A Active KR101710692B1 (ko) 2015-11-19 2015-11-19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6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34B1 (ko) * 2018-09-07 2020-01-28 진성호 반 자동문 시스템
KR20200018329A (ko) * 2018-08-10 2020-02-19 정영호 미닫이용 완충장치
KR102306703B1 (ko) * 2020-06-11 2021-09-28 정정우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928A (ja) * 1989-12-25 1991-08-27 Nec Corp 半導体製造装置
JP2008190275A (ja) * 2007-02-07 2008-08-21 Tok Bearing Co Ltd 両方向引き込みユニット
KR101475937B1 (ko) * 2013-10-23 2014-12-23 주식회사 더원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KR20150008636A (ko) * 2013-07-15 2015-01-23 김야현 미닫이도어의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928A (ja) * 1989-12-25 1991-08-27 Nec Corp 半導体製造装置
JP2008190275A (ja) * 2007-02-07 2008-08-21 Tok Bearing Co Ltd 両方向引き込みユニット
KR20150008636A (ko) * 2013-07-15 2015-01-23 김야현 미닫이도어의 완충장치
KR101475937B1 (ko) * 2013-10-23 2014-12-23 주식회사 더원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329A (ko) * 2018-08-10 2020-02-19 정영호 미닫이용 완충장치
KR102184819B1 (ko) 2018-08-10 2020-12-03 정영호 미닫이용 완충장치
KR102070134B1 (ko) * 2018-09-07 2020-01-28 진성호 반 자동문 시스템
KR102306703B1 (ko) * 2020-06-11 2021-09-28 정정우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닫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3995C2 (ru) Шарнир
KR100803818B1 (ko)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RU2643604C2 (ru) Раздвижная дверь
CA2771495C (en)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RU2594867C2 (ru) Шарнир
RU2662704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JP2016205128A (ja) 摺動ドアのためのガイドデバイス
JP2009503289A (ja) 減衰要素
US11447997B2 (en) Damping or return device for sliding door leaves or for drawers
US20120126677A1 (en) Device for movable furniture part, and piece of furniture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20130041246A (ko) 이젝터 장치 및 푸시 장치
KR101493947B1 (ko) 미닫이도어의 완충장치
RU2468171C2 (ru) Мебельная петля
KR10198513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KR20160106012A (ko) 3중(三重) 미닫이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장치
KR20170041061A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JP4875875B2 (ja) 戸体閉鎖装置
KR101145970B1 (ko)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KR101763393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KR20210012865A (ko) 도어힌지장치
KR10108562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KR10201683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아웃도어의 백래시 방지장치
KR102684995B1 (ko) 도어 개폐장치
JP5401511B2 (ja) 戸体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