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7304B1 -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304B1
KR101207304B1 KR1020070058047A KR20070058047A KR101207304B1 KR 101207304 B1 KR101207304 B1 KR 101207304B1 KR 1020070058047 A KR1020070058047 A KR 1020070058047A KR 20070058047 A KR20070058047 A KR 20070058047A KR 101207304 B1 KR101207304 B1 KR 101207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divider
closing cover
coo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571A (ko
Inventor
김태우
홍석원
손종철
김향기
전기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304B1/ko
Priority to US12/078,574 priority patent/US8217314B2/en
Priority to CN200810091999XA priority patent/CN101322613B/zh
Priority to EP08155763.9A priority patent/EP2003400B1/en
Publication of KR2008010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30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5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electrically-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팬을 이용하여 조리물 등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제어수단없이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으로 조리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 조리실의 일부 공간만을 가열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내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분할하는 디바이더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과,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팬커버와, 상기 팬커버에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와,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과 연동하여 상기 개폐커버를 이동시키는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with divid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열풍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에 디바이더가 분리된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바이더가 장착되기전 상태의 디바이더와 열풍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에 디바이더가 장착된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디바이더가 장착된 후의 디바이더와 열풍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디바이더가 분리된 상태의 공기의 순환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디바이더가 장착된 상태의 공기의 순환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되는 열풍공급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열풍공급장치 및 디바이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디바이더와 열풍공급장치가 결합되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열풍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디바이더가 장착된 상태의 열풍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15: 가이드부
20: 조리실 캐비티 23: 디바이더
40: 열풍공급장치 50: 팬커버
52: 팬커버 흡입구 53: 팬커버 토출구
55: 팬커버 홈부 60: 개폐커버
61: 개폐커버 걸이부 62: 개폐커버 흡입구
63: 개폐커버 토출구 70: 연동장치
71: 회전축 72: 연동부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팬을 이용하여 조리물 등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류현상을 이용하는 종래의 조리기기는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오븐 캐비티와, 오븐 캐비티에 구비되어 오븐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대류시키는 송풍팬과, 주로 캐비티 후면에 설치되어 송풍팬의 회전으로 대류되는 공기를 흡입 또는 토출하는 컨벡션 흡입구 및 토출구와, 조리물을 올려 조리실에 위치시키는 복수의 트레이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오븐 캐비티에 넣고 조리명령을 입력하면 송풍팬이 구동되어 캐비티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히터로 가열하고, 이와 같이 가열된 공기를 캐비티내로 토출하도록 하여 강제순환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음식물은 고온의 공기와 계속 접촉하여 열을 전달받고, 그 열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리기기는 단일의 오븐 캐비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용량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도 조리실 전체를 가열해야 하므로 조 리시간이 길어지고 전력사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6-44217호에는 구획판을 마련하여 조리실을 상부/하부 조리실로 구획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조리실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시간 및 전력사용을 줄일 수 있는 전기오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전기오븐은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마련되어 조리실을 가열하는 히터유닛과, 조리실 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조리실을 제1조리실 및 제2조리실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구획판이 분리된 싱글타입의 조리실 및 구획판이 장착된 더블타입의 조리실에 해당하는 조리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싱글타입 및 더블타입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마련된 모드선택유닛과, 구획판의 착탈 상태를 인식하여 모드선택유닛을 싱글타입 및 더블타입 중 하나에 대응되게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오븐은 사용하고자 하는 조리실만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구획판에 의해 분리되는 제1, 2조리실 각각에 히터 및 송풍팬을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구획판의 착탈 상태를 인식하는 센서 등 각종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어야 하고, 싱글타입 또는 더블타입에 대응하여 각각의 타입에 맞는 모드선택유닛을 구비해야 하는 등 그 구조 및 제어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제1,2조리실 중 어느 하나의 조리실만 으로 가열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고자 할때, 어느 한 쪽의 조리실로의 가열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송풍팬의 온/오프 또는 히터의 온/오프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히터 및 송풍팬의 잦은 온/오프 동작에 의해 부품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제어수단없이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으로 조리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 조리실의 일부 공간만을 가열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실의 일부 공간만을 가열할 때 팬커버에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개폐하여 특정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송풍팬이나 히터의 잦은 온/오프 작동을 방지하여 부품 수명을 오래 가게 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내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분할하는 디바이더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과,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팬커버와, 상기 팬커버에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와,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과 연동하여 상기 개폐커버를 이동시키는 연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커버는 후면에서 돌출 형성된 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팬커버는 상기 걸이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걸이부를 상기 홈부에 결합함으로써 개폐커버를 팬커버 전면에 결합한다.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에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과 결합된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디바이더의 장착 동작시 디바이더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제1회동부와, 제1회동부와 소정각도 이격되어 제1회동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디바이더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2회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동부는 상기 제2회동부보다 상대적으로 무게를 크게 하여 디바이더의 장착전에는 하중에 의해 제1회동부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회동부의 측면 끝단부는 라운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장치에 대한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에 형성된 제1랙부와, 상기 제1랙부의 진퇴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조리실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피니언부와, 상기 개폐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제2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부는 상기 제1랙부와 결합하는 제1피니언과, 제2랙부와 결합하는 제2피니언으로 구성된다.
연동장치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에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디바이더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된 형태로 구성 하여 디바이더가 삽입될때 상기 롤러를 매끄럽게 접촉하면서 밀어올릴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팬커버 및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돌출된 팬커버 및 개폐커버를 둘러싸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테두리부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팬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팬커버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절곡부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내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분할하는 디바이더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삽입과 연동하여 상기 분할된 조리실중 어느 하나로의 열풍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공기를 조리실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과,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팬커버와, 상기 팬커버에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와, 상기 개폐커버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연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가능한데, 상기 개폐커버에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과 결합된 연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에 형성된 제1랙부와, 상기 제1랙부의 진퇴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조리실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피니언부와, 상기 개폐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제2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에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팬커버 및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돌출된 팬커버 및 개폐커버를 둘러싸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테두리부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팬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팬커버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절곡부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방되며 내부에 조리실(20)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조리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조리실(20)내에 착탈 가능하게 마 련되어 조리실(20)을 복수의 조리공간으로 구획하는 디바이더(23)와, 본체(10)에 마련되며 조리실(20)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는 조리실(20)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스(11)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12)와, 외부케이스(12)의 상부에 마련되어 조리종류, 조리시간, 조리온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13)을 포함한다.
내부케이스(11)는 본체(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30)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20)을 형성하고, 내부케이스(11)의 양측면(11a)에는 조리물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트레이(14)의 착탈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15;15a,15b)가 형성되며, 복수의 가이드부(15;15a,15b)중 중앙측에 마련된 중앙가이드부(15b)는 트레이(14) 뿐 아니라 조리실(20)을 상,하부로 구획하는 디바이더(23)의 착탈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디바이더(23)를 중앙가이드부(15b)를 따라 조리실(20)내에 장착하면 조리실(20)은 상부에 형성된 제1조리실(21)과, 하부에 형성된 제2조리실(22)로 구획된다.
디바이더(23)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디바이더(23)를 조리실(20)에 장착하는 경우 제1,2조리실(21,22)사이의 공기의 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돌출된 열풍공급장치(40)에 대응하여 열풍공급장치(40)를 감싸도록 삽입홈(23a:도 3참조)이 형성되고, 디바이더(23)의 내부에는 제1,2조리실(21,22)사이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마련된다.
또한, 내부케이스(11)의 후면(11b) 상부에는 조리실(2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리실 온도센서(16)가 마련되고, 온도센서(16)의 하측에는 조리실(20)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장치(40)가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바이더와 열풍공급장치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되는 열풍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에 디바이더가 분리된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디바이더가 장착되기전 상태의 디바이더와 열풍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에 디바이더가 장착된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디바이더가 장착된 후의 디바이더와 열풍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열풍공급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41)와, 히터(41)의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20)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42)과, 송풍팬(42)을 커버하며 흡입구(52:52a,52b) 및 토출구(54:54a,54b)가 형성된 팬커버(50)와, 팬커버(50)의 중심으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52b) 및 토출구(54b)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60)와, 개폐커버(60)의 양측에 마련되어 디바이더(23)의 착탈과 연동하여 개폐커버(6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연동장치(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히터(41)는 내부케이스(11)의 후면(11b)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송풍팬(42)에 의해 팬커버(50)내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환형 형상으로 마련되나, 이러한 환형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송풍팬(42)은 조리실(20)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열전달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즉 조리실(20)내에 수용된 조리물 등에 열풍을 공급하여 열전달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송풍팬(42)은 원심팬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히터(41)의 구동과 동시에 작동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히터(41)가 구동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단독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42)의 후측에는 이를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43)가 마련된다.
송풍팬(42) 및 히터(41)의 전방에는 송풍팬(42) 및 히터(41)를 커버하는 팬커버(50)가 마련된다.
팬커버(50)는 상하의 길이가 좌우의 길이보다 긴 대략 타원형 형상으로 내부케이스(11)의 후면(11b)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송풍팬(42)에 의한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흡입, 배출하기 위한 흡입구(52)와 토출구(54)가 마련된다. 팬커버(50)의 형상은 송풍팬(42)과 히터(41)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의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입구(52)는 송풍팬(42)의 전방측에 대응하는 전면 중앙부(51)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조리실(20)내의 공기를 흡입하며 대략 팬커버(50)의 중심으로부터 상측에 마련된 상부흡입구(52a)와, 하측에 마련된 하부흡입구(52b)로 이루어진다.
토출구(54)는 송풍팬(42)의 측방측에 대응하는 측면 테두리부(53)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히터(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20)로 토출하며 대략 팬커버(50)의 중심으로부터 상측에 마련된 상부토출구(54a)와, 하측에 마련된 하부토출 구(54b)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를 개폐하기 위하여 팬커버(50)의 전방 하측에 개폐커버(60)를 구비한다.
개폐커버(60)를 팬커버(50)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팬커버(50)의 전면에는 홈부(55)가 복수개 마련되며, 팬커버(50)의 홈부(55)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이부(61)가 개폐커버(60)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개폐커버(60)의 복수의 걸이부(61)가 팬커버(50)의 홈부(55)에 삽입결합된다.
또한 개폐커버(60)에는 흡입구(62) 및 토출구(63)가 형성되는데, 개폐커버(60)의 흡입구(62) 및 토출구(63)는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디바이더(23)가 조리실(20)에 장착되지 아니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커버(60)의 흡입구(62) 및 토출구(63)는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 하부흡입구(52b)로 조리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 하부토출구(54b)를 통해 히터(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20)의 전 영역으로 공급한다.
또한, 디바이더(23)가 조리실(20)에 장착되어 조리실(20)이 제1,2조리실(21,22)로 구획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커버(60)가 상향 이동하여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를 폐쇄시키기 때문에 열풍공급장치(40)는 송풍팬(42)에 의해 상부흡입구(52a)로 제1조리실(21)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 후, 흡입된 공기는 히터(41)에 의해 가열되어 상부토출구(54a)를 통해 제 1조리실(21)로 공급되며, 제2조리실(22)로의 열풍공급은 차단된다.
다음은 디바이더(23)의 착탈에 연동하여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를 개폐하도록 개폐커버(60)를 이동시키는 연동장치(70)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연동장치(70)는 디바이더(23)의 착탈에 연동하여 개폐커버(6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폐커버(60)가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를 개폐토록 한다.
연동장치(70)는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커버(6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는데, 개폐커버(60)의 테두리부(65)에 돌출 고정된 회전축(71)과, 디바이더(23)의 착탈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71)과 결합된 연동부(72)를 포함한다.
연동부(72)는 디바이더(23)의 장착 동작시 디바이더(23)의 전면(23b)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제1회동부(72a)와, 제1회동부(72a)와 소정각도 이격되어 제1회동부(72a)의 회전과 연동하여 디바이더(23)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2회동부(72b)를 포함한다.
제1회동부(72a)는 제2회동부(72b)보다 상대적으로 무게를 크게 하여 디바이더(23)의 장착전(외력이 작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하중에 의해 제1회동부(72a)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바이더가 삽입될 때 디바이더 상부가 제1,2회동부(72a,72b)에 의해 가압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제1,2회동부(72a,72b)의 측면 끝단부는 라운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디바이더(23)의 장착시 도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 바이더(23)의 전면이 제1회동부(72a)를 밀어 연동부(72)를 회전시키면, 제2회동부(72b)가 디바이더(23)의 상면(23c)에 접하게 되고, 디바이더(23)를 더 삽입하게 되면 제1회동부(72a)와 제2회동부(72b)의 단부가 디바이더(23)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개폐커버(60)의 걸이부(61)가 팬커버(50)의 홈부(55)에 의해 가이드되어 개폐커버(60)가 상대적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커버(60)의 흡입구(62)와 토출구(63)가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개폐커버(60)가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를 폐쇄하기 때문에 디바이더(23) 하측의 제2조리실(22)에는 열풍공급장치(40)에 의한 열풍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디바이더(23)의 장착에 의한 개폐커버(60)의 상승높이는 제1회동부(72a)의 길이(A)와 제2회동부(72b)의 측면길이(B) 및 제1,2회동부(72a,72b)의 이격각도(aㅀ)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또한, 개폐커버(60)의 흡입구(62) 및 토출구(63)와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하부토출구(54b)의 이격간격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바이더(23)의 분리시 개폐커버(60)와 팬커버(50)가 연통하고, 디바이더(23) 의 장착시 개폐커버(60)의 상승에 의해 개폐커버(60)가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회동부(72a,72b)의 길이(A,B) 및 이격각도(aㅀ),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하부토출구(54b) 각각의 상하 이격간격 및 개폐커버(60)의 흡입구(62), 토출구(63) 각각의 상하 이격 간격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설계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디바이더가 분리된 상태의 공기의 순환을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디바이더가 장착된 상태의 공기의 순환을 보인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디바이더(23)를 조리실(20)에 장착하지 아니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42)의 회전시 팬커버(50) 중앙의 흡입구(52)로 조리실(2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송풍팬(42)의 외주방향으로 송풍되고, 송풍팬(42)의 외주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히터(41)에 의해 가열되어 토출구(54)를 통해 다시 조리실(20) 내부로 되돌아 간다. 이처럼 조리실(20) 전 영역에서 열풍이 순환하고, 조리물은 그 열풍에 의해 가열되면서 조리된다.
또한 디바이더(23)를 조리실(20)에 장착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이 상부의 제1조리실(21)과 하부의 제2조리실(22)로 구획되는 동시에 디바이더(23)의 장착과 연동하는 연동장치(70)에 의해 개폐커버(60)가 제2조리실(22)의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를 폐쇄하기 때문에 제1조리실(21)만으로 열풍이 공급되게 된다.
결국 별도의 제어수단을 구비함이 없이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하여 디바이더의 탈부착만으로 제2조리실의 열풍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포함되는 열풍공급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열풍공급장치(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포함되는 열풍공급장치에 추가적으로 송풍팬(4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하보조 팬(44a,44b)을 마련하고, 팬커버(50)에는 상부보조팬(44a)을 위한 별도의 상부보조흡입구(56)와, 하부보조팬(44b)을 위한 별도의 하부보조흡입구(57)를 각각 마련한다. 하부보조흡입구(57)에 대응하여 개폐커버(60)에는 하부보조흡입구(67)을 마련하는 변형예의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열풍공급장치의 개폐커버가 팬커버의 하부흡입구 및 하부토출구를 개폐하여 제2조리실로의 열풍공급을 차단하는 구성에 대해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개폐커버를 팬커버의 상부에 설치하여 팬커버의 상부흡입구 및 상부토출구를 개폐함으로써 제1조리실로의 열풍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열풍공급장치의 팬커버가 내부케이스 후면으로부터 부분 돌출하여 흡입구와 토출구를 모두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열풍공급장치가 내부케이스 후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컨벡션 조리기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통상의 변형을 거쳐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캐비티 후면의 중앙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케이스 후면의 상하 좌우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컨벡션 조리기기에 대해서도 내부케이스 후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마련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열풍공급장치 및 디바이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디바이더와 열풍공급장치가 결합되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 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며, 다만 열풍공급장치의 개폐커버를 상하이동시키는 연동장치가 다르게 구성된 점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열풍공급장치(80)는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41)와, 히터(41)의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20)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42)과, 송풍팬(42)을 커버하며 흡입구(52) 및 토출구(54)가 형성된 팬커버(50)와,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60')와, 디바이더(23')의 착탈과 연동하여 개폐커버(6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연동장치(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동장치(90)는 디바이더(23')의 삽입홈(23a)의 양측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1랙부(91)와, 제1랙부(91)의 진퇴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조리실(20)의 후면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되는 한쌍의 피니언부(92)와, 개폐커버(60')의 측면 플랜지부에 설치되어 한쌍의 피니언부(92)의 회전에 따라 개폐커버(60')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한쌍의 제2랙부(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니언부(92)는 조리실(20)의 후면(20a)으로부터 돌출 고정되어 제1랙부(91)의 진퇴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때 피니언부(92)는 제1랙부(91)와 결합하는 제1피니언(92a)과, 제2랙부(93)와 결합하는 제2피니언(92b)으로 구성되며, 제1피니언(92a)과 제2피니언(92b)의 치차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마련할 수 있 다. 즉, 디바이더(23')의 제1랙부(91)의 진퇴거리와 개폐커버(60')의 상하이동거리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1,2피니언(92a,92b)의 치차를 동일하게 하며, 디바이더(23')의 제1랙부(91)의 진퇴거리에 비해 개폐커버(60')의 상하이동거리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제2피니언(92b)의 치차를 제1피니언(92a)의 치차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디바이더(23')가 조리실(20)에 장착되지 아니한 경우 개폐커버(60')의 흡입구(62) 및 토출구(63)는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한다.
디바이더(23')를 조리실(20)내에 삽입하는 경우 제1랙부(91)에 의해 피니언부(92)가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부(92)의 제2피니언(92b)과 물려 있는 제2랙부(93)가 상향 이동함으로써 개폐커버(60')가 상향 이동하여 팬커버(50)의 하부흡입구(52b) 및 하부토출구(54b)를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바이더의 장착없이 조리실(20)전체에 열풍공급장치(80)를 이용하여 열풍을 공급할 수 있으며, 디바이더(23')를 장착하여 조리실(20)을 제1,2조리실(21,22)로 구획하는 동시에 제1조리실(21)에 열풍을 공급하면서 제2조리실(22)로의 열풍공급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대략적인 단면도이다.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열풍공급장치의 분해사 시도이며, 도 15는 도14의 디바이더가 장착된 상태의 열풍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며, 디바이더와 연동하여 개폐커버를 상승시키는 연동장치가 다르게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또한 열풍공급장치가 조리실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디바이더가 양측면에 배치된 열풍공급장치의 중앙부의 가이드홈을 통해 삽입되고 양측면의 한쌍의 개폐커버를 동시에 연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조리실(20')을 제1,2조리실(21',22')로 구획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디바이더(23'')와, 조리실(2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디바이더(23'')의 동작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조리실(20')로 열풍을 공급하는 한 쌍의 열풍공급장치(100)를 포함한다.
열풍공급장치(100)가 양측면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 구성은 조리실(20')로의 원활한 열풍공급이 가능하게 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내부케이스(11')의 양측면(11a')에는 후술할 열풍공급장치(100)의 히터(41) 및 송풍팬(42)이 조리실(20')로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함몰 형성된 장착부(120)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포함되는 열풍공급장치(100)는 도 14,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비해 팬커버(50')와, 팬커버(50')의 상측에 형 성된 상부흡입구(52a') 및 상부토출구(54a')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60'')와, 디바이더(23'')의 착탈과 연동하여 개폐커버(6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연동장치(110)의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다.
팬커버(50')는 대략 타원형 형상으로 소정두께를 가져 내부케이스(11')의 양측면(11a')에서 돌출되고, 중앙부에는 디바이더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5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홈(58)은 조리실(20')의 측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디바이더(23'')의 장착시에 디바이더(23'')의 측면과 조리실(20')의 측면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개폐커버(60'')는 팬커버(50')의 상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팬커버(50')의 상측의 상부흡입구(52a') 및 상부토출구(54a')와 대응되도록 흡입구(62'')와 토출구(63'')가 형성되고, 개폐커버(60'')의 하단에는 가이드홈(58)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64)가 형성된다.
절곡부(64)에는 디바이더(23'')의 착탈과 연동하여 개폐커버(6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연동장치(110)가 마련된다. 연동장치(110)는 절곡부(64)에서 돌출 고정된 회전축(111)과, 회전축(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바이더(23'')가 삽입되면서 롤러부(112)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디바이더(23'')와 롤러부(112)의 매끄러운 삽입 및 상승을 유도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더(23'')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디바이더(23'')의 미 장착시 개폐커버(60'')의 흡입구(62'') 및 토출구(63'')는 팬커버(50')의 상부흡입구(52a') 및 상부토출구(54a')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송풍팬(42)의 구동시 팬커버(50')의 상,하 흡입구(52a',52b') 및 토출구(54a',54b')를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바이더(23'')를 조리실(20')에 장착하는 경우 조리실(20') 측면의 중앙가이드부(15b')에 의해 안내되어 가이드홈(58)의 하단과 롤러부(111)사이로 삽입됨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112)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이와 결합하고 있는 개폐커버(60'')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커버(60'')의 흡입구(62'') 및 토출구(63'')는 팬커버(50')의 상부흡입구(52a') 및 상부토출구(54a')와 엇갈리게 배치되어 팬커버(50')의 상부흡입구(52a') 및 상부토출구(54a')를 폐쇄하여 제1조리실(21')의 열풍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리실(20')의 양측에 열풍공급장치(100)를 배치하는 구성에서도 디바이더(23'')를 이용하여 제1, 2조리실(20')중 어느 하나로의 열풍공급을 제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적은 양의 조리물을 조리할 경우 그에 걸맞게 조리공간을 작게 하여 조리시간 및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커버가 상부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풍공급장치가 측면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열풍공급장치가 후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더 나아가, 후면에 열풍공급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롤 러를 구비한 연동장치의 구성을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개폐커버의 테두리부에 설치하도록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팬커버의 중앙에 디바이더를 수용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절곡부에 연동장치를 구비한 개폐커버의 구성은 내부케이스의 후면에 열풍공급장치가 설치되도록 구성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에 대해서도 통상의 변형을 통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측면에 열풍공급장치가 형성되고 팬커버의 중앙에 디바이더를 수용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절곡부에 연동장치를 구비한 개폐커버의 구성에 있어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서와 같은 연동장치를 구비하도록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별도의 제어수단없이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 즉, 디바이더와 연동하는 연동장치에 의해 상승되는 개폐커버에 의해 팬커버의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개폐함으로써 조리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 조리실의 일부 공간만을 가열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리실의 일부 공간만을 가열할 때 팬커버에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개폐하여 특정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송풍팬이나 히터의 잦은 온/오프 작동을 방지하여 부품 수명을 오래 가게 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3)

  1.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내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분할하는 디바이더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과,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팬커버와, 상기 팬커버에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와,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과 연동하여 상기 개폐커버를 이동시키는 연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팬커버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커버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팬커버의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후면에서 돌출 형성된 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팬커버는 상기 걸이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에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과 결합된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디바이더의 장착 동작시 디바이더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제1회동부와, 제1회동부와 소정각도 이격되어 제1회동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디바이더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2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부는 상기 제2회동부보다 상대적으로 무게를 크게 하여 디바이더의 장착전에는 하중에 의해 제1회동부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회동부의 측면 끝단부는 라운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 및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돌출된 팬커버 및 개폐커버를 둘러싸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팬커버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절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에 형성된 제1랙부와, 상기 제1랙부의 진퇴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조리실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피니언부와, 상기 개폐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제2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부는 상기 제1랙부와 결합하는 제1피니언과, 제2랙부와 결합하는 제2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 및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돌출된 팬커버 및 개폐커버를 둘러싸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팬커버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절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에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 및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돌출된 팬커버 및 개폐커버를 둘러싸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팬커버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절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7.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내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분할하는 디바이더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삽입과 연동하여 상기 분할된 조리실중 어느 하나로의 열풍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공기를 조리실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과,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팬커버와, 상기 팬커버에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와, 상기 개폐커버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연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팬커버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커버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팬커버의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에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과 결합된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에 형성된 제1랙부와, 상기 제1랙부의 진퇴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조리실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피니언부와, 상기 개폐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제2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에 고정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 및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돌출된 팬커버 및 개폐커버를 둘러싸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팬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더를 수용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팬커버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개폐커버의 절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070058047A 2007-06-13 2007-06-13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207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047A KR101207304B1 (ko) 2007-06-13 2007-06-13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US12/078,574 US8217314B2 (en) 2007-06-13 2008-04-01 Cooking apparatus with divider
CN200810091999XA CN101322613B (zh) 2007-06-13 2008-04-15 具有分隔器的烹调设备
EP08155763.9A EP2003400B1 (en) 2007-06-13 2008-05-07 Cooking apparatus with divi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047A KR101207304B1 (ko) 2007-06-13 2007-06-13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571A KR20080109571A (ko) 2008-12-17
KR101207304B1 true KR101207304B1 (ko) 2012-12-03

Family

ID=3979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0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7304B1 (ko) 2007-06-13 2007-06-13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17314B2 (ko)
EP (1) EP2003400B1 (ko)
KR (1) KR101207304B1 (ko)
CN (1) CN1013226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557B1 (ko) * 2007-10-09 2012-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2291595A1 (en) * 2008-07-03 2011-03-09 Arçelik Anonim Sirketi An oven
US9534794B2 (en) * 2009-03-16 2017-01-03 Whirlpool Corporation Convection cooking appliance with circular air flow system
KR101617283B1 (ko) * 2009-05-04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DE102011075130A1 (de) 2011-05-03 2012-11-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Backofens
US9746189B2 (en) 2011-10-06 2017-08-29 Arcelik Anonim Sirketi Oven with increased cooking efficiency
EP2859275A1 (en) * 2012-06-06 2015-04-15 Arçelik Anonim Sirketi An oven with increased ventilating effectiveness
WO2014056327A1 (zh) * 2012-10-11 2014-04-17 Yu Shigao 利用空气循环加速烘炸食物的炸锅
US20140110391A1 (en) * 2012-10-22 2014-04-24 Miguel Estrella Oven baffle
US20140110392A1 (en) * 2012-10-22 2014-04-24 Miguel Estrella Oven baffle
KR101306428B1 (ko) * 2012-11-15 2013-09-09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기기
KR101520611B1 (ko) * 2013-04-30 2015-05-2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USD787041S1 (en) 2015-09-17 2017-05-16 Whirlpool Corporation Gas burner
US10837651B2 (en) 2015-09-24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Oven cavity connector for operating power accessory trays for cooking appliance
US11777190B2 (en) 2015-12-29 2023-10-03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including an antenna using a portion of appliance as a ground plane
US10145568B2 (en) 2016-06-27 2018-12-04 Whirlpool Corporation High efficiency high power inner flame burner
IT201600082900A1 (it) * 2016-08-05 2018-02-05 De Longhi Appliances Srl Apparato autonomo per la cottura di alimenti e relativo metodo
KR102556755B1 (ko) * 2016-09-09 202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US10598390B2 (en) 2016-11-30 2020-03-24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for cleaning circulating oven air with reduced thermal disruption
US10627119B2 (en) * 2016-11-30 2020-04-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for cleaning circulating oven air with reduced thermal disruption
US10551056B2 (en) 2017-02-23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Burner base
US10451290B2 (en) 2017-03-07 2019-10-22 Whirlpool Corporation Forced convection steam assembly
US10660162B2 (en) 2017-03-16 2020-05-19 Whirlpool Corporation Power delivery system for an induction cooktop with multi-output inverters
DE202018006409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CN109595625B (zh) * 2017-09-30 2024-06-14 华帝股份有限公司 防夹手机构及其滑轨式吸油烟机
US10627116B2 (en) 2018-06-26 2020-04-21 Whirlpool Corporation Ventilation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US10619862B2 (en) 2018-06-28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Frontal cooling towers for a ventilation system of a cooking appliance
US10837652B2 (en) 2018-07-18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secondary door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0883721B2 (en) * 2019-03-25 2021-01-0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ulti-cavity oven appliance with natural and forced convection
US20220408966A1 (en) 2019-07-15 2022-12-29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ES2977716T3 (es) * 2019-07-24 2024-08-29 Bonferraro Spa Horno eléctrico de cocción por convección y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de dicho horno
CN110558821B (zh) * 2019-09-15 2021-01-1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热风挡板及具有该热风挡板的烹饪装置
CN111227669B (zh) * 2020-01-14 2022-10-0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内胆结构及具有该内胆结构的烤箱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5136735A (zh) * 2020-05-12 2022-09-30 三星电子株式会社 烹饪装置、控制烹饪装置的方法以及烹饪系统
US12137838B2 (en) 2020-12-30 2024-11-1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20230235895A1 (en) * 2022-01-26 2023-07-27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US20230314005A1 (en) * 2022-04-01 2023-10-05 Conair Llc Dual door oven
EP4403834A1 (en) * 2023-01-17 2024-07-24 Renta Elektrikli Ev Aletleri Sanayi Ve Dis Ticaret Limited Sirketi Oven with variable air flow distribution
EP4579136A1 (en) * 2023-12-28 2025-07-02 Arçelik Anonim Sirketi Ov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1976B1 (de) * 1993-09-04 1997-07-02 AEG Hausgeräte GmbH Elektrischer Back- und Bratof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3031A (ja) 1982-05-07 1983-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オ−ブン
JPS58188505U (ja) * 1982-06-09 1983-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のダンパ−装置
KR100988570B1 (ko) * 2003-04-10 2010-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기
US20070194015A1 (en) * 2003-10-16 2007-08-23 Kim Kyu Y Microwave oven
DE102004046437A1 (de) 2004-09-24 2006-04-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mit einer Gargeräteluftführungseinheit
KR20060044217A (ko) 2004-11-1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오븐
US7468495B2 (en) * 2005-05-06 2008-12-23 Viking Range Corporation Multi-mode convection oven with flow control baffles
KR20060128372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1976B1 (de) * 1993-09-04 1997-07-02 AEG Hausgeräte GmbH Elektrischer Back- und Brato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3400A3 (en) 2009-06-17
EP2003400A2 (en) 2008-12-17
CN101322613B (zh) 2012-09-05
CN101322613A (zh) 2008-12-17
EP2003400B1 (en) 2014-04-02
US20080308545A1 (en) 2008-12-18
US8217314B2 (en) 2012-07-10
KR20080109571A (ko)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304B1 (ko)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US7102105B2 (en) Electric oven
EP1748255B1 (en) Electric oven
EP2746669B1 (en) Gas Oven
KR101207305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1732359A2 (en) Inside cavity of microwave oven
KR101106636B1 (ko) 오븐
KR102758929B1 (ko) 오븐
US20060137675A1 (e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KR20190046002A (ko) 오븐
KR20080021937A (ko) 조리기기
KR100808860B1 (ko) 가열조리장치
KR20050079522A (ko) 전기오븐레인지
KR100635909B1 (ko) 전기오븐
KR100676142B1 (ko) 전기오븐
KR100679425B1 (ko) 오븐
JP3883977B2 (ja) 加熱調理器
KR100667197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735184B1 (ko) 전기 오븐
KR100652589B1 (ko) 전기 오븐의 열공급장치
KR100507038B1 (ko)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
KR100487764B1 (ko)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
KR20050078553A (ko) 가열조리기
KR20090063419A (ko) 오븐
KR20120084027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6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