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4146B1 -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 Google Patents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146B1
KR101194146B1 KR1020120100583A KR20120100583A KR101194146B1 KR 101194146 B1 KR101194146 B1 KR 101194146B1 KR 1020120100583 A KR1020120100583 A KR 1020120100583A KR 20120100583 A KR20120100583 A KR 20120100583A KR 101194146 B1 KR101194146 B1 KR 10119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funnel
injection hole
button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헌
Original Assignee
신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헌 filed Critical 신재헌
Priority to KR102012010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14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05B11/062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는, 살충용 약액이 충진된 약액탱크가 내장된 본체, 상기 약액탱크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제1 분사구, 상기 약액탱크와 연결되고 제2 방향으로 상기 약액을 분사하되 상기 본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2 분사구, 상기 본체의 저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분사구를 에워싸되 외측으로 확개되는 깔대기부, 상기 제1 분사구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분사구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깔대기부는 지지면과 밀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상기 약액은 상기 밀폐공간 내에서 외부로의 누출이 차단된다.

Description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DUAL DIRECTION INJECTING BUG SPRAY}
본 발명은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충용 약액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인간 및 가축에게 해를 주는 곤충이나 동물 등을 가리킨다. 흔히 집이나 사무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볼 수 있는 해충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쥐,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이 있다. 이런 해충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사람들의 생활에 적잖은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배설물들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해충들이 환경이 점점 오염돼 감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해충을 제거하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집,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갖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해충들 중 특히 파리, 모기, 나방 등 날아다니는 비래해충을 제거하기 위하여,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을 전기적으로 감전시키거나 끈끈이에 접착되도록 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해충 포획장치는 특히 “포충기” 또는 “포충등”이라는 용어로 지칭된다.
또한, 위와 같이 대량으로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포충기 이외에도 직접 해충에 약액을 분사하여 해충을 박멸하기 위한 벌레 스프레이도 널리 사용된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29736호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03823호
한편, 벌레 스프레이는 공기중으로 약액을 분사하고, 약액이 직접 해충 등의 대상체에 분사됨으로써 해충이 포집될 수 있다.
벌레 스프레이는 공기 중을 날아다니는 해충에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해충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약액이 공기중에 확산되어 벌레 스프레이를 사용한 사용자 또는 동일 공간에 있는 타인까지 미량의 약액을 흡입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약액은 인체에 무해하도록 설계되어야만 안전검사를 통과할 수 있으나, 미량이라도 약액을 자주 분사할 경우에는 인체에 완전히 무해하다고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며, 특히 안구의 점막 등에 점착되면 안구건조, 충혈 등의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호흡기로 약액을 장기간 다량 흡입할 경우, 폐 등에 확산되어 폐 손상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살충 작용은 그대로 유지하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벌레 스프레이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살충용 약액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약액으로 처리된 해충 잔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는, 살충용 약액이 충진된 약액탱크가 내장된 본체, 상기 약액탱크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제1 분사구, 상기 약액탱크와 연결되고 제2 방향으로 상기 약액을 분사하되 상기 본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2 분사구, 상기 본체의 저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분사구를 에워싸되 외측으로 확개되는 깔대기부, 상기 제1 분사구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분사구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깔대기부는 지지면과 밀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상기 약액은 상기 밀폐공간 내에서 외부로의 누출이 차단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즉, 깔대기부가 소정의 지지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제2 분사구를 통해 살충용 약액을 분사할 경우, 살충용 약액이 깔대기부와 지지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흡입펌프 등을 통해 밀폐공간 내의 잔존 약액을 흡입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살충용 약액이 밀폐공간 내에서 소멸되도록 할 수 있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 또는 공기흡입펌프를 이용하여 약액으로 처리된 해충 잔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도 6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개략적인 구성 및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는, 살충용 약액이 충진된 약액탱크(111)가 내장된 본체(110), 상기 약액탱크(111)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제1 분사구(121), 상기 약액탱크(111)와 연결되고 제2 방향으로 상기 약액을 분사하되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2 분사구(122), 상기 본체(110)의 저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분사구(122)를 에워싸되 외측으로 확개되는 깔대기부(130), 상기 제1 분사구(121)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1 버튼(141), 및 상기 제2 분사구(122)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2 버튼(142)을 포함하되, 상기 깔대기부(130)는 지지면(300)과 밀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분사구(122)를 통해 분사된 상기 약액은 상기 밀폐공간 내에서 외부로의 누출이 차단된다.
본체(1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써, 예를 들어 원통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10)는 약액을 분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영역으로서, 본체(110)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코팅이 처리될 수 있다.
본체(110)는 일측(도 1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본체(110)의 내측에는 살충용 약액이 충진된 약액탱크(111)가 구비된다. 약액탱크(111) 내에는 액상의 약액이 충진될 수 있으며, 내부의 분사장치 등에 의해 미세 입자로 분사될 수 있다.
약액탱크(111)는 제1 분사구(121) 및 제2 분사구(122)와 연결된다. 제1 분사구(121)는 도시된 예에서 본체(1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10)의 길이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분사구(121)는 길이가 가변되는 접철식으로 구성되거나, 소정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분사구(122)는 본체(110)의 저면에서 수직하방(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10)의 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2 분사구(122)는 약액탱크(111)와 연결되되 제1 분사구(121)와 별도의 장치 및 경로에 의해 분사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분사구(121)는 제1 버튼(141)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2 분사구(122)는 제2 버튼(14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버튼(141)과 제2 버튼(142)은 물리적으로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치 형태 등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버튼(141)과 제2 버튼(142)은 토글 버튼일 수 있다. 제1 버튼(141)과 제2 버튼(142)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눌러지는 힘의 크기, 각도 또는 방향 등으로 기능이 분리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버튼(141)을 누르게 될 경우, 제1 분사구(121)에서 대상체(200)를 향해 약액이 분사될 수 있다. 제1 분사구(121)에서 분사되는 약액은 별도의 확산 차단 장치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기중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제1 분사구(121)는 비교적 넓은 체적으로 약액을 분사하므로 대상체(200)가 예를 들어 모기 또는 파리 등인 경우, 모기 또는 파리가 벽면 등에 밀착된 상태가 아닌 공기 중에서 비행중인 상태라고 하더라도 약액을 해당 대상체(200)에 정확히 분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깔대기부(130)는 본체(110)의 저면과 이음새 없이 연결되어 제2 분사구(122)를 에워싸며, 외측(도면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개되는 형태일 수 있다.
깔대기부(130)의 형상은 본체(110)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가 원통형일 경우, 깔대기부(130)의 수평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깔대기부(13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내부 밀폐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깔대기부(130)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가 투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깔대기부(130)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깔대기부(130)는 소정의 지지면(300)과 밀착될 수 있으며, 지지면(300)과 깔대기부(130)가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상체(200)가 지지면(300)에 인접하게 위치한 상태이거나 지지면(300) 상에 존재할 경우에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형태의 깔대기부(130)를 지지면(300)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제2 버튼(142)을 눌러서 제2 분사구(122)를 통해 약액을 밀폐공간 내에 분사할 수 있다.
깔대기부(130)와 지지면(300)이 이루는 밀폐공간에 약액을 분사할 경우, 외부로의 누출이 차단되며, 비교적 적은 약액으로도 대상체(200)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버튼(142)을 오프(OFF) 상태로 원위치 시킬 경우, 제2 분사구(122)를 통한 약액 분사는 중단되며, 사용자가 깔대기부(130)를 지지면(300)을 향해 가압한 상태를 유지할 경우, 밀폐공간 내의 약액이 잔존하게 되어 비교적 적은 약액으로도 대상체(200)를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약액이 지지면(300)에 완전히 가라앉을 때까지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약액 확산이 일정 이하로 된 이후 깔대기부(130)를 지지면(30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지지면(300) 상의 대상체(200) 및 잔존 약액을 제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체(110)의 하부에 제2 분사구(122) 및 깔대기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면(300) 근방의 대상체(200)에 약액 도포시에 약액이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지지면(300)는 실내외 벽면, 바닥면, 천정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면을 가지는 물체라면 제한없이 지지면(300)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깔대기부(130)가 소정의 지지면(300)에 밀착한 상태에서, 제2 분사구(122)를 통해 살충용 약액을 분사할 경우, 살충용 약액이 깔대기부(130)와 지지면(300)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2는 도 6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는 이전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되, 본체(110) 내부에 밀폐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펌프(150), 및 흡입된 공기 중 약액을 제거하는 필터(112)를 더 포함하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공기흡입펌프(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 버튼(143)을 더 포함하는 점도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2 버튼(142)을 눌러서 제2 분사구(122)를 통해 밀폐공간 내의 대상체(200)에 약액을 분사한다. 깔대기부(130)와 지지면(130)에 의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므로 외부로 약액이 누설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깔대기부(130)의 내부에 대상체(200)가 사멸된 것을 확인한 후에는, 밀폐영역 내의 잔존 약액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3 버튼(143)을 눌러서 공기흡입펌프(1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공기흡입펌프(150)는 밀폐영역에 소정의 부압을 작용시켜 공기흡입펌프(150) 측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이 과정에서 밀폐공간의 기압차이로 인해 공기흡입펌프(150)가 동작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깔대기부(130)의 일측에는 개폐가능한 통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버튼(143)과 연결되어, 제3 버튼(143)이 눌려진 경우, 통기구가 개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공기흡입펌프(15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필터(112)로 이동한다. 필터(112)는 흡입된 공기 중에서 약액 입자를 선택적으로 흡수 및/또는 제거할 수 있다. 필터(112)를 통과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흡입펌프(150)는 흡입구를 통해 밀폐공간 내의 대상체(200)를 흡입할 수 있으며, 본체(110)는 대상체(200)를 격납하기 위한 보관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부(115)는 공기흡입펌프(150)와 연결되며, 필터(112)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구분될 수 있다. 보관부(115)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흡입한 복수의 대상체(200)를 격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보관부(115)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토출구, 및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개폐가능한 차단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도시된 예에서는, 차단부(113)가 차단상태로 유지되어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보관부(115)에 격납된 복수의 대상체(200)가 내부에 유지될 수 있다.
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113)가 개방상태로 변경되어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며, 보관부(115)에 격납된 복수의 대상체(200)를 외부의 매립 또는 처분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는, 공기흡입펌프(150)를 더 구비하여, 밀폐공간 내의 잔존 약액 또는 사체 형태인 대상체(200)를 흡입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약액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대상체(200)의 사체 처리를 비교적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는 이전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와 동일하되, 이동체(160)가 더 구비된 점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는 깔대기부(130)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체(160)를 포함하고, 이동체(160)는 약액을 통과시키도록 메쉬 소재로 구성되고, 이동체(160)의 표면에 점착층이 적층될 수 있다.
확개형 깔대기부(130)의 중간 영역에 이동체(160)의 기본 위치가 설정되며, 제2 버튼(142)을 작동시켜 제2 분사구(122)를 통해 약액을 분사하더라도 이동체(160)는 소정 직경 이하의 물체는 통과시키므로, 약액이 제2 분사구(122)로부터 분사되어, 이동체(160)를 통과하여 대상체(200)로 도포될 수 있다.
이동체(160)의 일단은 깔대기부(13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깔대기부(130)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이동체(160)의 일단이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체(160)는 깔대기부(130)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대상체(200)가 사멸된 것을 확인한 후, 이동체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대상체(200)와 밀착되어 이동체(160) 일면이 점착층으로 대상체(200)를 부착한다.
이후, 도 15를 참조하면, 이동체(160)를 다시 원위치 시키더라도 대상체(200)가 이동체(160)의 점착층 일면에 부착된 채로 유지된다. 복수의 대상체(200)가 이동체(160)에 부착된 경우, 이동체(160)를 깔대기부(130)로부터 분리하거나, 깔대기부(130)의 하방으로 이동체(160)를 이동시켜 대상체(200)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의 개략적인 구성 및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는 이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와 동일하되, 본체(110)는, 밀폐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펌프(150), 및 흡입된 공기 중 약액을 제거하는 필터(112)를 더 포함하고, 공기흡입펌프(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 버튼(143)을 더 포함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동체(160)는, 제3 버튼(143)이 온(ON) 상태일 경우 공기흡입펌프(150)에 의해 공기흡입펌프(150) 측으로 이동하는 대상체(200)의 이동을 차단하고, 대상체(200)는 이동체(16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공기흡입펌프(150)가 흡인력을 제공하므로, 이전 실시예와 달리 이동체(160)의 표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약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동체(160)는 다공성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면, 도 17을 참조하면, 대상체(200)는 제3 버튼(143)이 오프(OFF) 상태일 경우, 이동체(160)의 표면으로부터 깔대기부(130)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즉, 대상체(200)를 이동체(160) 측으로 흡인하던 공기흡입펌프(150)가 작동 정지되면, 대상체(200)는 중력 등의 자연힘에 의해 이동체(16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깔대기부(130)와 소정의 지지면 사이에 형성된 밀폐영역 내의 약액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대상체(200)를 임시로 이동체(160)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흡인력을 제공한 상태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를 소정의 폐기 영역으로 이동시킨 후 공기흡입펌프(150)를 중단시키면, 대상체(200) 사체가 폐기 영역으로 자동으로 수거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버튼(141)과 제2 버튼(142)을 동시에 눌려질 수 있으며, 제1 분사구(121)를 통해 공중에서 이동중인 대상체(200)에 약액을 살포할 수 있으며, 동시에 깔대기부(130)와 지지면(300)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2 분사구(122)를 통해 지지면(300)에서 정지한 상태의 대상체(200)에 약액을 살포할 수 있다. 따라서, 약액이 최소 한도내에서 확산되면서 동시에 복수의 대상체를 살충할 수 있다.
또한,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분사구(122)의 단부에 약액을 함유한 버퍼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버퍼부는 일정량 이상의 약액을 흡수하여 이를 유지할 수 있는 스폰지 재질 또는 구형으로 형성된 탈지면 등의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분사구(122)를 통해 약액을 분사하면, 깔대기부(130) 내의 밀폐공간에 약액이 바로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약액이 먼저 버퍼부에 일정량 흡수된다. 깔대기부(130)와 지지면(300) 사이는 밀폐공간으로 유지되므로, 대상체가 밀폐공간 내를 유동하다가 약액이 함유된 버퍼부에 의해 간접적으로 약액의 영향을 받아 살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버퍼부의 약액의 액체 성분이 증발될 수 있으므로, 버퍼부의 표면에 일정 농도 이상의 약액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2 버튼(142)을 눌러서 약액이 추가로 버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약액을 직접 분사하지 않고 약액 분사구에 버퍼부가 삽입되어 약액이 일정 농도 이상, 일정 점도 이하로 유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깔대기부가 소정의 지지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제2 분사구를 통해 살충용 약액을 분사할 경우, 살충용 약액이 깔대기부와 지지면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흡입펌프 등을 통해 밀폐공간 내의 잔존 약액을 흡입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살충용 약액이 밀폐공간 내에서 소멸되도록 할 수 있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 또는 공기흡입펌프를 이용하여 약액으로 처리된 해충 잔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본체
120: 분사구
130: 깔대기부
140: 버튼
150: 공기흡입펌프
160: 이동체

Claims (10)

  1. 살충용 약액이 충진된 약액탱크가 내장된 본체;
    상기 약액탱크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제1 분사구;
    상기 약액탱크와 연결되고 제2 방향으로 상기 약액을 분사하되 상기 본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2 분사구;
    상기 본체의 저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분사구를 에워싸되 외측으로 확개되는 깔대기부;
    상기 제1 분사구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분사구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깔대기부는 지지면과 밀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상기 약액은 상기 밀폐공간 내에서 외부로의 누출이 차단되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밀폐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펌프, 및 상기 흡입된 공기 중 상기 약액을 제거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 버튼을 더 포함하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펌프는 흡입구를 통해 상기 밀폐공간 내의 대상체를 흡입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대상체를 격납하기 위한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보관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개폐가능한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부의 내측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체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약액을 통과시키도록 메쉬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체의 표면에 점착층이 적층되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일단은 상기 깔대기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깔대기부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상기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깔대기부로부터 분리가능한,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밀폐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펌프, 및 상기 흡입된 공기 중 상기 약액을 제거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 버튼을 더 포함하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제3 버튼이 온(ON) 상태일 경우 상기 공기흡입펌프에 의해 상기 공기흡입펌프 측으로 이동하는 대상체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대상체는 상기 이동체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상기 제3 버튼이 오프(OFF) 상태일 경우, 상기 이동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깔대기부의 외부로 이탈되는,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KR1020120100583A 2012-09-11 2012-09-11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Expired - Fee Related KR10119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583A KR101194146B1 (ko) 2012-09-11 2012-09-11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583A KR101194146B1 (ko) 2012-09-11 2012-09-11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146B1 true KR101194146B1 (ko) 2012-10-23

Family

ID=4728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5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4146B1 (ko) 2012-09-11 2012-09-11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0620A (zh) * 2020-05-30 2020-08-04 侯梦斌 一种利用餐余垃圾饲养药用蟑螂与蚯蚓的设备与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1861A (ja) 1997-01-14 1998-07-28 Akihiko Kuniyoshi 捕獲式噴霧殺虫器補助具
KR200356349Y1 (ko) 2004-04-14 2004-07-15 이두희 농약 분사구
KR200428697Y1 (ko) 2006-07-06 2006-10-16 김상훈 제초제 분사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1861A (ja) 1997-01-14 1998-07-28 Akihiko Kuniyoshi 捕獲式噴霧殺虫器補助具
KR200356349Y1 (ko) 2004-04-14 2004-07-15 이두희 농약 분사구
KR200428697Y1 (ko) 2006-07-06 2006-10-16 김상훈 제초제 분사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0620A (zh) * 2020-05-30 2020-08-04 侯梦斌 一种利用餐余垃圾饲养药用蟑螂与蚯蚓的设备与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0124B2 (ja) 害虫用捕獲具、及びこの害虫用捕獲具を備えた吸引装置
KR101194146B1 (ko) 양방향 분사형 살충스프레이
JP2015033374A (ja) 水性ベイト剤を収容する匍匐性衛生害虫防除器具
CN105900960A (zh) 卫生捕虫器
KR101754649B1 (ko) 해충 포집 장치
JP2004057076A (ja) 害虫の捕獲駆除機
KR20140013228A (ko) 기능성 해충 포집 스프레이
KR20110062820A (ko) 모기 포집 액자
JP2008208060A (ja) 飛翔害虫の誘引阻害活性試験装置、並びに、飛翔害虫の誘引阻害活性試験方法
JPH09172936A (ja) 捕虫器具
JP2006051016A (ja) 虫類捕獲装置
KR101649027B1 (ko) 모기살충기
JP3234148U (ja) 虫捕殺装置
JP2958002B1 (ja) 吸引捕虫機の補助具
KR20160140315A (ko) 벌레 포획 용구
TWI703928B (zh) 自動供藥滅蟲裝置(二)
TWI701999B (zh) 自動供藥滅蟲裝置(一)
JP2003310130A (ja) 害虫捕獲器
KR20200073426A (ko) 미소해충 생물검정용 흡충기
JP3139427U (ja) 害虫捕獲器
JP2017023034A (ja) カップ状殺虫器
KR101959170B1 (ko) 해충 퇴치 장치
KR102626597B1 (ko) 벌레 제거장치
JPH10191861A (ja) 捕獲式噴霧殺虫器補助具
JP3247249U (ja) 害虫捕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