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29173B1 - 공급펌프 - Google Patents

공급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173B1
KR101229173B1 KR1020077023798A KR20077023798A KR101229173B1 KR 101229173 B1 KR101229173 B1 KR 101229173B1 KR 1020077023798 A KR1020077023798 A KR 1020077023798A KR 20077023798 A KR20077023798 A KR 20077023798A KR 101229173 B1 KR101229173 B1 KR 101229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put
pump
output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019A (ko
Inventor
윌리 슈나이더
토르스텐 헬레
Original Assignee
조마 폴리텍 쿤스츠토프테닉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610039698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6039698B3/de
Priority claimed from DE200620015508 external-priority patent/DE202006015508U1/de
Application filed by 조마 폴리텍 쿤스츠토프테닉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조마 폴리텍 쿤스츠토프테닉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9012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1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04C14/1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 F04C14/2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4/223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using a movable cam
    • F04C14/226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using a movable cam by pivoting the cam around an eccentric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2Hydraulic systems to change the pump deliv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8Regulating by delivery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04C14/1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 F04C14/2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8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21Pressure dif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펌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압매체용 공급펌프로서 입력(12)과 출력(16)을 구비하며, 상기 출력(16)은 공급압력(P1)이 존재하고 압력감소요소(20)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감소요소(20)의 출력(24)은 시스템압력(P2)이 존재하고, 상기 출력(24)은 컨슈머(26)에 연결된다.
상기 출력(24)은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28)에 연결되고, 제2 입력(32)은 압력감소요소(20)의 출력(24)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시스템압력(P2)이 최소압력(46) 보다 작으면 또는 시스템압력(P2)이 제1 입력(28)에서 현재 압력보다 작으면 최대전달로 공급펌프(10)를 조절하고, 상기 펌프제어기(30)에 평행한 압력리미터(34)는, 상기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28)에서 존재하는 압력이 상기 압력리미터의 제1 입력(36)에 존재하고 상기 시스템압력(P2)이 제어입력(40)에 존재하며, 시스템압력(P2)이 목표량(42) 보다 크면 개방된다.
공급펌프, 수압매체, 공급압력, 시스템압력, 자동차, 밸브

Description

공급펌프{FEED PUMP}
본 발명은 수압식 공급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7년 7월 13일자로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PCT/EP2007/006265의 국내단계진입으로서 2006년 8월 21 출원된 독일특허출원 10 2006 039 698.7-15 및 2006년 12월 7일 출원된 독일특허출원 20 2006 015 508.2를 우선권주장한 것이다.
공급펌프는 용량(배기량)을 갖으며, 용량은 공급펌프의 회전속도와 회전펌프의 구동에 따른다. 전력소모장치 또는 전달되는 수압매체를 소모하는 장치의 시스템 저항에 따라 시스템압력은 용량에 의한다. 일반적으로 일정레벨 또는 최소 정해진 범위 내에서 시스템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 101 04 636 A1 에서 공급펌프의 일정 출력값을 유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방법에서 펌프구동의 회전속도는 공급펌프의 출력압력 기능에 따라 제어된다. 이것은 제어가능한 트랜스미션을 필요로 하고 공급펌프의 전력출력에 따라 설비가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지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펌프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원하는 시스템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펌프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공급펌프로 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a는 도1에 의한 압력리미터를 확대도시한 것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회로의 실시예로서 조절로터를 갖는 베인펌프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도1의 다른 실시예로서 무손실전달 실시예를 시한 것이고,
도3a는 도3에 의한 압력리미터를 확대도시한 것이고,
도4는 도1의 다른 실시예로서 소정 범위 내에서 제어되는 시스템압력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4a는 도4에 의한 압력리미터를 확대도시한 것이고,
도5는 도1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절로터를 갖는 베임펌프를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도4의 다른 실시예로서 무손실 범위 내에서 제어되는 시스템압력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7은 도4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서 맵제어기의 오류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수압력제어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9는 도8에 도시된 회로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절로터를 갖는 베인펌프를 도시한 것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수압력제어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1은 도10에 도시된 회로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절로터를 갖는 베인펌프를 도시한 것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조절로터를 갖는 베인펌프 내에서 맵제어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조절로터를 갖는 베인펌프 내에서 맵제어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4는 도12의 다른 실시예로서 맵제어기능의 오류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5는 도13의 다른 실시예로서 맵제어기능의 오류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6은 도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블록도는 공급펌프(10)를 도시한 것으로 펌프용량은 가변적이다. 상기 공급펌프(10)는 탱크(14)에 연결된 입력(12)을 포함한다. 출력(16)에서 공급압력(P1)이 존재하고 상기 출력에는 압력제어밸브(18)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제어밸브(18)는 상기 탱크(14)에 연결된다. 상기 공급압력(P1)이 압력제어밸브(18)의 개방압력을 초과하면, 예를 들어 12 바(bar)를 초과하면 수압매체는 탱크(14)로 흐른다. 즉 상기 압력제어밸브의 개방압력은 12바(bar)이고, 제어동작 동안 또는 제어기의 휴지기 동안에 가변압력에서 압력제어밸브는 탱크(14)를 개방한다.
상기 출력(16)은 압력감소요소(20)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감소요소는 필터(22), 다이아프램 또는 그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소요소(20)의 출력(24)에서 시스템압력(P2)이 존재한다. 상기 공급펌프(10)에 의해 전달된 수압매체는 자동차 내부연소엔진의 컨슈머(26)에 도달된다. 상기 컨슈머(26)의 다운스트림은 수압매체가 탱크(14)로 흐르는 것이다. 상기 압력감소요소(20)의 결과로, 시스템압력(P2)는 공급압력(P1) 보다 작다.
상기 공급펌프(10)의 출력(16)은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에 부가적으로 연결되고, 제2 입력은 압력감소요소(20)의 출력(24)에 연결된다. 도면부호 46은 펌프제어기(30)의 최소압력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상기 제2 입력(32)에서 압력이 제1 입력(28)에서 압력보다 크면 최소전달로 공급펌프(10)를 조절한다. 상기 압력(P2)은 제2 입력(32)에 존재하면서 적어도 최소압력, 예컨대 2바(bar)를 초과하여야 한다. 상기 압력이 제1 입력(28)에서 존재한다면 또는 최소압력, 예를 들어 2 바(bar)가 시스템 최소압력(P2)를 초과한다면, 펌프제어기(30)는 최대전달로 공급펌프(10)를 조절한다. 상기 시스템압력(P2)이 최소압력 이하로 존재하는 동안, 상기 공급펌프(10)는 최대전달로 조절된다.
압력리미터(34)가 펌프제어기(30)에 평행하게 연결되고, 상기 리미터의 제1 입력(36)은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28)에 연결되고, 상기 리미터의 제2 입력(38)은 상기 탱크(14)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입력(40)에 상기 시스템압력(P2)이 존재한다. 특히 압력리미터(34)의 목표량(42)은 가변적이고 5.5바(bar)이다. 상술한 것은 압력리미터(34)가, 압력이 제어입력(40)에서 목표량(42)을 초과하는지 시스템압력(P2)이 목표값을 초과하는지에 대하여 제2 입력(38)에 제1 입력(36)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 결과로 상기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에서 압력은 시스템압력(P2) 이하로 감소되어 펌프제어기(30)는 최소전달로 공급펌프(10)를 조절한다. 상기 시스템압력(P2)은 결론적으로 공급압력(P1)의 값 이하로 떨어질때 까지 감소하며,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최대전달로 다시 조절된다. 상기 시스템압력(P2)은 최소압력과 목표량(42) 사이에서 유지된다. 상기 압력리미터(34)로 부터 수압매체는 탱크(14)로 흐르게 되고 매체는 상기 압력감소요소(20)를 통과하지 않는다. 상기 시스템압력(P2)은 공급펌프(10)의 조절에 의해 변화된다. 한편 도면에는 공급펌프(10)의 출력과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 사이에 조절기(48)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기는 가변적이다.
도1a에서 압력리미터(34)의 제어스풀(44)이 도시된다. 상기 제어스풀(44)은 제2 입력(38)으로부터 제1 입력(36)을 차단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도2는 공급펌프(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급펌프(10)는 상술한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부여된다. 도면은 공급펌프(10)가 베인펌프(50)인 것을 도시하고 상기 베인펌프의 로 터(52)는 샤프트(54)에 의해 구동되고 라디얼 슬롯(56)에서 다수의 베인(58)을 운반하며 상기 베인은 슬립퍼(60)에 의해 스테이터(64)의 내부환형표면(62)에서 리벌빙된다. 상기 스테이터(64)는 피벗되게 결합되며 회전이음쇠축(66) 및 두개의 피스톤(68,70)을 포함하고 도1에서 펌프제어기(30)의 피스톤(68,60)과 대응한다. 도면의 화살표&1)의 방향으로 회전이음쇠축(66)에 대하여 스테이터(64)를 선회시켜셔 공급펌프(10)의 전달출력이 변환된다.
도3에서 압력리미터(34)의 제2 입력(38)은 제어입력(40)에 연결되며 제1 입력에 존재하는 압력은 제2 입력에 전달되고 이 때 압력리미터(34)가 개방된다. 이와 같은 회로는 지속적으로 무손실로 동작되는 중대한 잇점을 갖는다. 또한 도3a는 제2 입력(38)이 제어입력(40)에 직접연결되는 것과 스풀(44) 대신에 두개의 입력(36,38)의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전자기적으로 구동되는 제어밸브(72, 3/2 웨이 밸브)를 갖는 압력감소요소(20)의 출력을 도시한 것이다. 도4에 도시된 제어밸브(72)의 동작위치에서 압력감소요소(20)의 출력(24)은 제어밸브(72)를 통해 압력리미터(34)의 제2 제어입력(74)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리미터(34)에 대한 추진력은 제어스풀(44) 내부에서의 힘(F1)을 갖는 제1 제어입력(40)에 존재하는 시스템압력(P2) 및 제어스풀(44) 내부의 힘(F2)를 갖는 제2 제어입력(74)에 존재하는 시스템압력(P2)이다. 상기 압력리미터(34)의 제2 제어입력(74)은 제1 제어입력(40)에 대해 압력트랜스미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4a는 상기 제어스풀(44)을 도시하고 있으며, 보다 큰 효과적인 피스톤 표면의 결과로 힘(F2)이 힘(F1) 보다 크다는 것을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고 힘이 소정 링표면에서 활성되는 것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어밸브(72)는 자동차의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컴퓨터는 공급펌프(10)의 맵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시스템압력(P2)은 최소압력(펌프제어기(30))와 목표량(42, 압력리미터(34)) 사이의 소정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4는 샷-오프밸브(78)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샷-오프밸브(78)는 시스템압력(P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샷-오프밸브(78)의 입력(80)은 제어밸브(72)의 출력(82)에 연결된다. 상기 샷-오프밸브(78)의 출력(84)은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32) 및 압력리미터(34)의 제어입력(40)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입력(40)에서 시스템압력(P2)이 존재한다.
상기 제어밸브(72)가 자동자컴퓨터(76)에 의해 제어되고 도4에 도시된 위치라고 가정한다면, 상기 압력리미터(34)의 제2 제어입력(74)에서 상기 시스템압력(P2)이 존재하고 압력리미터(34)는 개방한다. 이것은 제2 제어입력(74)에서 시스템압력(P2)의 결과로 힘(F2)이 제어입력(40)에서 시스템압력(P2)의 힘(F1)에 더해지기 때문이고, 두개의 입력(36,38)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최소전달로 공급펌프(10)를 조절한다.
목표시스템압력(P2)이 도달되었다면, 상기 압력이 자동차컴퓨터(76)에 의해 검출되었다면, 제어밸브(72)가 스위치되고 제2 제어입력(74)을 폐쇄한다. 상기 시스템압력(P2)은, 상기 압력이 목표량(42)까지 도달할 때 또는 자동차컴퓨터(76)가 다시 상기 제어밸브(72)를 다시 제어하거나 개방할 때까지 증가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시스템압력(P2)은 목표와는 다른 값으로 한정된 범위 내에서 맵제어에 따라 조절된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회로를 갖는 공급펌프(10)를 도시한 것이다. 도2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압력리미터(34)는 제2 제어입력(7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입력(74)은 제어밸브(72) 및 샷-오프밸브(78)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벨브(72)는 자동차컴퓨터(76)에 의해 제어되고 압력감소요소(20) 출력에 샷-오프밸브(78)를 통해 제2 제어입력(74)를 연결한다.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압력리미터(34)의 제어입력(40)이 제2 입력(38)에 연결된다. 상술한 구조는 압력리미터(34)의 제어스풀(44)을 도시한 도6a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예 또한 공급펌프(10)의 무손실 제어를 나타낸다.
도7은 자동차컴퓨터(76) 또는 맵제어의 오류를 도시한 회로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 제어밸브(72)는 제어되지 않고 샷-오프밸브(78) 및 압력리미터(34)의 방향 내의 출력(24)을 폐쇄한다. 따라서 압력은 제2 제어입력(74)에 존재하지 않으며 힘(F2)은 0 이다. 또한 압력은 펌프제어기(32)의 제2 입력(32)에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어기는 최대전달 동안의 위치를 가정한다. 결과적으로, 시스템압력(P2)은 샷-오프밸브(78)가 스위치될 때 까지 증가되고 출력(34)은 펌프제어기(30) 및 압력리미터(34)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입력(40)에 상기 시스템압력(P2)이 존재하고 압력리미터(34)는, 목표량(42) 압력이 초과되면 개방된다. 상기 압력은 제1 입력(36)에서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최소전달로 조절된다. 이것은 자동차컴퓨터(76)가 오류인 경우에 상기 시스템압력(P2)이 목표량(42)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3 및 도6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입력(38)은 제어입력(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예 또한 무손실 제어가 될 수 있다.
도8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리미터(34)는 수압식으로 동작되는 제어밸브(86, 4/2 웨이 밸브)에 의해 형성되며 가변제어량(42)은 5.5 바(bar)이다. 그리고 또 다른 가변제어량(42)은 입력(88)에 존재하는 시스템압력(P2)에 의해 제공된다. 도8에 도시된 제어밸브(86)의 위치에서 상기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은 상기 탱크(14)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은 공급펌프(10)의 출력과 연결된다. 그 결과로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최대전달로 조절된다. 상기 시스템압력(P2)이 가변제어량(42)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밸브(86)는 위치를 변경하고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32)에 시스템압력(P2)을 적용하고 탱크(14)에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28)을 연결한다.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최소전달로 조절되며 상기 시스템압력(P2)은 감소한다. 상기 시스템압력(P2)이 상기 가변제어량(42)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밸브(86)는 밸브의 다시 시작위치로 될 수 있다. 도9는 하나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된다.
도10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밸브(86)의 원위치에서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32)은 탱크(14)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펌프(10)의 출력(16)은 컨슈머(26)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펌프제어기(30)는 공급압력(P1)이 가변제어량(42) 이하가 되면 최대전달로 조절된다. 상기 공급압력(P1)이 가변제어량(42)을 초과하면 압력감소요소(20)의 출력(16)은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32)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최소전달로 조절되며, 이것은 제1 입력(28)에서 압력이 존재하기 때문이고 상기 압력은 조절기(48) 때문에 공급압력(P1) 보다 적다. 도11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도5에 도시된 것과 대응된다. 상기 압력리미터(34)는 4/2웨이 밸브(9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제어입력(40)은 샷-오프밸브(78)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입력(74)은 제어밸브(72) 및 샷-오프밸브(78)에 연결된다. 상기 공급압력(P1)과 상기 시스템압력(P2)이 가변제어량(42)을 초과하면 상기 방향제어밸브(9)는 스위치되고 탱크(14)에 제1 입력(28)을 연결하며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최소전달로 조절된다.
도13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살펴보면, 상기 4/2 웨이 밸브(90)는 탱크예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을 연결하며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초기에 최대전달로 조절된다. 또한 상기 출력(24)은 시스템압력(P2)에서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28)에 연결된다. 상기 공급압력(P1)과 시스템압력(P2)이 가변제어량(42)을 초과하면 상기 방향제어밸브(90)는 스위치되고 출력(24)에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32)과 탱크(14)에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28)을 연결하며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최소전달로 조절된다.
도14에 도시된 스위치위치는 도13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응된다. 상기 제어밸브(72) 및 샷-오프밸브(78) 또한 스위치된다. 상기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32)은 탱크(14)에 연결되고 제1 입력(28)은 출력(24)에 연결된다. 상기 펌프제 어기(30)는 최대전달로 조절되고 상기 시스템압력(P2)은 컨슈머(26)에 존재한다. 상기 다른 실시예는 클린오일측 상의 펌프제어기(30)의 조절펌프가 시스템압력(P2)으로 공급된다는 잇점을 갖는다. 그 결과로 오염으로 인한 문제점이 대부분 차단될 수 있다.
도16은 도8에 도시된 실시예를 변형한 실시예로서, 압력리미터(34)는 4/2 웨이 밸브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템압력(P2)이 존재하고 자동차컴퓨터(76)와 평행한 입력(88)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된다. 도16에 의해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28)이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32)은 출력(24)에 연결된다.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최소전달로 조절된다. 자동차컴퓨터(76)의 오류의 경우에, 상기 4/2 웨이밸브(86)는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28)이 탱크(14)에 연결되고 제1 입력(28)이 출력(24)에 연결되도록 스위치한다.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최대전달로 조절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Claims (20)

  1. 입력(12)과 출력(16)을 구비하되, 상기 출력(16)은 공급압력(P1)이 존재하고 압력감소요소(20)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감소요소(20)의 출력(24)은 시스템압력(P2)이 존재하고, 상기 출력(24)은 컨슈머(26)에 연결되는 수압매체용 공급펌프(10)에 있어서,
    상기 출력(16)은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28)에 연결되고, 펌프제어기(30)의 제2 입력(32)은 압력감소요소(20)의 출력(24)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제어기(30)는 시스템압력(P2)이 최소압력(46) 보다 작으면 또는 시스템압력(P2)이 제1 입력(28)에서 현재 압력보다 작으면 최대전달로 공급펌프(10)를 조절하고,
    상기 펌프제어기(30)에 평행한 압력리미터(34)는, 상기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28)에서 존재하는 압력이 상기 압력리미터의 제1 입력(36)에 존재하고 상기 시스템압력(P2)이 제어입력(40)에 존재하며, 시스템압력(P2)이 목표량(42) 보다 크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소요소(20)는 필터(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압력(46)은 2바(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량(42)은 5.5바(bar)이고, 제어동작 동안 또는 제어기의 휴지기 동안에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조절기(48)는 공급펌프(10)의 출력(16)과 펌프제어기(30)의 제1 입력 사이에 교차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펌프(10)의 출력의 다운스트림에는 압력제어밸브(1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밸브의 개방압력은 12바(bar)이고, 제어동작 동안 또는 제어기의 휴지기 동안에 가변압력에서 압력제어밸브는 탱크(14)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압력(P2)은 압력리미터(34)의 제2 입력에 존재하고 개방 압력리미터(34)는 제2 입력(38)에 제1 입력(36)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리미터(34)는 제2 제어입력(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압력리미터(34)의 두개 제어입력(40,74)은 직렬로 수압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11. 제9항에 있어서,
    압력리미터(34)의 제2 제어입력(74)은 제1 제어입력(40)에 대해 압력트랜스미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12. 제9항에 있어서,
    제어밸브(72)가 제공되고 압력리미터(34)의 제2 제어입력(74)에 압력감소요소(20)의 출력(24)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제어밸브(72)의 출력(82)은 압력리미터(34)의 제2 입력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14. 제12항에 있어서,
    제어밸브(72)는 수압식으로 또는 전자기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제어밸브(72)는 자동차의 엔진제어기(76)를 통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16. 제12항에 있어서,
    샷-오프밸브(78)는 제어밸브(72)의 출력(82)과 압력리미터(34)의 제1 제어입력(40)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샷-오프밸브(78)는 시스템압력(P2)이 존재하는 제어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18. 제1항에 있어서,
    제어밸브(72)가 제공되고 탱크에 펌프제어기(30)의 제2 출력(32)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19. 제18항에 있어서,
    제어밸브(72)는 4/2웨이 밸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20. 제18항에 있어서,
    제어밸브(72)는 수압식으로 또는 전자기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펌프.
KR1020077023798A 2006-08-21 2007-07-14 공급펌프 Active KR101229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610039698 DE102006039698B3 (de) 2006-08-21 2006-08-21 Förderpumpe
DE102006039698.7 2006-08-21
DE200620015508 DE202006015508U1 (de) 2006-10-10 2006-10-10 Förderpumpe
DE202006015508.2 2006-10-10
PCT/EP2007/006265 WO2008022672A1 (de) 2006-08-21 2007-07-14 Förderpum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019A KR20090120019A (ko) 2009-11-24
KR101229173B1 true KR101229173B1 (ko) 2013-02-01

Family

ID=3857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798A Active KR101229173B1 (ko) 2006-08-21 2007-07-14 공급펌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02971B2 (ko)
EP (1) EP2049800B1 (ko)
JP (1) JP5209622B2 (ko)
KR (1) KR101229173B1 (ko)
WO (1) WO2008022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12540D0 (en) * 2009-07-20 2009-08-26 Bamford Excavators Ltd Hydraulic system
DE102009046516A1 (de) * 2009-11-09 2011-05-12 Zf Lenksysteme Gmbh Verdrängerpumpe
WO2013040780A1 (zh) * 2011-09-22 2013-03-28 长沙中联重工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变量泵的控制系统以及液压行走设备
DE102012022265A1 (de) * 2012-11-13 2014-05-15 Fmb Blickl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r Verstellpumpe
JP6456277B2 (ja) * 2015-12-18 2019-01-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11076091B (zh) * 2020-01-06 2024-09-17 广州环投环境服务有限公司 一种高扬程恒流投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8579U (ko) * 1988-11-22 1989-11-01
JPH09226610A (ja) * 1996-02-23 1997-09-02 Unisia Jecs Corp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050178A (ja) 1999-08-06 2001-02-23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可変容量形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5264A1 (de) * 1983-12-14 1985-06-27 Brueninghaus Hydraulik Gmbh, 7240 Horb Drehmomenten-regeleinrichtung fuer eine verstellbare hydropumpe
JP2657548B2 (ja) * 1988-06-29 1997-09-24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462376U (ko) * 1990-10-04 1992-05-28
DE4224973C2 (de) * 1992-07-29 1995-08-03 Glyco Metall Werke Fluidversorgungssystem mit Druckbegrenzung
JP3441834B2 (ja) * 1995-04-05 2003-09-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駆動制御装置
DE19517974A1 (de) * 1995-05-16 1996-11-21 Brueninghaus Hydromatik Gmbh Verschiebbare hydraulische Leistungs- bzw. Momentenregeleinrichtung
DE19742157C2 (de) * 1997-09-24 1999-07-01 Brueninghaus Hydromatik Gmbh Regeleinrichtung für eine verstellbare Hydropumpe mit mehreren Verbrauchern
JP4209503B2 (ja) * 1998-07-16 2009-01-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駆動機械の制御装置
JP3460817B2 (ja) * 2000-06-28 2003-10-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掘削車両の油圧制御装置
JP2002130145A (ja) * 2000-10-19 2002-05-09 Komatsu Ltd 可変容量形ポンプの容量制御装置
DE10104635A1 (de) 2001-02-02 2002-10-02 Joma Hydromechanic Gmbh Verfahren zum Aufrechterhalten einer konstanten Ausgangsgröße einer Förderpumpe, z.B. ihres Fördervolumens, die von einer in ihrer Drehzahl variablen Antriebsvorrichtung angetrieben wird,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4408406B2 (ja) * 2004-09-24 2010-02-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アンロード機能付ポンプ可変容量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8579U (ko) * 1988-11-22 1989-11-01
JPH09226610A (ja) * 1996-02-23 1997-09-02 Unisia Jecs Corp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050178A (ja) 1999-08-06 2001-02-23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可変容量形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9800A1 (de) 2009-04-22
US7802971B2 (en) 2010-09-28
US20080279699A1 (en) 2008-11-13
JP2010501762A (ja) 2010-01-21
WO2008022672A1 (de) 2008-02-28
EP2049800B1 (de) 2011-12-28
KR20090120019A (ko) 2009-11-24
JP5209622B2 (ja)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7236B (zh) 用于泵输出压力控制的控制系统与方法
JP6312701B2 (ja) 流体ポンプアセンブリの比例フロー制御
EP2050970B1 (en) Hydraulic circuit for heavy equipment
EP0181865B1 (en) Hydrostatic vehicle control
EP0182788B1 (en) Hydrostatic vehicle control
US8512006B2 (en) Hydraulic pump with variable flow and pressure and improved open-loop electric control
US7018178B2 (en) Variable displacement pump and control therefore for supplying lubricant to an engine
KR101229173B1 (ko) 공급펌프
EP1881222A1 (en) Method of operating a DCT hydraulic power control system as well as DCT hydraulic power control system
US7163096B2 (en) Double clutch drive with position maintaining function
KR20070054587A (ko) 가변 흐름과 가변 압력 및 전기 제어부를 구비한 유압 펌프
CN112303049A (zh) 用于移动式作业机械的液压的压力介质供应组件和方法
CN112032126A (zh) 具有两个泵和能量回收装置的液压驱动系统
CN112303066A (zh) 液压的压力介质供应组件和方法
JP4446822B2 (ja) 作業車両の油圧駆動装置
JP2006521513A (ja) 自動車を駆動するための動力伝達系
KR101648982B1 (ko)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07269832B (zh) 静压的传动装置和具有这种静压的传动装置的车辆
US7165397B2 (en) Anti-stall pilot pressure control system for open center systems
JP2007298130A (ja) 建設機械の油圧装置
JP3535701B2 (ja) 油圧モータの制御装置
JP3603007B2 (ja) 可変容量型油圧モータの容量制御装置
EP1873363B1 (en) Variable displacement pump and control therefor
JPH07158605A (ja) 油圧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JPH06248666A (ja) 油圧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1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