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27134B1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134B1
KR101227134B1 KR1020050060495A KR20050060495A KR101227134B1 KR 101227134 B1 KR101227134 B1 KR 101227134B1 KR 1020050060495 A KR1020050060495 A KR 1020050060495A KR 20050060495 A KR20050060495 A KR 20050060495A KR 101227134 B1 KR101227134 B1 KR 101227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data driver
dri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274A (ko
Inventor
김우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134B1/ko
Priority to EP06007905.0A priority patent/EP1717789B1/en
Priority to US11/402,865 priority patent/US20060238463A1/en
Priority to JP2006114978A priority patent/JP2006309223A/ja
Publication of KR2007000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1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41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장치 상의 구성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베젤(Bezel)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픽셀이 형성된 발광 영역과 외부 회로부에 인접한 발광 영역의 측부에 형성되어 각 픽셀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데이터구동부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각 픽셀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구동부, 외부 회로부에 연결되며, 발광 영역의 양 외측부에 형성된 배선들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상에 있어서, 전원공급 라인 및 그라운드 라인, 데이터구동부와 스캔구동부의 위치를 최적 배치함으로써, 베젤 영역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Compact)한 표시장치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 및 다양한 제품적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베젤 영역, 데이터구동부, 스캔구동부, 배선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 1은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변형실시예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2 실시예 내지 4실시예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21 : 기판 22 : 발광 영역
23 : 데이터구동부 24-1, 24-2 : 스캔구동부
25 : 외부 회로부 26 : 전원공급 라인
27 : 그라운드 라인 P : 픽셀
B : 베젤 영역 (Bezel Area) S : 스캔 라인 (Scan Line)
D : 데이터 라인 (Data Lin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장치상의 구성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베젤(Bezel)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유기 물질을 발광시키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동형 발광소자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응답 속도가 빠르고, 직류구동 전압이 낮고, 초박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벽걸이형 또는 휴대용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은 설명의 편의상, 표시장치 상의 보호부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0)는 기판(11) 상에 형성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발광 영역(Active Area,12)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12) 내에는 다수의 RGB 픽셀(P; RGB pixel; 도 1에는 편의상 단일의 픽셀만을 도시함)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회로부(15)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12)의 어느 한 외측부에는 각 픽셀(P)의 데이터 라인(D)이 연결된 데이터구동부(Data Driver,13)가 형성되어 있어 각 픽셀(P)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발광 영역(12)의 양 측부에는 일부 픽셀의 스캔 라인(S)이 연결되어 있는 제 1 스캔구동부(Scan Driver,14-1) 및 나머지 픽셀의 스캔 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제 2 스캔구동부(14-2)가 각각 위치하여 각 픽셀로 스캔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구동부(13)와 제 1 스캔구동부(14-1) 및 제 2 스캔구동부(14-2)는 외 부 회로부(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각 픽셀(P)은 외부 회로부(15)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구동한다.
한편, 발광 영역(12), 데이터구동부(13)와 제 1 스캔구동부(14-1) 및 제 2 스캔구동부(14-2)의 외측에는 실란트(sealant)가 분배되며, 이 실란트에 의하여 보호부가 기판(11) 상에 부착된다.
따라서, 발광 영역(12)을 포함한 모든 소자 요소들은 캡에 의하여 외부와 완전히 격리되어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 불순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 1 스캔구동부(14-1)와 발광 영역(12) 사이의 기판(11) 상에는 전원공급 라인(16,VDD)이, 제 2 스캔구동부(14-1)와 발광 영역(12) 사이의 기판(11) 상에는 그라운드 라인(GND,17)이 각각 배치된다.
이때, 전원공급 라인(16)과 그라운드 라인(17)은 외부 회로부(15)에 각각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 영역(12)의 양측 선단과 기판(11) 양측 종단 사이의 영역을 베젤 영역(Bezel Area; B1, B2)이라 한다.
베젤 영역(B1, B2)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동일한 면적의 발광 영역이 형성된 표시장치일지라도 베젤 영역이 넓은 표시장치의 규격은 베젤 영역이 좁은 표시장치의 규격보다는 클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Main) 창 또는 서브(Sub)창의 규격 역시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베젤 영역으로 인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 창 및 서브 창에서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Dead Space)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상의 구성 요소간의 배치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베젤 영역 및 그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기판 상에 구성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베젤 영역을 최소화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픽셀이 형성된 발광 영역과 외부 회로부에 인접한 발광 영역의 측부에 형성되어 각 픽셀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데이터구동부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각 픽셀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구동부, 외부 회로부에 연결되며, 발광 영역의 양 외측부에 형성된 배선들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스캔구동부는 2개일 수 있으며, 데이터구동부를 사이에 두고, 그 마주보는 외측부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캔구동부는 데이터구동부에 대하여, 발광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외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캔구동부는 2개일 수 있으며, 각각의 스캔구동부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회로부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배선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데이터구동부와 발광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배선은 그라운드 라인과 전원공급 라인이며, 두 라인이 모두 데이터구동부와 발광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배선은 그라운드 라인과 전원공급 라인이며, 두 라인 중 어느 하나는 데이터구동부와 발광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나머지 한 라인은 스캔구동부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0)는 기판(21) 상에 형성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발광 영역(22)을 포함하며, 발광 영역(22) 내에는 다수의 RGB 픽셀(P; 도 2에도 편의상 단일의 픽셀만을 도시함)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발광 영역(22)의 일측부, 즉 외부 회로부(25)와 대응하는 영역에는 각 픽셀(P)의 데이터 라인(D)이 연결된 데이터구동부(23)가 형성되어 있어 각 픽셀(P)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20)의 비발광 영역 상에는, 데이터구동부(23)의 양 측부에 일부 픽셀(P)의 스캔 라인(S)이 연결되어 있는 제 1 스캔구동부(24-1) 및 그 외 픽셀(P)의 스캔 라인(S)이 연결되어 있는 제 2 스캔구동부가(2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구동부(23)와 제 1 스캔구동부(24-1) 및 제 2 스캔구동부(24-2)는 외부 회로부(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각 픽셀(P)은 외부 회로부(25)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한다.
외부 회로부(25)에 연결된 전원 라인인 전원공급 라인(26)과 그라운드 라인(27)은 발광 영역(22)의 양 외측부에 각각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캔구동부(24-1)와 제 2 스캔구동부(24-2)를 발광 영역(22)의 양측부가 아닌 데이터구동부(23)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조와 비교할 때, 발광 영역(22)의 양측 종단과 기판(21) 상의 양측 종단 사이에 있는 베젤 영역(B1, B2)의 폭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한편, 발광 영역(22)과 데이터구동부(21), 제 1 스캔구동부(24-1) 및 제 2 스캔구동부(24-2)의 외측에 형성되는 실란트(Sealant) 및 실란트에 의하여 기판 상(21)에 부착되는 보호부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 2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기판(31)의 비발광 영역 상에 있어서, 제 1 스캔구동부(34-1) 및 제 2 스캔구동부(34-2)의 위치는 도 2 상의 제 1 스캔구동부(24-1) 및 제 2 스캔구동부(24-2)의 형성 위치와 차이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캔구동부(34-1)와 제 2 스캔구동부(34-2)를 발광 영역(32)을 기준으로 데이터구동부(33)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 부분에 형성함으로서 발광 영역(32)의 양측 종단과 기판(31) 양 종단 사이의 공간인 베젤 영역(B1, B2)의 폭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은 도시 설명의 편의상, 기판의 보호부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제 1 스캔구동부(24-1) 및 제 2 스캔구동부(24-2), 전원공급 라인(VDD) 및 그라운드 라인(GND)의 배치 상 차이만을 설명하며, 그 기능 및 기타 요소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0) 상에서, 발광 영역(42)의 일측부에는 데이터구동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광 영역(42)의 양 측부에는 제 1 스캔구동부(44-1) 및 제 2 스캔구동부(4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0)의 구조에서, 외부 회로부(45)에 연결된 전원공급 라인(46)과 그라운드 라인(47)은 발광 영역(42)의 양 외측에 배치되지 않고, 데이터구동부(43)와 발광 영역(4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라인(46)과 그라운드 라인(47)을 발광 영역(42)의 양 측부에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베젤 영역(B1, B2)의 폭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0)의 구조에 있어서, 발광 영역(42)과 데이터구동부(43), 제 1 스캔구동부(44-1) 및 제 2 스캔구동부(44-2)의 배치 관계는 도 4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0)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도 4와 동일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0)의 구조에서, 외부 회로부(45)에 연결된 전원공급 라인(46)은 데이터구동부(43)와 발광 영역(4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회로부(45)에 연결된 그라운드 라인(47)은 제 1 스캔구동부(44-1) 및 제 2 스캔구동부(44-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라인(46)을 발광 영역(42)의 양 측부에 형성하지 않음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조와 비교할 때, 베젤 영역(B1, B2)의 폭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40)의 구조에서는, 외부 회로부(45)에 연결된 그라운드 라인(47)은 데이터구동부(43)와 발광 영역(4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회로부(45)에 연결된 전원공급 라인(46)은 제 1 스캔구동부(44-1) 및 제 2 스캔구동부(44-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라인(47)을 발광 영역(42)의 양 측부에 형성하지 않음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조와 비교할 때, 베젤 영역(B1, B2)의 폭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 실시예에서, 데이터구동부가 하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데이터구동부의 수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스캔구동부의 위치를 몇가지 경우로 한정 배치하여 설명하였으나, 스캔구동부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상에 있어서, 전원공급 라인 및 그라운드 라인, 데이터구동부와 스캔구동부의 위치를 최적 배치함으로써, 베젤 영역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Compact)한 표시장치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 및 다양한 제품적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젤 영역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Compact)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 및 다양한 제품적용을 가능하 게 한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다수의 픽셀이 형성된 발광 영역과;
    외부 회로부에 인접한 상기 발광 영역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픽셀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발광 영역의 양 외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픽셀에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구동부와;
    상기 외부 회로부에 연결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선은 그라운드 라인(GND) 및 전원공급 라인(VDD)이며, 상기 그라운드 라인과 상기 전원공급 라인이 모두 상기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7. 다수의 픽셀이 형성된 발광 영역과;
    외부 회로부에 인접한 상기 발광 영역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픽셀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발광 영역의 양 외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픽셀에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구동부와;
    상기 외부 회로부에 연결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선은 그라운드 라인(GND) 및 전원공급 라인(VDD)이며, 상기 전원공급 라인은 상기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그라운드 라인은 상기 스캔구동부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다수의 픽셀이 형성된 발광 영역과;
    외부 회로부에 인접한 상기 발광 영역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픽셀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발광 영역의 양 외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 픽셀에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구동부와;
    상기 외부 회로부에 연결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선은 그라운드 라인(GND) 및 전원공급 라인(VDD)이며, 상기 그라운드 라인은 상기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 라인은 상기 스캔구동부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050060495A 2005-04-26 2005-07-0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Expired - Lifetime KR101227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495A KR101227134B1 (ko) 2005-07-05 2005-07-0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EP06007905.0A EP1717789B1 (en) 2005-04-26 2006-04-13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11/402,865 US20060238463A1 (en) 2005-04-26 2006-04-13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2006114978A JP2006309223A (ja) 2005-04-26 2006-04-18 電界発光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495A KR101227134B1 (ko) 2005-07-05 2005-07-0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274A KR20070005274A (ko) 2007-01-10
KR101227134B1 true KR101227134B1 (ko) 2013-01-28

Family

ID=3787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495A Expired - Lifetime KR101227134B1 (ko) 2005-04-26 2005-07-0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051B1 (ko) * 2007-05-07 201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258259B1 (ko) * 2009-09-17 2013-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04397B1 (ko) 2012-09-19 2019-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102295874B1 (ko) * 2014-07-24 2021-08-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83890B1 (ko) * 2018-03-13 2018-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832A (ja) * 1997-10-31 1999-08-17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00069149A (ko) * 1997-10-31 2000-11-25 야스카와 히데아키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3058075A (ja) * 2001-08-08 2003-02-2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2004163941A (ja) * 2003-11-10 2004-06-10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アクテブマトリクス基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832A (ja) * 1997-10-31 1999-08-17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00069149A (ko) * 1997-10-31 2000-11-25 야스카와 히데아키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3058075A (ja) * 2001-08-08 2003-02-2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2004163941A (ja) * 2003-11-10 2004-06-10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アクテブマトリクス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274A (ko)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85605B2 (en) Display device
EP1717789B1 (en)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P223069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90091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1336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US9691793B2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US2011019347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227949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a power supply wire
KR20160087044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8058928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10756279B2 (en) Display module
JP4639662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22713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161096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20240258329A1 (en) Display apparatus
WO2019073680A1 (ja) 表示装置
US7259736B2 (en) Electro-optical device, active-matrix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94727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149936B1 (ko) 유기전계발광패널
KR20060116516A (ko)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 및 그 유기전계발광패널
KR20240107854A (ko) 표시장치
KR20250031781A (ko) 발광 표시장치
KR20080053971A (ko) 유기전계발광패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0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7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