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8525B1 -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525B1
KR101218525B1 KR1020100106427A KR20100106427A KR101218525B1 KR 101218525 B1 KR101218525 B1 KR 101218525B1 KR 1020100106427 A KR1020100106427 A KR 1020100106427A KR 20100106427 A KR20100106427 A KR 20100106427A KR 101218525 B1 KR101218525 B1 KR 101218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parts
pap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101A (ko
Inventor
김운수
박수일
한재준
유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텍
김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텍, 김운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텍
Priority to KR102010010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5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0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9D127/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2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2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2Gloss-re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18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며 재생 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후 폐기시 자연환경에서 생분해되어 환경에 부하를 주지 않고, 물 또는 알칼리 용액에 쉽게 해리되어 재활용이 용이하며, 형광증백제, 포름알데히드, 카드뮴, 납, 비소 등 유해중금속이 기구 및 용기 포장의 기준에 적합한 수용성 코팅지를 제공한다.
또한 우수한 내유성, 내수성 및 열실링성이 부여되어 일회용컵, 테이크아웃 용기, 햄버거 포장지, 치킨포장지, 아이스크림 용기 등 식품포장재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ECO friendly and recyclable water soluble coating p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 후 폐기시 자연환경에 부하를 주지 않고, 물 또는 알칼리 용액에 쉽게 해리되어 재활용이 용이한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은 발달한 과학기술, 생활수준과 문화의 질적 향상 및 편리함 추구 등에 의하여 일회용품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음료용으로 자동판매기의 컵, 음료수를 포장하는 용기, 컵라면 용기, 테이크아웃용 용기, 아이스크림용 용기, 햄버거 포장지, 치킨 포장지 등과 같이 다양한 일회용 용기 포장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일회용 용기 포장재는 종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종이의 경우 흡습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수성 재질로 내부를 코팅한다.
상기 종이 포장재의 코팅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은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가볍고, 녹슬지 않으며 썩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전성, 내수성, 유연성, 절연성, 성형성 등의 장점에 의하여 주변 생활용품에 많이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으로 식품위생성이 우수하고, 유통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등의 이유에 의하여 다양한 식품 용기의 내부에 코팅되어 방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사용한 코팅 용기 포장재는 사용 및 폐기과정에서 환경호르몬 방출 가능성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코팅 용기 포장재는 사용후 재활용을 위해 해리하는 과정에서 물에 해리되지 않는 폴리에틸렌은 선별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재활용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이 용기 포장재 제조에 계속적인 펄프의 수입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자원의 재활용 관점 및 환경파괴에서 그 한계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 시 발생하는 매연은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매립을 하여도 자연 분해가 되기까지 수백 년이 걸리기 때문에 토양 오염의 주범이 된다. 더욱이, 폴리에틸렌 코팅공정은 원천적으로 요구되는 200 ℃ 가량의 폴리에틸렌 칩의 용해공정 및 이에 대한 휘발성 유기용제(VOCs)로 인하여 고비용 및 작업환경 저하/대기오염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폴리에틸렌 코팅은 사용조건에 따라 환경호르몬의 방출과 발암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매우 높으며, 장기간 인체에 노출시 그 독성을 유발하기 때문에 식품위생 및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아크릴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수용성 수지, 슬립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수용성 포장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친환경적이며 재생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지 않는 식품포장용 수지이지만, 점도가 높아 코팅작업이 어려우며 물의 함량이 많으므로 코팅 작업시 물이 휘발되는 속도가 느려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아크릴 에멀젼은 딱딱한 특성으로 인하여 종이가 빳빳해져 경첩부분의 코팅막이 손상되어 물과 기름 등이 쉽게 종이에 스며들 뿐만 아니라 재활용시 물에 해리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후 폐기시 물 또는 알칼리에 의해 해리가 용이하여 재활용이 용이하며, 자연환경에서 분해되어 자연환경에 부하는 주지 않는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코팅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30 내지 60℃로 유기용제를 가온시키는 단계; (B) 가온된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염화비닐리덴 10 내지 40중량부를 첨가하고 30 내지 60℃에서 30 내지 15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C)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지방산을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1 중량부 첨가하고 30 내지 6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D) 상기 혼합물에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를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부 첨가하고 30 내지 6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E)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포함된 혼합물에 슬립제를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2.0 중량부 첨가하고 30 내지 60℃에서 15 내지 6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F) 상기 혼합물을 20 내지 80℃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숙성시켜 코팅액을 제조하는 코팅액 제조단계; (G) 상기 코팅액을 코터와 같은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종이에 코팅한 다음 건조, 냉각하여 코팅지를 제조하는 코팅지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E) 단계와 (F) 단계 사이에, 분산제를 추가 투입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분산제는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를 투입하고 (E) 단계와 동일 조건에서 20 내지 60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종이코팅용 수용성 코팅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우수한 내수성, 내유성 및 열실링성이 부여된 수용성 코팅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코팅지는 인쇄성이 우수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열처리 건조 상태에서는 3~4일 동안 내수 및 내유성을 유지하지만, 재활용시 물 또는 알칼리 용액중에서 교반하면서 해리할 경우, 기계적 교반처리에 신속하게 해리되므로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팅조성물을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적이며 재생 가능한 수용성 코팅지의 제조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먼저, (A)단계는 교반기에 유기용제를 투입하고 30 내지 60℃로 가온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기용매의 예로는 메틸벤젠(Methyl benze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프로필아세테이트(Propyl acetate), 벤젠(Benzene), 클로로벤젠(Chloro Benzene),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에탄올(Ethanol) 및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B) 단계에서는 가온된 유기용제에 폴리염화비닐리덴을 첨가하고 30 내지 60℃를 유지하면서 30 내지 150분 동안 1,000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교반한다. 교반시간이 30분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교반시간이 150분 초과인 경우에는 유기용제가 휘발되어 이후에 계속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없다. 또한, 교반속도가 1,000 RPM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에 균일하게 용해시키기 어려우며, 교반속도가 2,000 RPM초과인 경우에는 기포가 발생되고 용액이 넘쳐 이후에 계속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없다.
코팅액이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을 포함함으로써 종이에 얇게 도포되더라도 우수한 내수성, 내유성 및 열실링성이 부여될 수 있다.
(C) 단계에서는 균일하게 용해가 될 수 있도록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지방산을 첨가하고 30 내지 60 ℃를 유지하면서 10 내지 30분 동안 1,000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교반한다.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균일하게 용해가 되지 않으며, 온도가 60 ℃초과인 경우에는 유기용제가 휘발되어 계속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없다. 폴리염화비닐리덴을 균일하게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A)단계 내지 (C)단계에서 상기 온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교반시간이 10분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염화비닐리덴이 균일하게 용해되지 못하며, 교반시간이 30분 초과인 경우에는 유기용제가 휘발될 수 있고 또한 용해에 따른 혼합물의 점도 상승의 문제가 있다.
상기 지방산은 폴리염화비닐리덴을 균일하게 융해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예로는 탄소수 C12~C24의 포화지방산으로서 라우르산(Lau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리그노세르산(lignocer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지방산은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8 중량부로 사용된다. 지방산이 0.005 중량부 미만이면 폴리염화비닐리덴 등 고분자의 균일한 용해가 어렵고, 0.1 중량부 이상이면 고분자 응집에 의해 균일한 용해가 저해된다.
(D) 단계에서는 제조된 혼합물에 말레산 무수물을 첨가하고 30 내지 60 ℃를 유지하면서 10 내지 30분 동안 1,000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더욱 혼합한 다음,
상기 말레산 무수물은 지방산과 함께 폴리염화비닐리덴을 더욱 균일하게 용해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코팅 조성물이 종이 등에 용이하게 코팅이 되도록 한다.
말레산 무수물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4 중량부로 사용된다. 0.01 중량부 미만이면 고분자의 균일한 용해가 어렵고, 0.5 중량부 이상이면 경제성이 나빠진다.
(E) 단계로 슬립제를 첨가하고 동일 조건에서 15 내지 60분 동안 1,000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교반한 다음,
상기 슬립제는 본 발명의 코팅조성물이 도포된 종이의 마찰계수를 저하시켜 윤활성 강화 및 표면강도 향상을 유발함으로써 후공정인 인쇄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종이의 층간 접/점착현상을 방지하며, 코팅조성물에 슬립성을 부여하여 코팅막의 건조도막 두께가 얇게 형성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수성 및 내유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슬립제의 예로는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리코 왁스(Lico wax),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실리콘(Silicone), 스테아르산 모노머(Stearic acid mono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슬립제는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된다. 슬립제의 함량이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윤활성이 저하되어 코팅막 사이에 브로킹 현상에 의해 상호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되며, 함량이 2.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윤활성이 우수해져 종이 등에 코팅하기가 어려우며 슬립제로 왁스류가 사용되면 왁스가 기름을 흡수하여 내유성이 저하된다.
(F) 단계에서 20 내지 80℃에서 20 내지 200rpm으로 2 내지 10시간동안 숙성시켜 코팅액을 제조한다. (E)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F) 단계의 조건으로 숙성시키지 않으면 고분자간 결합이 안정화 되지 않아 용매와 용질간의 이형에 의해 용액이 분리된다.
(G) 단계에서는 숙성시켜 얻은 코팅액을 코터와 같은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종이에 코팅한 다음 건조하여 내수, 내유 및 열실링성이 부여된 코팅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건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50 내지 200℃ 열풍으로 열풍 건조후, 50 내지 200℃의 히팅롤러를 통과하면서 2차 건조하였고, 최종적으로 0 내지 30℃ 냉각롤러를 통과시킨 후 롤타입으로 권취하였다. 건조방식은 코팅후 바로 히팅롤러 2 내지 3단계를 거쳐 건조후 냉각롤러로 냉각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코팅장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2단 내지 6단 롤러 바브레이드 코터, 콤마코터, 스프레이코터, 메쉬 또는 망점코터, 케스팅코터, 그라비아코터, 드라핑(dropping)코터, 에어나이프코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코팅액이 종이 원지 등에 코팅되어 내수성, 내유성 및 열실링성이 부여된 수용성 코팅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종이는 코팅공정, 재단공정, 인쇄공정, 성형공정 등의 과정에서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야 하므로 적정한 강도, 장기보존성, 내습성, 치수안정성, 가공적성 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며, 이에 대해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표백 화학펄프를 원료로 하고 내절성 및 형부성(型付性)이 우수한 종이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단계 및 (F)단계 사이에, (E)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분산제를 첨가하여 (E)단계와 동일 조건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1,000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폴리염화비닐리덴 고분자 등의 물질들을 분산시키고 현탁성을 증가시키며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예로는 친수성 실리카, 디에스테르 설포석시네이트(Diester sulfosuccinate) 및 우레탄 에멀젼(Urethane Emulsio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분산제는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 중량부로 사용된다. 분산제의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함량이 0.5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현탁성은 우수하나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코팅지의 코팅막 도공량은 5~20 g/㎡, 바람직하게는 7~15 g/㎡ 이다. 코팅막의 도공량이 5g/㎡ 미만인 경우에는 우수한 내유성, 내수성 및 열실링성을 얻지 못하며, 도공량이 20g/㎡ 초과인 경우에는 내수성, 내유성 및 열실링성이 더 우수해 지기는 하지만 이를 경제적인 측면과 고려하면 바람직하지 못한 정도이다.
또한, 도공량은 코팅 조성물을 한 번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보다 우수한 내수성, 내유성 및 열실링성을 얻기 위해서는 두 번에 걸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종이의 표면이 거친 경우에는 1차로 2~3g을 도포한 다음, 2차 도포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이 50℃ 이하이면 건조가 잘 되지 않고, 200℃ 이상이면 코팅지 일부가 접힘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히팅롤러가 50℃ 이하이면 건조가 잘 되지 않고, 200℃ 이상이면 코팅액의 일부가 히팅롤러에 엉겨붙어 코팅지의 품질이 나빠진다.
상기 냉각롤러 0℃ 이하이면 코팅지가 롤러에 엉겨붇는 현상이 발생되고, 30℃ 이상이면 냉각이 잘되지 않아 코팅지 붙어버리게 되어 이후에 계속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그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4>
수용성 코팅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메틸벤젠 30 중량부와 테트라히드로퓨란 50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은 다음 온수를 이용하여 40 ℃로 가열한 후, 동일 온도하에서 폴리염화비닐리덴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1,000rpm으로 8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베헨산 0.02 중량부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교반한 후, 말레산 무수물 0.05 중량부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리코왁스를 0.7 중량부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잔부를 테트라히드로퓨란으로 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 ℃를 유지하면서 50rpm으로 5시간 동안 숙성하여 수용성 코팅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베헤닌산 대신에 리그노세르산을 사용하였고, 리코왁스 대신에 파라핀왁스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메틸벤젠 30 중량부와 테트라히드로퓨란 50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은 다음 온수를 이용하여 40 ℃로 가열한 후, 동일 온도하에서 폴리염화비닐리덴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1,000rpm으로 8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베헨산 0.02 중량부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교반한 후, 말레산 무수물 0.05 중량부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리코왁스를 0.7 중량부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교반하였고, 친수성 실리카 0.15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0분간 교반한 다음, 잔부를 테트라히드로퓨란으로 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 ℃를 유지하면서 50rpm으로 5시간 동안 숙성하여 수용성 코팅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베헤닌산 대신에 리그노세르산을 사용하였고, 리코왁스 대신에 파라핀왁스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5~8>
수용성 코팅지의 제조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코팅액을 식품지에 120메시 롤러를 이용하여 12 g/㎡의 도공량으로 코팅한 후 100℃의 열풍 챔버 10m를 통과시키면서 1차 건조하였고, 80℃ 히팅 롤러를 통과시켜 추가 건조를 한 다음, 4℃의 냉각롤러를 통과하여 냉각후 권취하여 롤타입으로 권취된 코팅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수용성 코팅조성물 대신에 실시예 2의 수용성 코팅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수용성 코팅조성물 대신에 실시예 3의 수용성 코팅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수용성 코팅조성물 대신에 실시예 4의 수용성 코팅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5~8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코팅지의 사용후 폐기시 재활용 용이성 및 폐기물 감소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경마크 인증기준인 EL606의 방법에 따라서 알칼리 해리성 및 알칼리 분산성을 확인하였다. EL606의 시험방법에 따라 (1) 2L 용량의 해리용기에 0.5% NaoH 용액 1L를 가한 다음,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1㎠ 이하로 잘게 절단한 시료 20g을 넣었다. (2) 이어서 55±5도에서 1,500±100 RPM으로 10분간 해리시킨 다음, (3) 교반을 멈추고 용기벽에 부착된 물질을 50mL의 알칼리 용액으로 씻어내린 다음 교반기를 작동하여 1,500±100 RPM으로 다시 10분간 해리시켰다. (4) (3)의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시료액을 5분간 정치하고 150메시의 여과재인 금속망체로 여과하였다. 또한 여과재 위의 남아있는 펄프 슬러지를 알칼리용액으로 5회 세척한 다음 80±5도의 물로 여과재를 5회 세척하였다. (5) 여과재 위에 남아있는 펄프 슬러지는 여과재와 함께 상온에서 30분간 정치시킨 후, 잔류하는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기 위해 105±5도의 건조기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6) 건조시킨 여과재를 꺼내 방랭한 다음 여과재 위에 남아있는 펄프를 취하여 알칼리 해리성 및 분산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8 수용성 코팅지의 알칼리 해리성 및 분산성 평가
구분 판정 내용 결과
건조시킨 펄프에 불순물 포함여부 육안 확인 고무, 합성수지 덩어리, 펄프이외에 불순물 여부 없음
건조시킨 펄프표면의 펄프 점착성 여부 손 또는 거름종이로 눌러 점착성 여부 확인 점착성 없음
상기 표1의 결과에서 보아 실시예 4~8의 4종류 코팅지 모두 EL606 포장재 규격에 따른 “재활용이 쉬음, 폐기물 감소”에 대한 판단 기준인 펄프 이외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펄프 점착성이 나타나지 않아 알칼리 해리성 또는 알칼리 분산성인 것으로 평가되어 재활용이 용이하고, 폐기물 감소 기준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코팅지의 중금속, 유해물질 함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규격” 따라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의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규격 시험결과
항 목 규 격 결 과
비소 (mg/L) 0.1 이하 불검출
중금속 (mg/L) 1.0 이하 0.1
과망간산칼륨소비 (mg/L) 10 이하 1.7
납 (mg/kg) 100 이하 불검출
형광증백제 불검출 불검출
포름알데히드 (mg/L) 4.0 이하 0.5
카드뮴 (mg/kg) 100 이하 불검출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아 기구 및 용기포장 기준규격에 적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중금속 함량이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1. 내수성 및 내유성: 실시예 5~8의 수용성 코팅지의 코팅면에 물 및 식용유를 각각 5g씩 도포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식품지에 물 및 식용유가 젖은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 우수(식품지에 물 및 식용유가 전혀 젖지 않음)
○ : 양호(식품지에 물 및 식용유가 5% 이하로 젖음)
□ : 보통(식품지에 물 및 식용유가 6~10% 젖음)
△ : 불량(식품지에 물 및 식용유가 11~20도 젖음)
× : 아주 불량 (식품지에 물 및 식용유가 20% 초과로 젖음)
2. 열실링성: 실시예 5~8의 수용성 코팅지를 접어서 두 코팅면이 마주보도록 한 다음 열실링기(삼보테크, SK-310)를 사용하여 실링강도 5로 열실링하였다. 열실링한 수용성 코팅지를 물 속에 완전히 잠기게하였고, 48시간 경과후 열실링면이 떨어지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 우수(코팅층과 식품지가 떨어지지 않음)
○ : 양호(코팅층과 식품지가 1% 이하로 떨어짐)
□ : 보통(코팅층과 식품지가 2~5% 로 떨어짐)
△ : 불량(코팅층과 식품지가 6~10% 로 떨어짐)
× : 아주 불량 (코팅층과 식품지가 10% 이상으로 떨어짐)
실시예 5~8의 내수성, 내유성 및 열실링성 시험결과
구분 내수성 내유성 열실링성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 내지 8의 코팅지는 내수성 및 열실링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내유성은 실시예 5 및 실시예 7은 우수하였지만, 실시예 6은 양호한 수준, 실시예 8은 보통 수준이었다.
본 발명의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는 일회용컵, 테이크아웃 용기, 햄버거 포장지, 치킨포장지, 아이스크림 용기 등 식품포장재 제조에 활용될 수 있고, 사용후 폐기시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Claims (7)

  1. (A) 30 내지 60℃로 유기용제를 가온시키는 단계;
    (B) 가온된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염화비닐리덴 10 내지 40중량부를 첨가하고 30 내지 60℃, 1,000 내지 2,000RPM으로 30 내지 15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C)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지방산을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1 중량부 첨가하고 30 내지 60℃, 1,000 내지 2,000RPM으로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D) 상기 혼합물에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를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부 첨가하고 30 내지 60℃, 1,000 내지 2,000RPM으로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E)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포함된 혼합물에 슬립제를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2.0 중량부 첨가하고 30 내지 60℃, 1,000 내지 2,000RPM으로 15 내지 6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F) 상기 슬립제가 포함된 혼합물을 20 내지 80℃, 20 내지 200RPM으로 2 내지 10시간 동안 숙성시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G) 상기 코팅 조성물을 코터와 같은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종이에 코팅한 다음, 50 내지 200℃의 열풍으로 1차 건조, 50 내지 200℃의 히팅 롤러를 통과하면서 2차 건조한 다음, 0 내지 30℃ 냉각롤러를 통과시켜 코팅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코팅지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E)단계와 (F)단계 사이에, 분산제를 유기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첨가하고 (E)단계와 동일조건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용성 코팅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메틸벤젠(Methyl benze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프로필아세테이트(Propyl acetate), 벤젠(Benzene), 클로로벤젠(Chloro Benzene),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에탄올(Ethanol) 및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코팅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탄소수 C12~C24의 포화지방산인 라우르산(Lau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리그노세르산(lignoceric acid)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코팅지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제는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리코 왁스(Lico wax),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실리콘(Silicone), 스테아르산 모노머(Stearic acid monomer)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코팅지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친수성 실리카(Hydrophilic silica), 디에스테르 설포석시네이트(Diester sulfosuccinate) 및 우레탄 에멀젼(Urethane Emulsion)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코팅지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수용성 코팅지

KR1020100106427A 2010-10-29 2010-10-29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18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427A KR101218525B1 (ko) 2010-10-29 2010-10-29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427A KR101218525B1 (ko) 2010-10-29 2010-10-29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101A KR20120045101A (ko) 2012-05-09
KR101218525B1 true KR101218525B1 (ko) 2013-01-09

Family

ID=4626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427A KR101218525B1 (ko) 2010-10-29 2010-10-29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420B1 (ko) 2024-05-10 2025-01-09 주진만 친환경 실링 용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7661A (zh) * 2018-01-18 2018-06-05 常德金德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粉体对表面修饰膜的改性方法
KR102510005B1 (ko) 2022-08-16 2023-03-14 주식회사 이수 낙엽을 이용한 친환경 용기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친환경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69A (ja) * 1990-07-06 1993-01-14 Ricoh Co Ltd 書換え可能なバーコード表示体、そのバーコード表示体の処理方法、そのバーコードの読み取り方法およびそのバーコード表示体の処理装置
JPH05169808A (ja) * 1991-06-07 1993-07-09 Ricoh Co Ltd 可逆性感熱記録材料
JPH06320860A (ja) * 1993-05-11 1994-11-22 Nitto Denko Corp 可逆性感熱記録媒体
JPH09254337A (ja) * 1996-03-22 1997-09-30 Kohjin Co Ltd ポリ塩化ビニリデン共重合体樹脂被覆熱収縮性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69A (ja) * 1990-07-06 1993-01-14 Ricoh Co Ltd 書換え可能なバーコード表示体、そのバーコード表示体の処理方法、そのバーコードの読み取り方法およびそのバーコード表示体の処理装置
JPH05169808A (ja) * 1991-06-07 1993-07-09 Ricoh Co Ltd 可逆性感熱記録材料
JPH06320860A (ja) * 1993-05-11 1994-11-22 Nitto Denko Corp 可逆性感熱記録媒体
JPH09254337A (ja) * 1996-03-22 1997-09-30 Kohjin Co Ltd ポリ塩化ビニリデン共重合体樹脂被覆熱収縮性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420B1 (ko) 2024-05-10 2025-01-09 주진만 친환경 실링 용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101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209B1 (ko) 인체무해 및 재활용이 용이한 종이용기용 친환경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
US7019054B2 (en) Formulation for achievement of oil and grease resistance and release paper properties
KR101039637B1 (ko) 종이 코팅용 수용성 코팅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220153B1 (en) Fast film forming water based barrier coating
KR101733041B1 (ko) 폴리에스테르 및 지방산의 금속염을 포함하는 수계 코팅 조성물
KR102036171B1 (ko) 친환경 식품포장용 종이 코팅제
KR101169203B1 (ko)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종이 코팅용 수용성 코팅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6521448A (ja) 水−ワックス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のコーティング用途
JP2012528900A (ja) 高速フィルム形成性水性バリアコーティング
KR101218525B1 (ko)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47926B1 (ko) 내유성, 내수성, 방습성 및 열실링성을 가지는 다층 코팅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수용성 식품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
EP2791414A1 (en) Methods to form an ionomer coating on a substrate
JP3616465B2 (ja) 生分解性エマルジョン
KR101666835B1 (ko) 내유성, 내수성, 방습성 및 열실링성을 가지는 다층 코팅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수용성 식품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36308B1 (ko) 친환경성, 내수성 및 내유성을 갖는 제지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제지의 제조방법
KR101540889B1 (ko) 내수성이 부여된 친환경 김밥용 포장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7004B1 (ko) 재활용성, 내수성 및 내유성을 갖는 제지 코팅제의 제조방법
WO2015112377A1 (en) Alkali metal-magnesium ionomer compositions
AU2012357580B2 (en) Film formation with calcite
US20130224506A1 (en) Blends of ionomers and sub-partially hydrolyzed poly(vinyl alcohol)s
JP2015516472A (ja) イオノマー−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ブレンドおよびコーティング
KR101565714B1 (ko) 친환경 알칼리해리성 햄버거용 포장지의 제조방법
TWI418683B (zh) Production method of non - fluorine oil - proof paper
KR101254387B1 (ko)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
CA2057474A1 (en) Process for forming paper-based products having cement-based coa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