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8800B1 -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800B1
KR101198800B1 KR1020100085147A KR20100085147A KR101198800B1 KR 101198800 B1 KR101198800 B1 KR 101198800B1 KR 1020100085147 A KR1020100085147 A KR 1020100085147A KR 20100085147 A KR20100085147 A KR 20100085147A KR 101198800 B1 KR101198800 B1 KR 10119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ll
slider
roll control
stabiliz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095A (ko
Inventor
장성배
이언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800B1/ko
Priority to US12/958,081 priority patent/US8398092B2/en
Publication of KR20120021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8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25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the mechanical spring being a torsion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롤 강성(roll stiffness)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킴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간의 직선부가 서브 프레임에 마운트 부시를 개재시켜 고정되고 그 양단부가 스테빌라이저 링크를 개재시켜 로워 컨트롤 아암과 연결되어 차체의 롤(Roll)을 억제하는 스테빌라이저 바가 적용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하단 연결부와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 사이에 필요에 따라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레버비를 증대시켜 롤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롤 제어기구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며, 롤 제어기구는 고속 선회시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하단 연결부를 휠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로워 컨트롤 아암에 고정되는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ACTIVE ROLL CONTROL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롤 강성(roll stiffness)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는 주행중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켜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 등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축과 차체 사이에 현가장치를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현가장치는 주행중에 발생되는 차체의 상하진동(bounce), 롤링(rolling), 피칭(pitching), 요우잉(yawing)등의 진동을 유연하게 흡수하여야만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spring)과, 상기 스프링의 자유 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와, 선회시 차량이 좌우 방향(rolling)으로 진동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스테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관계하는 스테빌라이저 바는 선회 또는 거친 노면의 주행시 차체의 롤 모션(roll motion)을 억제하여 차체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일종의 비틀림 스프링이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저 바(2)의 배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그 양단에 각각 스테빌라이저 링크(stabilizer link)(4)(6)를 개재시켜 로워 컨트롤 아암(lower control arm)(8)(10) 또는 스트러트 어셈블리(Strut assembly)(12)(14)에 연결되고, 그 내측의 직선부 양측 부분이 서브 프레임(sub-frame)(16)에 마운트 부시(mount bush)(18)(20)를 개재시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스테빌라이저 바(2)는 차체의 롤링시 발생하는 좌우 휠을 지지하는 보조 스프링 기능을 하면서 좌우 휠이 동위상으로 움직일 때에는 힘을 받지 않고, 역위상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좌우 휠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차체의 롤 모션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선회시 선회 외측 휠이 바운드를 하고, 선회 내측 휠이 리바운드를 할 때, 이들 양 휠의 움직임을 같게 하는 작용을 하여 차체의 기울기를 억제하게 되며, 반대로 좌,우 휠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동작될 때에는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테빌라이저 바를 배치하는 경우,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 특성이 작은 것을 사용하게 되지만, 선회시 원심력에 의하여 롤 억제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반대로 스테빌라이저 바의 스프링 특성을 크게 하면 고정 액슬과 비슷한 경향이 발생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스테빌라이저 바는 스프링 특성이 하나로 한정되어 있는 바, 선회시 발생되는 여러 가지의 롤 모션에 대한 능동적 제어가 불가능하여 불안정한 선회가 이루어지며, 특히 고속 선회시에는 매우 불안정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롤 강성(roll stiffness)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간의 직선부가 서브 프레임에 마운트 부시를 개재시켜 고정되고 그 양단부가 스테빌라이저 링크를 개재시켜 로워 컨트롤 아암과 연결되어 차체의 롤(Roll)을 억제하는 스테빌라이저 바가 적용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하단 연결부와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 사이에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레버비를 증대시켜 롤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롤 제어기구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에서 롤 제어기구는 고속 선회시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하단 연결부를 휠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로워 컨트롤 아암에 고정되는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에서 롤 제어기구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하 결합되어 로워 컨트롤 아암에 차폭 방향으로 고정되는 상,하 케이스와; 상기 공간부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 고정되어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하단 연결부와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상,하 케이스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볼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 축과; 상기 스크류 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른 ECU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류 축을 정,역회전시키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하 케이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더는 슬라이더의 회전은 억제되고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단면이 상호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브라켓과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하단 연결부 사이에는 미소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고무부시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액튜에이터는 전동모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롤 제어기구가 작동되기 전에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스프링 특성이 초기 설계와 같이 작게 형성되면서 주행 안정성을 유지하고, 고속 선회시에는 상기 롤 제어기구가 작동되면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스프링 특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독립 현가장치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롤 제어기구가 적용된 현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롤 제어기구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 - Ⅰ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롤 제어기구를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레버비에 의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선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함을 전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독립식 현가장치의 사시도로서, 조향 너클(100)과, 로워 컨트롤 아암(102)과, 스트러트 어셈블리(104)와, 스테빌라이저 바(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 너클(100)은 휠(10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구동축(110)을 통해 미도시한 변속기의 차동기구에 연결되어 변속기로부터 출력되는 회전동력에 의하여 휠(108)이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102)은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조향 너클(100)의 하측 부분을 차체 또는 서브 프레임(112)과 연결하며, 휠측 연결부는 볼 조인트(114)를 개재시켜 조향 너클(100)과 연결되고, 차체측 연결부는 미도시한 수평형 또는 수직형 고무부시를 개재시켜 차체 또는 서브 프레임(112)과 연결된다.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104)는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코일 스프링(116)과, 상기 코일 스프링(116)의 자유 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 업소버(118)로 이루어져 하단부가 상기 조향 너클(100)의 상단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단부가 마운트 인슐레이터를 개재시켜 차체에 현가 지지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6)는 직선부(120)가 서브 프레임(112)에 미도시한 마운트 부시를 개재시켜 고정되며, 그 양단부가 스테빌라이저 링크(122)를 개재시켜 로워 컨트롤 아암(102)과 연결되어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122)는 상하단 연결부는 고무부시를 개재시켜 스테빌라이저 바(106)와 로워 컨트롤 아암(102)에 연결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122)의 하단과 로워 컨트롤 아암(102) 사이에 롤 제어기구(124)를 배치하였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롤 제어기구(124)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롤 제어기구(124)는 상,하 케이스(126)(128)와, 슬라이더(130)와, 브라켓(132)과, 스크류 축(134)과, 액튜에이터(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 케이스(126)(128)는 상호 상,하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슬라이더(130)가 좌우 이동할 수 있는 일정 길이의 공간부(138)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138)는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대략 육각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126)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브라켓(132)의 좌우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홀(14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28)는 상기 상부 케이스(126)와 함께 고정볼트(142)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로워 컨트롤 아암(102)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더(130)는 상기 공간부(138)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38)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대략 육각형)으로 이루어지지며, 상기 스크류 축(134)과 볼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축(134)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 하면서 상기 상,하 케이스(126)(128)의 공간부(138)내에서 좌우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하 케이스(126)(128)의 내부 공간부(138)와, 상기 공간부(138)에 배치되는 슬라이더(130)를 다각형으로 형성한 것은 스크류 축(134)의 회전시 슬라이더(130)가 회전하지 않고, 좌우 이동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브라켓(132)은 단면이 대략 "U"자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더(130)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측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122)의 하단 연결부(144)가 고무 부시(146)를 개재시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132)은 상기 슬라이더(13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132)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홀(140)을 따라 좌우 이동되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6)와 로워 컨트롤 아암(102)의 연결 위치를 변경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 축(134)은 상기 상,하 케이스(126)(128)의 내부 공간부(138)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축받이(14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외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130)가 볼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 축(13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슬라이더(130)는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액튜에이터(136)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 축(134)의 일단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스크류 축(134)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더(130)를 좌,우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튜에이터(136)는 도 5에서와 같이 ECU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ECU는 차속센서, 조향각 센서등으로 이루어지는 차량 운행 검출수단(15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액튜에이터(136)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ECU는 기존 전자 제어 현가장치의 컨트롤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자동차의 운전 상태가 직진 또는 저속 선회시에는 ECU에서 아무런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슬라이더(130)는 차체측으로 최대한 이동한 초기 위치(G)에 있게 된다.
그러면 스테빌라이저 링크(122)가 설계시와 같은 초기 위치를 유지하면서 롤 모션을 제어함으로써, 직진 주행 안정성을 유리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동차의 운전 중 ECU에서 차량 운행 검출수단(150)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고속 선회라고 판단되면, ECU에서는 액튜에이터(136)를 제어하여 슬라이더(130)를 휠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122)의 하단 연결부(144)를 휠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스테빌라이저 바(106)의 레버비(Lever Ratio)가 증대되면서 롤 강성이 크기를 증대시키며, 이의 작용력은 선회가 이루어지는 동안 지속되면서 고속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에서 레버비의 증대라고 함은 도 6에서와 같이, 로워 컨트롤 아암(102)의 전체 길이 즉, 휠 스트로크를 a라고 하고, 차체 연결부로부터 스테빌라이저 링크(122)의 초기 위치(G)까지의 길이 즉, 스테빌라이저 바의 스트로크를 b라고 할 때, 레버비는 b/a가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30)의 위치가 휠측으로 이동할수록 레버비(b/a)가 커지게 되는데, 레버비(b/a)가 커진다고 함은 스테빌리아저 바(106)의 스프링 특성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게 되므로 고속 선회시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고속 선회 후 자동차가 다시 직진상태로 복원되면 ECU에서는 액튜에이터(136)를 제어하여 슬라이더(130)를 초기 위치(G)로 이동시킴으로써, 롤 강성을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롤 제어기구(124)가 작동되기 전에는 스테빌라이저 바(106)의 스프링 특성이 초기 설계와 같이 작게 형성되므로 롤 각이 커지며, 상기 롤 제어기구(124)가 작동된 후에는 스테빌라이저 바(106)의 스프링 특성이 증대됨으로써, 롤 각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속 선회시 스테빌라이저 바(106)의 스프링 특성을 인위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롤 강성을 증대시켜 차체의 롤이 작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조향 너클 102...로워 컨트롤 아암
104...스트러트 어셈블리 106...스테빌라이저 바
108...휠 112...서브 프레임
122...스테빌라이저 링크 124...롤 제어기구
126,128...상,하 케이스 130...슬라이더
132...브라켓 134...스크류 축
136...구동모터 150...차량 운행 검출수단

Claims (6)

  1. 중간의 직선부가 서브 프레임에 마운트 부시를 개재시켜 고정되고 그 양단부가 스테빌라이저 링크를 개재시켜 로워 컨트롤 아암과 연결되어 차체의 롤(Roll)을 억제하는 스테빌라이저 바가 적용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하단 연결부와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 사이에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레버비를 증대시켜 롤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롤 제어기구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며,
    롤 제어기구는
    고속 선회시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하단 연결부를 휠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로워 컨트롤 아암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롤 제어기구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하 결합되어 로워 컨트롤 아암에 차폭 방향으로 고정되는 상,하 케이스와;
    상기 공간부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 고정되어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하단 연결부와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상,하 케이스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볼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 축과;
    상기 스크류 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른 ECU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류 축을 정,역회전시키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하 케이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더는 슬라이더의 회전은 억제되고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단면이 상호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브라켓과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하단 연결부 사이에는 미소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고무부시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액튜에이터는 전동모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KR1020100085147A 2010-08-31 2010-08-31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Active KR10119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147A KR101198800B1 (ko) 2010-08-31 2010-08-31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US12/958,081 US8398092B2 (en) 2010-08-31 2010-12-01 Active roll control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147A KR101198800B1 (ko) 2010-08-31 2010-08-31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095A KR20120021095A (ko) 2012-03-08
KR101198800B1 true KR101198800B1 (ko) 2012-11-12

Family

ID=4569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147A Active KR101198800B1 (ko) 2010-08-31 2010-08-31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98092B2 (ko)
KR (1) KR1011988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407A (ko) 2019-01-26 2020-08-05 장순길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5233A1 (en) * 2007-11-27 2009-06-03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Active roll stabilization assembly and vehicle suspension provided therewith
AU339804S (en) * 2011-05-10 2011-12-08 Vehicle Dev Corporation Pty Ltd Vehicle steering component
DE102011082128B4 (de) * 2011-09-05 2020-10-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Radaufhängung mit über einen Umlenkhebel veränderbarer Radlast
KR101518886B1 (ko) * 2011-12-09 2015-05-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1284346B1 (ko) * 2011-12-09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JP6054074B2 (ja) 2011-12-12 2016-12-27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アクティブロール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283606B1 (ko) * 2011-12-12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1316870B1 (ko) 2011-12-12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USD686951S1 (en) * 2012-04-13 2013-07-30 Bodie Stroud Vehicle alignment and suspension adjuster
CN102991300A (zh) * 2012-12-10 2013-03-27 苏州友邦汽车底盘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客用车辆的液压互联装置
KR101393561B1 (ko) * 2012-12-31 2014-05-2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1427940B1 (ko) * 2013-04-03 2014-08-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제어 현가장치
KR101448796B1 (ko) * 2013-09-06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현가장치
USD723441S1 (en) * 2013-10-23 2015-03-03 Wulf Gaertner Autoparts Ag Automobile suspension component
US9463679B2 (en) * 2014-04-28 2016-10-11 Alin MARINESCU Camber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USD785513S1 (en) * 2015-03-31 2017-05-02 Austem Co., Ltd. Lower arm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CN108237863A (zh) * 2016-12-26 2018-07-03 上海同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杆连接杆
KR102617278B1 (ko) * 2017-02-24 2023-12-26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CN107116987B (zh) * 2017-05-16 2023-07-21 重庆交通大学 车用主动横向稳定杆
DE102018130228B3 (de) * 2018-11-29 2020-02-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ktuator für eine Hinterachslenkung eines Fahrzeugs sowie Hinterachslenkung mit einem solchen Aktuator
EP3922492B1 (en) * 2020-06-10 2023-09-27 Volvo Truck Corporation An adjustable anti-roll bar arrangement
CN114475138B (zh) * 2022-01-11 2023-11-2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稳定装置、汽车悬架和汽车
KR20240112550A (ko) * 2023-01-12 2024-07-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CN117719288A (zh) * 2023-12-06 2024-03-19 浙江中车电车有限公司 一种纯电动双层客车底盘及其稳定性计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0284A (en) * 1991-01-14 1991-12-03 Ford Motor Company Fail-safe variable damping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US5491633A (en) * 1991-05-20 1996-02-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sition sensor for electromechanical suspension
US5186486A (en) * 1991-07-19 1993-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Active link for a stabilizer bar
US5632183A (en) * 1995-08-09 1997-05-27 Comfort Pedals, Inc. Adjustable pedal assembly
KR19990019957A (ko) 1997-08-30 1999-03-25 양재신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롤링 제어구조
JP2006082751A (ja) 2004-09-17 2006-03-30 Toyota Motor Corp スタビライザシステム
KR20060057316A (ko) 2004-11-23 2006-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액티브 롤 컨트롤 시스템
KR100629799B1 (ko) * 2004-12-01 2006-09-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를 이용한 액티브롤콘트롤 시스템
JP4127298B2 (ja) * 2006-06-14 2008-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輪車体間距離調整装置および車輪車体間距離調整システム
KR100836401B1 (ko) * 2006-10-02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agcs용 액츄에이터
JP2008265565A (ja) 2007-04-20 2008-11-06 Toyota Motor Corp スタビライザ装置
KR20090061989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웨지 타입 능동 롤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407A (ko) 2019-01-26 2020-08-05 장순길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49480A1 (en) 2012-03-01
KR20120021095A (ko) 2012-03-08
US8398092B2 (en)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00B1 (ko)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KR101283606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JP6091791B2 (ja) アクティブロールコントロール装置
CN103121387B (zh) 麦弗逊空气悬架及其装配方法
JP6091790B2 (ja) 能動制御懸架装置
EP1818243A1 (en)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JP200801892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283593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JP3944907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284346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0521217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 구조
KR20140073134A (ko) 차체 자세 제어장치
KR101427945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0872627B1 (ko) 차량의 가변 스테빌라이저
JP200922700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283605B1 (ko) 능동형 롤 제어장치
KR10144879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1317374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1371484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용 액추에이터
KR102417364B1 (ko) 차량의 스트럿형 현가장치
KR101646106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20070102133A (ko) 차량용 위시본식 현가장치
KR100422550B1 (ko) 차량용 속업소버의 상부체결구조
KR100527769B1 (ko) 차량의 현가장치
JP2022180270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