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4387B1 -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387B1
KR101254387B1 KR1020100099517A KR20100099517A KR101254387B1 KR 101254387 B1 KR101254387 B1 KR 101254387B1 KR 1020100099517 A KR1020100099517 A KR 1020100099517A KR 20100099517 A KR20100099517 A KR 20100099517A KR 101254387 B1 KR101254387 B1 KR 101254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tile
manufacturing
friendly adhesive
liquid absorp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825A (ko
Inventor
송상근
박수일
유영선
한재준
Original Assignee
송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근 filed Critical 송상근
Priority to KR102010009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3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3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fibres or chip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or with an outer layer of fibres 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주방 등에서 떨어지거나 튀는 소변, 수분, 국물 등 액체를 흡수시켜 위생 및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은 흡수 재료층(10), 코팅지(20), 점착층(30)으로 구성된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바닥면, 벽면 등에 탈착이 용이하며, 인쇄가 용이하여 그 외관이 미려하고 사용후 폐기시 자연 환경에서 선순환되어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고 썩어서 자연으로 돌아가는 환경배려제품이다.

Description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 {Eco friendly adhesive Eco tile for a liquid absorption and its preparing method}
본 발명은 소변, 수분 등 액체가 벽면, 바닥면 등에 튀어 오염이 되었을때, 액체를 흡수시켜 위생 및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후 폐기시에는 자연 환경에서 분해되는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주로 식품, 인체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흡수하는 액체흡수용 에코타일은 식품 또는 인체에 부착 사용되는 액체흡수용 에코타일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기존 흡수용품의 수분 불투과층은 플라스틱 유래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 각종 난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근래에 들어 플라스틱 폐기물의 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은 매립하거나, 소각 또는 재활용하는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매립의 경우 매립된 플라스틱 폐기물의 분해 시간이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매립공간의 부족을 유발하고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소각의 경우 유독가스의 발생으로 대기오염은 물론 지구의 온난화 현상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한다. 또한 재활용의 경우 수거 및 분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처리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그에 따라 근래에는 빠른 분해성을 부여한 친환경 제품 개발이 가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펄프와 폴리에스터를 사용한 부직포, 재활용 차원에서 PET, 레이욘, 폴리에스터 등을 재사용하여 제조한 부직포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의 경우 친환경 측면에서 재활용, 일부 플라스틱 대체 측면에서 효과는 있으나, 사용후 폐기시 자연상태에서 분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바이오매스 유래 부직포, 수용성 고분자 코팅지 및 친환경 점착제를 사용하여 사용후 폐기시 수분 등에 의해 해리가 용이하며, 자연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최종 생분해가 되는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액체 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첨가하고 30 내지 80도에서 1 내지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키는 용해단계; (B) 상기 용해된 혼합액을 20 내지 60도에서, 교반속도 30 내지 80rpm으로 교반하면서 0.5 내지 6시간동안 숙성시켜 코팅액을 제조하는 코팅액 제조단계; (C) 상기 코팅액을 코터와 같은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종이에 코팅한 다음 건조, 냉각, 롤타입으로 권취하여 하부시트인 코팅지(20) 제조단계; (D) 상기 코팅지(20)과 흡수재료 부직포인 흡수층(10)을 열실링하여 2층 구조의 친환경 에코타일 제조 단계; (E) 상기 에코타일의 코팅지(20)의 일측면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점착층(30)을 추가로 구성하여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제조하는 에코타일 제조 단계; (F) 커팅, 가공하여 완제품을 제조하는 완제품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액체 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주방, 화장실 바닥 및 벽면에 소변, 수분 등 액체가 튀어 오염이 되었을 때 위생 및 청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그 흡수성이 뛰어나며, 사용후 폐기시 자연 환경내에 선순환되어 환경에 부하를 주지 않는다. 또한 인쇄가 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식 에코타일을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제품 예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첨가하고 30 내지 80도에서 1 내지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키는 용해단계; (B) 상기 용해된 혼합액을 20 내지 60도에서, 교반속도 30 내지 80rpm으로 교반하면서 0.5 내지 6시간동안 숙성시켜 코팅액을 제조하는 코팅액 제조단계; (C) 상기 코팅액을 코터와 같은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종이에 코팅한 다음 건조, 냉각, 롤타입으로 권취하여 하부시트인 코팅지(20) 제조단계; (D) 상기 코팅지(20)과 흡수재료 부직포인 흡수층(10)을 열실링하여 2층 구조의 친환경 에코타일 제조 단계; (E) 상기 에코타일의 코팅지(20)의 일측면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점착층(30)을 추가로 구성하여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제조하는 에코타일 제조 단계; (F) 커팅, 가공하여 완제품을 제조하는 완제품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식 에코타일을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은 A단계~F단계까지 크게 6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A단계는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시켜 수용성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교반기에 물 50중량부를 투입하고 30 내지 80℃로 가온한다. 가온된 물에 수용성 고분자 50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30 내지 80도를 유지하면서 500 내지 1,500 RPM으로 1 내지 8시간 교반하여 용액을 생성한다.
교반온도가 30도 미만이면 수용성 고분자 에멀젼이 용해되지 못하고, 80도 이상이면 용해는 잘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이 휘발되어 용액의 점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교반속도가 500 RPM 이하이면 충분한 혼합 및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코팅 작업시 덩어리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교반속도가 2,000 RPM 이상이면 기포가 발생되고 용액이 넘쳐 이후 공정을 진행할 수 없다. 교반시간이 1시간 미만이면 충분한 혼합 및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에 코팅공정을 진행할 수 없으며 교반시간이 8시간 이상이면 혼합 및 용해는 잘 되지만 용액이 휘발하여 점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생산성 저하 및 원가 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이 나빠지게 된다. 물은 일반적인 물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수돗물, 지하수, 공업용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아크릴 에멀젼 70중량부, 에칠비닐알코올(EVA) 에멀젼 20중량부, 실리콘 에멀젼 8중량부 및 리코왁스(Lico wax) 에멀젼 2중량부의 혼합물이다.
이어 B단계는 상기 용해된 혼합액을 20 내지 60도에서, 교반속도 30 내지 80rpm으로 교반하면서 0.5 내지 6시간동안 숙성시켜 코팅액을 제조한다. A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B단계의 조건으로 숙성시키지 않으면 고분자간 결합이 안정화 되지 않아 용매와 용질간의 이형에 의해 용액이 분리된다.
C단계는 숙성시켜 얻은 코팅액을 코터와 같은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종이에 코팅한 다음 건조하여 내수 내유 열실링이 부여된 코팅지(2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건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50 내지 200℃ 열풍으로 열풍 건조후, 50 내지 200℃의 히팅롤러를 통과하면서 2차 건조하였고, 최종적으로 0 내지 30℃ 냉각롤러로 냉각후 롤타입으로 권취하였다. 건조방식은 코팅후 바로 히팅롤러 2 내지 3단계를 거쳐 건조후 냉각롤러로 냉각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 코팅장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2단 내지 6단 롤러 바브레이드 코터, 콤마코터, 스프레이코터, 메쉬 또는 망점코터, 케스팅코터, 그라비아코터, 드라핑(dropping)코터, 에어나이프코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또한 수용성 코팅액이 종이 원지 등에 코팅되어 내수성, 내유성 및 열실링성이 부여된 하부시트인 코팅지(2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종이는 코팅공정, 재단공정, 인쇄공정, 성형공정 등의 과정에서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야 하므로 적정한 강도, 장기보존성, 내습성, 치수안정성, 가공적성 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며, 이에 대해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표백 화학펄프를 원료로 하고 내절성 및 형부성(型付性)이 우수한 종이가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액으로 코팅막을 형성시 코팅막의 도공량은 5~20 g/㎡, 바람직하게는 7~15 g/㎡ . 코팅막의 도공량이 5g/㎡ 미만인 경우에는 우수한 내유성, 내수성 및 열실링성을 얻지 못하며, 도공량이 20g/㎡ 초과인 경우에는 내수성, 내유성 및 열실링성이 더 우수해 지기는 하지만 경제적 측면에서 고려하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열풍이 50℃ 이하이면 건조가 잘 되지 않고, 200℃ 이상이면 코팅지 일부가 접힘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히팅롤러가 50℃ 이하이면 건조가 잘 되지 않고, 200℃ 이상이면 코팅액의 일부가 히팅롤러에 엉겨붙어 코팅지의 품질이 나빠진다.
상기 냉각롤러 0℃ 이하이면 코팅지가 롤러에 엉겨붇는 현상이 발생되고, 30℃ 이상이면 냉각이 잘되지 않아 코팅지 붙어버리게 되어 이후에 계속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없다.
D단계는 부직포로 구성된 흡수층(10)의 하부에 3단계에서 제조한 코팅지(20)를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도2와 같이 흡수층 공급롤러(40)에서 연속공급되는 흡수층(10)의 하단부에 코팅지 공급롤러(50)에서 연속공급되는 코팅지(20)를 90 내지 150도를 유지하는 열실링롤러(60)을 통과하면서 전체면을 연속적으로 열실링하여 흡수성이 부여된 2층 구조의 친환경 에코타일을 제조한다.
열실링 온도가 90도 이하이면 흡수층(10)과 코팅지(20)이 열실링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150도 이상이면 열실링은 잘되지만 고온에 의해 탄화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미려한 외관을 위하여 흡수층을 롤러에 공급하기 전에 흡수층인 부직포를 인쇄하는 공정을 더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단계에서 흡수층(10)과 코팅지(20)는 일부면 만을 열실링하여 오염된 액체 등을 흡수하는 공간을 많이 확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실링 모양은 외부 바깥쪽 4면을 실링하고 중간부는 실링하지 않는 형태, 대각선 형태로 열실링하고 나머지는 실링하지 않는 형태, 바둑판 형태로 열실링하고 나머지는 실링하지 않는 형태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흡수층(10)은 부직포이며 부직포를 구성하는 재질은 대나무, 목재, 면화 및 폴리락트산(PLA)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E단계는 부착된 2층 구조의 에코타일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점착층(30)을 추가로 구성하는 단계이다. 도2에서와 같이 점착테이프공급롤러(80)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점착테이프를 공급하면서 에코타일에 부착시켜 상기의 2층구조 친환경 에코타일에 점착층(30)을 추가로 구성시킨다.
상기 점착테이프는 자가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깥부에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층포장에 바람직하다. 점착테이프는 친환경 수용성 점착제를 사용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지막 F단계는 상기의 에코타일을 커팅, 가공, 포장하여 완성품인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 A단계서 제조된 혼합물에 분산제를 를 첨가하여 10~60분 500~2,000rpm의 속도로 교반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수용자 고분자 등의 물질을 분산시키고 현탁성을 증가시키며, 코팅액의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예로는 친수성 실리카(Hydrophilic silica), 디에스테르 설포석시네이트(Diester sulfosuccinate) 및 우레탄 에멀젼(Urethane Emulsio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분산제는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된다. 분산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함량이 3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현탁성은 우수하나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그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코팅액 및 코팅지의 제조
(실시예 1)
물 50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은 다음, 50℃로 가온한 후, 동일 온도하에서 수용성인 아크릴 에멀젼 35중량부, 에칠비닐알코올(EVA) 에멀젼 10중량부, 실리콘 에멀젼 4중량부, 리코왁스(Lico wax) 에멀젼 1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800 RPM으로 6시간 교반하였다. 이렇게 혼합액을 30℃에서 60 RPM으로 5시간 교반 숙성하여 최종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코팅액을 식품지에 120메시 롤러를 이용하여 12 g/㎡의 도공량으로 코팅한 후 100℃의 히팅 롤러를 2번 통과시켜 건조시킨 다음, 4℃의 냉각롤러를 통과하여 냉각한 다음 권취하여 롤타입으로 권취된 코팅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
(실시예 3)
통상의 합지 기계를 이용하여 흡수층공급롤러(40)에서 인쇄된 부직포를 연속 공급하고 코팅지 공급롤러(50)에서 코팅지를 연속 공급하면서 120℃의 열실링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전체면을 열실링하여, 흡수층 및 코팅지가 2증 구조로 합지된 친환경 에코타일 원단을 제조 하였다. 이어서 점착테이프공급롤러(80)에서 점착테이프를 연속공급하면서 상기 2층구조 에코타일 하단부에 점착테이프를 부착시켰다. 이어서 커팅부(100)에서 가로 160mm, 세로 170mm의 크기로 커팅을 하여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열실링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전체면을 열실링하는 대신에, 양쪽 단면부 5mm를 밴드 실링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하기 그림과 같이 바깥쪽 4면만 열실링이 되고 가운데부분은 실링이 되지 않도록 한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제조 하였다.
Figure 112010065938567-pat00001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에서, 열실링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전체면을 열실링하는 대신에, 대각선 모양으로 열실링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하기 그림과 같은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제조 하였다.
실링면의 폭은 2mm로 하였고, 실링면과 실링면 간격은 2cm로 하였다.
Figure 112010065938567-pat00002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에서, 열실링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전체면을 열실링하는 대신에, 바둑판 모양으로 열실링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하기 그림과 같은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제조 하였다. 실링면의 폭은 2mm로 하였고, 실링면과 실링면 간격은 2cm로 하였다.
Figure 112010065938567-pat00003

(실험예 1)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사용후 폐기시 재활용 용이성 및 폐기물 감소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경마크 인증기준인 EL606의 방법에 따라서 알칼리 해리성 및 알칼리 분산성을 확인하였다. EL606의 시험방법에 따라 (1) 2L 용량의 해리용기에 0.5% NaoH 용액 1L를 가한 다음,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1㎠ 이하로 잘게 절단한 시료 20g을 넣었다. (2)이어서 55±5도에서 1,500±100 RPM으로 10분간 해리시킨 다음, (3) 교반을 멈추고 용기벽에 부착된 물질을 50mL의 알칼리 용액으로 씻어내린 다음 교반기를 작동하여 1,500±100 RPM으로 다시 10분간 해리시켰다. (4) (3)의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시료액을 5분간 정치하고 150메시의 여과재인 금속망체로 여과하였다. 또한 여과재 위의 남아있는 펄프 슬러지를 알칼리용액으로 5회 세척한 다음 80±5도의 물로 여과재를 5회 세척하였다. (5) 여과재 위에 남아있는 펄프 슬러지는 여과재와 함께 상온에서 30분간 정치시킨 후, 잔류하는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기 위해 105±5도의 건조기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6) 건조시킨 여과재를 꺼내 방랭한 다음 여과재 위에 남아있는 펄프를 위하여 알칼리 해리성 및 분산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의 알칼리 해리성 및 분산성 평가
구분 판정 내용 결과
건조시킨 펄프에 불순물 포함여부 육안 확인 고무, 합성수지 덩어리, 펄프이외에 불순물 여부 없음
건조시킨 펄프표면의 펄프 점착성 여부 손 또는 거름종이로 눌러 점착성 여부 확인 점착성 없음
상기 표1의 결과에서 보아 판단기준인 펄프 이외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펄프 점착성이 나타나지 않아 알칼리 해리성 또는 알칼리 분산성인 것으로 평가되어 재활용이 용이하고, 폐기물 감소에 적합한 것을 알수 있었다.
(실험예 2)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중금속, 유해물질 함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규격” 따라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의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규격 시험결과
항 목 규 격 결 과
비소 (mg/L) 0.1 이하 불검출
중금속 (mg/L) 1.0 이하 0.1
과망간산칼륨소비 (mg/L) 10 이하 2.4
납 (mg/kg) 100 이하 불검출
형광증백제 불검출 불검출
포름알데히드 (mg/L) 4.0 이하 0.3
카드뮴 (mg/kg) 100 이하 불검출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아 기구 및 용기포장 기준규격에 적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중금속 함량이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실시예 3~6의 흡수율, 건조후 형태 안정성 및 바닥면 탈착 시험
실시예 3~6에 따라 제조된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일반 화장실 바닥면의 각각 10개씩 타일 위에 부착시킨 후, 소변을 10분 간격으로 10방울씩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부직포면에 떨어뜨리면서 12시간동안 흡수하지 못하고 외부로 넘쳐 흐르는지 여부를 육안관찰, 자연건조되면서 뒤틀리거나 들뜸 여부 확인, 부착면 탈착 여부를 관찰하여 각각 10개중 불합격 개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6의 흡수율, 건조후 형태안정성 및 바닥면 탈착 시험결과
구 분 흡수 불가 뒤틀림 현상 바닥면 탈착 여부
실시예 3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4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5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6 없음 없음 없음
상기의 시험결과를 보면 실시예 3~6의 경우, 액체 흡수를 못하는 현상, 뒤틀림 현상 및 부착면에서 들뜸 현상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실시예 3~6에 따라 제조된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열실링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화장실 바닥면의 각각 10개씩 타일 위에 부착시킨 후, 스프레이로 10분 간격으로 물을 분무하면서 12시간동안 육안 관찰하여, 흡수층(10), 코팅지(20) 및 점착층(30)이 박리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각각 10개중 불합격 개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 : 우수(열실링면이 떨어지지 않음)
○ : 양호(열실링면이 1% 이하로 떨어짐)
□ : 양호(열실링면이 2~5% 로 떨어짐)
△ : 불량(열실링면이 6~10% 로 떨어짐)
× : 아주 불량 (열실링면이 10% 이상으로 떨어짐)
실시예 3~6의 열실링성 실험 결과
구 분 흡수층 박리 코팅지 박리 점착층 박리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상기 표 4의 실험결과를 보면 실시예 3~6의 경우, 열싱링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화장실, 주방 등의 위생 및 청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타일산업, 디자인 타일, 포인트벽지, 디자인벽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10: 흡수층 20: 코팅지 30: 점착층
40: 흡수층공급롤러 50: 코팅지 공급롤러 60: 열실링 롤러
70: 실링부 80: 점착테이프 공급롤러
90: 부착부 100: 커팅부 110: 포장부

Claims (10)

  1. (A) 교반기에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동일비로 첨가하고 30 내지 80도에서, 교반속도 500 내지 2,000rpm으로 3 내지 8시간 교반하면서 용해시키는 용해단계;
    (B) 상기 용해된 혼합액을 20 내지 60도에서, 교반속도 30 내지 80rpm으로 교반하면서 0.5 내지 6시간동안 숙성시켜 코팅액을 제조하는 코팅액 제조단계;
    (C) 상기 코팅액을 코터와 같은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종이에 코팅한 다음 건조하여 코팅지를 제조하는 코팅지(20) 제조단계;
    (D) 상기 코팅지(20)와 흡수재료 부직포인 흡수층(10)을 열실링하여 2층 구조의 친환경 에코타일 제조 단계;
    (E) 상기 에코타일의 코팅지(20)의 일측면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점착층(30)을 추가로 구성하여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을 제조하는 에코타일 제조 단계;
    (F) 커팅, 가공하여 완제품을 제조하는 완제품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 분산제를 코팅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A단계와 같은 온도 및 교반속도로 10 내지 60분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친수성 실리카, 아크릴 에멀젼(Acrylic Emulsion), 디에스테르 설포석시네이트(Diester sulfosuccinate) 및 우레탄 에멀젼(Urethane Emulsion)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흡수층(10)과 코팅지는(20)는 바깥층 4면만 5mm 폭으로 밴드 실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흡수층(10)과 코팅지(20)는 대각선 형상으로 실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흡수층(10)과 코팅지(20)는 바둑판 형상으로 실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고분자는 아크릴 에멀젼 70중량부, 에칠비닐알코올(EVA) 에멀젼 20중량부, 실리콘 에멀젼 8중량부 및 리코왁스(Lico wax) 에멀젼 2중량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의 재질은 대나무, 목재, 면화 및 폴리락트산(PLA)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의 제조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KR1020100099517A 2010-10-12 2010-10-12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254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517A KR101254387B1 (ko) 2010-10-12 2010-10-12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517A KR101254387B1 (ko) 2010-10-12 2010-10-12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825A KR20120037825A (ko) 2012-04-20
KR101254387B1 true KR101254387B1 (ko) 2013-04-12

Family

ID=4613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517A Active KR101254387B1 (ko) 2010-10-12 2010-10-12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8571A (zh) * 2021-12-30 2022-04-12 江苏龙源振华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应用于海上风机安装的法兰密封胶无断点式涂抹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846A (ko) * 1999-09-30 2002-06-07 휴스톤 로버트 엘 고흡수성 방수 코팅물
KR20030003381A (ko) * 2001-06-30 2003-01-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mos fet의 제조방법
KR20090095093A (ko) * 2008-03-04 2009-09-09 전효철 천연소재를 이용한 타일형 벽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846A (ko) * 1999-09-30 2002-06-07 휴스톤 로버트 엘 고흡수성 방수 코팅물
KR20030003381A (ko) * 2001-06-30 2003-01-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mos fet의 제조방법
KR20090095093A (ko) * 2008-03-04 2009-09-09 전효철 천연소재를 이용한 타일형 벽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825A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7285C (zh) 多用途吸收性和耐切性片材
US20220033158A1 (en) Biodegradable paper barrier laminate
CN103717395B (zh) 具有发泡层的生物降解性薄片
JP2014513640A (ja) 生分解性シート
CN1642727A (zh) 处理底衬和/或支承面及其制造方法
UA129149C2 (uk) Переробна композиція для виготовлення гідроізоляційного паперу з використанням воску рослинного походження і гранули, що використовуються у вказаній композиції
CN115996836A (zh) 可回收的纸阻隔层合体
KR101254387B1 (ko) 액체흡수용 친환경 점착식 에코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4817A (ko)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종이 코팅용 수용성 코팅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8525B1 (ko)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564243B1 (ko) 친환경 포장용기 제조방법
KR20130072889A (ko) 땅콩껍질 성분 함유 친환경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땅콩껍질 성분 함유 친환경 포장용기
JP2015501236A (ja) 生分解性パネル
US20150259252A1 (en) Method of producing building materials from recycled items
JP3776075B2 (ja) 機能性原紙の製造方法、トイレ廻り清掃用シートの製造方法、ペットの汚物処理用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揚げ物置き用シートの製造方法
CN201518705U (zh) 防霉保鲜片
CN206553447U (zh) 一种易撕离的香型不干胶纸
CN222248123U (zh) 一种伸缩型涂层可降解纸杯
KR102775821B1 (ko) 반려동물용 친환경 배변 패드지 및 그 제조 방법
CN221699309U (zh) 一种隔热防滑纸容器
CN222272775U (zh) 一种便捷分离便于垃圾分类的餐盒
CN210748592U (zh) 一种环保餐具垫
KR101333849B1 (ko) 생분해성 합지시트
WO2024171808A1 (ja) 梱包材及び梱包材の製造方法
CN204382755U (zh) 卫生用品包装袋用的复合无纺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